옴파로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옴팔로스는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 세상의 중심을 상징하는 돌을 의미하며, 델포이 신전에 위치해 있었다고 여겨진다. 레아가 크로노스를 속이기 위해 제우스 대신 감쌌던 돌을 나타내며, 신들과의 소통 매개체로 여겨지기도 했다. 예루살렘의 성전 산에 있는 기초석과 성묘 교회의 옴팔로스도 세상의 중심을 상징한다. 또한, 예술 작품, 문학 작품에서도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며, 지정학적 권력의 중심지라는 믿음을 비판적으로 지칭하는 '옴팔로스 증후군'이라는 용어로도 사용된다.
2. 델포이의 옴팔로스
고대 그리스의 델포이는 옴팔로스가 위치한 대표적인 장소로, 세계의 중심으로 여겨졌다. 대부분의 기록은 델포이의 옴팔로스가 아디톤(신전의 성스러운 부분), 즉 퓌티아(신탁) 근처에 위치해 있다고 본다. 옴팔로스는 레아가 크로노스를 속이기 위해 제우스인 척 포대기에 감쌌던 돌을 나타낸다. 크로노스는 자신의 아버지 우라노스를 몰아냈듯이, 자신을 찬탈할 것을 막기 위해 자식들을 삼켰다.
옴팔로스 돌은 신들과 직접 소통할 수 있게 해주는 것으로 여겨졌다. 홀랜드(1933)는 이 돌이 속이 빈 것은 신탁을 받는 자가 들이마신 취기 어린 증기가 통과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에르빈 로데는 델포이의 퓌톤은 대지의 정령이었으며, 아폴론에게 정복당하여 옴팔로스 아래에 묻혔다고 썼다. 그러나 옴팔로스의 사용에 대한 이해는 4세기 CE에 테오도시우스 1세와 아르카디우스에 의해 유적이 파괴되어 불확실하다.
2. 1. 델포이 신전과 옴팔로스
델포이의 옴팔로스
대부분의 기록에 따르면 델포이의 옴팔로스는 아디톤(신전의 성스러운 부분), 즉 퓌티아(신탁을 받는 여사제) 근처에 있었다. 이 조각상은 표면에 매듭진 그물이 새겨져 있고, 밑면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속이 빈 중심부를 가지고 있어 복제품일 가능성이 있다. 옴팔로스는 레아가 크로노스를 속이기 위해 제우스인 척 포대기에 감쌌던 돌을 나타낸다.[1] 크로노스는 자신의 아버지 우라노스를 몰아냈듯이, 자신을 찬탈할 것을 막기 위해 자식들을 삼켰다.
옴팔로스 돌은 신들과 직접 소통할 수 있게 해주는 것으로 여겨졌다. 홀랜드(1933)는 이 돌이 속이 빈 것은 신탁을 받는 자가 들이마신 취기 어린 증기가 통과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에르빈 로데는 델포이의 퓌톤은 대지의 정령이었으며, 아폴론에게 정복당하여 옴팔로스 아래에 묻혔다고 썼다. 그러나 옴팔로스의 사용에 대한 이해는 4세기 CE에 테오도시우스 1세와 아르카디우스에 의해 유적이 파괴되어 불확실하다.[1]
2. 2. 퓌톤 신화와 옴팔로스
에르빈 로데는 델포이의 퓌톤은 대지의 정령이었으며, 아폴론에게 정복당하여 옴팔로스 아래에 묻혔다고 썼다.[1] 그러나 옴팔로스의 사용에 대한 이해는 4세기 CE에 테오도시우스 1세와 아르카디우스에 의해 유적이 파괴되어 불확실하다.[1]
대부분의 기록은 델포이의 옴팔로스가 아디톤(신전의 성스러운 부분), 즉 퓌티아(신탁) 근처에 위치해 있다고 본다.[1] 조각상 자체는 복제품일 수 있는데, 표면에 매듭진 그물이 새겨져 있고, 밑면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속이 빈 중심부를 가지고 있다.[1] 옴팔로스는 레아가 크로노스를 속이기 위해 제우스인 척 포대기에 감쌌던 돌을 나타낸다.[1] (크로노스는 자신의 아버지 우라노스를 몰아냈듯이, 자신을 찬탈할 것을 막기 위해 자식들을 삼킨 아버지였다.)[1]
옴팔로스 돌은 신들과 직접 소통할 수 있게 해주는 것으로 여겨졌다.[1] 홀랜드(1933)는 이 돌이 속이 빈 것은 신탁을 받는 자가 들이마신 취기 어린 증기가 통과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1]
3. 예루살렘의 옴팔로스
옴팔로스는 고대 시대에 중요한 종교적 상징으로, 기독교의 십자가와 비슷한 수준의 중요성을 지녔으나, 십자가가 결국 더 큰 중요성을 얻게 되었다.[3] 중세 기독교 전통에서 예루살렘 성묘 교회의 옴팔로스는 세계의 배꼽(세계의 영적, 우주론적 중심)을 나타낸다.[4]
3. 1. 유대교
성전 산 정상에 있는 기초석은 유대교 전통에서 세상 창조가 시작된 장소로 여겨지며, 여러 주요 성경 사건과도 연결되어 있다. 유대교 전통에 따르면, 하느님은 세상의 중심을 표시하는 기초석 위에 놓인 언약궤를 통해 자신의 백성에게 자신을 드러냈다고 한다.[2]
3. 2. 기독교
옴팔로스는 고대 고전 시대에 중요한 종교적 상징이었으며, 기독교의 십자가와 비슷한 수준의 중요성을 지녔다. 십자가는 결국 더 큰 중요성을 얻게 되었다.[3]
중세 기독교 전통에서 예루살렘 성묘 교회의 옴팔로스는 세계의 배꼽(세계의 영적, 우주론적 중심)을 나타낸다.[4]
4. 예술에서의 옴팔로스
옴팔로스는 여러 예술 작품에서 소재로 사용되었다. 디미트리 하드지와 라르스 빌크스는 옴팔로스를 주제로 한 조형물을 제작했다. 호메로스,[9][10] 파우사니아스, D.H. 로렌스, 제임스 조이스, 필립 K. 딕,[11] 자크 데리다, 테드 창, 샌디 힝스턴, 셰이머스 히니 등 많은 작가들이 작품에서 옴팔로스를 언급하거나 소재로 활용했다.
4. 1. 조형물
디미트리 하드지가 제작한 공공 조형물 ''옴팔로스''는 예술과 노선 프로그램에 따라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 하버드 광장에 설치되어 있었다.[5] 2014년 기준으로 철거되었으며, 매사추세츠주 록포트로 이전될 예정이다.[6]라르스 빌크스가 제작한 콘크리트와 돌 조각 작품 ''옴팔로스''는 스웨덴 스쿠네 주 쿨라베르그 자연 보호 구역에 있었다.[7] 2001년 현재 스웨덴 스톡홀름 현대 미술관 소장품이다.[8]
4. 2. 문학
호메로스[9][10], 파우사니아스, D.H. 로렌스, 제임스 조이스, 필립 K. 딕[11], 자크 데리다, 테드 창, 샌디 힝스턴, 셰이머스 히니 등 많은 작가들이 작품에서 옴팔로스를 언급하거나 소재로 활용했다.제임스 조이스의 소설 ''율리시스''에서 옴팔로스는 등장인물들의 대화와 사유 속에서 중요한 상징으로 등장한다. 예를 들어 1장에서 벅 멀리건은 "빌리 피트가 그들을 지었는데, 프랑스인들이 바다에 있었을 때였지만, 우리의 것은 옴팔로스다."라고 말한다. 3장에서 등장인물은 "무에서 창조. 그녀가 가방에 무엇을 가지고 있나? 붉은 양모에 싸여 꼬리 배꼽줄이 달린 유산. 모든 끈은 뒤로 연결되어, 모든 살의 가닥이 꼬여 있다. 그것이 바로 신비주의 수도승들의 이유다. 너희가 신과 같아지겠느냐? 너의 옴팔로스를 응시하라."와 같이 옴팔로스를 언급한다. 14장에서는 "이집트의 방식대로 조각되고 세워진 오벨리스크가 있는 옴팔로스라는 이름의 국가 비료 농장"이 언급된다.
테드 창의 단편 소설 "옴팔로스"(2019)에서 주인공은 세상의 중심이 어디에 있는지에 대한 자신의 믿음에 의문을 제기하게 된다.
셰이머스 히니의 시 "투미 로드" (필드 워크에 수록)에서 히니는 북아일랜드에서 장갑차 호송대와의 만남에 대해 이야기하며 옴팔로스를 언급한다. 시에서 옴팔로스는 "보이지 않는, 극복할 수 없는 옴팔로스"로 묘사되며, 이는 극복할 수 없는 중심을 상징한다.
5. 옴팔로스 증후군
'''옴팔로스 증후군'''은 지정학적 권력과 통화의 중심지가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장소라는 믿음을 가리킨다.[12][13]
6. 한국 문화와 옴팔로스
한국에서는 고대부터 '천하의 중심'이라는 관념이 존재했으며, 도읍지나 왕궁의 위치 선정, 그리고 통치 이념에 큰 영향을 미쳤다.
참조
[1]
서적
Order and History, Volume 2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ssouri Press
2000
[2]
문서
Tanhuma Buber, Kedoshim paragraph 10.
[3]
서적
The omphalos and the cross
https://books.google[...]
Mercer University Press
2003
[4]
문서
Ezekial 38,12, a homily on the phrase, ''the nations...that dwell in the middle of the earth''.
[5]
웹사이트
Public art
http://www2.cambridg[...]
2012-07-15
[6]
뉴스
Hadzi sculpture in Harvard Square to get fixed, then moved
https://www.bostongl[...]
2013-11-11
[7]
뉴스
"#AdventCalendar: The micronation in a southern Swedish national park"
https://www.thelocal[...]
2019-12-02
[8]
웹사이트
Den 1:a på Moderna: Lars Vilks
https://www.modernam[...]
2020-09-16
[9]
웹사이트
Homer, Odyssey, Book 1, line 50
https://www.perseus.[...]
2017-03-04
[10]
웹사이트
Homer, Odyssey, Book 1, line 50 ("navel")
https://www.perseus.[...]
2017-03-04
[11]
서적
A Life of Philip K. Dick The Man Who Remembered the Future
Arcturus Publishing
2013
[12]
서적
Are We Rome?: The Fall of an Empire and the Fate of America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Harcourt
2007
[13]
웹사이트
Cartouche of the Canadian Cartographic Association 89:15-21 (2014)
https://philpapers.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