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직 성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직 성경(Sola scriptura)은 기독교 신학의 원리 중 하나로, 성경을 신앙과 실천의 유일한 권위로 간주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성경의 무오성을 강조하며, 14세기 이후 파도바의 마르실리우스, 존 위클리프 등이 이 교리를 지지했다. 루터교는 성경의 영감, 권위, 명료성, 효능, 충족성을 강조하며, 개혁 신앙에서도 동일한 입장을 취한다. 반면, 성공회와 감리교는 성경 외에 전통, 이성, 경험 등을 부차적인 권위로 인정하는 프리마 스크립투라 입장을 취한다. 로마 가톨릭교회는 성경과 성전을 모두 권위의 근원으로 보며, '오직 성경' 교리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는 성경 외에 몰몬경 등 다른 경전을 표준 경전으로 받아들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섯 솔라 - 오직 믿음
    오직 믿음은 마르틴 루터가 주창한 종교 개혁의 핵심 교리 중 하나로, 인간의 구원은 율법의 행위나 선행이 아닌 오직 믿음을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기독교 신학적 개념이다.
  • 다섯 솔라 - 오직 은혜
    오직 은혜는 기독교 신학에서 인간의 행위나 공로 없이 오직 하나님의 은혜로만 구원이 가능하다는 교리로서, 종교 개혁 당시 가톨릭 교회의 은혜관에 대한 비판에서 부각되었으며 동방 정교회와 감리교에서도 각기 다른 관점으로 긍정하는 교리이다.
  • 루터교 신학 - 십자가의 신학
    십자가의 신학은 인간의 이성이나 행위가 아닌 십자가에 드러난 하나님의 자기 계시를 통해 하나님과 관계를 이해하는 신학적 관점이다.
  • 루터교 신학 - 일치 신조
    일치 신조는 마르틴 루터 사후 루터교의 분열을 극복하고 교리적 일치를 이루기 위해 16세기 후반 루터교 신학자들과 교회 지도자들이 작성한 신앙 문서로, 원죄, 자유 의지, 이신칭의 등 12개 조항을 다루며 정통 루터파의 입장을 제시한다.
  • 성경 - 코이네 그리스어
    코이네 그리스어는 알렉산드로스 대왕 정복 후 헬레니즘 시대에 아티카 방언을 기반으로 형성되어 지중해 세계의 공용어로 사용되었으며 신약성서 기록과 동로마 제국 시대를 거쳐 중세 및 현대 그리스어의 기초가 된 언어이다.
  • 성경 - 오순절
    오순절은 유대교의 칠칠절과 기독교의 성령 강림을 기념하는 날로, 유대교에서는 율법 수여를 기념하는 수확절이며, 기독교에서는 예수 승천 후 성령 강림을 기념하고, 50번째를 의미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했으며, 부활절 날짜에 따라 날짜가 달라진다.
오직 성경
기독교 교리
명칭
로마자 표기Sola Scriptura
의미오직 성경
개요
설명기독교, 특히 개신교의 중요한 교리 중 하나다.
이 교리는 성경이 신앙과 실천에 대한 유일하고 무오한 권위라는 것을 강조한다.
다른 권위(교회의 전통, 교황의 가르침, 개인적인 계시 등)보다 성경의 권위를 우선시한다.
종교 개혁의 5대 강령 중 하나이다.
신학적 의미
권위성경은 기독교 신앙과 삶의 궁극적인 권위이다.
성경은 그 자체로 완전하고 명확하며, 신앙과 실천에 필요한 모든 것을 담고 있다.
교회의 전통이나 다른 권위는 성경의 가르침에 종속되어야 한다.
해석성경은 성경 자체로 해석되어야 한다.
성령의 조명과 함께 이성을 사용하여 성경을 이해해야 한다.
성경의 명확한 가르침은 모호한 구절을 해석하는 데 사용되어야 한다.
적용성경은 개인의 삶과 교회의 공동체에 적용되어야 한다.
성경의 가르침은 모든 시대와 문화에 적용될 수 있다.
성경은 우리의 생각, 말, 행동을 인도해야 한다.
역사적 배경
종교 개혁마르틴 루터를 비롯한 종교 개혁가들은 교회의 부패와 권위주의에 반대하며 "오직 성경"을 외쳤다.
그들은 성경이 교회의 전통이나 교황의 가르침보다 더 높은 권위를 가진다고 주장했다.
"오직 성경"은 종교 개혁의 중요한 동기가 되었으며, 개신교의 신학적 기초가 되었다.
비판
권위의 자의적 해석"오직 성경"은 성경을 자의적으로 해석하고 다양한 교파를 양산할 수 있다는 비판이 있다.
성경 해석의 객관성과 통일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있다.
전통의 무시"오직 성경"은 교회의 오랜 전통과 가르침을 무시할 수 있다는 비판이 있다.
전통은 성경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주장이 있다.
성경의 완전성"오직 성경"은 성경이 모든 것을 담고 있다고 주장하지만, 현대 사회의 복잡한 문제에 대한 명확한 해답을 제시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있다.
성경 외에 다른 지혜와 지식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있다.
관련 성경 구절
구약신명기 4:2
이사야 8:20
신약디모데후서 3:16-17
베드로후서 1:19-21
참고
관련 문서성경
종교 개혁
오직 믿음
오직 은혜
오직 그리스도
오직 하느님께 영광

2. 역사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는 성경만이 무오하며, 다른 저술과 구별되는 독특한 권위를 가진다고 강조했다. 그는 성경에서 진리에 반하는 것처럼 보이는 내용을 발견하면, 본문이 잘못되었거나 번역이 부정확하거나 자신이 이해하지 못한 것이라고 여겼다.[12]

중세 시대에는 여러 인물들이 오직 성경 사상의 발전에 기여했다. 14세기 파도바의 마르실리우스는 기독교인의 유일한 권위는 교황이 아닌 성경이라고 믿었다. 존 위클리프 역시 sola scripturala 교리를 예고하며 같은 관점을 제시했다.[14] 요한 루흐라트 폰 베젤, 베셀 간스포르트, 요하네스 폰 고흐는 성경을 유일하고 무오한 권위로 보았고, 교황이나 교회의 권위는 무오하지 않다고 보았다. 피에르 아벨라르는 인간의 이성이 성경 이해의 수단이라고 믿었다.[15] 윌리엄 오컴과 지롤라모 사보나롤라도 '오직 성경' 사상의 일부 요소를 제시했다.[11][9][10]

종교 개혁 시기, 마르틴 루터는 "성경으로 무장된 평범한 성도가 성경 없는 교황보다 더 강하다"고 주장하며 '오직 성경' 원칙을 강력하게 옹호했다. 그는 로마 가톨릭 교회의 전통보다 성경의 권위를 우선시했다. 루터는 성경의 고유한 문자적 권위에 호소하여 가톨릭 교회의 오류를 바로잡고자 했다.

2. 1. 루터란

루터는 "성경이 없는 교황보다 성경으로 무장된 평범한 성도들이 더 강하다"고 말하며 성경의 권위를 강조했다. 종교개혁 당시 로마 가톨릭 교회는 교회 전통과 성경에 함께 권위를 두었지만, 루터는 오직 성경만을 유일한 권위로 보았다.[50][51]

루터교는 성경하나님의 영감으로 기록된 유일한 신적 계시의 근원으로 보며, 신앙과 삶의 유일한 공식적인 원리이자 최종 권위로 여긴다. 성경은 영감, 권위, 명료성, 효능, 충족성을 가진다.[52]

250x250픽셀


루터란은 구약과 신약을 하나님의 영감으로 된 책으로 보며, 외경은 오류를 포함하고 있고 예수가 사용한 팔레스타인 정경에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에 성경의 일부로 보지 않는다.[24] 또한, 루터교회는 예언서와 사도 서신이 진실하며, 정확한 번역은 원래의 성경 히브리어와 코이네 그리스어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므로 하나님의 말씀이라고 믿는다. 그러나 잘못된 번역은 하나님의 말씀이 아니며, 인간의 권위가 신성한 권위를 부여할 수 없다.



대부분의 루터교 전통은 성경을 이해하는 것이 복잡하다는 것을 인정한다. 예를 들어, 미국 복음주의 루터교회는 "루터교 기독교인들은 예수 안에서 하나님의 변함없는 사랑과 자비의 이야기가 성경이 말하고자 하는 핵심이자 중심이라고 믿습니다."라고 가르친다.[20]

2. 1. 1. 영감

루터교는 성경의 모든 단어가 하나님의 말씀이라는 언어적 영감 교리를 믿는다.[19] 성령니케아 신경에서 고백하듯이, 선지자들을 통해 말씀하셨다. 아우크스부르크 신앙 고백 변호는 "거룩한 성경"을 하나님의 말씀과 동일시하고,[21] 성령을 성경의 저자라고 부른다.[22]

2. 1. 2. 권위

루터교는 구약 및 신약 성경이 유일하게 신성하게 영감된 책이며 신성하게 계시된 지식의 유일한 출처라고 가르친다.[50][51] 성경만이 루터교 신앙의 형식적 원리이며, 영감, 권위, 명료성, 효능 및 충분성 때문에 신앙과 도덕의 모든 문제에 대한 최종 권위이다.[52]

성경은 하나님의 말씀으로 여겨지며, 루터교에서 하나님의 완전한 권위를 지닌다. 성경의 모든 진술은 즉각적이고 무조건적이며 제한 없는 수용을 요구한다.[26] 성경의 모든 교리는 하나님의 가르침이므로 완전한 동의를 필요로 한다.[27] 성경의 모든 약속은 그 성취에 대한 흔들리지 않는 믿음을 요구하며,[28] 성경의 모든 명령은 하나님 자신의 지시이므로 자발적인 준수를 요구한다.

"성경의 모든 진술"에 대해 여기서 언급된 내용은 모든 루터교인의 신앙을 대변하지는 않는다. 2001년 설문 조사에 따르면 미국 복음주의 루터교회 신자의 72%가 성경의 모든 내용이 문자적이라고 받아들이지 않으며, 과학적 또는 역사적 오류를 포함하거나 사건을 상징적으로 묘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29]

2. 1. 3. 명료성

루터교는 성경이 기독교 신앙의 모든 교리와 명령을 명확하게 제시한다고 가르친다.[30] 또한 하나님의 말씀은 특별한 교육 없이도 보통 지능을 가진 모든 독자나 청취자가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다고 가르친다.[50]Graebner|1910|p=11영어 독자는 하나님의 말씀이 제시된 언어를 이해해야 하며, 이해를 방해할 수 있는 상반된 생각에 너무 몰두해서는 안 된다.[50]Graebner|1910|p=11영어 따라서 성경의 어떤 부분의 진정한 의미를 설명하기 위해 성직자, 교황, 학자 또는 에큐메니칼 공의회를 기다릴 필요가 없다.[52]Engelder|Arndt|Graebner|Mayer|1934|p=28영어

2. 1. 4. 효능

루터교는 성경이 성령의 능력과 결합되어 있으며, 성경은 가르침을 요구할 뿐만 아니라 그것을 받아들이는 것을 창조한다고 가르친다.[52] 이 가르침은 믿음과 순종을 낳는다. 성경은 단순한 문자가 아니라, 성령의 능력이 그 안에 내재되어 있다.[52] 성경은 논리적 논증에 근거한 단순한 지적 동의를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살아있는 믿음의 동의를 창조한다.[52] 슈말칼트 조항은 "말해지고 외부로 드러나는 말씀과 관련된 일에서, 우리는 하나님이 자신의 영이나 은혜를 외부로 드러나는 말씀 없이는, 혹은 그와 함께가 아니면 아무에게도 주지 않으신다는 것을 굳게 붙잡아야 한다"고 단언한다.[32]

2. 1. 5. 충족성

루터교는 구원을 얻고 기독교인으로서 살아가기 위해 알아야 할 모든 것이 성경에 담겨 있다고 가르친다.[33] 성전, 교황의 선언, 새로운 계시, 또는 현재의 교리 발전으로는 성경의 부족한 부분을 채울 수 없다.[52]

2. 2. 개혁 신앙

개혁 신앙은 루터교와 마찬가지로 성경의 영감, 권위, 명료성, 효능, 충분성을 강조한다. 벨기에 신앙 고백 제3조는 성경의 신성한 영감을 가르치며, "우리는 이 하나님의 말씀이 사람의 뜻으로 전해지거나 전달된 것이 아니라, 사도 베드로가 말한 바와 같이, '하나님의 거룩한 사람들이 성령의 감동을 받아 말한 것'임을 고백한다(as Peter the apostle hath said, that 'the holy men of God spake as they were moved by the Holy Ghost'영어)."[34]라고 밝힌다.

제7조는 성경의 유일한 무오성 또는 독점적 권위를 가르치며, "우리는 얼마나 거룩한 사람들이었든 간에 사람들의 어떤 저술도, 이 신성한 성경과 동등한 가치로 여기지 않으며, 관습이나, 많은 무리, 고대, 시대와 사람들의 계승, 공의회, 칙령 또는 법령을 하나님의 진리와 동등한 가치로 여겨서는 안 된다."[34]라고 강조한다.

웨스트민스터 신앙 고백 제1장 7절은 성경의 명료성 교리를 옹호하며 "성경의 모든 것이 그 자체로 똑같이 명백하지도 않고, 모든 사람에게 똑같이 명확하지도 않지만, 구원을 위해 알아야 하고, 믿고, 지켜야 할 것들은 성경의 어떤 부분에서든 그렇게 명확하게 제시되고, 열려 있어서, 배운 자뿐만 아니라 배우지 못한 자도 평범한 수단을 적절히 사용하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35]라고 설명한다. 또한, 같은 장에서 "효능"은 성경 교리에 귀속된다고 말한다.[35]

벨기에 신앙 고백 제7조는 "우리는 이 거룩한 성경이 하나님의 뜻을 완전히 담고 있으며, 사람이 구원을 위해 믿어야 할 모든 것이 충분히 가르쳐져 있다고 믿는다."[34]라며 성경의 충분성을 가르친다.

3. 프리마 스크립투라(Prima scriptura)

프리마 스크립투라la정경 성경 외에도 신자가 무엇을 믿어야 하고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다른 지침이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예로는 창조의 일반 계시, 전통, 은사, 신비로운 통찰력, 천사의 방문, 양심, 상식, 전문가의 견해, 시대정신 등이 있다. 프리마 스크립투라la는 정경 성경에서 유래하지 않은, 하나님과 그분의 뜻을 알거나 이해하는 방법이 두 번째 위치에 있으며, 아마도 성경을 해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정경에 의해 시험받고 정경과 모순되는 것처럼 보일 경우 정경에 의해 수정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3]

프리마 스크립투라la 입장을 지지하는 두 기독교 교파는 성공회와 감리교이다.[3] 성공회 전통에서 성경, 전통, 이성은 성공회 신학자 리처드 후커가 정립한 "성공회 삼위일체" 또는 "세 다리 의자"를 형성한다. 감리교 전통과 관련하여, ''연합 감리교 사전''에서는

4. 성경과 성전(Sacred Tradition)

로마 가톨릭교회는 성경과 성전(聖傳)을 모두 권위의 근원으로 보며, 성경이 성전의 일부로 전해졌다고 믿는다.[36] 가톨릭 교회는 복음이 사도들에 의해 구두 설교, 모범, 그리고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통해 전해졌다고 본다. "성령 안에서 이루어지는 이러한 살아있는 전달을 성전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성경과는 다르지만, 성경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성전과 성경은 하느님의 말씀의 단일하고 신성한 보물을 이룬다."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는 "로고스가 주셨고, 사도들이 설교했으며, 교부들이 보존한 가톨릭 교회의 바로 그 전통, 가르침, 신앙을 처음부터 살펴보자. 교회는 이것 위에 세워진다"라고 강조했다.[36]

5. 비판

가톨릭동방 정교회종교 개혁 이후 개신교의 핵심 교리인 '오직 성경'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해 왔다. 키스 A. 매티슨은 저서 ''Sola Scriptura의 형태''에서 이러한 비판의 사례들을 언급하며, 대부분의 개신교가 채택한 "주관적이고 개인주의적인 버전"과 구별되는 참된 sola scripturala 교리를 제시하고자 했다.[41]

가톨릭 측의 주요 비판 논점은 다음과 같다.


  • 자기모순성: 패트릭 마드리드는 성경 자체가 '오직 성경'을 가르치지 않으므로, 성경만이 유일한 신앙의 원천이라는 믿음은 비성경적 교리에 의존하는 모순이라고 주장한다.[42]

  • 교리적 분열: 피터 M. J. 헤스와 폴 앨런은 성경 해석의 다양성이 교리적 분열을 초래한다고 지적한다. 마르부르크 회담에서 마르틴 루터울리히 츠빙글리가 성찬에서 그리스도의 실제 임재에 대해 합의를 이루지 못한 것이 그 예시이다.[43] 이들은 성경이 무오한 가르침의 유일한 원천으로 여겨질 때, 오류가 있는 해석에 종속되며, 무오한 해석자가 없이는 기독교 신앙의 확실성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43]

  • 성경 정경의 문제: 신약성경의 정경 27권은 성경 자체의 목록에 근거하지 않으므로, 로마 공의회와 카르타고 공의회와 같이 이 목록을 확정한 가톨릭교회의 교도권과 같은 다른 권위에 의존해야만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다.[44]

  • 구전 및 비성경적 전통의 수용: 데이브 암스트롱은 예수와 사도들이 구전 및 비성경적 전통을 수용한 사례들을 제시하며, 기독교인들이 구전 전통의 정당성을 부정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45] 예를 들어, 마태복음 2:23에서 "나사렛 사람이라 불리리라"는 예언은 구약성경이 아닌 구전을 통해 전해진 "하나님의 말씀"으로 간주된다.[45]

6.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의 관점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LDS 교회)는 성경 외에 몰몬경, 교리와 성약, 값진 진주를 표준 경전으로 받아들인다.[41] 교회는 성경을 "올바르게 번역된 한"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아들인다.[42] 외경, 개신교 종교 개혁자들의 일부 저술, 비기독교 종교 지도자들의 저술, 그리고 일부 철학자들의 비종교적 저술, 특히 미국 헌법[44]이 영감을 받았지만, "정경"은 아니라고 간주한다.[45]

조셉 스미스는 "전능자의 권능을 하늘에 새겨진 것을 볼 수 있는 사람은 또한 거룩한 책에서 하나님의 친필을 볼 수 있고, 그것을 자주 읽는 사람은 그것을 가장 좋아할 것이며, 그것에 익숙한 사람은 어디에서든 [주의] 손을 알아볼 수 있을 것"이라고 증언했다.[46]

후기 성도 교회는 성경의 무오성을 주장하는 것은 성경 자체의 주장보다 더 많은 것을 요구하는 것이라고 본다. 또한, 후기 성도들은 열린 경전, 즉 성경 외에 몰몬경과 같은 다른 경전이 있으며, 하나님께서 살아있는 선지자들을 통해 계속해서 그분의 말씀을 계시하신다고 믿는다.[46]

참조

[1] 웹사이트 Sola Scriptura? https://wayback.arch[...] Wisconsin Evangelical Lutheran Synod 2006-05-15
[2] 서적 Sola Scriptura: Biblical and Theological Perspectives on Scripture, Authority, and Hermeneutics Brill Publishers
[3] 웹사이트 Methodist Beliefs: In What Ways Are Lutherans Different from United Methodists? http://www.wels.net/[...] 2014-05-22
[4] 서적 Themelios, Volume 36, Issue 2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5-01-27
[5] 서적 Worship, Tradition, and Engagement: Essays in Honor of Timothy George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8-04-20
[6] 서적 'For Their Rock is not as Our Rock': An Evangelical Theology Of Religions https://books.google[...] Inter-Varsity Press 2015-05-08
[7] 웹사이트 'Sola Scriptura' Radicalized and Abandoned https://www.thegospe[...] 2022-06-25
[8] 서적 Scripture and hermeneutics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06-25
[9] 서적 Senses of Tradition: Continuity and Development in Catholic Faith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0-09-21
[10] 서적 Paul's Visual Piety: The Metamorphosis of the Beholder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3-05-02
[11] 서적 Healing Fractures in Contemporary Theology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22-01-20
[12] 서적 Letters, Volume 1 (1-82)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13] 서적 Augustine: On Christian Doctrine and Selected Introductory Works B&H Publishing Group
[14] 웹사이트 John Wycliffe condemned as a heretic {{!}} History Today https://www.historyt[...]
[15] 서적 God Hovered Over the Waters: The Emergence of the Protestant Reformation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2015-03-25
[16] 학술지 Luther in 1520: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https://journal.rts.[...] Reformed Theological Seminary 2021-11-12
[17] 잡지 The Crisis of Evangelical Christianity: Reformation Essentials http://www.monergism[...] 2008-07-10
[18] 문서 Smalcald Articles II, 15
[19] 성경
[20] 웹사이트 Scriptures, Creeds, Confessions http://elca.org/Fait[...] Evangelical Lutheran Church in America
[21] 웹사이트 "God's Word, or Holy Scripture" from the Apology of the Augsburg Confession, Article II, of Original Sin http://www.bookofcon[...]
[22] 웹사이트 "the Scripture of the Holy Ghost". Apology to the Augsburg Confession, Preface, 9 http://www.bookofcon[...]
[23] 웹사이트 The Solid Declaration of the Formula of Concord http://www.bookofcon[...] 2010-03-13
[24] 문서 (Tobit 6, 71; 2 Macc. 12, 43 f.; 14, 411)
[25] 성경
[26] 성경
[27] 성경
[28] 성경
[29] 웹사이트 Bible: Literal or Inspired http://www.theluther[...] The Lutheran 2012-10-13
[30] 성경
[31] 웹사이트 Luther's Antilegomena http://www.bible-res[...]
[32] 웹사이트 Smalcald Articles – Book of Concord http://www.bookofcon[...] 2009-03-15
[33] 성경
[34] 서적 The Three Forms of Unity Canon Press
[35] 웹사이트 Of the Holy Scripture - Westminster Confession of 1646 - Study Resources https://www.bluelett[...] 2024-07-24
[36] 웹사이트 Tradition in the Orthodox Church – Theology – Greek Orthodox Archdiocese of America https://www.goarch.o[...]
[37] 웹사이트 Qui Locutus: Sola Scriptura Self Refuting http://quilocutus.bl[...] 2010-01-19
[38] 뉴스 Sola Scriptura's Self Refutation https://www.catholic[...] 2000-01
[39] 웹사이트 Orthodox Outreach, "Holy Tradition" http://www.orthodoxo[...]
[40] 웹사이트 Chicago Statement on Biblical Inerrancy, Article VII http://www.alliancen[...]
[41] 웹사이트 Scriptures https://www.churchof[...]
[42] 문서 Articles of Faith
[43] 웹사이트 Doctrine and Covenants 91 https://www.churchof[...]
[44] 웹사이트 D&C 101:80 https://www.churchof[...]
[45] 웹사이트 Encyclopedia of Mormonism – World Religions (Non-Christian) and Mormonism https://eom.byu.edu/[...] 1992
[46] 웹사이트 Bible, Inerrancy of https://www.churchof[...]
[47] 서적 福音主義キリスト教と福音派
[48] 웹사이트 教え-聖伝:日本正教会 The Orthodox Church in Japan http://www.orthodoxj[...]
[49] 서적 「読者」の誕生:活字文化はどのようにして定着したか 晶文社
[50] 성경
[51] 서적 Popular Symbolics: The Doctrines of the Churches of Christendom and Of Other Religious Bodies Examined in the Light of Scripture https://archive.org/[...] Concordia Publishing House
[52] 서적 Outlines Of Doctrinal Theology http://showcase.neti[...] Concordia Publishing House 2018-04-17
[53] 웹사이트 Luther's Antilegomena http://www.bible-r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