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왓 라이즈 비니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왓 라이즈 비니스는 2000년에 개봉한 미국의 초자연 심리 스릴러 영화이다. 버몬트의 호숫가 집에서 남편과 사는 클레어는 이웃집 여성의 실종과 집에서 일어나는 초자연적인 현상들을 겪으며 남편의 숨겨진 과거와 불륜, 살인을 의심하게 된다. 영화는 흥행에 성공했지만, 평론가들로부터는 엇갈린 평가를 받았으며, 앨런 실베스트리가 ASCAP 어워드에서 최고 흥행 영화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버몬트주에서 촬영한 영화 - 울프 (영화)
    1994년 개봉한 영화 《울프》는 마이크 니콜스 감독 연출, 잭 니컬슨 주연으로 뉴욕 출판사 편집장이 늑대인간으로 변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공포 영화로, 인간의 욕망과 사회적 메시지를 담고 있다.
  • 버몬트주에서 촬영한 영화 - 해리의 소동
    《해리의 소동》은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이 1955년에 발표한 코미디 영화로, 버몬트주의 작은 마을에서 해리 워프의 시체를 두고 벌어지는 소동을 그리고 있으며, 히치콕 특유의 연출과 블랙 유머, 버나드 허먼의 사운드트랙이 돋보인다는 평가를 받는다.
  • 로버트 저메키스 감독 영화 - 백 투 더 퓨처 2
    《백 투 더 퓨처 2》는 1985년 영화의 속편으로, 마티 맥플라이와 닥 브라운 박사가 2015년 미래에서 벌어지는 위기를 막기 위해 시간 여행을 하지만, 시간 여행의 부작용으로 닥 브라운 박사가 1885년으로 사라지는 이야기를 다룬다.
  • 로버트 저메키스 감독 영화 - 마녀를 잡아라 (영화)
    마녀를 잡아라는 2020년 로버트 저메키스 감독의 판타지 코미디 영화로, 마녀들의 음모를 알게 된 소년이 쥐로 변한 친구들과 함께 마녀의 계획을 막기 위해 노력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버몬트주를 배경으로 한 영화 - 죽은 시인의 사회
    1959년의 보수적인 남학교 웰튼 아카데미를 배경으로, 존 키팅이라는 국어 교사가 학생들에게 '카르페 디엠' 정신을 일깨우는 이야기를 그린 1989년 미국 드라마 영화인 죽은 시인의 사회는 평론가들의 호평과 흥행 성공을 거두며 아카데미 각본상을 수상하고 교육계와 문화계에 큰 영향을 주었다.
  • 버몬트주를 배경으로 한 영화 - 써커 펀치
    1950년대 정신병원에 갇힌 베이비돌이 뇌엽 절제술을 받기 전, 동료들과 탈출을 시도하며 억압적인 현실에서 벗어나 상상 속 세계로 도피하는 이야기를 그린 잭 스나이더 감독의 액션 판타지 영화 《써커 펀치》는 여성 묘사에 대한 논란과 비판적인 평가를 받았다.
왓 라이즈 비니스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영화
극장 개봉 포스터
영화 정보
제목왓 라이즈 비니스
원제What Lies Beneath
감독로버트 저메키스
제작스티브 스타키
로버트 저메키스
잭 럽키
각본클라크 그레그
원안사라 케노컨
클라크 그레그
출연해리슨 포드
미셸 파이퍼
다이애나 스카위드
조 모턴
제임스 레마
미란다 오토
음악앨런 실베스트리
촬영돈 버제스
편집아서 슈미트
제작사드림웍스 픽처스
20세기 폭스
이미지무버스
배급사드림웍스 픽처스 (북미)
20세기 폭스 (해외)
개봉일2000년 7월 21일
상영 시간130분
제작 국가미국
언어영어
제작비1억 달러
흥행 수입2억 9140만 달러

2. 줄거리

유능한 과학자이자 대학교수인 노먼 스펜서와 그의 아내 클레어는 딸 케이틀린이 대학에 진학하자 노먼의 아버지가 소유했던 버몬트의 호숫가 집으로 이사한다. 딸이 떠난 후 부부 관계는 다소 소원해진 상태다. 클레어는 새로 이사 온 이웃 메리와 워렌 퓨어 부부의 불안정한 관계를 목격하고, 며칠간 메리가 보이지 않자 워렌이 그녀를 살해했을지도 모른다고 의심한다.

동시에 클레어는 집 안에서 기묘한 현상들을 겪기 시작한다. 호수에서 여성의 시체를 본 듯한 환영을 경험하고, 집 안에서 설명할 수 없는 존재감을 느낀다. 노먼에 관한 기사가 담긴 액자가 저절로 떨어져 깨지면서 이상한 열쇠를 발견하고, 욕조가 저절로 물로 채워지거나 물속에 다른 여성의 모습이 비치는 등 기이한 일들이 이어진다. 클레어는 이러한 현상에 점차 흥미를 느끼며 촬영, 녹음 등을 통해 비밀을 파헤치려 하지만, 노먼은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클레어는 친구 조디와 함께 강령회를 열기도 한다. 이후에도 이상 현상은 계속되어, 욕조가 다시 채워지고 흐릿해진 욕실 거울에는 "너는 알고 있다"는 메시지가 나타나며, 컴퓨터가 저절로 "MEF"라는 이니셜을 입력하기도 한다. 메리의 유령이 자신을 괴롭힌다고 확신한 클레어는 워렌과 공개적으로 대립하지만, 바로 옆에 멀쩡히 살아있는 메리가 나타난다. 메리는 부부 싸움 후 잠시 친정에 가 있었던 것으로 밝혀진다. 한편, 클레어는 노먼의 오래된 신문 기사 뒷면에서 '매디슨 엘리자베스 프랭크(Madison Elizabeth Frank)'라는 실종 여성에 대한 기사를 발견한다. 그녀는 매디슨의 어머니를 찾아가 몰래 머리카락 한 움큼을 얻고, 매디슨이 특이한 목걸이를 착용한 사진을 보게 된다.

클레어는 책에서 본 의식을 따라 매디슨의 영혼을 소환하려 한다. 그러자 매디슨의 영혼에 사로잡힌 듯, 클레어는 평소와 달리 공격적으로 노먼을 유혹하고 매디슨처럼 말하며 행동한다. 노먼은 충격에 빠지고, 클레어가 매디슨의 머리카락을 떨어뜨리자 빙의 상태에서 벗어난다. 이 사건을 계기로 클레어는 1년 전, 결혼 생활이 힘들었던 시기에 노먼이 매디슨이라는 학생과 불륜을 저질렀다는 억눌렸던 기억을 떠올린다. 동시에 1년 전 자신이 겪었던 사고(혹은 자살 시도)에 대한 기억도 되살아나면서, 자신의 기억의 모호함과 남편의 미심쩍은 행동에 대한 의구심이 깊어진다.

클레어는 조디에게 가 하룻밤을 보내려 하고, 조디는 1년 전 노먼이 근처 마을 애덤안트의 한 카페에서 어떤 여자와 다투는 것을 봤다고 털어놓는다. 집으로 돌아온 클레어는 노먼이 욕조에서 헤어드라이어와 함께 의식을 잃고 쓰러져 있는 것을 발견한다. 노먼은 사고였다고 주장하며, 과거 매디슨이 관계를 끝내려 하자 불안정한 상태로 집에 찾아와 자신을 협박했지만, 자신은 그녀를 죽이지 않았다고 부인한다. 클레어는 호숫가 부두에서 매디슨의 머리카락을 들고 있다가 보이지 않는 힘에 이끌려 물에 빠진다. 물속에서 그녀는 매디슨의 사진 속 목걸이와 같은 모양의 보석 상자를 발견한다. 노먼이 클레어를 구해주고, 두 사람은 매디슨의 머리카락을 태워버린다.

하지만 클레어의 의심은 노먼이 애덤안트의 카페를 모른다고 거짓말했을 때 다시 커진다. 클레어는 애덤안트로 가 문제의 카페를 확인하고, 근처 상점에서 매디슨의 것과 똑같은 목걸이와 보석 상자를 발견한다. 호수에서 건져 올린 보석 상자를 노먼의 사무실에서 가져온 열쇠로 열자, 그 안에는 매디슨의 목걸이가 들어 있었다. 클레어가 노먼을 추궁하자, 그는 매디슨이 자살한 것을 발견하고 당황하여 시신과 함께 그녀의 차를 호수에 밀어 넣었다고 자백한다. 노먼은 경찰에 전화하겠다고 하지만, 이는 클레어의 주의를 돌리기 위한 속임수였고, 그는 클레어를 할로테인으로 마비시킨다.

노먼은 매디슨이 불륜 사실을 학장에게 폭로하겠다고 협박하자 자신이 그녀를 살해했다고 실토한다. 그는 클레어를 욕조에 넣고 물을 채워 자살로 위장하려 한다. 클레어의 목에서 매디슨의 목걸이를 빼내려는 순간, 클레어의 얼굴이 매디슨의 시체처럼 변하는 환영을 본 노먼은 놀라서 뒤로 넘어지며 싱크대에 머리를 부딪혀 정신을 잃는다. 약효가 사라지기 시작한 클레어는 가까스로 욕조에서 빠져나와 노먼의 트럭을 타고 도망치지만, 깨어난 노먼이 트럭에 뛰어올라 그녀를 공격한다. 격투 끝에 트럭은 호수로 추락하고, 가라앉은 매디슨의 차에서 그녀의 시신이 떠오른다. 노먼이 클레어를 익사시키려 할 때, 매디슨의 유령이 나타나 노먼을 붙잡는다. 클레어는 탈출하고 노먼은 물에 빠져 죽으며, 매디슨의 유령은 사라진다. 그해 겨울, 클레어는 매디슨의 무덤을 찾아가 장미꽃 한 송이를 놓는다.

3. 등장인물

'''한국어 더빙 성우진'''

배역원 배우한국어 성우
노먼 스펜서해리슨 포드양지운
클레어 스펜서미셸 파이퍼윤소라
조디다이아나 스카위드손정아
드레이턴 박사조 모턴최병학
워렌 퓨어제임스 레마송두석
메리 퓨어미란다 오토임은정
스탠 파웰 박사레이 베이커이종혁
프랭크 부인미콜 머큐리오문옥현
기타-김혜경, 김영훈, 김정주



'''일본어 더빙 성우진'''

배역원 배우일본어 성우
노먼 스펜서해리슨 포드이소베 츠토무
클레어 스펜서미셸 파이퍼코야마 마미
조디다이아나 스카위드후지오 세이코
드레이턴 박사조 모턴나카노 유타카
워렌 퓨어제임스 레마아리모토 킨류
메리 퓨어미란다 오토와타나베 미사
매디슨 엘리자베스 프랭크앰버 발레타타니 이쿠코
케이틀린 스펜서캐서린 타운-
스탠 파웰 박사레이 베이커미즈노 류지
엘레나웬디 크루슨타카시마 가라


  • 연출: 와라비 미나미
  • 번역: 쿠리하라 토미코
  • 조정: 츠치야 마사키

3. 1. 주요 인물

배역배우설명
노먼 스펜서해리슨 포드수학자. 아버지도 수학자였다. 매디슨과 불륜 관계였으며, 입막음을 위해 그녀를 살해했다.
클레어 스펜서미셸 파이퍼노먼의 아내 (재혼). 전직 바이올리니스트로 카네기 홀 연주 경력이 있다. 첼로 연주와 정원 가꾸기가 취미이다.
조디다이아나 스카위드클레어의 친구.
드레이튼 박사조 모턴정신과 의사.
워렌 퓨어제임스 레마스펜서 부부의 이웃.
메리 퓨어미란다 오토워렌의 아내.
매디슨 엘리자베스 프랭크앰버 발레타노먼의 제자. 노먼과 불륜 관계였으며, 그에게 살해당한다.
케이틀린 스펜서캐서린 타운클레어의 딸 (노먼의 의붓딸). 대학에 진학한다.
스탠 파웰 박사레이 베이커클레어의 친구.
엘레나웬디 크루슨스탠의 연인.
프랭크 부인미콜 머큐리오
템플턴 부인슬론 셸턴


3. 2. 조연


  • 다이아나 스카위드 - 조디: 클레어의 친구.
  • 조 모튼 - 닥터 드레이튼: 정신과 의사.
  • 제임스 레마 - 워렌 퓨어: 스펜서 부부의 이웃.
  • 미란다 오토 - 메리 퓨어: 워렌의 아내.
  • 앰버 발레타 - 매디슨 엘리자베스 프랭크: 노먼의 제자. 노먼과 불륜 관계였으며, 입막음을 위해 살해당한다.
  • 캐서린 타운 - 케이틀린 스펜서: 클레어의 (전 남편과의) 딸. 대학에 진학한다.
  • 레이 베이커 - 닥터 스탠 파웰: 클레어의 친구.
  • 웬디 크루슨 - 엘레나: 스탠의 연인.
  • 미콜 머큐리오 - 프랭크 부인
  • 슬론 셸턴 - 템플턴 부인

4. 제작


  • 협력프로듀서: 스티븐 J. 보이드
  • 협력프로듀서: 체릴앤 마틴
  • 조감독: 조쉬 맥라글렌
  • 사운드디자인: 랜디 돔
  • 미술: 릭 카터
  • 특수효과: 로버트 르가토
  • 의상: 수지 드산토
  • 배역: 엘렌 루이스
  • 배역: 마시아 드보니스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자 세라 케르노찬은 초자연 현상에 대한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은퇴한 노부부가 영혼들과 교감하는 이야기의 시나리오 초안을 작성했다. 드림웍스는 이 시나리오의 판권을 사들여 배우 겸 작가 클라크 그레그에게 각본 재작성을 의뢰했다. 완성된 각본은 1998년 스티븐 스필버그를 통해 그의 친구이자 감독인 로버트 저메키스에게 전달되었다.[2] 당시 저메키스는 자신의 신생 제작사 이미지무버스의 영화 배급 계약을 드림웍스와 맺은 상태였으며, 스릴러 장르 영화 제작에 관심을 표명했다.[3]

이후 해리슨 포드가 영화 출연 계약을 맺었고, 프로젝트 참여를 위해 자신의 기존 스케줄을 조정하기까지 했다.[4] 미셸 파이퍼는 드림웍스가 영화 배급권을 놓고 20세기 폭스와 협상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합류했다.[5] 포드와 파이퍼는 저메키스가 처음부터 주연으로 고려했던 유일한 배우들이었다.[3] 최종적으로 드림웍스가 미국 내 배급을, 20세기 폭스가 해외 배급을 담당하기로 합의했으며, 이 계약에는 저메키스의 또 다른 프로젝트인 ''캐스트 어웨이''의 배급권도 포함되었다.[6]

''왓 라이즈 비니스''의 주요 촬영은 ''캐스트 어웨이''의 주연 배우 톰 행크스가 역할에 필요한 체중 감량과 수염을 기르기 위해 제작이 일시 중단된 기간 동안 진행되었다.[7] 한편, 각본가 클라크 그레그는 각본 수정 작업에 계속 참여해야 했기 때문에 TV 시리즈 ''스포츠 나이트''의 주요 역할 오디션 제안을 거절해야만 했다. 이에 작가 아론 소킨은 그를 위해 해당 시리즈의 마지막 에피소드에 특별히 단역을 만들어주기도 했다.[8]

배역배우
노먼 스펜서해리슨 포드
클레어 스펜서미셸 파이퍼
조디다이아나 스카위드
닥터 드레이튼조 모턴
워렌 퓨어제임스 레마
메리 퓨어미란다 오토
매디슨 엘리자베스 프랭크앰버 발레타
케일리턴 스펜서캐서린 토르니
닥터 스탠 포웰레이 베이커
엘레나웬디 크루슨


5. 평가

로튼 토마토에서는 126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47%의 긍정 평가를 받았으며, 평균 평점은 5.50/10이다. 사이트의 평론가 총평은 "로버트 저메키스는 설득력 없고 독창적이지 못한 영화를 구제할 수 없었다"는 것이다.[10] 메타크리틱에서는 35명의 평론가 의견을 바탕으로 100점 만점에 51점을 부여하여 "혼합적이거나 평균적인 평가"를 나타냈다.[11] 시네마스코어가 실시한 관객 설문 조사에서는 A+에서 F 등급 중 평균 "B+"를 받았다.[12]

''뉴욕 타임스''는 "처음에는 [저메키스]가 여전히 방법을 알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빠르고 매끄러운 공포로 우리를 놀라게 하지만, 그의 마음은 더 이상 이런 종류의 소재에 있지 않다. 그의 반사 신경은 약간 느리다"고 평가했다.[13] ''로스앤젤레스 타임스''는 "세련된 종류의 으스스함을 더한 스산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왓 라이즈 비니스''는 열정보다는 계획된 느낌이 더 강하며, 어떤 부분에서는 무섭지만 전반적으로 설득력이 떨어진다"고 보았다.[14] ''타임 아웃''은 "때로는 모든 머리카락이 곤두설 정도로 천천히 진행된 후에 저메키스가 모든 스릴러 클리셰를 펼쳐 놓는다. 그 전까지는 영리하고 현실적으로 연출되었으며, 성인 지향적이고 매우 효과적인 가정용 스릴러였다는 점이 안타깝다"고 언급했다.[15] ''엠파이어''는 "가장 큰 놀라움은 아마도 걸작은 아니지만, '장르'를 다루는 기계적인 마스터 클래스처럼 히치콕에게 보내는 유쾌한 오마주이자 다소 정교한 충격을 주는 영화라는 점이다. 초반부는 매우 즐겁다... 확실히 즐겁게 흥분되는 여정이지만, 긴장감 넘치는 관람을 마치고 나면, 삐걱거리는 소리 대부분이 허술한 각본에서 비롯되었음을 깨닫게 된다"고 썼다.[16]

''시카고 선타임스''의 로저 이버트는 이 영화에 별 4개 중 2개를 주었다. 그는 미셸 파이퍼의 연기를 "설득력 있고 공감적"이라고 칭찬했지만, "더 영리한 각본이 부족하여, 배우와 감독의 진정한 기술을 그들이 받을 자격보다 더 많이 활용하고, 결말에서는 무서움보다 웃음을 자아내며 궤도를 벗어난다. 물론 그 과정에서 좋은 순간들도 있다"고 평했다.[17] 이버트는 또한 저메키스가 히치콕 스타일의 영화(''사이코''와 ''현기증'' 등 여러 히치콕 영화에 대한 음악적, 시각적, 줄거리적 언급 포함)를 만들려 하면서도 초자연적 요소를 포함시킨 점을 지적했는데, 이는 앨프레드 히치콕이라면 결코 하지 않았을 방식이라고 보았다.[17]

6. 흥행

''왓 라이즈 비니스''는 북미 지역 2,813개 극장에서 개봉하여 개봉 첫 주말에 극장당 평균 10559USD를 기록하며 2970만달러의 수익을 올렸다. 이는 개봉과 동시에 박스 오피스 1위에 오르는 성적으로, 당시 상영 중이던 ''엑스맨''을 제친 기록이다.[9] 이 영화는 북미 지역에서 총 1.555억달러, 그 외 해외 지역에서 1.36억달러를 벌어들여 전 세계적으로 총 2.9139999999999997억달러의 수익을 기록했다. 이는 1억달러의 제작비와 비교했을 때 약 3배에 달하는 성공적인 흥행 성적이다.[1]

7. 수상

wikitext

수상부문대상결과
ASCAP 어워드[18]최고 흥행 영화앨런 실베스트리수상
블록버스터 엔터테인먼트 어워드[19]공포 스릴러 부문 인기 남자 배우해리슨 포드수상
공포 스릴러 부문 인기 여자 배우미셸 파이퍼수상
공포 스릴러 부문 인기 조연 여자 배우다이아나 스카위드후보
골든 트레일러 어워드[20]최우수 공포/스릴러후보
나스트로 다르젠토최우수 남성 더빙 실버 리본미셸 감미노수상
새턴상[21]최우수 호러 영화잭 래프키후보
스티브 스타키후보
로버트 저메키스후보
최우수 감독후보
최우수 여우주연상미셸 파이퍼후보


8. 기타


  • 2002년 인도에서 라즈라는 제목으로 비공식 리메이크되었다.[22]

참조

[1] 웹사이트 What Lies Beneath (2000) - Box Office Mojo https://boxofficemoj[...] 2022-10-31
[2] 간행물 What Lies Beneath Director http://www.visimag.c[...] 2014-09-29
[3] 간행물 What Lies Beneath (2000) – Production Notes http://cinema.com/ar[...] 20th Century Fox 2014-09-29
[4] 간행물 "'Beneath' pairs Ford, Zemeckis; D'Onofrio nabs 'Abbie'" https://variety.com/[...] 1998-06-04
[5] 간행물 "Pfeiffer joins Ford in 'What'" https://variety.com/[...] 1998-10-16
[6] 간행물 Pairing for Zemeckis https://variety.com/[...] 1998-10-14
[7] 뉴스 "'Cast Away' Director Defies Categorizing" 2000-12-17
[8] 웹사이트 Clark Gregg https://www.avclub.c[...] The Onion 2011-09-13
[9] 뉴스 "'What Lies Beneath' opens in top spot; 'X-men' drops to second" https://www.newspape[...] The News & Observer 2000-07-26
[10] 웹사이트 What Lies Beneath https://www.rottento[...] Fandango Media 2019-04-05
[11] 웹사이트 What Lies Beneath reviews https://www.metacrit[...] CBS Interactive 2009-12-26
[12] 웹사이트 CinemaScore https://m.cinemascor[...] 2017-10-16
[13] 뉴스 "'What Lies Beneath': If Only Her Husband Hadn't Made That Horrible Mistake" https://www.nytimes.[...] 2000-07-21
[14] 뉴스 What Lies Beneath – MOVIE REVIEW http://www.calendarl[...] 2000-07-21
[15] 간행물 What Lies Beneath Review – Film https://www.timeout.[...] 2022-10-31
[16] 간행물 Review of What Lies Beneath https://www.empireon[...] 2022-10-31
[17] 뉴스 What Lies Beneath https://www.rogerebe[...] 2021-12-25
[18] 간행물 Jewison And Bernstein Scoop ASCAP Film And TV Awards https://books.google[...] 2001-05-05
[19] 웹사이트 2001 Blockbuster Entertainment Awards http://promo.blockbu[...]
[20] 웹사이트 GTA2 Nominees (2001) http://www.goldentra[...]
[21] 웹사이트 Nominees for 27th annual Saturn Awards - UPI Archives https://www.upi.com/[...] 2001-04-04
[22] 웹사이트 7 Bollywood Remakes That Are Better Than The Original Movie https://collider.com[...] 2022-04-07
[23] 웹사이트 What lies Beneath (2000) https://www.boxoffic[...] 2009-12-01
[24] 문서 映連興行収入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