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흥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흥군은 266년 오나라에 의해 설치된 중국의 옛 행정 구역이다. 삼국 시대부터 수나라, 당나라 시대를 거치며 여러 차례 폐지 및 부활을 반복했다. 처음에는 오군과 단양군에서 분할된 9개 현을 관할했으며, 진나라, 남조 송나라, 제나라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동이 있었다. 수나라에 의해 폐지되었다가 당나라 때 부활했지만, 758년에 호주로 개칭되면서 오흥군이라는 명칭은 사라졌다.
266년(보정 원년) 오흥군이 설치된 이후, 진, 남조 송, 남조 제나라를 거쳐 수나라에 이르기까지 오흥군의 역사는 여러 변화를 겪었다.
2. 역사
진나라 때 오흥군은 10개 현을 관할했다.[7][8][9]
남조 송나라와 남조 제나라 때 오흥군은 각각 10개 현을 관할했다.[9][10]
589년 (개황 9년), 수나라가 진나라를 멸망시키자, 오흥군은 폐지되어 소주에 편입되었다.[11] 602년 (인수 2년), 호주가 설치되었다가 605년 (대업 원년) 오주에 통합되었다. 607년 (대업 3년)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자, 오주는 오군으로 개칭되었다.
621년 (무덕 4년), 당나라가 이자동을 평정하자, 오정현에 호주가 설치되었다. 742년 (천보 원년), 호주는 오흥군으로 개칭되었다가 758년 (건원 원년) 다시 호주로 바뀌면서 오흥군이라는 명칭은 사라졌다.
2. 1. 삼국시대
266년(손호 보정 원년), 산월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기 위해 오군의 오정, 양선, 영안, 여항, 임수 5현과 단양군의 고장, 안길, 원향, 어잠 4현을 분리하여 오흥군을 설치하였다.[7][8][9] 304년(진 혜제 영흥 원년), 오흥군 장성현, 현 북쪽에서 신설된 3개 현과 양선현이 의흥군으로 분리되었다.[7][8][9]
서진 시대 오흥군은 10현 24,000호를 거느렸다. 당시 오흥군에 소속된 현은 다음과 같다.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오정현 | 烏程縣 | 후저우시 우싱구 운소촌(雲巢村) | 오흥군이 세워질 무렵 손호가 쓴 조서에 따르면, 오정현을 제외하고 오흥군에 편입된 8개현이 수로를 통해 본현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본현을 군태수의 치소로 두었다고 한다.[7] 404년(진 안제 의희 원년), 치소가 운소촌에서 지금의 후저우시 시가지로 옮겨졌다. |
임안현 | 臨安縣 | 항저우시 린안구 고홍진(高虹鎭) | 211년(건안 11년) 여항현의 서부지역에서 신설된 임수현(臨水縣)이다. 280년(서진 무제 태강 원년)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
여항현 | 余杭縣 | 항저우시 위항구 여항가도(余杭街道) | |
무강현 | 武康縣 | 후저우시 더칭현 | 194년(후한 헌제 흥평 원년) 오정현과 여항현에서 분리신설된 영안현(永安縣)이다. 280년 영강현(永康縣)으로 개명되었다가 281년(서진 무제 태강 2년)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
동천현 | 東遷縣 | 후저우시 난쉰구 동천진(東遷鎭) | 282년(서진 무제 태강 3년) 오정현에서 분리신설되었다. |
어잠현 | 於潛縣 | 항저우시 린안구 어잠진(於潛鎭) | |
고장현 | 故鄣縣 | 후저우시 창싱현 사안진(泗安鎭) 사안저수지 내 | |
안길현 | 安吉縣 | 후저우시 안지현 효풍진(孝豐鎭) | 185년(후한 영제 중평 2년) 고장현에서 분리신설되었다. |
원향현 | 原鄕縣 | 후저우시 창싱현 사안진 | 185년 고장현에서 분리신설되었다. |
장성현 | 長城縣 | 후저우시 창싱현 이가항진(李家港鎭) | 282년 오정현에서 분리신설되었다. 304년 현 북쪽에서 의향현(義鄕縣), 국산현(國山縣), 임진현(臨津縣)의 3개 현이 신설되었다. 장성현은 이렇게 신설된 3개 현, 양선현, 단양군 영세현과 함께 의흥군으로 분리되었다. |
양선현 | 陽羨縣 | 우시시 이싱시 | 304년, 장성현, 장성현에서 신설된 3개현, 단양군 영세현과 함께 의흥군으로 분리되었다. |
266년 (보정 원년), 삼국 시대 오나라에 의해 오군과 단양군을 분할하여 오흥군이 설치되었다. 오흥군은 양선, 영안, 여항, 임수, 고장, 안길, 원향, 어잠, 오정의 9개 현을 관할했다. 치소는 오정현에 두었다.
2. 2. 서진 시대
266년(손호 보정 원년) 산월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고, 명릉(明陵)을 지키며, 대제(大祭)를 받들도록 하기 위해 오군의 오정, 양선, 영안, 여항, 임수 5현, 단양군의 고장, 안길, 원향, 어잠 4현이 오흥군으로 분리되었다. 서진대 오흥군은 10현 24,000호를 거느렸다. 304년(진 혜제 영흥 원년), 오흥군 장성현, 현 북쪽에서 신설된 3개 현과 양선현이 의흥군으로 분리되었다.[7][8][9]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오정현 | 烏程縣 | 후저우시 우싱구 운소촌(雲巢村) | 오흥군이 세워질 무렵 손호가 쓴 조서에 따르면, 오정현을 제외하고 오흥군에 편입된 8개 현이 수로를 통해 본현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본현을 군태수의 치소로 두었다고 한다.[7] 404년(진 안제 의희 원년), 치소가 운소촌에서 지금의 후저우시 시가지로 옮겨졌다. |
임안현 | 臨安縣 | 항저우시 린안구 고홍진(高虹鎭) | 211년(건안 11년) 여항현의 서부지역에서 신설된 임수현(臨水縣)이다. 280년(서진 무제 태강 원년)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
여항현 | 余杭縣 | 항저우시 위항구 여항가도(余杭街道) | |
무강현 | 武康縣 | 후저우시 더칭현 | 194년(후한 헌제 흥평 원년) 오정현과 여항현에서 분리 신설된 영안현(永安縣)이다. 280년 영강현(永康縣)으로 개명되었다가 281년(서진 무제 태강 2년)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
동천현 | 東遷縣 | 후저우시 난쉰구 동천진(東遷鎭) | 282년(서진 무제 태강 3년) 오정현에서 분리 신설되었다. |
어잠현 | 於潛縣 | 항저우시 린안구 어잠진(於潛鎭) | |
고장현 | 故鄣縣 | 후저우시 창싱현 사안진(泗安鎭) 사안저수지 내 | |
안길현 | 安吉縣 | 후저우시 안지현 효풍진(孝豐鎭) | 185년(후한 영제 중평 2년) 고장현에서 분리 신설되었다. |
원향현 | 原鄕縣 | 후저우시 창싱현 사안진 | 185년 고장현에서 분리 신설되었다. |
장성현 | 長城縣 | 후저우시 창싱현 이가항진(李家港鎭) | 282년 오정현에서 분리 신설되었다. 304년 현 북쪽에서 의향현(義鄕縣), 국산현(國山縣), 임진현(臨津縣)의 3개 현이 신설되었다. 장성현은 이렇게 신설된 3개 현, 양선현, 단양군 영세현과 함께 의흥군으로 분리되었다. |
양선현 | 陽羨縣 | 우시시 이싱시 | 304년, 장성현, 장성현에서 신설된 3개 현, 단양군 영세현과 함께 의흥군으로 분리되었다. |
2. 3. 남북조 시대
유송대 오흥군은 10현 49,609호 316,173명을 거느렸다. 오흥군에서 수도인 건강까지 수로로 950리, 육로로 570리 거리였다.[9][10] 수나라가 진나라를 멸망시킨 이후에는 소주(蘇州)에 통폐합되었다.[11]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민정 | 비고 |
---|---|---|---|---|
오정현 | 烏程縣 | 후저우시 | 령(令) | |
동천현 | 東遷縣 | 후저우시 난쉰구 동천진(東遷鎭) | 476년(유송 후폐제 원휘 4년) 동안현(東安縣)으로 개명되었다가 1년 후인 477년(유송 순제 승명 원년) 원래 이름으로 복귀했다. 진나라 멸망 이후 오정현에 통폐합되었다. | |
무강현 | 武康縣 | 후저우시 더칭현 | 진나라 멸망 이후 폐지되었다가 602년(수 문제 인수 2년) 재설치되었다. | |
장성현 | 長城縣 | 후저우시 창싱현 이가항진(李家港鎭) | 진나라 멸망 이후 폐지되었다가 602년 재설치되었다. | |
원향현 | 原鄕縣 | 후저우시 창싱현 사안진 | 진나라 멸망 이후 폐지되었다. | |
고장현 | 故鄣縣 | 후저우시 창싱현 사안진 사안저수지 내 | 진나라 멸망 이후 폐지되었다. | |
안길현 | 安吉縣 | 후저우시 안지현 효풍진(孝豐鎭) | 진나라 멸망 이후 폐지되었다. | |
여항현 | 余杭縣 | 항저우시 위항구 여항가도(余杭街道) | 진나라 멸망 이후 항주로 편입되었다. | |
임안현 | 臨安縣 | 항저우시 린안구 고홍진(高虹鎭) | 진나라 멸망 이후 폐지되었다. | |
어잠현 | 於潛縣 | 항저우시 린안구 어잠진(於潛鎭) | 진나라 멸망 이후 항주로 편입되었다. |
남조 송나라 때 오흥군은 오정, 동천, 무강, 장성, 원향, 고장, 안길, 여항, 임안, 어잠의 10개 현을 관할했다.
남조 제나라 때 오흥군은 오정, 무강, 여항, 동천, 장성, 어잠, 임안, 고장, 안길, 원향의 10개 현을 관할했다.
2. 4. 수나라와 당나라
589년(개황 9년), 수나라가 진나라를 멸망시키자 오흥군은 폐지되어 소주에 편입되었다.[11] 602년(인수 2년), 호주가 설치되었다가 605년(대업 원년) 오주에 통합되었다. 607년(대업 3년)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면서 오주는 오군으로 개칭되었다.621년(무덕 4년), 당나라가 이자동을 평정하고 오정현에 호주를 설치했다. 742년(천보 원년), 호주는 오흥군으로 개칭되었다가 758년(건원 원년) 다시 호주로 바뀌면서 오흥군이라는 명칭은 사라졌다.
3. 행정 구역
266년(손호 보정 원년), 오나라는 산월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고, 명릉(明陵)을 지키며, 대제(大祭)를 받들기 위해 오군과 단양군의 일부 현을 분리하여 오흥군을 설치했다. 오흥군은 오정, 양선, 영안, 여항, 임수, 고장, 안길, 원향, 어잠의 9개 현을 관할했으며, 치소는 오정현에 두었다.[7]
진나라 시대에는 오정, 임안, 여항, 무강, 동천, 어잠, 고장, 안길, 원향, 장성의 10개 현을 관할했다. 304년(진 혜제 영흥 원년)에는 장성현, 양선현 등이 의흥군으로 분리되었다.[8][9]
유송 시대 오흥군은 10현 49,609호 316,173명을 거느렸다. 수도인 건강까지 수로로 950리, 육로로 570리 거리였다.[9][10] 수나라가 진나라를 멸망시킨 이후에는 소주(蘇州)에 통폐합되었다.[11] 이후 당나라 시기까지 여러 차례 행정 구역 변화를 거쳤다.
3. 1. 오흥군의 현 목록 (서진 시대 기준)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오정현 | 烏程縣 | 후저우시 우싱구 운소촌(雲巢村) | 오흥군이 세워질 무렵 손호가 쓴 조서에 따르면, 오정현을 제외하고 오흥군에 편입된 8개 현이 수로를 통해 본현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본현을 군태수의 치소로 두었다고 한다.[7] 404년 (진 안제 의희 원년), 치소가 운소촌에서 지금의 후저우시 시가지로 옮겨졌다. |
임안현 | 臨安縣 | 항저우시 린안구 고홍진(高虹鎭) | 211년 (건안 11년) 여항현의 서부 지역에서 신설된 임수현(臨水縣)이다. 280년 (서진 무제 태강 원년)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
여항현 | 余杭縣 | 항저우시 위항구 여항가도(余杭街道) | |
무강현 | 武康縣 | 후저우시 더칭현 | 194년 (후한 헌제 흥평 원년) 오정현과 여항현에서 분리 신설된 영안현(永安縣)이다. 280년 영강현(永康縣)으로 개명되었다가 281년 (서진 무제 태강 2년)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
동천현 | 東遷縣 | 후저우시 난쉰구 동천진(東遷鎭) | 282년 (서진 무제 태강 3년) 오정현에서 분리 신설되었다. |
어잠현 | 於潛縣 | 항저우시 린안구 어잠진(於潛鎭) | |
고장현 | 故鄣縣 | 후저우시 창싱현 사안진(泗安鎭) 사안저수지 내 | |
안길현 | 安吉縣 | 후저우시 안지현 효풍진(孝豐鎭) | 185년 (후한 영제 중평 2년) 고장현에서 분리 신설되었다. |
원향현 | 原鄕縣 | 후저우시 창싱현 사안진(泗安鎭) | 185년 고장현에서 분리 신설되었다. |
장성현 | 長城縣 | 후저우시 창싱현 이가항진(李家港鎭) | 282년 오정현에서 분리 신설되었다. 304년 현 북쪽에서 의향현(義鄕縣), 국산현(國山縣), 임진현(臨津縣)의 3개 현이 신설되었다. 장성현은 이렇게 신설된 3개 현, 양선현, 단양군 영세현과 함께 의흥군으로 분리되었다. |
양선현 | 陽羨縣 | 우시시 이싱시 | 304년, 장성현, 장성현에서 신설된 3개 현, 단양군 영세현과 함께 의흥군으로 분리되었다. |
3. 2. 시대별 변화
266년(손호 보정 원년), 산월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고, 명릉(明陵)을 지키며, 대제(大祭)를 받들도록 하기 위해 오군의 오정, 양선, 영안, 여항, 임수 5현과 단양군의 고장, 안길, 원향, 어잠 4현을 합쳐 오흥군을 신설했다. 서진 시대 오흥군은 10현 24,000호를 거느렸다. 304년(진 혜제 영흥 원년), 오흥군 장성현과 현 북쪽에서 신설된 3개 현, 그리고 양선현이 의흥군으로 분리되었다.[7][8][9]유송 시대 오흥군은 10현 49,609호 316,173명을 거느렸다. 오흥군에서 수도인 건강까지 수로로 950리, 육로로 570리 거리였다.[9][10] 수나라가 진나라를 멸망시킨 이후에는 소주(蘇州)에 통폐합되었다.[11]
266년 (보정 원년), 삼국 시대 오나라가 오군과 단양군을 분할하여 오흥군을 설치했다. 오흥군은 양선, 영안, 여항, 임수, 고장, 안길, 원향, 어잠, 오정의 9개 현을 관할했다. 치소는 오정현에 두었다.
진나라 때 오흥군은 오정, 임안, 여항, 무강, 동천, 어잠, 고장, 안길, 원향, 장성의 10개 현을 관할했다.
남조 송나라 때 오흥군은 오정, 동천, 무강, 장성, 원향, 고장, 안길, 여항, 임안, 어잠의 10개 현을 관할했다.
남조 제나라 때 오흥군은 오정, 무강, 여항, 동천, 장성, 어잠, 임안, 고장, 안길, 원향의 10개 현을 관할했다.
589년 (개황 9년), 수나라가 남조 진나라를 멸망시키자 오흥군은 폐지되어 소주에 편입되었다. 602년 (인수 2년), 호주가 설치되었다. 605년 (대업 원년), 오주에 통합되었다. 607년 (대업 3년)에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자 오주는 오군으로 개칭되었다.
621년 (무덕 4년), 당나라가 이자동을 평정하자 오정현에 호주가 설치되었다. 742년 (천보 원년), 호주는 오흥군으로 개칭되었다. 758년 (건원 원년), 오흥군은 호주로 개칭되어 오흥군이라는 명칭은 사라졌다.
참조
[1]
서적
三国志
[2]
서적
晋書
[3]
서적
宋書
[4]
서적
南斉書
[5]
서적
隋書
[6]
서적
旧唐書
[7]
서적
삼국지 48권 오서 제3 삼폐주전 손호
https://zh.wikisourc[...]
[8]
서적
진서 15권 지 제5 지리지 下 양주 오흥군
https://zh.wikisourc[...]
[9]
서적
송서 35권 지 제25 주군지 1 양주 오흥군
https://zh.wikisourc[...]
[10]
서적
남제서 14권 지 제6 주군지 上 양주 오흥군
https://zh.wikisourc[...]
[11]
서적
수서 31권 지 제26 지리지 下 양주 오군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