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와다 유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와다 유지는 일본의 과학자로, 한국과 일본의 과학 연구에 기여했다. 그는 1908년 대한제국 관측소 기사로 임명되어 측우기를 세계 최초의 우량계로 소개하고, 첨성대를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천문대로 소개하는 등 한국의 과학 기구를 연구했다. 한일강제합병 후에는 조선총독부 관측소 기사로 활동하며 조선의 과학 관련 연구를 수행했다. 또한, 일본 근해의 해류를 과학적으로 조사하여 오야시오 해류와 쿠로시오 해류의 상태를 밝히고, 마이니치 신문의 후원을 받아 해양 조사를 실시했다. 1910년에는 대한제국 순종으로부터 과학적 업적을 인정받아 팔괘장을 수여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기상학자 - 마나베 슈쿠로
    일본 태생 미국 기후학자 마나베 슈쿠로는 컴퓨터 기반 기후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연구로 지구온난화 예측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21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일본의 기상학자 - 후지와라 사쿠헤이
    후지와라 사쿠헤이는 일본의 기상학자이자 글라이더 연구가로서, 소용돌이, 구름, 기상 광학 등 다양한 기상 현상 연구와 기상 용어 기초를 다지는 데 기여했으며, 일본 활공기 연구의 선구자이자 기상학 대중화에 힘쓴 인물이다.
  • 도쿄 이과대학 교수 - 후지스에 켄조
    후지스에 겐조는 일본의 정치인, 학자, 기업인으로, 통상산업성 관료, MIT 경영학 석사, 하버드 케네디 스쿨 공공 경영 석사를 취득하고 도쿄대 조교수를 거쳐 참의원 의원을 역임했으며, 콘텐츠 산업 옹호, 이공계 중시, 선택적 부부별성 제도 찬성 등의 정책을 펼쳤다.
  • 도쿄 이과대학 교수 - 후지시마 아키라
    후지시마 아키라는 '혼다-후지시마 효과'를 발견하여 일본 국제상을 수상하고 도쿄 이과대학 학장과 광촉매 국제 연구 센터 센터장을 역임한 일본의 화학자이자 교육자이다.
와다 유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와다 유지
출생일1859년 9월 29일 (안세이 6년 9월 4일)
출생지무쓰국 니혼마쓰 (현재 후쿠시마현 니혼마쓰시)
학력 및 경력
분야해양학, 기상학
출신 학교도쿄 제국대학
알려진 업적일본의 날씨 예보 창시, 해류 조사
참고 문헌
전국 서지 번호20522067
추가 정보

2. 한국 과학사 연구

와다 유지는 대한제국조선총독부에서 관측 기사로 일하면서 한국의 전통 과학 기술을 연구했다. 측우기를 세계 최초의 우량계로 소개하고, 첨성대를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천문대로 소개하는 연구를 남겼다.[6][7]

2. 1. 측우기 연구

1908년 4월 대한제국의 관측소기사(觀測所技師)로 임명되었다. 와다 유지는 한국의 관측 기구를 연구하여 측우기를 세계 최초의 우량계로 소개하는 논문을 발표하였고,[6] 학술보고서를 통하여 첨성대를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천문대로 소개하였다.[7]

2. 2. 첨성대 연구

1908년 와다 유지는 학술 보고서를 통해 첨성대를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천문대로 소개하였다.[7]

2. 3. 조선총독부 시절의 연구

1908년 4월 대한제국의 관측소기사(觀測所技師)로 임명되었다. 한국의 관측 기구를 연구하여 측우기를 세계 최초의 우량계로 소개하는 논문을 발표하였고,[6] 학술보고서를 통하여 첨성대를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천문대로 소개하였다.[7] 한일강제합병 후에는 조선총독부 관측소 기사로 활동하였고, 이 시기에 조선의 옛 관측기록들을 찾아내어 정리하는 등, 조선의 과학에 대한 연구를 남겼다.

3. 해류 연구

와다 유지는 일본 근해의 해류를 과학적으로 조사하여 해양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북서태평양 월별 평균수원분포도'도 발표했다.[1]

3. 1. 초기 해류 조사 (1893-1895)

1893년 일본 농상무성(農商務省) 수산조사소의 수산조사위원회 회원으로서 해류병을 이용하여 일본 근해의 해류를 조사할 것을 제안하였다. 1893년부터 1895년까지 해류병을 놓아 오야시오 해류쿠로시오 해류의 상태를 조사하였는데, 이것이 일본 최초의 과학적인 해류 조사였다.

3. 2. 마이니치 신문 후원 해양 조사 (1913-1917)

1913년부터 오사카에서 마이니치 신문의 후원을 받아 대규모 해류병을 이용한 해양 조사를 실시하였고, 1917년까지 13,357개의 병을 투입하여 그 중 2,990개가 회수되었다.[1] 이 조사를 통해 일본 근해 해류의 대체적인 형세가 명확해졌다.[1] 조사 보고는 와다가 작성하였으나, 생전에는 출판되지 않고 1922년 '일본환해 해류조사업적(日本環海海流調査業績)'으로 출판되었다.[1]

3. 3. 조사 보고서 출판 (1922)

1893년부터 1895년까지 해류병을 이용하여 오야시오 해류쿠로시오 해류의 상태를 조사한 와다 유지의 보고서는 1922년에 '일본환해 해류조사업적(日本環海海流調査業績)'으로 출판되었다.[1]

4. 수상 경력

1910년 대한제국 순종에게서 팔괘장을 받았다.[1]

4. 1. 대한제국 팔괘장 수상 (1910)

1910년 1월, 대한제국 순종으로부터 팔괘장을 수여받았다.[1]

참조

[1] 서적 環境史年表 明治・大正編(1868-1926) 河出書房新社 2003-11-30
[2] 서적 千島アイヌ
[3] 간행물 朝鮮科学史の隆盛 測雨器と気象学 2009-12
[4] 간행물 朝鮮に於ける科學的斷片
[5] 문서 日本気象学史
[6] 뉴스 측우기를 중국에서 발명? 터무니없는 역사 왜곡 http://weekly.donga.[...] 동아닷컴 2004-12
[7] 웹인용 서울교대 이용복 교수, “첨성대, 천문대일 가능성 높아” http://www.chosun.co[...] 2009-09-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