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식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식도는 소화계의 상부 기관으로, 입 뒤에서 시작하여 가슴세로칸, 가로막을 거쳐 배로 이어진다. 길이는 약 25cm이며, 식도벽은 점막, 근층, 외막으로 구성된다. 식도에는 위식도조임근과 아래식도조임근이 존재하여 음식물 역류를 막고, 미주신경과 교감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식도 질환으로는 식도염, 바렛 식도, 식도암, 식도정맥류, 운동성 장애, 기형 등이 있으며, 다양한 진단법을 통해 질환을 파악한다. 식도는 발생 과정에서 내배엽성 원시창자관에서 발달하며, 삼키기, 위산 역류 억제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다른 동물에서도 식도는 존재하며, 조류, 반추동물, 뱀 등에서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거나 구조적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슴 - 미주신경
    미주신경은 뇌에서 시작하여 내장을 지배하며 심박수 조절, 위장관 운동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미주신경 자극술은 치료에 사용되며 기능 장애는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 가슴 - 갈비뼈
    갈비뼈는 척추동물의 몸통을 보호하며 흉곽을 구성하는 뼈로, 사람에게는 12쌍이 있고, 참갈비뼈, 거짓갈비뼈, 뜬갈비뼈로 나뉘며 호흡 운동과 음식, 의료 시술 등에 활용된다.
  • 배 (해부학) - 비장
    비장은 가로막 아래 위치하여 면역 기능, 혈액 여과, 혈구 생성 및 파괴를 담당하는 인체 장기로, 태아기 혈구 생성, 성인 혈액 내 이물질 제거, 림프구 생성에 관여하며, 비장비대, 비장 파열, 무비증 등의 질환과 역사적으로 우울증과 연관되고 일부 문화권에서 식재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 배 (해부학) - 배꼽
    배꼽은 탯줄이 떨어진 자리에 남는 흉터로, 개인마다 형태가 다르며 의학적 질환과 관련되기도 하고, 문화적으로 다양한 의미를 지닌다.
  • 해부학에 관한 - 림프
    림프는 림프관을 통해 순환하는 체액으로, 혈장과 유사한 성분으로 체액 균형 유지, 면역 반응, 지방 흡수 및 운반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 해부학에 관한 - 신경
    신경은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를 연결하는 신경섬유 다발 조직으로, 삼중막 구조로 둘러싸여 있고, 구심성, 원심성, 혼합 신경 등으로 분류되며, 활동전위를 통해 정보를 전달하고 손상 시 재생될 수 있지만 완전한 회복은 어려울 수 있다.
식도
개요
식도를 붉은색으로 표시한 소화관
식도를 붉은색으로 표시한 소화계
라틴어oesophagus
그리스어οἰσοφάγος
설명음식이 위로 전달되는 척추동물의 기관
길이약 25 cm
어원그리스어 동사 "φέρω" (나르다)
"οἴσω" (나는 나를 것이다)
"ἔφαγον" (나는 먹었다)
구조
계통소화기 계통
전구체앞창자
동맥식도 동맥
정맥식도 정맥
신경교감신경줄기
미주신경

2. 구조

식도는 소화계 상부의 기관 중 하나이다. 뒤쪽에서 시작한 식도는 가슴세로칸의 뒤쪽(뒤세로칸)을 통해 아래로 지나가 가로막을 통과하고 로 들어간다. 사람의 식도는 일반적으로 여섯째 목뼈 높이인 기관반지연골 뒤에서 시작한다. 그 후 열째 목뼈 높이에서 가로막으로 들어가고 열한째 목뼈 높이인 위의 들문에서 끝난다.[58] 식도의 길이는 보통 약 25cm이다.[59] 이 중 위쪽 약 5cm는 목에, 아래쪽 2 ~ 3cm는 배에, 나머지는 가슴에 위치한다. 지름은 평균 2cm 정도로 막창자꼬리를 제외하면 모든 소화관 중 가장 좁다.[60]

많은 혈관이 식도에 분포하며 식도가 지나는 경로에 따라 혈액 공급이 다양하게 이루어진다. 식도의 위쪽 부분과 위식도조임근은 아래갑상동맥으로부터, 가슴의 식도는 가슴대동맥에서 직접 나온 가지들과 기관지동맥으로부터, 식도의 아래쪽 부분과 아래식도조임근은 왼위동맥이나 왼아래가로막동맥으로부터 혈액을 받는다.[61][62] 정맥 환류 역시 식도가 지나는 경로에 따라 달라진다. 식도의 위쪽과 중간 부분은 홀정맥반홀정맥을 통해, 식도의 아래쪽 부분은 왼위정맥을 통해 혈액이 환류한다. 이 정맥들은 간문맥의 가지인 왼위정맥을 제외하면 모두 위대정맥으로 이어진다.[61] 림프의 경우 식도의 위쪽 1/3은 깊은목림프절로, 중간 부분은 위·뒤세로칸림프절로, 아래쪽 부분은 위림프절복강림프절로 유입된다. 이는 앞창자에서 유래한 배 구조물들의 림프 흐름이 모두 복강림프절로 유입되는 것과 유사하다.[61]

; 위치

식도 상부는 기관 뒤쪽의 종격동 후방에 위치하며, 기관식도구를 따라 인접해 있고, 척주기립근과 척주 앞쪽에 있다. 식도 하부는 심장 뒤쪽에 위치하고 흉대동맥 앞쪽으로 구부러진다. 기관분기 아래쪽에서 식도는 오른쪽 폐동맥, 좌측 주기관지, 좌심방 뒤쪽을 지난다. 이 지점에서 횡경막을 통과한다.[4]

경부와 후종격동에서 식도의 위치와 관계. 뒤에서 본 모습.


신체의 대부분의 림프를 배출하는 흉관은 식도 뒤쪽을 지나며, 식도 하부의 오른쪽에서 식도 뒤쪽에 위치하는 것에서 식도 상부의 왼쪽에서 식도 뒤쪽에 위치하는 것으로 굽어진다. 식도는 또한 오른쪽의 반대정맥과 늑간정맥의 일부 앞쪽에 위치한다. 미주신경은 분지하여 신경총 형태로 식도를 덮는다.[4]

; 협착

식도는 세 곳이 좁아진다.


식도에는 네 곳의 협착이 있다. 부식성 물질이나 고형물을 삼켰을 때, 이 네 곳 중 한 곳에 걸리거나 손상될 가능성이 가장 높다. 이러한 협착은 식도를 압박하는 특정 구조로 인해 발생한다.[7]

  • 식도 시작 부분, 즉 후두인두가 후두연골 뒤쪽의 식도와 연결되는 부분
  • 상부 종격동에서 대동맥궁이 앞쪽에서 가로지르는 부분
  • 후종격동에서 좌측 주 기관지에 의해 압박되는 부분
  • 식도열공 부분, 즉 후종격동에서 횡경막을 통과하는 부분


인간의 식도는 성인의 경우 길이가 약 25~30cm이며, 입으로 삼킨 음식물은 액체의 경우 수 초, 고체의 경우 협착부에 걸리지 않는다면 수십 초 만에 식도를 통과하여 위로 보내진다. 인간의 식도는 목 부위(제6경추)에서 후두 뒤쪽에서 시작하여, 흉부에서는 기관지, 대동맥궁 등의 뒤쪽을 지나, 횡격막(식도열공)을 통과하여 복부에 이른다. 횡격막 아래(제11흉추)에서 위의 분문과 연결된다. 식도에는 세 곳의 '''생리적 협착부'''가 있다. 인두와의 연결부, 기관지 뒤쪽을 지나는 부위, 그리고 횡격막을 통과하는 부위이며, 음식물이 잘 걸리는 곳이기도 하다. 또한, 분문 부근(위와의 연결 부분)과 함께 이 세 곳의 협착부는 식도암의 호발 부위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인간에게는 세 곳의 생리적 협착부가 존재하지만, 이 중 첫 번째 식도 입구 부분과 세 번째 횡격막 식도 열공에 의한 협착부는 특히 좁고 항상 좁은 반면, 두 번째 대동맥궁과 기관지의 영향으로 좁아지는 부분은 다른 두 곳에 비해 그다지 좁지 않고 좁이의 정도도 어느 정도 가변적이다.[52]

; 미세구조

식도벽은 내강 측부터 점막, 근층, 외막(중층편평상피, 점막고유층, 점막근판, 점막하층, 고유근층, 외막)으로 나눌 수 있다. 점막은 입에서 씹혔다고는 해도 아직 형태를 유지한 채 음식물이 통과하기 때문에 손상되지 않도록 역학적으로 강한 중층 편평상피로 구성되어 있다. 점막 바로 아래층에 있는 많은 '''식도선'''이 점막 표면에 점액을 분비하여 음식물의 통과를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근층은 2층 구조이며, 안쪽 근육은 윤주근, 바깥쪽 근육은 종주근에 해당하지만, 장축 방향에 대해 근섬유는 수직/평행이 아니고 모두 사행하고 있다. 이것들이 순차적으로 수축함으로써 음식물을 위로 보내는 움직임을 한다. 이것을 연동운동이라고 한다. 또한, 다른 소화 기관과 다른 특징으로, 입에 가까운 쪽의 상부 식도의 근육은 횡문근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 있다. 위에 가까운 쪽의 하부 식도의 근육은 다른 소화 기관과 마찬가지로 평활근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만, 랫드 등 다른 포유류에는 전장에 걸쳐 횡문근으로 구성된 것도 있다. 이러한 근육은 자율신경의 작용으로 무의식적으로 수축 운동이 일어난다. “목구멍이 포도청”이라는 말처럼, 식도 점막의 감각은 그다지 예민하지 않다. 인간의 식도의 평상시 pH는 5~6 정도이다.

2. 1. 위치

식도의 위쪽 부분은 뒤세로칸에서 기관의 뒤쪽, 척주세움근과 척주의 앞쪽에 놓여 있다.[4] 식도의 아래쪽 부분은 심장의 뒤에 위치하며 가슴대동맥의 앞쪽에서 기울어진다.[4] 기관갈림부터는 오른허파동맥, 왼주기관지, 좌심방의 뒤쪽으로 지나가다가 가로막을 뚫고 배안으로 들어간다.[58]

몸의 림프를 운반하는 주된 림프관인 가슴림프관은 식도보다 뒤쪽에서 주행하는데, 식도의 아래쪽 부분에서는 식도보다 오른쪽에 위치하다가 휘어서 식도 위쪽 부분에서는 식도보다 왼쪽에 위치한다.[4] 또한 식도는 반홀정맥 일부나 오른쪽 갈비사이정맥보다 앞쪽에 위치한다.[58] 미주신경에서 갈라져 나온 일부 신경이 신경얼기를 형성하며 식도를 덮는다.[4][58]

2. 2. 잘록(협착)

식도에는 정상적으로 좁아지는 부분이 세 부분 존재하며, 이를 생리적 잘록(협착)이라고 한다.[60] 이러한 잘록은 특정 구조물들이 식도를 누르고 있기 때문에 발생한다.[63]

  • 식도 시작 부분은 윗앞니에서 15cm 정도, 여섯째 목뼈 높이에 위치하며, 반지인두근에 의해 좁아져 식도에서 가장 좁은 부분이다.[60][64]
  • 두 번째 잘록은 윗앞니에서 22~23cm 떨어진 지점에서 대동맥활과 왼주기관지가 교차하면서 생긴다. 이 지점을 기관지대동맥잘록(bronchoaortic constriction)이라고도 부른다.[65]
  • 마지막 잘록은 식도가 뒤세로칸에서 가로막을 뚫고 지나가는 식도구멍 부위로, 윗앞니에서 약 40cm, 열한째 등뼈 높이에 해당한다. 가로막 바로 위쪽은 팽대되어 있으나 가로막을 통과할 때 좁아져 가로막잘록(diaphragmatic constriction)이라고 한다.[60][64]


이러한 생리적 잘록은 부식성 물질이나 딱딱한 물건을 삼켰을 때 손상되기 쉬우며, 음식물이나 이물질이 걸리기 쉽다.[60][63] 또한, 분문 부근(위와의 연결 부분)과 함께 이 세 곳의 협착부는 식도암의 호발 부위로 알려져 있다.[52]

2. 3. 조임근

식도는 위와 아래에 두 개의 조임근(괄약근)이 있어 음식물이 역류하지 않도록 막는다.[58] 이들은 각각 위식도조임근(상부식도괄약근)과 아래식도조임근(하부식도괄약근)이라고 불린다.[58]

위식도조임근은 식도 위쪽을 둘러싸고 있으며, 골격근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수의적으로 조절되지는 않는다.[4] 인두반사가 일어나면 위식도조임근이 열리게 된다.[68] 위식도조임근을 이루는 주된 근육은 아래인두수축근의 반지인두부분이다.[68] 후두반지연골이 앞에 위치하므로 반지인두조임근(cricopharyngeal sphincter)이라고도 부른다.[66]

아래식도조임근은 식도와 위 사이 접합부에서 식도의 아래쪽 부분을 둘러싸고 있으며,들문(cardia)의 이름을 따 들문조임근(분문괄약근, cardiac sphincter) 또는 들문식도조임근(분문식도괄약근, cardioesophageal sphincter)이라고도 한다.[84][69] 아래식도조임근은 해부학적 조임근이 아닌 기능적 구조물이다.[67] 아래식도조임근의 긴장도는 여러 가지 신경전달물질호르몬에 의해 조절된다. 아래식도조임근의 기능 이상은 위 식도 역류병을 일으켜 속쓰림을 유발하고, 역류가 자주 일어나면 식도 점막이 손상될 수 있다.[69]

2. 4. 신경 분포

식도는 미주신경과 목 및 가슴의 교감신경줄기의 지배를 받는다.[61][17] 미주신경은 부교감신경 성분을 운반하여 식도의 근육에 분포하며 의 수축을 자극한다.[61] 미주신경은 꿈틀운동을 시작하는 데에 주된 역할을 한다.[70][10] 교감신경줄기는 교감신경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꿈틀운동이나 샘 활동을 증진시키거나 조임근 수축을 유발하여 미주신경의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61][17]

식도의 감각은 미주신경과 교감신경줄기가 모두 전달하는데, 이때 모든 감각은 미주신경을 통해, 통증은 교감신경줄기를 통해 운반된다.[58][4] 아래식도조임근으로부터의 감각을 전달하는 구심성 미주신경은 후뇌의 고립로핵으로 간다.[67] 너무 뜨겁거나 차가운 음식을 삼켰을 때의 온도 감각, 혹은 너무 많은 양의 음식을 삼켜 느껴지는 통증이 신경을 통해 전달된다.[71]

2. 5. 위식도접합부

위식도접합부(위식도이음부, gastro-esophageal junction) 또는 식도위접합부(식도위이음부, esophagogastric junction)는 식도 아래쪽 끝에서 식도와 위 사이에 존재하는 접합부이다.[72] 식도 점막의 색은 분홍색인 반면 위 점막의 색은 진한 빨간색이며,[61][73] 두 점막 간에 이행되는 부분은 불규칙한 지그재그 모양 선으로 관찰되어 종종 z선(z-line)이라고도 한다.[74] 조직학적 검사를 통해 식도의 중층편평상피가 갑자기 위의 단층원주상피로 이행되는 것을 알 수 있다.[75]

보통 위의 들문은 z선 바로 먼쪽에 위치하며[76] z선은 들문의 위점막주름 위쪽 경계와 일치한다. 점막의 해부학이 바렛 식도로 인해 변형될 경우 실제 위식도접합부는 점막의 이행보다는 위점막주름 위쪽 경계를 통해 확인한다.[77] 아래식도조임근의 기능적 위치는 일반적으로 z선보다 3cm 정도 아래쪽에 있다.[61]

2. 6. 미세구조

사람의 식도는 케라틴이 없는 거친 중층편평상피, 매끈한 고유판, 점막근육으로 이루어져 있다.[61] 식도 상피는 음식물이 가하는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식도를 보호하는 기능을 하며, 비교적 짧은 교체주기를 가진다.[17]

식도에는 두 종류의 샘이 있는데, 점막밑층에서 점액을 분비하는 식도샘과, 위의 들문샘과 비슷한 식도들문샘(esophageal cardiac glands)이 있다. 식도들문샘은 고유판에 위치하며 식도의 끝부분에 가장 많다.[78][79] 샘에서 나온 점액은 식도를 둘러싸는 세포를 보호하는 데에 효과적이다.[80] 한편 점막밑층은 창자신경계의 일부인 점막밑신경얼기를 포함하고 있다.[78]

식도의 근육층은 두 종류의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다. 식도의 위쪽 1/3은 횡문근으로, 아래쪽 1/3은 평활근으로, 중간 1/3은 두 근육 모두가 섞여 이루어져 있다.[61] 근육의 배열은 두 층으로 되어 있는데, 하나는 식도에 대하여 근섬유가 세로로 주행하는 층이며 다른 하나는 근섬유가 식도를 둘러싸고 있는 층이다. 두 층은 점액 분비와 식도 평활근의 꿈틀운동에 관여하는 신경섬유 네트워크인 근육층신경얼기에 의해 나누어져 있다.

대부분의 식도에서 가장 바깥쪽 층은 바깥막이고, 식도의 배안부분만 장막으로 둘러싸여 있다.[61] 이는 다른 위장관계의 구조물들이 장막만 가지고 있다는 것과 구별된다.

3. 발생

식도는 초기 배아발생 단계에 내배엽성의 원시창자관(primitive gut tube)에서 발생한다.[81][21] 배아의 배쪽 부분은 난황낭을 마주하고 있으며, 배아발생 2주에서는 배아가 성장하면서 난황낭 일부를 둘러싸기 시작한다. 이렇게 둘러싸인 부분은 성인 위장관계의 기초를 형성한다.[81] 난황낭은 난황동맥들에 의해 싸여 있다. 난황동맥은 시간이 지나면 서로 합쳐지면서 위장관계에 혈액을 공급하는 주요 동맥들인 복강동맥, 위창자간막동맥, 아래창자간막동맥이 된다. 각각의 동맥들에게 혈액을 받는 영역은 순서대로 앞창자, 중간창자, 뒤창자에서 발생한 영역에 해당한다.[81][21]

배아에 의해 둘러싸인 난황낭은 원시창자가 되고 식도, , 창자 같은 위장관계의 기관들로 분화한다. 이때 식도는 앞창자관(foregut tube)의 일부에서 발달한다.[81][21] 식도로의 분화가 일어난 후에도 여러 주목할 만한 변화가 일어난다. 식도에 분포하는 신경들은 인두굽이에서 발생한다.[58][4]

4. 기능

4. 1. 삼키기

음식은 입을 통해 섭취되며 씹기가 끝나면 혀가 강하게 밀려 올라가 구강내압이 높아지고, 음식물 덩어리는 인두로 밀려 들어간다.[83] 이어서 몇 개의 입천장근육이 수축하여 목젖이 올라가며 코안으로 통하는 통로를 폐쇄한다. 그 후 아래턱뼈, 목뿔뼈, 인두 연골과 붙어 있는 많은 근육이 수축해 인두가 후두덮개로 강하게 밀려 올라가 기도로 가는 통로를 폐쇄한다. 이와 같은 수축 활동의 결과 인두 안에 가벼운 음압이 생겨 음식물을 끌어당기고, 식도 입구로 밀어준다. 동시에 인두수축근이 수축하여 인두 안의 음식물 덩어리를 식도 속으로 통과시킨다. 이때의 압력은 약 200mmHg이며 이 단계까지 약 0.4초가 걸린다.[83]

식도에 들어간 음식물은 물 또는 물에 가까운 유동물인 경우 약 1초 정도 걸려 단숨에 식도 하단에 도달하며, 여기에서 잠깐 정지한 뒤 위로 들어간다. 고형물이나 유동성이 낮은 음식물은 식도 상단에서 하단까지 식도벽 근육의 꿈틀운동에 의해 운반되는 데에 5초 정도가 걸린다.[83] 소화계와 위장관계의 첫 번째 구성 요소 중 하나인[84] 식도를 통과한 음식은 위로 들어간다.[22]

음식을 삼켰을 때는 후두덮개가 뒤로 움직여 후두를 덮고, 이를 통해 음식이 기관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다. 동시에 위식도조임근은 이완되어 음식 덩어리가 들어올 수 있게 한다. 꿈틀운동으로 인해 식도 근육이 수축하면 음식을 식도 아래쪽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런 율동적인 수축은 입에 음식이 들어왔을 때 일어나는 반사와, 음식이 들어왔을 때 식도 자체적으로 감지하는 감각에 대한 반응으로 인해 발생한다. 한편 꿈틀운동과 함께 아래식도조임근은 이완된다.[84][22]

4. 2. 위산 역류 억제

위에서는 염산(HCl)과 염화 칼륨, 염화 나트륨 등으로 이루어져 있어 강산성을 띄는 혼합물인 위산을 만든다. 위산은 음식이 소화되게 한다.[85][84] 위식도조임근과 아래식도조임근의 수축은 위의 내용물과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는 것을 막고, 식도 점막을 보호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85][84] 히스각가로막다리는 이러한 조임근의 기능을 돕는다.[85][84][22][23]

5. 유전자와 단백질 발현

사람의 세포에서는 단백질 암호화 유전자가 약 20,000개 발현되며 이 중 70% 가까이가 정상 식도에서 발현된다.[86][87][24][25] 그중에서도 250개 유전자는 식도에서 더 특이적으로 발현되며 50개보다 적은 수의 유전자가 매우 특이적이다. 식도에 특이적인 단백질은 주로 편평상피로의 분화에 관여하며 케라틴KRT13, KRT4, KRT6C 등이 여기 해당한다. 또 다른 특이적인 단백질에는 식도 속면을 미끄럽게 만드는 것을 돕는 뮤신MUC21, MUC22 등이 있다. 식도에서 발현이 증가해 있는 많은 유전자가 편평상피로 구성된 피부나 다른 기관들에서도 발현된다.[88][26]

6. 관련 질환



식도의 염증은 식도염이라고 한다. 위에서 역류한 위산,[59] 감염, 부식성 물질과 같은 물질을 삼킨 경우, 비스포스포네이트 같은 일부 약물, 음식 알레르기 등이 식도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59] 식도 칸디다증은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감염으로 인한 질환으로 면역결핍 상태인 사람이 걸릴 수 있다. 2021년 기준으로 호산구성 식도염과 같은 일부 형태의 식도염은 아직 잘 특징지어지지 않았지만 Th2 매개 아토피나 유전적 요인이 관련되어 있다고 추정된다.[89] 호산구성 식도염, 천식(천식 자체가 호산구성 요소를 가짐), 습진, 알레르기성 비염 간에는 상관관계가 나타난다.[89] 식도염으로 인해 삼킬 때 통증(삼킴통증)을 느낄 수 있으며 보통 식도염의 원인을 관리하는 방식으로 치료한다.[59]

만성적인 위산 역류는 식도 하부 점막의 세포 변형(화생)을 일으켜 바렛 식도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식도암의 위험 요인이다.[59][90][91][5] 특히 위산 역류로 인한 식도염이 지속되는 경우, 식도 하부에 화생이 발생하여 중층편평상피단층원주상피로 변하게 된다.

바렛 식도암


식도암에는 두 개의 주된 종류가 있다. 식도를 둘러싸고 있는 편평상피세포에서 발생하는 편평상피암종은 중국이란에서 더 흔하게 발생한다.[59][5] 반면, 샘암종은 식도의 샘 조직이나 원주상피에서 발생하며, 바렛 식도와 함께 선진국에서 더 빈발한다.[59]

위식도접합부 부근에서 발견된 식도의 샘암종


초기 식도암은 증상이 없을 수 있지만, 심각한 경우 식도를 폐쇄시켜 음식을 삼키기 어렵게 만들고 체중감소를 유발할 수 있다.[59][5] 암의 병기는 TNM 분류를 통해 식도 벽 침범 정도, 림프절 영향, 전이 여부를 따져 결정된다.[59][5]

식도암은 방사선치료, 화학요법, 수술을 통한 부분적인 절제를 통해 관리할 수 있다.[59] 식도스텐트나 코위관을 삽입하여 환자가 음식과 물을 충분히 섭취하도록 돕기도 한다.[59][5] 2011년에서 2017년 사이에 식도암 진단을 받은 환자들의 5년 생존율은 평균 20%였다.[92]

식도정맥류의 내시경 사진


간경변증 등으로 인한 문맥고혈압은 식도정맥류를 유발할 수 있으며, 파열 시 대량 출혈의 위험이 있다.[93][59][61][62] 식도정맥류는 식도 아래쪽 1/3에서 홀정맥의 가지들이 부어오르고 꼬이는 질환이다.[28] 이 혈관들은 문맥압항진이 발병하면 간문맥의 가지들과 문합하게 된다. 이때 혈관들은 정상보다 부어오르면서 최악의 경우 식도를 부분적으로 막게 된다. 문맥고혈압은 간경화증과 같은 간질환에 의해 발생하는데, 문맥고혈압이 생기면 의 혈액을 다시 들이기 위해 곁순환이 생기게 된다. 혈관이 부어오르는 것은 이런 곁순환 형성의 일부이다.[5] 곁순환이 생기는 것은 식도 아래쪽 부분의 혈액은 간문맥의 가지인 왼위정맥으로 나가기 때문이다. 문맥고혈압이 발생하면 왼위정맥에서의 혈액 이동 방향이 반대가 되면서 간문맥계의 혈액이 정맥얼기를 통해 나가게 된다. 정맥얼기의 정맥들은 이로 인해 붓고 정맥류가 발생한다.[17][6]

식도정맥류는 파열되기 전까지는 아무 증상이 없는 경우가 자주 있다. 파열된 정맥류는 대량의 출혈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응급 상황으로 간주된다. 출혈이 일어난 정맥류는 토혈이나 쇼크를 유발할 수 있다. 파열된 정맥류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출혈이 생긴 혈관 주변을 묶거나 출혈 부위에 소량의 응고제를 투여할 수 있다. 또한 외과의는 상처를 막기 위해 작은 부풀릴 수 있는 풍선을 이용하여 압력을 가할 수도 있다. 너무 많은 혈액을 잃어 저혈량증이 생기는 것을 막기 위해 IV 수액이나 혈액제제를 사용하기도 한다.[5]

식도로 내려가는 음식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장애들은 음식물 통과를 방해하고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식도이완불능증은 아래식도조임근이 제대로 이완되지 못하는 질환으로, 식도가 계속 비대해져 거대식도증을 유발할 수 있다.[95] 호두까기식도는 꿈틀운동 시 식도 평활근 수축이 강해져 삼킴 시 극심한 통증을 유발한다.[94] 광범위식도연축은 식도의 연축으로 흉통의 원인이 되며, 가슴벽 위쪽에서의 연관통은 식도질환에서 흔하게 나타난다.[95] 전신피부경화증이나 CREST 증후군 등에서 나타나는 식도의 경화는 식도 벽을 딱딱하게 만들어 꿈틀운동을 방해할 수 있다.[59]

식도에 발생하는 가장 흔한 선천성 기형에는 식도폐쇄증기관식도샛길이 있다.[97] 식도폐쇄증은 식도가 위로 이어지지 않고 끝나는 질환이고, 기관식도샛길은 기관과 식도 사이에 비정상적인 연결 통로가 생기는 질환이다.[97] 두 기형은 보통 함께 나타나며[97] 출생아 3500명당 1명 꼴로 발병한다.[98] 이 중 절반 정도는 (특히 심장이나 팔다리의) 다른 기형이 함께 존재하는 경우 증후군의 일부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나머지 경우에서는 식도 기형만 단일로 나타난다.[99]

200px

6. 1. 염증



식도의 염증은 식도염이라고 한다. 위에서 역류한 위산,[59] 감염, 부식성 물질과 같은 물질을 삼킨 경우, 비스포스포네이트 같은 일부 약물, 음식 알레르기 등이 식도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59] 식도 칸디다증은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감염으로 인한 질환으로 면역결핍 상태인 사람이 걸릴 수 있다. 2021년 기준으로 호산구성 식도염과 같은 일부 형태의 식도염은 아직 잘 특징지어지지 않았지만 Th2 매개 아토피나 유전적 요인이 관련되어 있다고 추정된다.[89] 호산구성 식도염, 천식(천식 자체가 호산구성 요소를 가짐), 습진, 알레르기성 비염 간에는 상관관계가 나타난다.[89] 식도염으로 인해 삼킬 때 통증(삼킴통증)을 느낄 수 있으며 보통 식도염의 원인을 관리하는 방식으로 치료한다.[59]

6. 2. 바렛 식도

만성적인 위산 역류는 식도 하부 점막의 세포 변형(화생)을 일으켜 바렛 식도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식도암의 위험 요인이다.[59][90][91][5] 특히 위산 역류로 인한 식도염이 지속되는 경우, 식도 하부에 화생이 발생하여 중층편평상피단층원주상피로 변하게 된다.

6. 3. 암

식도암에는 두 개의 주된 종류가 있다. 식도를 둘러싸고 있는 편평상피세포에서 발생하는 편평상피암종은 중국이란에서 더 흔하게 발생한다.[59][5] 반면, 샘암종은 식도의 샘 조직이나 원주상피에서 발생하며, 바렛 식도와 함께 선진국에서 더 빈발한다.[59]

초기 식도암은 증상이 없을 수 있지만, 심각한 경우 식도를 폐쇄시켜 음식을 삼키기 어렵게 만들고 체중감소를 유발할 수 있다.[59][5] 암의 병기는 TNM 분류를 통해 식도 벽 침범 정도, 림프절 영향, 전이 여부를 따져 결정된다.[59][5]

식도암은 방사선치료, 화학요법, 수술을 통한 부분적인 절제를 통해 관리할 수 있다.[59] 식도스텐트나 코위관을 삽입하여 환자가 음식과 물을 충분히 섭취하도록 돕기도 한다.[59][5] 2011년에서 2017년 사이에 식도암 진단을 받은 환자들의 5년 생존율은 평균 20%였다.[92]

6. 4. 식도정맥류



간경변증 등으로 인한 문맥고혈압은 식도정맥류를 유발할 수 있으며, 파열 시 대량 출혈의 위험이 있다.[93][59][61][62] 식도정맥류는 식도 아래쪽 1/3에서 홀정맥의 가지들이 부어오르고 꼬이는 질환이다.[28] 이 혈관들은 문맥압항진이 발병하면 간문맥의 가지들과 문합하게 된다. 이때 혈관들은 정상보다 부어오르면서 최악의 경우 식도를 부분적으로 막게 된다. 문맥고혈압은 간경화증과 같은 간질환에 의해 발생하는데, 문맥고혈압이 생기면 의 혈액을 다시 들이기 위해 곁순환이 생기게 된다. 혈관이 부어오르는 것은 이런 곁순환 형성의 일부이다.[5] 곁순환이 생기는 것은 식도 아래쪽 부분의 혈액은 간문맥의 가지인 왼위정맥으로 나가기 때문이다. 문맥고혈압이 발생하면 왼위정맥에서의 혈액 이동 방향이 반대가 되면서 간문맥계의 혈액이 정맥얼기를 통해 나가게 된다. 정맥얼기의 정맥들은 이로 인해 붓고 정맥류가 발생한다.[17][6]

식도정맥류는 파열되기 전까지는 아무 증상이 없는 경우가 자주 있다. 파열된 정맥류는 대량의 출혈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응급 상황으로 간주된다. 출혈이 일어난 정맥류는 토혈이나 쇼크를 유발할 수 있다. 파열된 정맥류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출혈이 생긴 혈관 주변을 묶거나 출혈 부위에 소량의 응고제를 투여할 수 있다. 또한 외과의는 상처를 막기 위해 작은 부풀릴 수 있는 풍선을 이용하여 압력을 가할 수도 있다. 너무 많은 혈액을 잃어 저혈량증이 생기는 것을 막기 위해 IV 수액이나 혈액제제를 사용하기도 한다.[5]

6. 5. 운동성 장애

식도로 내려가는 음식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장애들은 음식물 통과를 방해하고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식도이완불능증은 아래식도조임근이 제대로 이완되지 못하는 질환으로, 식도가 계속 비대해져 거대식도증을 유발할 수 있다.[95] 호두까기식도는 꿈틀운동 시 식도 평활근 수축이 강해져 삼킴 시 극심한 통증을 유발한다.[94] 광범위식도연축은 식도의 연축으로 흉통의 원인이 되며, 가슴벽 위쪽에서의 연관통은 식도질환에서 흔하게 나타난다.[95] 전신피부경화증이나 CREST 증후군 등에서 나타나는 식도의 경화는 식도 벽을 딱딱하게 만들어 꿈틀운동을 방해할 수 있다.[59]

6. 6. 기형

식도에 발생하는 가장 흔한 선천성 기형에는 식도폐쇄증기관식도샛길이 있다.[97] 식도폐쇄증은 식도가 위로 이어지지 않고 끝나는 질환이고, 기관식도샛길은 기관과 식도 사이에 비정상적인 연결 통로가 생기는 질환이다.[97] 두 기형은 보통 함께 나타나며[97] 출생아 3500명당 1명 꼴로 발병한다.[98] 이 중 절반 정도는 (특히 심장이나 팔다리의) 다른 기형이 함께 존재하는 경우 증후군의 일부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나머지 경우에서는 식도 기형만 단일로 나타난다.[99]

7. 관련 진단법

내시경초음파 검사에서 발견된 식도의 종괴.


식도 질환 진단에는 다양한 검사 방법이 사용된다. 바륨을 이용한 X선 검사로 식도의 크기, 모양, 종괴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5] 내시경을 식도에 삽입하여 영상을 얻는 방법도 있으며, 위내시경 검사 시 카메라는 식도를 통과한다.[59] 상부위장관내시경은 식도, 위, 샘창자를 진단하는 기법이며, 내시경 검사 중 식도 점막 생검을 시행할 수 있다.[59] CT 스캔은 식도암 진단에 사용되는 또 다른 방법이다.[59]

식도 통과 영상 검사는 방사성 의약품을 섭취 후 촬영하여 식도 운동 기능을 평가하고, 운동 이상증 진단 및 치료 효과를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100] 이 검사는 위 식도 역류병을 비침습적으로 빠르게 진단할 수 있으며 높은 민감도를 보인다.[101]

24시간 식도 산도 검사, 다채널 관강내 임피던스 검사(MII), 초음파 검사 등도 위 식도 역류병 진단에 널리 사용된다.[102] MII 검사는 식도 내강 덩어리로 인한 전류 저항 변화를 이용하여 식도 기능과 위 식도 역류를 평가한다.[103] MII 검사로 역류 물질의 조성(기체, 액체, 혼합)을 파악할 수 있다.[104] 식도 산도 검사와 MII를 함께 사용하면(MII-pH)[103] 역류 물질의 구성 성분, pH 등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105] 산성 및 비산성 물질 역류를 모두 탐지 가능하다.[103][106]

엔도플립(EndoFLIP)은 고해상도 임피던스 면적측정을 이용, 식도 압력 변화, 직경, 부피를 측정하여 식도 내강의 삼차원 영상을 제공한다. 내강 단면적과 압력 측정을 통해 식도 팽창능을 측정하여 식도 벽 긴장도나 위식도접합부 운동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107] 삼킴장애는 엔도플립의 적응증 중 하나이며,[108] 식도이완불능증에서 이완 압력이 정상이거나 낮은 경우에 효과적이다.[112]

호두까기식도 환자의 식도내압검사. 180mmHg를 넘는 높은 꿈틀운동 압력과 6초를 넘는 긴 수축파가 나타난다.


식도내압검사는 위식도조임근, 식도 몸통, 아래식도조임근의 운동 기능을 평가한다.[109] 압력 감지 관을 코를 통해 식도, 위까지 삽입 후 천천히 빼내면서 침을 삼키게 하고, 이때 관의 여러 부분에서 식도 압력을 측정한다.[110] 이 검사로 식도이완불능증, 광범위식도연축, GERD, 호두까기식도 등을 진단할 수 있다.[110][111] 고해상도 내압 검사 시 액체 등을 삼키게 하는 스트레스 유발 검사는 진단율을 높인다.[112]

8. 역사

식도는 영어로 'Esophagus'(영국 영어로는 'oesophagus')라고 불리며, 이는 그리스어 단어 οἰσοφάγοςel ()에서 유래했다. 이 단어는 '운반하다'라는 뜻의 'eosin'과 '먹다'라는 뜻의 'phagos'라는 두 어근에서 왔다.[113] 'Oesophagus'라는 단어는 적어도 히포크라테스 시대부터 해부학 문헌에 기록되었으며, 그는 "식도(oesophagus)는... 우리가 먹는 것 중 많은 양을 받는다"라고 언급했다.[114] 로마 제국의 박물학자 가이우스 플리니우스 세쿤두스는 다른 동물에도 식도가 존재하며 식도가 위와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기록했다.[115] 식도의 꿈틀운동은 적어도 갈레노스 시대부터 기록되었다.[116] 이후 1543년 안드레아스 베살리우스는 "De Humani Corporis Fabrica"에서 최초로 소화계, 특히 상부 위장관의 해부학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다.[120]

19세기에 들어 식도 수술이 발전하기 시작했다. 1871년 테오도어 빌로트가 개를 대상으로 처음 식도 수술을 수행하였고, 1877년에는 빈센츠 체르니가 사람을 대상으로 수술을 진행했다.[119] 1908년에는 뵈클레르(Voeckler)가 배를 통해 들문의 종양으로 접근하여 식도위절제술(esophagogastrectomy)을 시행했다.[119] 1913년 레녹스힐 병원의 프란츠 토렉(Franz Torek)은 가슴을 통한 식도절제술을 처음으로 성공했다.[120][121] 식도암을 앓고 있던 해당 환자는 수술 이후 13년 더 생존했다.[121] 1946년에는 아이버 루이스(Ivor Lewis)가 배와 오른쪽 가슴으로 동시에 접근하여 오른쪽 가슴에 위치한 홀정맥 높이 근처의 병변을 절제하는 새로운 수술을 진행했다.[119][122] 21세기 들어서는 환자의 수술 이후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최소 침습 식도절제술(minimally invasive esophagectomy, MIE)이 발달하기 시작했다.[123] 1955년 루돌프 니센은 아래식도조임근 주변을 위로 감싸서 조임근 기능을 향상시키고 위산 역류를 조절하는 니센 위바닥주름술을 처음 수행했다.[119]

한편, 중국에서는 목구멍이 음식물이 지나다니는 통로인 인(咽)과 공기가 지나다니는 통로인 후(喉)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았다. 이 때 인은 입이나 위와 별개의 기관으로 구분하여 인식하였다.[117] 조선에서도 이와 같은 방식의 분류방법을 사용했다. 《동의보감》 역시 식도를 인, 기도를 후로 구분하여 표기하였다.[118]

9. 다른 동물들에서

네발동물은 어류보다 인두가 훨씬 짧고 그에 따라 식도는 더 길다. 대부분의 척추동물에서 식도는 단순히 연결을 위한 관 구조지만, 일부 조류에서는 새끼들에게 먹이를 주기 위해 음식물을 되새김질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조류들의 식도 아래쪽 끝에서는 모이주머니가 형성되어 진위(true stomach)로 들어가기 전에 음식물을 보관한다.[131][124] 네 개의 위를 가진 반추동물의 경우 식도에서 종종 그물고랑(sulcus reticuli)이라는 고랑이 발견된다. 그물고랑은 주름위로 젖이 곧바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125] 의 식도는 대략 1.2 ~ 1.5m로 음식을 위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들문조임근(cardiac sphincter)이라는 근육성 고리가 위를 식도와 연결한다. 이 조임근은 말에서 매우 잘 발달되어 있으며, 식도가 위와 비스듬히 연결되어 있다는 점을 통해 말이 구토를 할 수 없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126]

[[파일:null|thumb|200px|왼쪽 아래|뱀의 해부도.


  • 1. 식도
  • 2. 기관
  • 3. 기관지 폐
  • 4. 흔적 좌폐
  • 5. 우폐
  • 6. 심장
  • 7. 간
  • 8. 위
  • 9. 기낭
  • 10. 담낭
  • 11. 이자
  • 12. 비장
  • 13. 장
  • 14. 고환
  • 15. 신장

]]

뱀의 위장관계는 조류나 포유류, 다른 파충류와 비교해도 확실히 구별된다.[128] 뱀의 식도는 그 길이가 길어 몸 전체 길이의 절반에 이를 정도이며, 다른 파충류의 식도에 비해 내강의 주름이 많다.[129] 뱀은 먹잇감을 삼킬 때 식도를 팽창시키는데,[130] 식도의 주름은 큰 먹잇감을 통째로 삼킬 수 있게 해준다.[129]

대부분의 어류에서 식도는 매우 짧은데, 이는 주로 아가미와 관련되어 있는 인두가 길기 때문이다. 그러나 칠성장어목, 은상어목, 폐어류 등 일부 어류는 진위가 없으므로 식도가 인두에서 창자로 직행하여 긴 식도를 가진다.[131] 경골어류의 식도에서는 수동적·능동적으로 삼킨 바닷물의 Na+와 Cl, 즉 염분을 제거하여 물의 삼투압농도를 낮추면서 창자에서 물이 흡수되기 쉽게 만든다.[132]

많은 척추동물들의 식도에는 샘이 없으며 중층편평상피로 둘러싸여 있다. 어류의 식도는 종종 원주상피로 둘러싸여 있으며[124] 양서류, 상어, 가오리 등의 식도 상피는 섬모를 가지고 있어 음식을 씻어내고 근육의 꿈틀운동에 도움을 준다.[131] 한편 토끼박쥐(''Plecotus auritus''), 어류, 일부 양서류에서는 식도의 샘이 펩시노겐이나 염산을 분비하는 것이 관찰되기도 한다.[124]

많은 포유류의 식도 근육은 처음에는 횡문근이다가 꼬리쪽 1/3쯤에서 평활근이 된다. 그러나 개과나 반추동물의 경우 식도 근육 전체가 평활근이다. 이를 통해 (개의 경우) 새끼에게 먹이를 주거나 (반추동물의 경우) 먹이를 소화시키기 위해 되새김질을 할 수 있게 된다. 반면 양서류, 파충류, 조류의 식도 근육은 모두 평활근이다.[124]

일반적인 생각과 달리[133] 성인의 몸은 직경이 10cm 이하인 고래의 식도를 통과할 수 없다. 수염고래와 같은 더 큰 고래의 식도가 완전히 팽창하면 직경이 25cm에 이를 수 있다.[134]

[[파일:https://cdn.onul.works/wiki/source/195003d057b_715074f4.svg|thumb|279px|1. '''담관''' :


2. 간내 담관


3. 좌우 간관


4. 총간관


5. 담낭관


6. 총담관


7. 바터팽대


8. 대십이지장유두


9. 담낭


10~11. 우엽 및 좌엽 간


12. 비장


13. 식도


14. 위


15. '''췌장''' :


16. 부췌관


17. 췌관


18. '''소장''' :


19. 십이지장


20. 공장


21~22. 우측 및 좌측 콩팥


간의 전연이 위로 들어 올려져 있습니다.(갈색 화살표)[38]

]]

구강과 위를 연결하는 같은 이름의 구조물이 연체동물이나 절지동물 등의 무척추동물에서도 종종 발견된다.[135] 달팽이나 민달팽이의 소화계에서 입은 식도를 통해 위로 연결된다. 유생 발달 동안 몸체가 몸통이 회전(비틀림)하면서 식도는 보통 위 주변을 지나 위의 뒤쪽으로 열리게 되는데, 이는 입에서 가장 먼 지점이다. 그러나 비틀림이 풀리는 과정(detorsion)을 겪는 종들의 경우 식도가 위의 앞쪽으로 열려 일반적인 복족류에서의 배열과 반대로 배열되기도 한다.[136] 모든 육식성 달팽이와 민달팽이의 식도 앞에는 큰 이마뿔이 존재한다.[137] 민물에 사는 달팽이 종인 ''Tarebia granifera''는 식도 위에 알 주머니를 가지고 있다.[138]

두족류의 경우 종종 뇌가 식도를 둘러싸고 있는 경우가 있다.[139]

참조

[1] LPD
[2] 웹사이트 Thanksgiving Tales From the Emergency Room https://abcnews.go.c[...] 2016-11-24
[3] 서적 Neuroscience Sinauer 2011
[4] 서적 Gray's anatomy for students Elsevier/Churchill Livingstone
[5] 서적 Davidson's Principles and Practice of Medicine https://archive.org/[...] Churchill Livingstone/Elsevier
[6] 학술지 Surgery of the esophagus. Anatomy and physiology. 1997-10
[7] 서적 Gray's anatomy for students Elsevier/Churchill Livingstone
[8] 학술지 Adult human upper esophageal sphincter contains specialized muscle fibers expressing unusual myosin heavy chain isoforms 2007-03
[9] 학술지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10] 학술지 Esophageal peristalsis http://www.nature.co[...] 2014-05-24
[11] 백과사전 Stedman's Concise Medical and Allied Health Dictionary Williams and Wilkins
[12] 서적 Gastrointestinal disease : an endoscopic approach Slack
[13] 서적 High-yield imaging Saunders/Elsevier 2010
[14] 서적 Essential Clinical Anatomy https://archive.org/[...]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5] 서적 Gastrointestinal physiology Mc Graw Hill.
[16] 서적 Specialist Training in Gastroenterology and Liver Disease Elsevier Mosby
[17] 학술지 Esophagus – anatomy and development http://www.nature.co[...] 2006
[18] 서적 Histology: A Text and Atlas https://archive.org/[...]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9] 서적 Pathology of the esophagus an . Springer Verlag 2007
[20] 서적 Wheater's functional histology: a text and colour atlas https://archive.org/[...] Churchill Livingstone/Elsevier 2006
[21] 서적 Larsen's human embryology Churchill Livingstone/Elsevier
[22] 서적 Textbook of medical physiology W.B. Saunders
[23] 웹사이트 Neuromuscular Anatomy of Esophagus and Lower Esophageal Sphincter - Motor Function of the Pharynx, Esophagus, and its Sphincters - NCBI Bookshelf https://www.ncbi.nlm[...] Ncbi.nlm.nih.gov 2013-04-24
[24] 웹사이트 The human proteome in esophagus - The Human Protein Atlas https://www.proteina[...] 2017-09-22
[25] 학술지 Tissue-based map of the human proteome 2015-01-23
[26] 학술지 Expression of Human Skin-Specific Genes Defined by Transcriptomics and Antibody-Based Profiling 2014-11-19
[27] 학술지 Epidemiology and risk factors for eosinophilic esophagitis: lessons for clinicians https://pubmed.ncbi.[...] 2020-11
[28] 서적 Dorland's illustrated medical dictionary Saunders/Elsevier 2012
[29] 서적 Neuroscience Sinauer 2011
[30] 서적 Human embryology Churchill Livingstone 2001
[31] 학술지 esophageal atresia, tracheo-esophageal fistula, and the VACTERL association: review of genetics and epidemiology 2005-11-18
[32] 학술지 An overview of isolated and syndromic oesophageal atresia. 2007-05
[33] 웹사이트 Esophagus http://www.etymonlin[...] 2014-03-19
[34] 서적 Coan prenotions.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35] 서적 The natural history of Pliny https://archive.org/[...] H. G. Bohn
[36] 서적 On the natural faculties http://classics.mit.[...] W. Heinemann
[37] 서적 Surgery : basic science and clinical evidence https://archive.org/[...] Springer
[38] 서적 Gray's anatomy : the anatomical basis of clinical practice Churchill Livingstone 2008
[39] 서적 Comparative physiology of the vertebrate digestive system Cambridge University Press
[40] 저널 Mutualistic Fermentative Digestion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Diversity and Evolution 2002-04-01
[41] 서적 Horse Owner's Veterinary Handbook https://archive.org/[...] Howell Book House
[42] 저널 A model of the anterior esophagus in snakes, with functional and developmental implications 2014-03
[43] 서적 The Vertebrate Body Holt-Saunders International
[44] 뉴스 Could a Whale Accidentally Swallow You? It Is Possible http://www.smithsoni[...] 2013-02-20
[45] 서적 Whal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E.J. Brill
[46] 저널 Development of the insect stomatogastric nervous system 1997-09
[47] 서적 Invertebrate Zoology Holt-Saunders International
[48] 저널 A first record of a terrestrial mollusc without a radula
[49] 간행물 The occurrence, bionomics and potential impacts of the invasive freshwater snail ''Tarebia granifera'' (Lamarck, 1822) (Gastropoda: Thiaridae) in South Africa http://www.zoologisc[...] 2009
[50] 서적 The nervous systems of invertebrates : an evolutionary and comparative approach Birkhäuser
[51] 웹사이트 Physiology at MCG http://www.lib.mcg.e[...]
[52] 서적 カラー図解 人体の正常構造と機能 Ⅲ 消化管 日本医事新報社 2000-08-30
[53] 웹사이트 화농성육아종 및 식도 발생 증례 보고
[54] 서적 生物学 - 分子が語る生命のからくり 朝倉書店 1998-10-10
[55] 문서 LPD
[56] 웹인용 Thanksgiving Tales From the Emergency Room https://abcnews.go.c[...] 2016-11-24
[57] 서적 Neuroscience Sinauer 2011
[58] 서적 Gray's anatomy for students https://archive.org/[...] Elsevier/Churchill Livingstone
[59] 서적 Davidson's Principles and Practice of Medicine https://archive.org/[...] Churchill Livingstone/Elsevier
[60] 문서
[61] 저널 Esophagus – anatomy and development http://www.nature.co[...] 2006
[62] 저널 Surgery of the esophagus. Anatomy and physiology. 1997-10
[63] 서적 Gray's anatomy for students Elsevier/Churchill Livingstone
[64] 서적 Esophageal Perforation And Tears http://www.ncbi.nlm.[...]
[65] 웹인용 Normal X-ray anatomy of the esophagus https://m.iliveok.co[...] 2023-05-18
[66] 저널 Functional anatomy and physiology of the upper esophageal sphincter https://www.amjmed.c[...] 2000-03-06
[67] 저널 Transient Lower Esophageal Sphincter Relaxation and the Related Esophageal Motor Activities https://synapse.kore[...] 2012-03-21
[68] 저널 Adult human upper esophageal sphincter contains specialized muscle fibers expressing unusual myosin heavy chain isoforms 2007-03
[69] 저널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70] 저널 Esophageal peristalsis http://www.nature.co[...] 2006
[71] 저널 Esophageal Sensation and Esophageal Hypersensitivity - Overview From Bench to Bedside https://www.ncbi.nlm[...] 2010-10
[72] 백과사전 Stedman's Concise Medical and Allied Health Dictionary Williams and Wilkins
[73] 서적 Gastrointestinal disease : an endoscopic approach https://archive.org/[...] Slack
[74] 서적 High-yield imaging Saunders/Elsevier 2010
[75] 서적 Essential Clinical Anatomy https://archive.org/[...]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76] 서적 Gastrointestinal physiology Mc Graw Hill.
[77] 서적 Specialist Training in Gastroenterology and Liver Disease https://archive.org/[...] Elsevier Mosby
[78] 서적 Histology: A Text and Atlas https://archive.org/[...]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79] 서적 Pathology of the esophagus an . Springer Verlag 2007
[80] 서적 Wheater's functional histology: a text and colour atlas https://archive.org/[...] Churchill Livingstone/Elsevier 2006
[81] 서적 Larsen's human embryology https://archive.org/[...] Churchill Livingstone/Elsevier
[82] 서적 Embryology, Esophagus http://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2
[83] 문서 인두
[84] 서적 Textbook of medical physiology W.B. Saunders
[85] 웹인용 Neuromuscular Anatomy of Esophagus and Lower Esophageal Sphincter - Motor Function of the Pharynx, Esophagus, and its Sphincters - NCBI Bookshelf https://www.ncbi.nlm[...] Ncbi.nlm.nih.gov 2013-03-25
[86] 웹인용 The human proteome in esophagus - The Human Protein Atlas https://www.proteina[...] 2017-09-22
[87] 저널 Tissue-based map of the human proteome 2015-01-23
[88] 저널 Expression of Human Skin-Specific Genes Defined by Transcriptomics and Antibody-Based Profiling 2014-11-19
[89] 저널 Epidemiology and risk factors for eosinophilic esophagitis: lessons for clinicians https://pubmed.ncbi.[...] 2020-11
[90] 저널 Barrett's oesophagus 2009-03
[91] 저널 The molecular biology of esophageal adenocarcinoma 2005-12
[92] 웹인용 Survival Rates for Esophageal Cancer https://www.cancer.o[...] 2022-08-09
[93] 서적 Dorland's illustrated medical dictionary Saunders/Elsevier 2012
[94] 저널 Nutcracker esophagus: demographic, clinical features, and esophageal tests in 115 patients https://pubmed.ncbi.[...] 2015-01
[95] 서적 Neuroscience Sinauer 2011
[96] 저널 Oesophageal atresia 2007-05
[97] 서적 Human embryology https://archive.org/[...] Churchill Livingstone 2001
[98] 저널 esophageal atresia, tracheo-esophageal fistula, and the VACTERL association: review of genetics and epidemiology 2005-11-18
[99] 저널 An overview of isolated and syndromic oesophageal atresia. 2007-05
[100] 웹인용 핵의학 식도 통과 영상 검사- Esopageal scan https://www.amc.seou[...] 2023-02-02
[101] 저널 Radionuclide studies of esophageal transit and gastroesophageal reflux https://www.scienced[...] 1982-04-01
[102] 저널 Gastroesophageal reflux scintigraphy: interpretation methods and inter-reader agreement https://doi.org/10.1[...] 2011-08-07
[103] 저널 Multichannel intraluminal impedance in esophageal function testing and gastroesophageal reflux monitoring https://pubmed.ncbi.[...] 2003-09
[104] 저널 Multichannel intraluminal impedance accurately detects fasting, recumbent reflux events and their clearing https://www.physiolo[...] 2002-08-01
[105] 서적 Esophageal pH Monitoring http://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2
[106] 저널 Esophageal testing: What we have so far https://www.ncbi.nlm[...] 2016-02-15
[107] 저널 EndoFLIP in the esophagus: assessing sphincter function, wall stiffness, and motility to guide treatment https://www.ncbi.nlm[...] 2020-09
[108] 저널 Emerging Roles of the Endolumenal Functional Lumen Imaging Probe in Gastrointestinal Motility Disorders https://www.jnmjourn[...] 2017-04-01
[109] 서적 GI/Liver Secrets Mosby 2022-01-08
[110] 웹인용 Esophageal manometry Information https://www.mountsin[...] 2023-02-02
[111] 웹인용 Esophageal Motility Study (EMS) or Esophageal Manometry https://www.mainline[...] 2023-02-02
[112] 저널 Diagnosis of Dysphagia: High Resolution Manometry & EndoFLIP https://www.kjg.or.k[...] 2021-02-25
[113] 웹인용 Esophagus http://www.etymonlin[...] 2014-03-19
[114] 서적 Coan prenotions.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115] 서적 The natural history of Pliny https://archive.org/[...] H. G. Bohn
[116] 서적 On the natural faculties http://classics.mit.[...] W. Heinemann
[117] 웹인용 인후(咽喉) http://herba.kr/403.[...] 2023-02-14
[118] 문서 동의보감 ‘신형장부도’
[119] 서적 Surgery : basic science and clinical evidence https://archive.org/[...] Springer
[120] 저널 History of esophagectomy for cancer of the esophagus and the gastroesophageal junction https://www.ncbi.nlm[...] 2021-05
[121] 서적 Transthoracic Resection of the Esophagus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22] 저널 The surgical treatment of carcinoma of the oesophagus with special reference to a new operation for growths of the middIe third.
[123] 저널 History of esophagectomy for cancer of the esophagus and the gastroesophageal junction https://www.ncbi.nlm[...] 2021-05
[124] 서적 Comparative physiology of the vertebrate digestive system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5] 저널 Mutualistic Fermentative Digestion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Diversity and Evolution 2002-04-01
[126] 서적 Horse Owner's Veterinary Handbook https://archive.org/[...] Howell Book House
[127] 웹인용 Choke in Horses https://vcahospitals[...] 2022-08-09
[128] 저널 Morphological study of the oesophagus and stomach of the Gopher snake Pituophis catenifer https://pubmed.ncbi.[...] 2011-08
[129] 웹인용 Digestive System of Snakes https://campus.murra[...] 2023-02-02
[130] 저널 A model of the anterior esophagus in snakes, with functional and developmental implications 2014-03
[131] 서적 The Vertebrate Body Holt-Saunders International
[132] 저널 Mechanisms of seawater acclimation in a primitive, anadromous fish, the green sturgeon https://doi.org/10.1[...] 2009-10-01
[133] 뉴스 Could a Whale Accidentally Swallow You? It Is Possible http://www.smithsoni[...] 2014-04-12
[134] 서적 Whal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E.J. Brill
[135] 저널 Development of the insect stomatogastric nervous system 1997-09
[136] 서적 Invertebrate Zoology Holt-Saunders International
[137] 저널 A first record of a terrestrial mollusc without a radula
[138] 저널 The occurrence, bionomics and potential impacts of the invasive freshwater snail ''Tarebia granifera'' (Lamarck, 1822) (Gastropoda: Thiaridae) in South Africa http://www.zoologisc[...]
[139] 서적 The nervous systems of invertebrates : an evolutionary and comparative approach Birkhäus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