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암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암역은 부산광역시 남구에 위치했던 철도역이다. 1945년 5월 16일 적기선 개통과 함께 적기부두역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나, 이후 적기선 폐지 후 1951년 8월 10일 부전-우암 간 우암선 개통과 함께 우암역으로 다시 영업을 시작했다. 1984년 2월 1일 부산진-우암 간 선로가 이설되었고, 1999년 2월 25일 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으며, 2017년 12월 18일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 주변에는 KCTC, 우암보세창고, 제7부두, 우암초등학교 등이 있으며, 우암선이 지난다. 인접한 역으로는 부산진역과 신선대역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현선 - 부산역
부산역은 1908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한국 철도의 중요한 거점이 되었으며, 여러 차례 재건축과 2004년 KTX 개통에 따른 리모델링을 거쳐 현대화된 시설을 갖춘 현재는 KTX, SRT 등 다양한 열차가 운행되고 부산 도시철도 1호선과 환승이 가능한 부산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철도역이다. - 우암선 - 부산진역 (한국철도공사)
부산진역은 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동해남부선 개통 후 여객역으로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2005년 여객 열차 운행이 중단되었고 현재는 부산의 주요 화물 취급역으로 기능하며, 2030년 철도 시설 재배치 사업으로 컨테이너 터미널 기능이 이전될 예정이다. - 우암선 - 신선대역
신선대역은 1995년 개설된 우암선의 철도역으로, 화물 취급 중지 전까지 감만부두 등 항만 시설과 연계되어 운영되었다. - 부산 남구의 건축물 - 부산국제금융센터
부산국제금융센터(BIFC)는 2014년 완공된 63층 초고층 빌딩으로, 다수의 금융 및 공공기관과 해외 금융기업들이 입주해 있는 부산 금융 중심지의 랜드마크이다. - 부산 남구의 건축물 - 문현터널
문현터널은 부산광역시 번영로에 위치한 편도 2차선의 쌍굴형 터널로,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자전거와 보행자의 통행이 금지되며 긴급 자동차에 한해 이륜차 통행이 가능하다.
우암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모국어 표기 | 우암역 |
로마자 표기 | Uam |
소속 사업자 | 한국철도공사(KORAIL) |
소속 노선 | 우암선 |
역 종류 | 지상역 |
주소 | 부산광역시 남구 우암로 217 |
개업일 | 1951년 8월 10일 |
역 등급 | 무배치간이역 |
비고 | 화물 전용역 |
노선 정보 | |
노선 | 우암선 |
영업 거리 | 부산진 기점 2.4 km |
이전 역 | 부산진 |
이전 역 간 거리 | 2.4 km |
다음 역 | 신선대 |
다음 역 간 거리 | 3.7 km |
2. 연혁
- 1945년 5월 16일: 미쓰비시 중공업의 사유철도인 적기선(赤崎線) 개통과 함께 '''적기부두역'''(赤崎埠頭驛)으로 영업 시작.[3]
- 일자 불명: 적기선 폐지 혹은 선로 철거.
- 1951년 8월 10일: 부전-우암 간 우암선 개통과 함께 '''우암역'''(牛岩驛)으로 영업 시작.[1][4]
- 1984년 2월 1일: 부산진-우암 간으로 선로 이설.[5]
- 1999년 2월 25일: 배치간이역으로 격하.[6]
- 2017년 12월 18일: 화물 취급 중지.[2][7]
2. 1. 적기선 시절
1945년 5월 16일: 미쓰비시 중공업의 사유철도인 적기선(赤崎線) 개통과 함께 '''적기부두역'''(赤崎埠頭驛)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3] 그러나 이후 적기선은 폐지되었거나 선로가 철거되었다.2. 2. 우암선 시절
1945년 5월 16일: 적기선(赤崎線) 개통과 함께 '''적기부두역'''(赤崎埠頭驛)으로 영업 개시[3]일자 불명: 적기선 폐지 혹은 선로 철거
1951년 8월 10일: 부전-우암 간 우암선 개통과 함께 '''우암역'''(牛岩驛)으로 영업 개시[1][4]
1984년 2월 1일: 부산진-우암 간으로 선로 이설[5]
1999년 2월 25일: 배치간이역으로 격하[6]
2017년 12월 18일: 화물 취급 중지[2][7]
3. 역 주변
- KCTC
- 우암보세창고
- 제7부두
- 우암초등학교
4. 접속하는 철도 노선
우암선 (화물선)
5. 인접한 역
참조
[1]
간행물
교통부 고시 제141호
대한민국관보
1951-08-01
[2]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7-839호
http://gwanbo.mois.g[...]
국토교통부
2017-12-18
[3]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고시 제287호
조선총독부관보
1945-05-12
[4]
간행물
교통부 고시 제141호
대한민국관보
1951-08-01
[5]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4호
대한민국관보
1984-01-28
[6]
간행물
철도청고시 제1999-4호
http://theme.archive[...]
철도청
1999-01-28
[7]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7-839호
http://gwanbo.mois.g[...]
국토교통부
2017-12-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