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승은 토너먼트나 리그전 등에서 승리하여 최고의 자리에 오르는 것을 의미한다. 우승은 결승전에서 결정되며, 우승자에게는 상금, 트로피, 메달 등 다양한 보상이 주어진다. 우승의 종류에는 무패 우승, 완전 우승, 공동 우승, 인정 우승 등이 있으며, 일부 스포츠에서는 챔피언과의 구분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승리 - 사모트라케의 니케
사모트라케의 니케는 기원전 3세기경 제작된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 조각상으로, 날개 달린 승리의 여신 니케를 묘사한 대리석 조각상이며, 군함 선수 형상의 기단 위에 선 역동적인 자세와 섬세한 드레이프 표현이 특징이다. - 승리 - 왔노라, 보았노라, 이겼노라
왔노라, 보았노라, 이겼노라는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젤라 전투 승리를 로마에 알리기 위해 사용한 라틴어 문구에서 유래한 표현으로, 그의 간결한 문체를 보여주며 군사적 승리 묘사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인용, 변형되어 현대 사회에서도 널리 활용된다. - 토너먼트 - 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는 정규 시즌 후 우승팀 결정이나 상위 리그 진출을 위해 치러지는 순위 결정전의 연장으로, 대전 방식과 결과에 대한 논쟁이 발생하기도 하며, 프로 스포츠에서는 흥행을 위해 실시하거나 쿼터를 늘리기도 하고, 축구에서는 월드컵 예선이나 승강전 등을 지칭하기도 한다. - 토너먼트 - 리그전
리그전은 모든 참가 팀이나 개인이 서로 한 번 이상 맞붙어 승패를 겨루는 경기 방식으로, 공정한 경쟁과 정확한 순위 결정이 가능하지만 진행 시간이 길어질 수 있으며, 다양한 스포츠 종목에서 널리 사용되고 효율적인 진행을 위해 여러 일정 생성 알고리즘이 활용된다. - 스포츠 용어 - 무관중 경기
무관중 경기는 질서 유지, 선수 보호, 징계, 안전 확보, 감염병 확산 방지 등의 목적으로 관중 없이 치르는 스포츠 경기를 의미하며, 특히 2020년 코로나19 범유행 이후 전 세계적으로 시행되었고, 선수 경기력에 영향과 구단 수입 감소를 야기하지만 공공 안전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 되기도 한다. - 스포츠 용어 - 퇴장
퇴장은 스포츠 경기에서 심각한 반칙 등으로 인해 선수나 코칭 스태프가 경기에서 제외되는 징계이며, 종목별로 레드카드, 옐로카드 등으로 이루어지고, 출전 정지 등의 추가 징계가 부과될 수 있다.
우승 | |
---|---|
스포츠 | |
종목 | 경쟁, 스포츠 |
상세 정보 | |
종류 | 스포츠, 경쟁 |
관련 정보 | |
관련 용어 | 경쟁, 챔피언 |
2. 우승과 경기 방식
다양한 경기 방식에 따라 우승자를 결정하는 방식과 명칭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토너먼트 방식에서는 단계별 경기를 통해 최종 우승자를 가린다.
2. 1. 토너먼트 방식
토너먼트 방식에서 우승자를 결정하는 경기를 결승전 (우승전)이라고 부른다. 결승전에 진출할 선수를 결정하기 위한 경기를 준결승전 (준우승전)이라고 하며, 준결승전에 진출할 선수를 결정하기 위한 경기를 준준결승전 (준준우승전)이라고 한다.3. 우승과 보상
우승자 및 팀에게는 다양한 형태로 보상이 주어진다. 상금, 부상, 트로피, 방패, 표창장, 우승기, 페넌트 등이 일반적이다. 올림픽의 금메달, FIFA 월드컵의 트로피, UEFA 챔피언스 리그의 빅 이어, 아메리카스컵의 트로피, 마스터스 토너먼트의 그린 재킷, 스모의 천황사배, 일본 고교 야구의 선발 대회 자색 우승기와 고교 선수권 진홍색 우승기, 사회인 야구 도시 대항 야구의 흑사자 깃발, 일본 고교 럭비의 비구 깃발, NBA의 챔피언 링, 세계 선수권 자전거 경기 대회의 마이요 아르캉시엘, 마라톤의 월계관, 레슬링 세계 선수권의 챔피언 벨트, 경마의 우승 레이 등이 유명하다.
대회에 따라 우승자 및 팀에 따라 다른 보상이 주어지는 경우도 있다. 또한, 일정 수 이상의 승리 수 또는 포인트를 획득한 참가자나 팀이 없는 경우에는 승리 수나 포인트가 가장 많은 참가자 또는 팀을 우승자로 하지 않고 "우승자 없음"으로 하여 보상을 지급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2]。
4. 우승의 종류
스포츠나 각종 경쟁에서 승리하여 얻는 우승은 그 과정과 결과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된다. 아래에서는 대표적인 우승의 종류들을 설명한다.
4. 1. 무패 우승
축구 경기에서 한 번도 패배하지 않고 우승하는 것을 무패 우승이라고 한다. 무패 우승을 달성한 팀에게는 특별한 칭호가 붙기도 하는데, 대표적으로 '인빈시블스'(The Invincibleseng, 무적의 사람들)라는 호칭이 있다. 축구의 역사상 몇몇 팀이 이 칭호를 얻었지만, 일반적으로는 아르센 벵거 감독이 이끌었던 아스널이 프리미어 리그 2003-04 시즌에 달성한 무패 우승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4. 2. 완전 우승
우승에 이르는 과정이 매우 뛰어난 경우를 완전 우승이라고 부른다. 다음과 같은 경우에 자주 사용된다.- 모든 경기를 제패하는 경우
- 리그전에서 모든 팀에게 승리하거나 전승하는 경우. 대학 야구에서는 모든 팀으로부터 승점을 획득하는 경우를 말한다. 컨퍼런스 제도의 경우 교류전을 포함하여 대결한 모든 구단(일본 프로야구 기준 11개 구단)에게 승리하거나 전승하면 완전 우승이라고 부른다.
- 시작부터 마지막까지 1위를 내주지 않고 우승하는 경우.
- 포스트 시즌 제도가 있는 경우, 정규 시즌 1위 팀이 플레이오프까지 제패하는 경우. 일본 프로야구에서는 위의 '모든 구단 상대 승리'와 구분하기 위해 리그 우승과 일본 제일을 모두 달성하는 것을 완전 제패라고 부르기도 한다.[5] 또한, NFL에서는 정규 시즌부터 슈퍼볼까지 전승으로 우승하는 것을 완전 제패라고 부르며, 2016-17 시즌 종료 시점까지 마이애미 돌핀스만이 유일하게 달성했다.
- 전후기제의 경우, 전기 리그와 후기 리그 모두 우승하는 경우.
- 모든 경기에서 무실점으로 승리하거나, 모든 경기에서 승리하는 경우.
- 경륜, 경정, 오토 레이스에서는 예선 경주를 포함한 모든 레이스에서 1위를 차지하는 것을 말한다.
4. 3. 공동 우승
결승전에서 여러 선수나 팀이 승부를 가리지 못했을 때, 모두를 우승으로 인정하는 것을 '''공동 우승'''이라고 한다. 2명 또는 2팀이 함께 우승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공동 우승이 발생하는 경우는 주로 다음과 같다.
# 경기 규정상 승부가 나지 않아 무승부나 동률 선두가 되는 경우.
# 결승전이나 우승 결정전이 중단되었으나, 일정을 다시 잡기 어려운 경우.
# 경기 중 오심이 발생했고, 만약 오심이 없었다면 다른 선수나 팀이 우승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공동 우승이 되면, 관련된 모든 선수나 팀은 정식 우승자로 인정받으며, 연승이나 연패 기록도 그대로 이어진다. 트로피는 시상식에서 우승자들이 함께 들어 올리고, 다음 대회가 열릴 때까지 번갈아 보관하거나 복제품을 만들어 나누기도 한다. 금메달은 이런 상황에 대비해 미리 여유분을 준비해 둔다. 우승 상금은 보통 똑같이 나누어 갖거나, 우승 상금과 준우승 상금을 합한 금액을 균등하게 나누는 방식으로 지급된다. 예를 들어 우승 상금이 100만 원, 준우승 상금이 50만 원이라면, 두 금액을 합친 150만 원을 우승자들에게 똑같이 나누어 75만 원씩 지급하는 식이다.
과거에는 토너먼트 결승전 등에서 반드시 승부를 가리지 않고 공동 우승으로 처리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지만, 요즘은 연장전이나 플레이오프 등을 통해 어떻게든 승자를 결정하는 대회가 많아져 규정에 따른 공동 우승은 줄어드는 추세이다. 하지만 여러 선수가 동시에 같은 코스를 달리거나 도는 개인 경기에서는 두 명 이상의 선수가 동시에 결승선에 도착했다고 판정될 경우, 1등 동시 도착으로 공동 우승이 되기도 한다.[6] 이는 주로 경마 등에서 가끔 볼 수 있는 사례이다.
결승전이 중단되어 공동 우승이 되는 경우는 주로 천재지변이나 예상치 못한 사고 등 불가항력적인 이유로 경기를 더 이상 진행할 수 없을 때 발생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나중에 경기를 다시 치르는(교체 경기) 방식을 택하기 때문에 실제 공동 우승까지 이어지는 경우는 드물다. 전국체육대회처럼 대회 기간이 정해져 있거나, 천재지변, 감염병 확산, 심각한 치안 문제 등으로 인해 도저히 교체 경기를 치를 수 없는 특별한 상황에서만 공동 우승이 고려될 수 있다. 대회 규정에 따라서는 '우승 없음'으로 처리하거나, 결승 진출자 모두에게 책임이 있는 사유로 경기가 중단된 경우에는 징계 차원에서 공동 준우승으로 처리하기도 한다.
오심으로 인해 공동 우승이 결정된 사례도 있다. 2015년 전국 고등학교 핸드볼 선발 대회 남자부 준결승에서 호세이 대학 부속 고등학교와 우라소에 고등학교의 경기 중 오심이 있었던 사실이 인정되었다. 원래 34 대 33이었던 점수는 33 대 33으로 정정되었지만, 이 결정이 발표된 3월 28일은 이미 결승전이 진행 중인 날이었다. 재경기를 치르기 어려운 상황이었기 때문에, 진행 중이던 결승전을 중단하고 두 학교를 공동 우승으로 처리했다. 또한, 준결승에서 패배했던 학교 중 오심의 영향을 받은 호세이 대학 부속 고등학교를 포함한 3개 학교가 공동 3위로 결정되었다.
4. 4. 인정 우승
대회에 참가 등록한 선수가 1명이거나, 다른 참가자들이 대회 시작 전 또는 도중에 기권하거나 실격되어 최종적으로 1명의 선수만 남게 될 경우, 대회 규정에 따라 그 선수를 우승자로 인정하는 것을 '''인정 우승'''이라고 한다. 이런 경우 결승전 등 별도의 우승 결정전을 치르지 않고 우승자가 되며, 주로 지역 단위의 아마추어 대회에서 참가자가 1명뿐일 때 인정 우승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특수한 사례로, 2016 코파 수다메리카나에서 결승전을 치를 예정이었던 샤페코엔세가 라미아 항공 2933편 추락 사고로 선수와 코칭 스태프 대부분이 사망하여 결승전이 중지되었지만, 상대 팀이었던 아틀레티코 나시오날이 우승을 양보했기 때문에 샤페코엔세가 인정 우승을 한 경우가 있다.[7]
5. 챔피언과의 구분
일부 스포츠에서는 (F1 등 모터스포츠, 스모・프로레슬링 등 격투기) 하나의 대회 우승자와 연간 (혹은 그 시점의) 최우수자인 챔피언을 구분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스모에서는 챔피언에 해당하는 지위로 요코즈나[3]가 있으며, 이는 개별 대회 우승 기록보다 더 높은 지위로 여겨진다.
이와 비슷한 방식으로 텔레비전 등의 (특히 시청자 참여형) 퀴즈 프로그램에서도 우승자를 구분하는 경우가 있다. 일반 방송에서 탄생하는 우승자와, 이 우승자들만을 모아 별도로 열리는 대회에서 최종 우승한 사람에게 주어지는 그랜드 챔피언 등의 칭호로 나누는 사례가 있다.
6. 장기 기전에서의 우승
과거에 진행되었던 일본 장기 기전 중에는 규정된 조건을 충족한 사람 모두를 "우승"으로 간주하는 경우가 있었다. 반대로 조건을 충족한 사람이 없으면 "우승자 없음"이 되기도 했다. 이러한 방식으로 우승자가 된 사람들은, 한 명의 우승자만 나오는 다른 기전의 우승자와 동등한 자격으로 취급되었다. 예를 들어, 특정 기전의 시드 조건이 "기전 우승자"일 경우, 이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이러한 방식의 기전 예시는 다음과 같다.
- 명인 A급 승리 쟁탈전 (1950년 ~ 1959년): 5연승 이상을 달성하면 우승으로 인정되었다.
- 올스타 승리 쟁탈전 (1978년 ~ 2003년): 5연승 이상을 달성하면 우승으로 인정되었다.
특히 올스타 승리 쟁탈전에서는 한 번에 최대 4명의 우승자가 나온 사례도 있다.
7. 기타
속어로서 '우승'은 매우 만족스러운 것이나 경험, 또는 최고인 것을 의미하는 용법으로 사용되기도 한다.[9] 2020년 11월 30일, 산세이도 사전 편찬자들이 선정한 '올해의 신어 2020'에서 '우승'이 6위에 올랐으며,[9] 선정 결과 발표 사이트에는 산세이도 국어 사전 편집 위원인 이이마 히로아키가 작성한 어구 해설이 실렸다.[10]
참조
[1]
문서
例外的にひとつの大会で複数の個人・団体が優勝とされることがある(詳細は「#同時優勝」参照)。
[2]
문서
主な例として、「日立 世界・ふしぎ発見!」では1986年10月4日から2000年7月8日までの期間、ヒトシ君人形を4個以上獲得した回答者が皆無の場合はトップ賞無しになるルールとなっていた。
[3]
웹사이트
ただし、英語では「大関」をChampionと呼ぶことがある
https://www.waeijish[...]
[4]
웹사이트
Arsenal v Middlesbrough
http://www.gettyimag[...]
Getty Images
2004-08-22
[5]
문서
ただし一時期、レギュラシーズン2位以下の球団がプレーオフを制した場合、その球団がリーグ優勝となる制度も存在していた。
[6]
문서
こういったケースでの着順判定には、主に写真判定が用いられる。
[7]
뉴스
シャペコエンセのスダメリカーナ優勝が決定、対戦相手にはフェアプレー賞
https://www.afpbb.co[...]
AFPBB
2016-12-06
[8]
문서
第8回(1985年度)、第12回(1989年度)、第13回(1990-91年度)。
[9]
웹사이트
「今年の新語2020」ベスト10|三省堂 辞書を編む人が選ぶ「今年の新語2020」
https://dictionary.s[...]
2020-12-01
[10]
웹사이트
「今年の新語2020」ベスト10
https://dictionary.s[...]
三省堂
2020-12-0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김시우, PGA 투어 RBC 헤리티지 8위, 시즌 첫 톱10…토머스 우승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