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웨이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웨이시는 중화인민공화국 간쑤성에 위치한 지급시로, 하서회랑에 속하며, 량저우 구, 민친 현, 구랑 현, 톈주 티베트족 자치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대 서강의 땅이었으며, 한무제가 서역을 개발하면서 하서사군 중 하나인 무위군이 설치된 곳으로, 실크로드의 요충지였다. 현재 우웨이시는 농업, 섬유, 야금, 건자재 산업이 발달했으며, 구리 말, 서하 황릉, 백탑사, 천제산 석굴 등 다양한 문화 유적을 보유하고 있다. 란저우-신장 철도, 란장 고속철도 등 철도와 여러 고속도로 및 국도가 지나가는 교통의 요지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서주랑 - 자위관시
    간쑤성 서북부 하서주랑 중간에 위치한 자위관시는 냉 사막 기후를 띠며 2개의 가도와 3개의 진으로 구성된 교통 요충지인 지급시이다.
  • 하서주랑 - 진창시
    진창시는 중화인민공화국 간쑤성에 위치하며 황하 서쪽, 치롄산맥 북쪽, 알라산 고원 남쪽에 자리 잡고 칭하이성 및 내몽골 자치구와 접하며, 니켈 등 풍부한 광물 자원을 바탕으로 경제 활동이 이루어지고 만리장성 등 문화 유적과 자연 환경을 관광 자원으로 활용한다.
  • 간쑤성의 지급시 - 톈수이시
    톈수이시는 중화인민공화국 간쑤성에 위치한 지급시로, 룽하이 철도와 톈수이 마이지산 공항이 있으며, 과일과 전자 산업이 발달했고, 마이지산 석굴, 복희 사당, 옥천사, 다디완 유적 등의 관광 명소가 있으며, 과과와 마라탕 훠궈가 대표 음식이다.
  • 간쑤성의 지급시 - 바이인시
    바이인시는 간쑤성에 위치한 지급시로, 황투고원과 사막에 걸쳐 냉대 건조 또는 반건조 기후를 띠며, 2개의 시할구와 3개의 현을 관할하고 광업, 에너지, 하이테크 산업이 발달했으며 철도 및 고속도로망으로 연결되고 황허 석림과 같은 관광지가 있다.
  • 국가역사문화명성 - 베이징시
    베이징시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도이자 직할시로, 정치, 문화, 교육의 중심지이며, 3,000년의 역사를 지닌 북부의 교통 요충지이다.
  • 국가역사문화명성 - 우한시
    우한은 후베이성 중부에 위치한 장강과 한수 합류 지점의 대도시이자 경제·문화 중심지로, 무창, 한커우, 한양이 통합되어 형성되었으며 오랜 역사와 신해혁명 발상지, 코로나19 팬데믹 진원지로 알려져 있고, 현재는 중국 중부 부흥 계획의 중심 도시로서 경제 성장과 발달된 교통망, 산업 시설, 연구 기관을 갖추고 있다.
우웨이시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우웨이 남성문
시계 방향으로 위에서부터: 우웨이의 남문, 구랑 현 소재지, 우웨이 기차역, 민친 현의 훙야산 저수지, 톈주 현의 암석 지형.
공식 명칭武威市 (우웨이 시)
고유 명칭武威市 (우웨이 시)
로마자 표기Wǔwēi (우웨이)
별칭없음
국가중화인민공화국
간쑤 성
행정 구역 종류지급시
정부 소재지량저우 구
면적33,000 km²
인구 (2020년)1,464,955 명
도시 인구688,697 명
시간대CST
UTC 오프셋+8
우편 번호733000
지역 번호0935
ISO 코드CN-GS-06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정치 및 경제
GDP (2016년)CN¥ 416억
US$ 67억
1인당 GDPCN¥ 22,930
US$ 3,682
하위 행정 구역
량저우 구
민친 현
구랑 현
자치현톈주 티베트족 자치현

2. 역사

한나라 무제 때 서역 개발 결과, 무위군이 설치되어 장액군, 주천군, 돈황군과 연결되어 하서사군(河西四郡)이라고 칭해졌다. 이후 양주, 고장 등으로 불리며 지방 행정의 중심지가 되었다.

실크로드 전체 지도.


중화민국 성립 후 현 제도가 시행되면서 우웨이현으로 개칭되었고, 1984년 시로 승격하였다.

2. 1. 고대

우웨이시는 고대 서강(西羌)의 땅이며, 「우공」에 의해 구주의 중간인 옹주(雍州)(후의 양주)에 속했다. 한나라 무제의 서역 개발 결과, 무위군이 설치되어 장액군, 주천군, 돈황군과 연결하여 하서사군(河西四郡)이라고 칭해졌다. 후에 양주, 고장 등이라고 칭해져 지방 행정의 중심이 되었다.

우웨이 공자 사원.


고대 시대에 우웨이는 량저우(—오늘날 우웨이의 중앙 도시 지구가 유지하는 이름)로 불렸으며, 허시 회랑의 동쪽 종착지였다. 약 5,000년 전부터 이곳에 사람들이 정착하기 시작했다. 이곳은 북 실크로드의 핵심 연결 고리였으며,[2] 우웨이에서 다수의 중요한 고고학적 발견이 이루어졌다.[3] 우웨이 무덤의 모티프와 물건 유형, 그리고 토기, 래커, 청동 구성은 중국 전역에서 찾아볼 수 있는 전형적인 한족 매장 양식의 예이다. 허시 회랑을 따라 발견된 다른 무덤들은 흉노 및 기타 소수 민족의 영향을 보여주며, 이는 북량과 같은 정권을 추적하는 데 사용된다.[4]

기원전 121년 무제는 흉노족을 방어하기 위해 이곳에 기병대를 투입했다. 그의 군사적 성공은 그가 회랑을 서쪽으로 확장할 수 있게 했다. 실크로드의 정류장으로서의 중요성은 중앙 아시아 전역의 문화와 민족 집단의 교차로가 되게 했다. 이 지역의 수많은 불교 석굴사원인도아프가니스탄에서 중국으로 불교를 가져오는 통로로서의 역할을 증명한다.

삼국 시대 (184-280) 동안 량저우는 마등에 의해 통치되었다. 마등 사망 후, 마초가 그 자리를 이어받아 잠시 동안 통치하다가 조조, 위 왕국의 통치자의 손에 넘어갔다.

량저우는 16국 시대 동안 잠시 (400년에서 421년까지) 국가였다.

십육국시대에는 전량, 후량, 남량, 북량의 각 왕조의 도성이 세워져 남북조 시대에 급속한 발전을 보였다.

2. 2. 중세

오호 십육국 시대에는 전량, 후량, 남량, 북량 등 여러 국가의 수도가 이곳에 설치되어 남북조 시대에 급속한 발전을 이루었다.[4]

원나라 때부터는 감숙행성 (이후의 간쑤성)에 속하게 되면서 현재 행정 조직의 기반이 마련되었다.

2. 3. 근세

우웨이시는 고대 서강(西羌)의 땅이며, 『서경·우공』에 따르면 구주 중 옹주(후의 량주)에 속했다. 전한의 무제에 의한 서역 개발 결과, "무제의 위엄이 하서에 도달하다" 하여 하서 회랑에 처음 건설된 도시인 무위군이 설치되었고, 장액군, 주천군, 둔황군과 함께 하서 사군으로 불렸다. 후에 량주의 고장 등으로 불리며 지방 행정의 중심이 되었다. 무위는 그 이름과 같이 한 제국의 무의 위광을 나타낸다.

오호 십육국 시대에는 전량, 후량, 남량, 북량 각국의 도성이 설치되어 남북조 시대에 급속한 발전을 보였다.

원대부터 감숙행성 (후의 간쑤성)에 속해 현재의 행정 조직의 기초가 완성되었다. 중화민국이 성립하고 현제가 시행되면서 무위현으로 개칭되었고, 1984년에 승격되어 현재에 이른다.

2. 4. 현대

오호 십육국 시대에는 전량, 후량, 남량, 북량 등 여러 국가의 도성이 설치되어 남북조 시대에 급속한 발전을 보였다.

원대부터 감숙행성 (후의 간쑤성)에 속해 현재의 행정 조직의 기초가 완성되었다. 중화민국이 성립하고 현제가 시행되면서 무위현으로 개칭되었고, 1984년에 시로 승격되어 현재에 이른다.

우웨이시의 행정 구역 변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시기내용
1949년 10월 1일중화인민공화국간쑤성 우웨이 분구 성립. 우웨이현, 융덩현, 민친현, 구랑현, 융창현, 장예현, 산단현, 민러현 발족 (8현)
1949년 12월우웨이 분구가 우웨이 전구로 개칭 (8현)
1949년 12월 5일장예현, 산단현, 민러현이 장예 전구에 편입. 딩시 전구 징타이현 편입 (6현)
1950년 1월융덩현 일부 분리, 톈주 자치구 발족 (6현 1자치구)
1950년 5월 25일장예 전구 장예현, 산단현, 민러현 편입 (9현 1자치구)
1950년 12월주취안 전구 가오타이현 일부 장예현 편입 (9현 1자치구)
1951년 7월 24일구랑현 일부 톈주 자치구 편입 (9현 1자치구)
1953년 7월 6일닝샤성알라산 기 자치구 일부 산단현 편입 (9현 1자치구)
1953년 9월 22일칭하이성러두현 일부 톈주 자치구 편입 (9현 1자치구)
1953년 12월 22일톈주 자치구 톈주 티베트족 자치구로 개칭 (9현 1자치구)
1954년 3월우웨이현 일부 구랑현 편입 (9현 1자치구)
1954년 3월 20일장예현 일부 주취안 전구 주취안현, 가오타이현 일부와 합병, 주취안 전구 수난 유구르족 자치구 발족 (9현 1자치구)
1955년 7월 19일톈주 티베트족 자치구 현제 시행, 톈주 티베트족 자치현 (9현 1자치현)
1955년 10월 10일우웨이 전구 주취안 전구와 합병, 장예 전구 발족, 소멸
1961년 11월 15일장예전구 우웨이현, 민친현, 융창현, 톈주 티베트족 자치현 편입, 우웨이전구 성립 (3현 1자치현)
1961년 12월 15일톈주 티베트족 자치현 일부 분리, 구랑현 발족 (4현 1자치현)
1963년 10월 23일바이인시 징타이현, 란저우시 융덩현 편입. 란저우시 훙구구 일부 융덩현 편입 (6현 1자치현)
1965년 4월 17일내몽골 자치구바옌나오얼 맹알라산좌기, 알라산우기 일부 민친현 편입 (6현 1자치현)
1969년 7월 5일내몽골 자치구 바옌나오얼 맹 알라산우기 편입. 알라산우기 일부 닝샤 후이족 자치구 알라산좌기 편입 (6현 1자치현 1기)
1969년 9월 4일우웨이전구 우웨이 지구로 개칭 (6현 1자치현 1기)
1969년 11월 17일알라산우기 일부 닝샤 후이족 자치구 알라산좌기 편입 (6현 1자치현 1기)
1970년 3월 25일융덩현 란저우시 편입 (5현 1자치현 1기)
1971년 10월 23일장예 지구수난 위구르족 자치현 일부 융창현 편입. 톈주 티베트족 자치현 일부 우웨이현 편입 (5현 1자치현 1기)
1971년 12월 19일톈주 티베트족 자치현 일부(단마 공사) 우웨이현 편입. 우웨이현 일부(상취안 공사, 장이 공사 일부) 톈주 티베트족 자치현 편입 (5현 1자치현 1기)
1972년 8월 12일융창현 일부 장예 지구 수난 위구르족 자치현 편입 (5현 1자치현 1기)
1979년 5월 30일알라산우기 내몽골 자치구 바옌나오얼 맹 편입 (5현 1자치현)
1981년 2월 9일융창현 일부 분리, 지급시 진창시 성립. 융창현 진창시 편입 (4현 1자치현)
1982년 12월 1일우웨이현 일부 톈주 티베트족 자치현 편입 (4현 1자치현)
1985년 4월 15일우웨이현 시 승격, 우웨이시 (1시 3현 1자치현)
1985년 5월 14일징타이현 바이인시 편입 (1시 2현 1자치현)
2001년 5월 9일우웨이 지구 지급시 우웨이시 승격


3. 지리

우웨이시 현급 행정구역도


우웨이는 북쪽으로 내몽골 자치구, 남서쪽으로 칭하이성과 접한다. 중국 서부의 세 개 성도인 란저우, 시닝, 인촨의 중앙에 위치해 지역의 업무와 교통의 중요한 축이다. 하서회랑을 따라 위치해 있어서 중원에서 서역과 중앙아시아로 가는 유일한 통로였으며, 많은 철도와 국도가 우웨이를 통과한다.

우웨이의 지리는 황투고원, 티베트고원, 몽골고원의 세 고원이 솟아있는 형태이다. 고도는 남쪽이 높고 북쪽이 낮으며, 해발 1020m에서 4874m 사이이다.

우웨이 인근에는 흑연, , 티타늄, 석회암 등이 매장되어 있다.[6]

3. 1. 기후

우웨이는 티베트 고원과 몽골 고원 사이의 허시 회랑에 위치해 있다. 우웨이 남쪽은 북쪽보다 높으며 해발 1020m에서 4874m이다. 면적은 33000km2이다. 연평균 기온은 7.8°C이다. 기후는 냉 사막 기후(쾨펜 ''BWk'')이며, 강수량은 60mm에서 610mm이다. 증발량은 1400mm에서 3000mm로, 물 부족으로 매년 순 손실이 발생한다. 연간 일조 시간은 2200~3000시간이며, 무상 일수는 85~165일이다. 여름 기온은 그늘에서도 45°C를 넘을 수 있다.[28][29]

우웨이, 해발 1540m (1991–2020 평균, 1971–2010 극한값)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0.1°C4.8°C11.4°C18.8°C23.6°C27.8°C29.8°C28.1°C22.9°C16.6°C9°C1.9°C
평균 최저 기온 (℃)-13.3°C-8.9°C-2.2°C4.4°C9.3°C13.5°C15.7°C14.7°C9.9°C2.7°C-4.7°C-10.9°C
강수량 (mm)2.2mm2.1mm5.7mm9.8mm18mm22.5mm34.7mm41.1mm29.1mm10mm3mm1.8mm
평균 상대 습도 (%)504440364147545861555354



미꾸리과의 한 종인 ''Triplophysa wuweiensis''(우웨이 미꾸리)는 처음 발견된 우웨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0]

4. 행정 구역

(2010)면적
(km²)인구 밀도
(/km²)량저우 구Liángzhōu Qū1,010,2955081km2207.29민친 현Mínqín Xiàn241,25116016km215.2구랑 현Gǔlàng Xiàn388,7205287km278.13톈주 티베트족 자치현Tiānzhù Zàngzú
Zìzhìxiàn174,7936865km225.71

5. 인구

우웨이 시의 인구는 2020년 기준 1,464,955명이다.[11] 한족, 후이족, 몽골족, 투족, 티베트족 등 38개의 민족이 거주하고 있다.

우웨이 시 역대 인구 조사 결과[18][19]
인구 조사1차 (1953년)2차 (1964년)3차 (1982년)4차 (1990년)5차 (2000년)6차 (2010년)7차 (2020년)
총 인구 (명)1,810,5881,534,0101,646,7661,669,3191,836,9231,815,0541,464,955



우웨이 시 행정 구역별 인구 (2000년 ~ 2020년)[18][19]
현/구5차 (2000년)6차 (2010년)7차 (2020년)
량저우946,506174,790885,277
민친 현302,0851,010,295178,470
구랑 현367,048241,251250,177
톈주 티베트족 자치현221,347388,718151,031



우웨이 시의 제5차, 제6차, 제7차 전국 인구 조사 - 성별 및 연령 구조[20]
연령대(세)제7차 (2020년)제6차 (2010년)제5차 (2000년)
남성여성남성여성남성여성
0-444,48540,26348,98139,04670,50448,496
5-946,33940,51953,97441,208100,74384,294
10-1447,44039,42973,28656,878109,253100,793
15-1942,41833,60098,85286,98375,92472,156
20-2431,30929,02881,60782,94950,14850,967
25-2942,72242,67058,23858,22290,74090,367
30-3450,03152,06650,72447,871107,026108,502
35-3942,34742,62786,54386,54885,42786,072
40-4439,74038,369100,781102,53552,81948,012
45-4970,82174,01078,77981,64556,28251,909
50-5483,14987,00748,77344,67442,42841,012
55-5964,46467,02150,62748,15335,44033,260
60-6438,39835,82135,97336,37930,84629,633
65-6940,66840,44228,43628,21322,23922,436
70-7426,79928,67020,11620,96010,76610,577
75세 이상29,17633,10717,79719,3088,4669,449



우웨이 시 제5차 인구 조사 연령 구조


우웨이 시 제6차 인구 조사 연령 구조


우웨이 시 제7차 인구 조사 연령 구조

6. 경제

지속되는 햇빛과 비옥한 토양은 우웨이에서 농업을 가장 큰 산업 중 하나로 만들었다. 다른 중요한 산업으로는 섬유, 야금, 건자재가 있다. 멜론, 채소, 포도주와 가축은 모두 주요 농산품이며 유기농업에 사용되는 땅이 친환경 농업에 사용되는 땅보다 많다.

토지 이용 현황은 다음과 같다.

종류면적
수역790km2
산림34800km2
초원355300km2
미개발 토지247000km2
농경지39100km2
농경지 중 옥수수 재배 면적8000km2
농경지 중 채소 재배 면적4000km2
농경지 중 멜론 재배 면적3000km2
농경지 중 축산 면적5000km2
농경지 중 포도원 면적800km2


7. 교통

우웨이시는 철도와 도로 교통이 발달한 곳이다. 312번 국도가 시를 통과하며, 란신선, 간우선 등의 철도 노선이 지난다.

란신선 우웨이역

7. 1. 철도

톈주 기차역 플랫폼


우웨이의 주요 기차역
현/구역 등급철도 노선이용 가능[25]
우웨이 역량저우2등급란저우-신장 철도, 간탕-우웨이 철도여객, 소화물, 수하물
우웨이 남역량저우1등급란저우-신장 철도, 간탕-우웨이 철도여객
우웨이 동부 기차역 (고속철도)량저우2등급兰张高速铁路|란장 고속철도중국어여객
구랑 기차역구랑4등급란저우-신장 철도여객
구랑 북부 기차역 (고속철도)구랑-兰张高速铁路|란장 고속철도중국어여객
톈주 기차역톈주3등급란저우-신장 철도여객
톈주 서부 기차역 (고속철도)톈주-兰张高速铁路|란장 고속철도중국어여객

7. 2. 도로


분류한국어 명칭중국어 명칭코드서비스 수준
국가 고속도로롄훠 고속도로连霍高速
60x60px
운영 중
우진 고속도로武金高速
60x60px
운영 중
딩우 고속도로定武高速
60x60px
운영 중
성급 고속도로우웨이 순환 고속도로武威绕城高速
60x60px
운영 중
베이셴 고속도로北仙高速
60x60px
운영 중
민홍 고속도로民红高速
60x60px
운영 중
레이시 고속도로雷西高速
60x60px
건설 중
국도312번 국도G312 国道G312운영 중
만다 고속도로G569 曼大公路G569건설 중
딩우 고속도로G667 武定公路G667운영 중


8. 문화

고대 시대에 우웨이는 량저우(—오늘날 우웨이의 중앙 도시 지구가 유지하는 이름)로 불렸으며, 허시 회랑의 동쪽 종착지였다. 약 5,000년 전부터 이곳에 사람들이 정착하기 시작했다. 이곳은 북 실크로드의 핵심 연결 고리였으며,[2] 고대 석조 동물을 실은 구리 수레를 포함하여 우웨이에서 다수의 중요한 고고학적 발견이 이루어졌다.[3] 우웨이 무덤의 모티프와 물건 유형, 그리고 토기, 래커, 청동 구성은 중국 전역에서 찾아볼 수 있는 전형적인 한족 매장 양식의 예이다. 허시 회랑을 따라 발견된 다른 무덤들은 흉노 및 기타 소수 민족의 영향을 보여주며, 이는 북량과 같은 정권을 추적하는 데 사용된다.[4] 후한서에 명확히 나타나듯이, 전한 왕조 시대에 중요한 지방 수도가 되었다.

기원전 121년 무제는 흉노족을 방어하기 위해 이곳에 기병대를 투입했다. 그의 군사적 성공은 그가 회랑을 서쪽으로 확장할 수 있게 했다. 실크로드의 정류장으로서의 중요성은 중앙 아시아 전역의 문화와 민족 집단의 교차로가 되게 했다. 이 지역의 수많은 불교 석굴사원인도아프가니스탄에서 중국으로 불교를 가져오는 통로로서의 역할을 증명한다.

삼국 시대 (184-280) 동안 량저우는 마등에 의해 통치되었다. 마등 사망 후, 마초가 그 자리를 이어받아 잠시 동안 통치하다가 조조, 위 왕국의 통치자, 의 손에 넘어갔다.

량저우는 16국 시대 동안 잠시 (400년에서 421년까지) 국가였다.

우웨이의 유명한 문화 유물로는 구리 말 (), 서하 황릉 (西夏碑|서하비중국어), 우웨이 백탑사 (白塔寺|백탑사중국어), 천제산 석굴 (天梯山石窟|천제산석굴중국어), 루오스(구마라지바) 사원 (), 그리고 공자 사원 () 등이 있다.

참조

[1] 서적 《甘肃发展年鉴-2016》 http://www.gstj.gov.[...] 中国统计出版社 2016-11
[2] 웹사이트 Silk Road, North China http://www.megalithi[...] The Megalithic Portal
[3] 서적 Story of the Silk Road China Intercontinental Press
[4] 서적 Post-Soviet Central Asia Tauris Academic Studies
[5] 문서
[6] 문서 Phanerozoic Geology of Northwest China
[7] 웹사이트 中国气象数据网 – WeatherBk Data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8-27
[8] 웹사이트 Experience Template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8-27
[9] 웹사이트 武威 - 气象数据 -中国天气网 http://www.weather.c[...] Weather China 2022-11-29
[10] 웹사이트 Catalog of Fishes http://researcharchi[...] California Academy of Sciences 2015-12-03
[11] 웹사이트 武威市人民政府 普查数据 武威市第七次全国人口普查公报[1] https://www.gswuwei.[...] 2024-01-02
[12] 서적 景泰县志 景泰县志编纂委员会
[13] 서적 永昌县志 永昌县志编纂委员会
[14] 서적 永登县志 永登县地方史志编纂委员
[15] 서적 张掖市志 甘肃省张掖市志编修委员会
[16] 서적 民乐县志 民乐县志编纂委员会
[17] 서적 山丹县志 山丹县地方志编纂委员会
[18] 웹사이트 武威市2010年第六次全国人口普查主要数据公报_中国统计信息网 https://www.cnstats.[...] 2023-07-15
[19] 웹사이트 武威市第七次全国人口普查公报 https://www.gswuwei.[...] 2021-10-12
[20] 웹사이트 武威市人口普查数据 第五、六、七次人口普查武威市人口-59城市迷 https://www.csm59.co[...] 2023-07-15
[21] 웹사이트 《甘肃发展年鉴2021》使用方法 https://tjj.gansu.go[...]
[22] 웹사이트 武威市人民政府 统计年鉴 https://www.gswuwei.[...] 2024-01-02
[23] 웹사이트 甘肃省统计年鉴 https://tjj.gansu.go[...]
[24] 웹사이트 中国铁路12306网站 https://www.12306.cn[...] 2024-01-02
[25] 웹사이트 铁路客户服务中心-- https://www.12306.cn[...] 2024-01-01
[26] 뉴스 县级以上行政区划变更情况 http://xzqh.mca.gov.[...] 中华人民共和国民政部
[27] 웹사이트 甘肃省 - 区划地名网 https://www.xzqh.org[...]
[28] 웹인용 中国气象数据网 – WeatherBk Data http://data.cma.cn/d[...] 중국기상국 2023-08-27
[29] 웹인용 中国气象数据网 https://experience.a[...] 중국기상국 2023-08-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