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암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암선은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는 총 연장 6.1km의 화물 전용 철도 노선이다. 1945년 적기선으로 시작하여 1948년 우암선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부산진역, 우암역, 신선대역 3개의 역을 운행한다. 1960년대 부산해안순환선 계획이 있었으나, 실제 착공되지는 않았다. 2016년 부산광역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안에 우암선 철도를 활용하는 신교통수단 노선이 포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암선 - 부산진역 (한국철도공사)
부산진역은 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동해남부선 개통 후 여객역으로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2005년 여객 열차 운행이 중단되었고 현재는 부산의 주요 화물 취급역으로 기능하며, 2030년 철도 시설 재배치 사업으로 컨테이너 터미널 기능이 이전될 예정이다. - 우암선 - 우암역
우암역은 부산광역시 남구 우암동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 우암선의 철도역으로, 1945년 적기부두역으로 개업 후 1951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현재는 배치간이역으로 운영되고 화물 취급은 2017년에 중지되었다. - 부산광역시의 철도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부산광역시의 철도 - 동해선
동해선은 부산에서 강원도, 북한 원산을 잇는 철도 노선으로, 일제강점기에 건설이 시작되어 6.25 전쟁으로 동해북부선이 폐선되고 분단되었으나, 남북 철도 연결 사업이 중단된 후 현재 동해남부선 일부 구간이 광역전철로 운행 중이며, 포항~영덕 구간이 개통되었다. - 1951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울산항선
울산항선은 1951년 개통된 화물철도 노선으로, 야음역 폐지 후 울산역(현 태화강역)을 시발역으로 운영되다가 2022년 운행이 중단되었으나 2023년 재개 예정이며, 수소전기트램 도입을 계획 중이다. - 1951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쓰가루선
쓰가루선은 아오모리현 아오모리역에서 미나토역까지 이어지는 JR 동일본 철도 노선으로, 한때 세이칸 터널 혼슈 측 접속 노선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으나 집중호우 피해와 저조한 이용객 수로 일부 구간 폐쇄가 결정되었다.
우암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노선명 | 우암선 |
한자 표기 | 牛岩線 |
로마자 표기 | Uam Line |
위치 | 부산광역시 |
노선 종류 | 지선 철도 |
노선망 | 동해선의 지선 |
기점 | 부산진역 (부산광역시 동구) |
종점 | 신선대역 (부산광역시 남구) |
역 수 | 3 |
개통일 | 1945년 5월 16일 |
재개통일 | 1951년 8월 10일 |
소유자 | 국가철도공단 |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
영업 거리 | 6.1 km |
궤간 | 1,435 mm |
궤도 | 표준궤 |
전철화 | 비전철화 |
복선 구간 | 전 구간 |
노선 번호 | 31101 |
역사 | |
일시 운행 중단 | 불명 |
역 목록 | |
역명 | 부산진역 |
역명 | 우암역 |
역명 | 신선대역 |
그림 | |
![]() | |
![]() |
2. 역사
2. 1. 개요
2. 2. 연혁
- 1945년 5월 16일 : 부전-적기부두(赤崎埠頭) 간 5.8 km 구간이 '''적기선'''(赤崎線)으로 영업 개시.[1]
- 1948년 1월 22일 : '''우암선'''(牛岩線)으로 명칭 변경.[2]
- 1951년 8월 1일 : 부전-우암간 5.8 km 구간 준공.
- 1951년 8월 10일 : '''우암선'''(牛岩線)으로 영업 개시.[3]
- 1984년 2월 1일 : 부산진-우암 간 2.4 km 구간 신설 영업 개시, 기존 구간 폐지.[4]
- 1995년 4월 1일 : 우암-신선대간 3.7 km 연장 영업 개시.[5]
- 2015년 5월 29일 : 신선대역의 화물 취급 중지.[6]
- 2019년 4월 17일 : 철도 노선번호 변경에 따라 '''31101'''로 변경.[7]
3. 노선 정보
우암선은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는 노선으로, 총 거리는 6.1km이다. 궤간은 1,435mm (표준궤)이며, 3개의 역이 있다. 전 구간이 지상 구간이며, 복선으로 이루어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