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세르카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세르카레는 고대 이집트 제6왕조의 파라오로, 아비도스 왕 목록과 투린 왕 목록에 언급되어 있다. 그의 치세에 대한 기록은 부족하며, 두 개의 원통형 인장, 구리 망치 등의 유물이 발견되었지만, 그가 정당한 통치자였는지 찬탈자였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마네토는 테티가 암살당했다고 언급하며, 일부 학자들은 우세르카레가 테티의 암살에 연루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우세르카레의 무덤 위치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으며, 사카라 남부에 위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23세기 파라오 - 페피 2세
페피 2세는 6세에 이집트 파라오로 즉위하여 약 94년간 통치하며 고왕국의 쇠퇴, 지방 세력 부상, 중앙 정부 통제력 약화 등의 특징을 보였고, 어린 시절 어머니와 재상의 보좌를 받았으며, 사카라에 피라미드 단지를 건설했다. - 기원전 23세기 파라오 - 메렌레
메렌레는 이집트 제6왕조의 네 번째 파라오로, 페피 1세의 뒤를 이어 기원전 23세기 초에 통치했으며, 그의 치세 동안 지방 행정 발전, 하부 누비아 지역 외교 정책적 중요성 부각, 세 차례의 이집트 원정군 파견, 사카라 남쪽에 위치한 피라미드 단지 건설 등의 활동을 했다. - 기원전 24세기 이집트 - 이집트 제6왕조
이집트 제6왕조는 고왕국의 마지막 왕조로, 왕권 약화와 지방 귀족 성장이 두드러진 가운데 피라미드 텍스트 등장, 활발한 무역과 원정 활동 등의 특징을 보였으나, 쇠퇴 원인과 마지막 왕의 실존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다. - 기원전 24세기 이집트 - 이집트 제5왕조
이집트 제5왕조는 기원전 25세기부터 24세기에 걸쳐 약 150년간 이집트를 다스린 왕조로, 라 신 숭배 강화, 태양 신전 건설, 피라미드 텍스트 등장, 군사 활동 및 교역 등의 특징을 보인다. - 기원전 24세기 통치자 - 사르곤
사르곤은 기원전 24세기 메소포타미아 지역에 아카드 제국을 건설하고 수메르를 통일한 인물로, 다양한 기록과 전설을 통해 알려져 있으며, 34개의 도시를 통합하고 후대 왕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 기원전 24세기 통치자 - 테티
테티는 이집트 제6왕조의 파라오로, 내정 안정을 위해 결혼을 통해 세력을 억제하고 관료제 개혁을 시도했으며, 재위 13년 차에 암살당했다.
우세르카레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우세르카레 |
즉위명 (노멘) | Userkare (우세르카레) |
의미 | 라의 카는 강력하다 |
황금 이름 (골든 네임) | 추정: 비크위-누브 (Bikwy-nub) |
의미 | 두 마리의 황금 매 |
통치 | |
재위 기간 | 1년 ~ 5년 |
추정 재위 기간 | 기원전 2408년 ~ 기원전 2404년 기원전 2358년 ~ 기원전 2354년 기원전 2337년 ~ 기원전 2335년 기원전 2323년 ~ 기원전 2321년 기원전 2312년 ~ 기원전 2310년 기원전 2306년 ~ 기원전 2302년 기원전 2291년 ~ 기원전 2289년 기원전 2281년 ~ 기원전 2277년 기원전 2279년 ~ 기원전 2276년 기원전 2270년 ~ 기원전 2265년 |
왕조 | |
왕조 | 제6왕조 |
가족 관계 | |
선대 파라오 | 테티 |
후대 파라오 | 페피 1세 |
아버지 | 불확실, 테티일 가능성 있음 |
어머니 | 불확실, 쿠이트일 가능성 있음 |
2. 역사적 기록
우세르카레는 테티의 뒤를 이어 파라오에 즉위했지만, 그의 통치는 짧았고 역사적 기록도 많지 않다.
사카라 남부 석비는 제6왕조 시대의 왕실 연대기로, 메렌레 넴티엠사프 1세 또는 페피 2세 치세에 작성되었다. 이 석비에는 우세르카레의 통치에 대한 기록이 있었으나, 석비가 석관 뚜껑으로 재사용되면서 내용 대부분이 손실되었다. 그러나 테티와 페피 1세 통치 기록 사이에 있는 공간과 왕실 칭호 흔적을 통해 우세르카레가 2년에서 4년 동안 통치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확실한 동시대 기록은 매우 적다. 그의 이름과 칭호가 새겨진 원통형 인장 두 개[1]와 구리 망치[2]가 있다. 구리 망치에는 상 이집트 제10 노메인 와제트에서 온 "우세르카레의 사랑받는 자"라는 노동자 팀 이름이 새겨져 있다.
시리아에서 발견된 구리 도끼 머리가 우세르카레의 것일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1] 이 도끼에는 "두 개의 황금 매의 사랑받는 자"라는 노동자 집단 이름이 새겨져 있는데, 이는 파라오의 황금 호루스 이름을 뜻할 수 있다.[2]
플린더스 페트리는 와디 함마마트에서 발견된 암석 비문에 언급된 '이티'라는 왕을 우세르카레와 동일시했지만, 이는 현재 추측으로 간주된다.
2. 1. 아비도스 왕 목록
우세르카레는 아비도스 왕 목록에 등장하는데, 이 목록은 제19왕조 세티 1세(기원전 1290~1279년) 통치 기간에 기록된 것으로, 제6왕조보다 1000년 이상 이후에 작성되었다. 우세르카레의 카르투슈는 목록의 35번째 항목에 있으며, 테티와 페피 1세 사이에 위치하여 왕조의 두 번째 파라오임을 나타낸다.[1] 우세르카레는 람세스 2세(기원전 1279~1213년) 통치 기간에 작성된 투린 왕 목록에도 등재되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파피루스의 네 번째 열 두 번째 줄에 큰 결락이 있어 우세르카레의 이름이 있었을 부분은 손실되었다.[2]2. 2. 투린 왕 목록
람세스 2세(기원전 1279~1213년) 통치 기간에 작성된 투린 왕 목록에 우세르카레가 등재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불행히도, 목록이 기록된 파피루스의 네 번째 열의 두 번째 줄에 큰 결락이 존재하여, 우세르카레의 이름이 위치했을 가능성이 있는 부분이 손실되었다.[1]2. 3. 동시대 기록
우세르카레에 대한 동시대 기록은 많지 않다. 확실한 증거는 그의 이름과 칭호가 새겨진 원통형 인장 두 개[1]와 구리 망치[2]뿐이다. 구리 망치에는 상 이집트 제10 노메인 와제트에서 온 "우세르카레의 사랑받는 자"라는 노동자 팀 이름이 새겨져 있다.사카라 남부 석비에도 우세르카레 통치에 대한 기록이 있었으나, 석비가 석관 뚜껑으로 재사용되면서 내용 대부분이 손실되었다. 그러나 테티와 페피 1세 통치 기록 사이에 있는 공간과 왕실 칭호 흔적을 통해 우세르카레가 2년에서 4년 동안 통치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시리아에서 발견된 구리 도끼 머리가 우세르카레의 것일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1] 이 도끼에는 "두 개의 황금 매의 사랑받는 자"라는 노동자 집단 이름이 새겨져 있는데, 이는 파라오의 황금 호루스 이름을 뜻할 수 있다.[2]
플린더스 페트리는 와디 함마마트에서 발견된 암석 비문에 언급된 '이티'라는 왕을 우세르카레와 동일시했지만, 이는 현재 추측으로 간주된다.
2. 3. 1. 확실한 증거
우세르카레 시대의 유물은 거의 남아있지 않다. 그의 치세와 동시대의 확실한 증거는 그의 이름과 칭호가 새겨진 두 개의 원통형 인장[1]과 마이클리데스 컬렉션에서 나온 구리 망치뿐이다.[2] 이 망치에는 아시우트 남쪽, 테부 주변에 위치한 상 이집트 제10 노메인 와제트에서 온 "우세르카레의 사랑받는 자"라는 노동자 팀의 이름이 새겨진 작은 비문이 있다.메렌레 넴티엠사프 1세 또는 페피 2세 치세에 해당하는 제6왕조의 왕실 연대기인 거의 동시대의 사카라 남부 석비에서도 우세르카레의 통치에 대한 세부 사항이 한때 언급되었다. 불행히도, 석비가 석관 뚜껑으로 재사용하기 위해 거칠게 연마되면서 원래 텍스트의 약 92%가 손실되었다. 이는 아마도 제1중간기 후기(기원전 2160–2055년경)에서 이집트 중왕국 초기(기원전 2055–1650년경)에 일어난 일로 추정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세르카레의 존재는 테티와 페피 1세의 통치에 관한 부분 사이의 넓은 공간과 이 공간에 있는 왕실 칭호의 흔적을 통해 추론할 수 있다. 우세르카레의 활동을 보고하는 텍스트는 유실되었지만, 그 길이를 볼 때 우세르카레는 2년에서 4년 동안 이집트를 통치했을 것으로 보이며, 전자가 후자보다는 덜 가능성이 높게 여겨진다.
2. 3. 2. 불확실한 증거
프랑스 이집트학자 미셸 보와 바실 도브레프는 시리아에서 발견된 구리 도끼 머리가 우세르카레의 것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1] 이 도끼에는 "두 개의 황금 매의 사랑받는 자"라는 또 다른 노동자 집단의 이름이 새겨져 있었는데, 여기서 "두 개의 황금 매"는 파라오의 황금 호루스 이름을 뜻한다. 쿠푸와 사후레 모두 이 이름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둘 중 하나가 도끼의 소유자일 수 있지만,[2] 보와 도브레프는 테티와 페피의 황금 호루스 이름이 각각 "결합하는 황금 매"와 "세 개의 황금 매"라고 언급했다. 고왕조 시대에 왕의 권력 전승의 상징으로서 황금 호루스 이름의 역할을 고려할 때, 도브레프는 테티의 이름과 페피의 이름 사이의 누락된 고리가 "두 개의 황금 매"라는 이름이며, 이는 논리적으로 우세르카레의 짧은 통치 기간과 일치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결과적으로 이 도끼는 그의 통치를 증명하는 증거가 될 수 있다.영국 이집트학자 플린더스 페트리는 와디 함마마트에서 발견된 단 하나의 암석 비문에 의해 증명된 이티라는 이름의 왕을 잠정적으로 우세르카레와 동일시했다. 이 비문은 이티의 통치 첫해로 추정되며, 감독관 이히엠사프와 이레나케트의 지휘 아래 와디 함마마트로 보내져 이티의 피라미드 "바우 이티"를 건설하기 위해 돌을 수집한 200명의 선원과 200명의 석공 집단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바우 이티"는 "이티의 영광"을 의미한다. 페트리가 우세르카레를 이티와 동일시한 것은 비문을 제6왕조로 추정하고 우세르카레가 이 시대에 완전한 왕칭이 알려지지 않은 유일한 왕이라는 사실에만 근거한다. 이러한 동일시는 현재 추측으로 간주되며, 이티에 대해 여러 제1중간기 날짜가 제안되었다.
2. 4. 사카라 남부 석비
우세르카레는 테티의 아들로 태어났다. 기원전 2333년경, 테티의 호위병들과 함께 테티 암살 계획을 세웠고, 이 계획은 성공하여 아버지 테티를 살해했다.[1]이후 우세르카레는 계획대로 파라오에 즉위하여 통치했지만, 정권 안정을 이루는 데 실패했다. 결국 그는 1년도 채 안 되어 형 페피 1세에 의해 왕위를 잃었다.[1]
3. 통치와 논란
우세르카레의 통치 기간은 짧았던 것으로 보이며, 그와 관련된 유물이나 기록이 매우 드물다.[1] 그의 선왕 및 후왕과의 관계는 불분명하여, 이집트학자들은 그의 정체성과 통치에 대해 여러 가설을 제시했다. 이 가설들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우세르카레를 정당한 통치자 또는 섭정으로 보는 것이고,[2] 다른 하나는 우세르카레를 찬탈자로, 그의 선왕 테티 살해의 책임자로 보는 것이다.
일설에 따르면 우세르카레는 전 왕 테티의 아들로, 기원전 2333년경 테티의 호위병들과 함께 테티 암살 계획을 세워 실행에 옮겼다고 한다. 우세르카레는 파라오로 즉위했지만, 정권은 불안정했고 1년도 채 되지 않아 형 페피 1세에게 왕위를 빼앗겼다.
3. 1. 통치 기간
미셸 보(Michel Baud)에 따르면, 우세르카레 시대의 기념물, 유물 및 문서가 거의 없다는 것은 그의 통치 기간이 짧았음을 시사한다.[1] 이 때문에 그의 선임자 및 후임자와의 관계는 불확실하며, 이집트학자들은 그의 정체성과 통치에 대해 여러 가설을 제시했다. 이 가설들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우세르카레를 정당한 통치자 또는 섭정으로 보는 것이고,[2] 다른 하나는 우세르카레를 찬탈자로, 그의 선임자 테티 살해의 책임자로 보는 것이다.우세르카레는 전 왕 테티의 아들로, 기원전 2333년경 테티의 호위병들과 함께 아버지를 살해하는 계획을 세웠고, 이 계획은 성공했다. 우세르카레는 계획대로 파라오에 즉위하여 통치했지만, 정권 안정을 이루는 데 실패했다. 결국 그는 1년도 채 안 되어 형 페피 1세에게 왕위를 빼앗겼다.
3. 2. 테티 암살 연루설

기원전 3세기 프톨레마이오스 2세 (기원전 283–246년) 통치 기간에 이집트의 역사를 저술한 이집트 사제 마네토는 ''아이깁티아카''에서 테티의 헬레니즘화된 이름인 오토에스가 그의 경호원이나 시종에게 살해당했다고 언급했다.[1] 이집트학자들은 이 진술을 근거로 우세르카레가 테티 암살에 연루되었거나 적어도 이득을 보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이는 우세르카레가 ''아이깁티아카''에 언급되지 않았음에도 나온 추론이다.[2] 우세르카레의 이름은 신을 숭배하는 이름이며 태양신 라의 이름을 포함하는데, 이는 앞선 이집트 제5왕조에 흔했던 작명 방식이다. 일부 이집트학자들은 테티가 제5왕조 마지막 왕 우나스의 아들이 아니었기 때문에 우세르카레가 쿠데타로 잠시 권력을 잡은 제5왕조 왕족의 방계 후손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
이집트학자 나기브 카나와티는 우세르카레가 단명한 합법적인 통치자 또는 섭정이었다는 가설을 "설득력이 없다"고 생각한다. 실제로 고고학적 증거는 우세르카레가 그의 후계자 페피 1세에게 정당하지 않은 왕으로 인식되었다는 생각을 뒷받침한다. 특히 테티와 페피 1세 모두를 섬겼던 많은 이집트 관료들의 무덤과 연대기에는 우세르카레에 대한 언급이 없다. 테티와 페피 1세 모두를 섬겼던 재상 이누민과 켄티카는 우세르카레에 대해 완전히 침묵하고 있으며, 우세르카레가 왕위에 있었던 기간 동안 그들의 활동은 무덤에 기록되지 않았다. 테티, 우세르카레, 페피 아래에서 살았던 경비병 메히의 무덤에서는 테티의 이름이 먼저 지워지고 다른 왕의 이름으로 대체되었으며, 그 이름 또한 지워지고 다시 테티의 이름으로 대체되었다는 비문이 발견되었다. 카나와티는 그 사이에 있던 이름이 우세르카레의 이름이었으며, 메히가 그에게 충성을 바쳤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메히가 테티에게로 다시 돌아가려는 시도는 실패한 것으로 보이는데, 그의 무덤 작업이 갑자기 중단되었고 그가 그곳에 묻히지 않았다는 증거가 있다.
테티 아래에서 경력을 시작하여 최고위직까지 올라 재상이 된 "낮은" 관리이자 측근인 메레프네베프의 마스타바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발견된다. 이 무덤은 뚜렷한 건설 단계를 보여주는데, 가장 최근 단계는 메레프네베프가 재임한 기간에 해당하며, 이 기간 동안 메레프네베프는 무덤 외부에 자신의 칭호를 반복적으로 새겨 넣었다. 이후 무덤 공사는 갑자기 중단되었는데, 이는 메레프네베프의 죽음 또는 우세르카레의 죽음 이후 그의 정치적 몰락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나중에 메레프네베프의 아들 중 한 명이 마스타바에 개입하여 그의 형제들의 모습을 조각해내고, 특히 "왕에게 존경받는 자"라는 그의 아버지의 칭호를 "왕"이라는 단어를 지우거나 심지어 "사막"이라는 단어로 대체하여 변경했다. 마지막으로, 미완성된 마스타바는 시야에서 숨겨지도록 의도적으로 벽으로 막혔다. 이 무덤을 발굴한 카롤 미실리비에츠는 이를 통해 "메레프네베프의 경력에서 가장 수치스러운 순간, 즉 (아마도) 찬탈자 우세르카레에 의해 재상으로 승진한 사실이 여러 세대에 걸쳐 분명히 기억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한다. 이집트학자 피터 J. 브랜드는 우세르카레 치하에서 낮은 계급의 관리들이 최고위직으로 승진하고 페피 1세 치하에서 강등되는 더 넓은 패턴의 한 사례로 본다는 점에서 미실리비에츠와 의견을 같이 한다.
미셸 보드는 우세르카레가 완전히 합법적인 통치자였다는 생각에 어려움을 느끼는데, 그는 특히 동시대 개인 연대기에 나타나는 "불안한" 침묵, 즉 우세르카레를 섬겼다는 언급이 있는 당시 관리가 없다는 점을 지적한다. 미셸 보드와 바실 도브레브는 우세르카레가 남 사카라 석비 왕조 연대기에 등장하는 것이 그의 후계자들의 눈에 그가 합법적인 통치자였다는 증거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왕조 연대기는 그 목적이 정치적 상황과 관계없이 모든 왕실 활동을 체계적으로 기록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찬탈자를 대상으로 한 경우에도 ''기억 말살형'' 조치의 영향을 받지 않았을 수 있다.
3. 3. 정당한 통치자 또는 찬탈자?
미셸 보(Michel Baud)에 따르면, 우세르카레 시대의 기념물, 유물 및 문서가 희소하다는 것은 그의 통치 기간이 짧았음을 시사한다.[1] 그의 선임자 및 후임자와의 관계는 불확실하며, 이집트학자들은 그의 정체성과 통치에 대해 여러 가설을 제시했다. 이 가설들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우세르카레를 정당한 통치자 또는 섭정으로 보는 것이고,[2] 다른 하나는 우세르카레를 찬탈자로, 그의 선임자 테티 살해의 책임자로 보는 것이다.이집트학자 윌리엄 스티븐슨 스미스, 윌리엄 C. 헤이즈, 니콜라스 그리말은 우세르카레가 이푸트 1세 여왕과 함께 섭정을 맡아 짧게 이집트를 통치한 적법한 과도기 통치자라고 보았다. 테티의 아들 페피 1세는 약 50년 동안 통치했는데, 이는 그가 아버지의 죽음 당시 매우 어렸고 즉위하기에는 너무 어렸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러나 나기브 카나와티는 우세르카레가 토리노 왕명록과 아비도스 왕 목록에 언급되었고, 통치 파라오에게만 독점적으로 사용되는 완전한 왕실 칭호를 가지고 있다는 이유로 섭정 이론을 거부했다.
그리말은 우세르카레가 역사적이고 동시대의 자료, 특히 사카라 남부 석비에 의해 잘 증명되었다는 점을 강조하며, 이는 그가 불법적인 존재로서 그의 후계자 페피에 의해 '다마티오 메모리아'의 희생자가 되었다는 생각과 모순된다고 주장한다. 또한, 우세르카레가 찬탈자였다면 페피 1세의 즉위와 관련된 어려움이 있었을 것이나, 고고학 기록에는 그러한 증거가 없다. 라이너 슈타델만과 미셸 보드는 우세르카레를 대상으로 한 '다마티오 메모리아'에 대한 명확한 증거가 없다는 점을 강조한다. 예를 들어 그의 장례 단지가 계획되었을 수 있지만 결코 세워지지 않았을 수 있는데, 이는 페피 1세가 그의 전임 통치자의 흔적을 지우려 했다기보다 더 나은 설명이 될 수 있다.
비비안느 가이 캘린더는 우세르카레가 일종의 '다마티오 메모리아'의 대상이었다는 데 동의하면서도, 우세르카레가 테티의 적법한 아들이었지만 장남은 아니었다는 다른 이론을 제시했다. 이 가설에서 우세르카레의 왕위 계승 주장은 테티가 권력을 잡은 후에 태어났다는 사실에 의존하는 반면, 페피 1세는 테티의 장자였지만 테티가 권력을 잡기 전에 태어났다. 테티의 통치 기간(8년~12년)을 고려하면 우세르카레는 즉위 당시 10세 정도였고, 불만을 품은 형과 마주했을 것이며, 이는 그의 통치에 대한 증거가 부족한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캘린더는 소거법을 사용하여 사카라 남부 부조에 언급된 "켄텟[...]" 여왕이 우세르카레의 어머니일 수 있다고 추측했다.
한편, 우세르카레는 전 왕 테티의 아들로, 기원전 2333년경 테티의 호위병들과 함께 테티 암살 계획을 세웠고, 이 계획은 성공하여 테티는 살해당했다. 우세르카레는 계획대로 파라오에 즉위하여 통치했지만, 정권 안정을 이루는 데 실패했고, 결국 1년도 채 안 되어 형 페피 1세에게 왕위를 빼앗겼다.
4. 무덤
우세르카레의 무덤 위치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그의 짧은 재위 기간은 무덤이 사망 당시 미완성이었을 가능성이 높아 현대에 와서 그 위치를 확인하기 어렵게 만든다. 우세르카레는 제6왕조 파라오였으므로, 그의 무덤은 피라미드로 계획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가설을 뒷받침하는 증거로 와제트 주의 유급 노동자 팀을 언급하는 구리 망치가 있다. 이 노동자들은 우세르카레의 피라미드일 가능성이 높은 중요한 건축 프로젝트에 참여했을 것으로 보인다.[1]
우세르카레의 피라미드 위치에 대해서는 두 가지 가설이 제시되었다. 이집트학자 바실 도브레브는 우세르카레의 피라미드가 현재 타베트 알-게쉬로 알려진 사카라 남부 지역, 즉 페피 1세의 장례 단지의 북서쪽에 위치해 있다고 제안했다. 실제로 그곳에서 제6왕조 행정 관리들의 대규모 묘지가 발견되었으며, 도브레브에 따르면 이는 인근에 왕실 피라미드가 존재함을 시사한다.[2] 천체 물리학자 줄리오 마글리는 우세르카레의 피라미드가 페피 1세와 메렌레 넴티엠사프 1세 사이 중간 지점에 위치해 있으며, 이 세 피라미드가 세켐케트, 우나스, 조세르, 우세르카프 및 테티의 피라미드가 북쪽에 형성하는 선과 평행한 선을 이룬다고 주장한다.
참조
[1]
서적
Who's who in Ancient Egypt
Routledge
2002
[2]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Volume 1, Part 2, Early History of the Middle Eas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