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분비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외분비계는 분비물을 배출하는 관 부분과 분비가 일어나는 선 부분의 구조에 따라 단순형, 복합형, 대롱형, 꽈리형, 대롱꽈리형, 분지샘 등으로 분류된다. 분비 방식에 따라 샘분비샘, 부분분비샘, 온분비샘으로 나뉘며, 분비 물질에 따라 장액세포, 점액세포, 혼합샘으로 구분된다. 장액세포는 단백질과 효소를, 점액세포는 점액을 분비하며, 혼합샘은 단백질과 점액을 모두 분비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외분비계 |
---|
2. 분류
외분비샘Exocrine glandeng은 여러 기준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주요 분류 기준으로는 샘의 구조, 분비 방법, 그리고 분비하는 물질의 종류 등이 있다.
2. 1. 구조에 따른 분류
외분비샘은 '''선 부분'''과 '''관 부분'''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구조들은 외분비샘을 분류하는데 사용된다.[1]- '''관 부분'''은 분지가 있거나(복합형) 분지가 없는 것(단순형)으로 나뉜다.
- '''선 부분'''은 대롱형(tubular)이거나 꽈리형(acinar) 아니면, 두 가지를 혼합한 형태(대롱꽈리형)으로 구분한다. 만일 선 부분이 분지가 있다면, 그 샘은 분지샘이라고 부른다.
2. 2. 분비 방법에 따른 분류
외분비샘은 물질을 어떻게 분비하는지에 따라서 부분분비샘(apocrine gland)[2], 온분비샘(holocrine glands)[3], 샘분비샘(merocrine gland)[4]으로 구분한다.[1]- 샘분비샘 - 세포들은 외포작용(exocytosis)을 통해 물질을 분비한다. 예를 들면, 이자외분비세포(pancreatic acinar cell)가 있다.
- 부분분비샘 - 분비세포의 일부가 떨어져 나와 분비물이 되는 방식이다.[5] 젖샘이 여기에 속한다.
- 온분비샘 - 분비세포 전체가 파괴되면서 분비물을 내보내는 방식이다.[6] 피부와 코의 피지선이 여기에 속한다.
2. 3. 분비 물질에 따른 분류
- 장액세포는 단백질과 효소를 분비한다. 예를 들면, 위의 주세포(gastric chief cell)와 파네스세포(Paneth cell)가 여기에 속한다.
- 점액세포는 점액을 분비한다. 예를 들면, 브루너샘(Brunner's gland), 식도의 샘, 그리고 위날문샘(pyloric gland)이 여기에 속한다.
- 혼합샘은 단백질과 점액을 둘 다 분비한다. 예를 들어, 침샘, 귀밑샘, 혀밑샘, 턱밑샘 등을 포함하는데, 귀밑샘과 턱밑샘의 경우에는 대개는 장액과 많이 섞어서 나오고, 혀밑샘은 점액과 많이 섞어서 나온다.
3. 관련 사진
참조
[1]
서적
Wheater's Functional Histology: A Text and Colour Atlas
Elsevier
[2]
웹사이트
옛 이름은 이출분비선
http://www.kmle.co.k[...]
[3]
웹사이트
옛 이름은 전분비샘
http://www.kmle.co.k[...]
[4]
웹사이트
옛 이름은 부분분비샘
http://www.kmle.co.k[...]
[5]
웹사이트
외분비선
https://terms.naver.[...]
[6]
웹사이트
외분비선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