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올란드 제도의 국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란드 제도의 국가는 올란드 제도의 공식 국가이다. 스웨덴어로 된 이 노래는 수천 개의 섬과 바위섬으로 이루어진 올란드의 자연, 역사, 문화를 묘사하며, 올란드인의 정체성과 자유를 강조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올란드 제도의 문화 - 올란드 제도의 기
    올란드 제도의 기는 스웨덴 국기 디자인에 핀란드 국장의 색을 혼합하여 스웨덴과 핀란드와의 역사적 관계를 나타내며, 자치권 획득 후 1954년에 공식화되었다.
  • 올란드 제도의 문화 - 올란드 제도의 문장
    올란드 제도의 문장은 1560년 외일란드에 하사된 문장에서 비롯되었으나, 혼동을 겪어 올란드 제도만의 고유한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1944년 붉은 목걸이와 뿔을 추가하여 확정되었다.
  • 핀란드의 노래 - 핀란드의 국가
    핀란드의 사실상 국가인 "마암메"는 요한 루드비그 루네베리가 스웨덴어로 작사하고 프레드리크 파시우스가 곡을 붙인 낭만주의 민족주의 영향을 받은 작품으로, 관례에 따라 국가의 지위를 확립해왔다.
  • 핀란드의 노래 - Yhden enkelin unelma
    Yhden enkelin unelma는 다양한 에디션과 편곡으로 발매된 핀란드어 캐롤 팝 버전 앨범으로, 핀란드 음악가들이 참여하여 Tarja Turunen, Heikki Pohto 등이 제작에 참여했다.
  • 지역성 노래 - 바이에른 찬가
    바이에른 찬가는 막스 쿤츠가 작곡하고 미하엘 옥스너가 가사를 붙여 바이에른의 국가로 여겨지는 곡으로, 바이에른의 땅과 국민에 대한 신의 축복 기원, 역사와 문화 반영, 그리고 바이에른 사람들의 정체성과 자긍심 고취를 내용으로 담고 있다.
  • 지역성 노래 - 알타이 공화국의 국가
    알타이 공화국의 국가는 알타이어와 러시아어로 된 가사로 구성된 알타이 공화국의 공식 국가이다.
올란드 제도의 국가
기본 정보
올란드 제도 깃발
올란드 제도 깃발
명칭Ålänningens sång (올란드인의 노래)
핀란드어 명칭Ahvenanmaalaisten laulu (올란드인의 노래)
구분지역 찬가
국가올란드 제도
작곡가요한 프리돌프 하그포르스
작사가존 그란델
채택1922년

2. 가사

Ålänningens sång|올란드인의 노래sv올란드 제도의 국가이다. 원곡은 스웨덴어로 작성되었으며, 한국어 번역 가사는 다음과 같다.

원곡 (스웨덴어)한국어 번역


2. 1. 1절

Landet med tusende öar och skär|수천 섬과 바위섬 모인 이 땅sv[1][2][3]

danat ur havsvågors sköte|저 깊은 파도 속에서 태어난sv[1][2][3]

Åland, vårt Åland, vår hembygd det är|올란드, 우리 올란드, 우리 고장sv[1][2][3]

Dig går vår längtan till möte|그대 오래토록 만나리sv[1][2][3]

Forngravars kummel i hängbjörkars skygd|자작숲 아래 오랜 무덤들sv[1][2][3]

tälja din tusenårs saga|수천 년의 우리 역사 전해 준다sv[1][2][3]

Aldrig förgäta vi fädernas bygd|조상의 땅 결코 잊지 않으리sv[1][2][3]

vart vi i fjärrled än draga|우리가 어딜 가든지sv[1][2][3]

2. 2. 2절

우리 올란드는 바닷만과 해협들이 환한 봄날 푸르를 때 어여쁘다. 우리 해안 꽃 들판에서 숲과 수풀을 거니는 것은 즐거운 일이다. 저녁 붉은 하늘로 솟은 하지 기둥은 결의에 찬 손들이 모여 세운다. 제일 외딴 바위섬 어부촌에서 젊은이들은 횃대에 불을 밝힌다.[1][2]

2. 3. 3절

우리 올란드는 장대한 벼랑 앞에 파도 거품 휘몰아칠 때 어여쁘다. 교회의 노랫소리 저 별들 아래로 차갑고 깊은 바닷속 저 너머로 나아가면, 폭풍이 몰아쳐도 평온한 오두막집 안에서 물레 돌리는 노래를 부른다. 다정한 어린 시절 추억은 자손들이 기쁘게 찬미한다.[1][2]

2. 4. 4절

올란드 여자와 남자는 결코 그들의 종족과 명예를 저버리지 않았으며, 불행이 위협했지만 승리적으로 자유의 유산을 짊어졌다고 노래한다.[1][2] 이는 올란드 주민들의 강인함, 자유에 대한 열망, 그리고 스웨덴어와 문화유산을 지키려는 의지를 강조한다. 노래는 스웨덴어를 소리 높여 말하고, 불길 속 바닷표지처럼 길을 비추며, 올란드가 어디에 속해 있는지 보여주라고 노래한다.

원문한국어 번역


3. 역사

1917년 핀란드가 독립한 후, 올란드 제도 주민들은 스웨덴으로의 귀속을 원했다. 이러한 주민들의 염원은 1920년 얀 알란 칼손(Jan Allan Carlsson)이 작사하고 욘 륀드베리(John Lönnberg)가 작곡한 '올란드의 노래(Ålänningens sång)'에 잘 나타나 있다.[1]

핀란드는 올란드의 스웨덴 귀속 요구를 거부했고, 이 문제는 국제연맹에 회부되었다. 국제연맹은 1921년에 올란드를 핀란드령 자치 지역으로 결정했다. 이 결정으로 올란드는 자치권을 얻었지만, 주민들은 스웨덴과의 유대감을 강하게 느꼈고, '올란드의 노래'는 이러한 정체성과 자긍심을 고취하는 역할을 했다.[1]

'올란드의 노래'는 1922년 올란드 노래 축제에서 처음 불린 이후 올란드 제도의 역사와 주민들의 정서를 담아낸 노래로 널리 불리고 있다.[1]

4. 문화적 의의

올란드의 노래는 올란드 제도에서 중요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공식 행사나 지역 축제에서 이 노래가 불리는 관습이 있다.[1] 노래는 올란드 주민들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1]

원곡한국어 번역

[1]

참조

[1] 웹사이트 Ålänningens sång http://www.mhbibl.al[...] 2006-04-15
[2] 웹사이트 Aland Islands http://www.nationala[...] 2006-04-15
[3] 웹사이트 Mariehamns stadsbibliotek http://www.mhbibl.al[...] 2024-02-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