맨위로가기

오재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오재순(吳載純, 1727년 ~ 179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입니다.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문경(文卿), 호는 순암(醇庵) 또는 우불급재(愚不及齋)입니다.
생애 및 활동:


  • 조선 현종의 딸인 명안공주의 손자로, 음보로 관직에 나아가 세자익위사세마를 지냈습니다.
  • 1755년(영조 31) 명안공주의 손자라는 이유로 특별히 6품에 올랐습니다.
  • 1772년(영조 48)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했습니다.
  • 승지, 부제학, 대사헌 등을 역임했습니다.
  • 1783년(정조 7) 문안사의 부사로 청나라에 다녀온 후 직제학이 되었습니다.
  • 홍문관·예문관 대제학을 지냈으며, 1790년에는 이조판서에 올랐습니다.
  • 1791년(정조 15) 판의금부사가 되었습니다.
  • 같은 해 이조판서로 홍문관 제학을 겸하고, 임시 수어사로 유진하기도 했습니다.
  • 1792년(정조 16) 판중추부사로 재직 중 사망했습니다.

학문 및 사상:

  • 학문에 뛰어나 제자백가에 두루 통달했고, 특히 『주역』에 뛰어났습니다.
  • 정조의 총애를 받았으며, 오랫동안 문형(文衡: 대제학)과 전조(銓曹: 이조와 병조)를 맡았습니다.
  • 겸손하고 과묵한 성품으로, 정조가 '우불급재'라는 호를 내리기도 했습니다.

저서:

  • 『주역회지(周易會旨)』
  • 『완역수언(玩易隨言聖學圖)』
  • 『순암집(醇庵集)』

사후 평가 및 관련 유물:

  • 시호는 문정(文靖)입니다.
  • <오재순 초상>(보물)은 조선 후기 초상화의 높은 수준을 보여주는 수작으로 평가받습니다. 이 초상화는 이명기가 오재순의 65세 때 모습을 그린 것으로 추정됩니다.

추가 정보:

  • 오재순은 이인상과 친분이 있었던 오찬의 조카이기도 합니다.


오재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오재순
원어이름吳載純
별칭자 문경(文卿)
호 순암(醇庵), 우불급재(愚不及齋)
시호 문정(文靖)
출생일1727년
출생지조선 경기도
사망일1792년
국적조선
본관해주
종교유교
배우자연안 이씨(延安李氏) 이천보(李天輔)의 딸
자녀오희상(吳熙常), 오연상(吳淵常)
부모오원(吳瑗)
강릉 최씨(江陵崔氏) 최식(崔寔)의 딸
친척양조부 : 오태주(吳泰周)
양조모 : 명안공주(明安公主)
오재순 초상
직업 및 경력
직책문관, 정치인
직업문관, 정치인
경력이조 판서
대사헌
대제학
판중추부사
학력1772년 정시 문과 급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