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웨이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웨이시는 중화인민공화국 간쑤성에 위치한 지급시로, 하서회랑에 속하며, 량저우 구, 민친 현, 구랑 현, 톈주 티베트족 자치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대 서강의 땅이었으며, 한무제가 서역을 개발하면서 하서사군 중 하나인 무위군이 설치된 곳으로, 실크로드의 요충지였다. 현재 우웨이시는 농업, 섬유, 야금, 건자재 산업이 발달했으며, 구리 말, 서하 황릉, 백탑사, 천제산 석굴 등 다양한 문화 유적을 보유하고 있다. 란저우-신장 철도, 란장 고속철도 등 철도와 여러 고속도로 및 국도가 지나가는 교통의 요지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서주랑 - 자위관시
간쑤성 서북부 하서주랑 중간에 위치한 자위관시는 냉 사막 기후를 띠며 2개의 가도와 3개의 진으로 구성된 교통 요충지인 지급시이다. - 하서주랑 - 진창시
진창시는 중화인민공화국 간쑤성에 위치하며 황하 서쪽, 치롄산맥 북쪽, 알라산 고원 남쪽에 자리 잡고 칭하이성 및 내몽골 자치구와 접하며, 니켈 등 풍부한 광물 자원을 바탕으로 경제 활동이 이루어지고 만리장성 등 문화 유적과 자연 환경을 관광 자원으로 활용한다. - 간쑤성의 지급시 - 톈수이시
톈수이시는 중화인민공화국 간쑤성에 위치한 지급시로, 룽하이 철도와 톈수이 마이지산 공항이 있으며, 과일과 전자 산업이 발달했고, 마이지산 석굴, 복희 사당, 옥천사, 다디완 유적 등의 관광 명소가 있으며, 과과와 마라탕 훠궈가 대표 음식이다. - 간쑤성의 지급시 - 바이인시
바이인시는 간쑤성에 위치한 지급시로, 황투고원과 사막에 걸쳐 냉대 건조 또는 반건조 기후를 띠며, 2개의 시할구와 3개의 현을 관할하고 광업, 에너지, 하이테크 산업이 발달했으며 철도 및 고속도로망으로 연결되고 황허 석림과 같은 관광지가 있다. - 국가역사문화명성 - 베이징시
베이징시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도이자 직할시로, 정치, 문화, 교육의 중심지이며, 3,000년의 역사를 지닌 북부의 교통 요충지이다. - 국가역사문화명성 - 우한시
우한은 후베이성 중부에 위치한 장강과 한수 합류 지점의 대도시이자 경제·문화 중심지로, 무창, 한커우, 한양이 통합되어 형성되었으며 오랜 역사와 신해혁명 발상지, 코로나19 팬데믹 진원지로 알려져 있고, 현재는 중국 중부 부흥 계획의 중심 도시로서 경제 성장과 발달된 교통망, 산업 시설, 연구 기관을 갖추고 있다.
우웨이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武威市 (우웨이 시) |
고유 명칭 | 武威市 (우웨이 시) |
로마자 표기 | Wǔwēi (우웨이) |
별칭 | 없음 |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
성 | 간쑤 성 |
행정 구역 종류 | 지급시 |
정부 소재지 | 량저우 구 |
면적 | 33,000 km² |
인구 (2020년) | 1,464,955 명 |
도시 인구 | 688,697 명 |
시간대 | CST |
UTC 오프셋 | +8 |
우편 번호 | 733000 |
지역 번호 | 0935 |
ISO 코드 | CN-GS-06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정치 및 경제 | |
GDP (2016년) | CN¥ 416억 US$ 67억 |
1인당 GDP | CN¥ 22,930 US$ 3,682 |
하위 행정 구역 | |
구 | 량저우 구 |
현 | 민친 현 구랑 현 |
자치현 | 톈주 티베트족 자치현 |
2. 역사
한나라 무제 때 서역 개발 결과, 무위군이 설치되어 장액군, 주천군, 돈황군과 연결되어 하서사군(河西四郡)이라고 칭해졌다. 이후 양주, 고장 등으로 불리며 지방 행정의 중심지가 되었다.
중화민국 성립 후 현 제도가 시행되면서 우웨이현으로 개칭되었고, 1984년 시로 승격하였다.
2. 1. 고대
우웨이시는 고대 서강(西羌)의 땅이며, 「우공」에 의해 구주의 중간인 옹주(雍州)(후의 양주)에 속했다. 한나라 무제의 서역 개발 결과, 무위군이 설치되어 장액군, 주천군, 돈황군과 연결하여 하서사군(河西四郡)이라고 칭해졌다. 후에 양주, 고장 등이라고 칭해져 지방 행정의 중심이 되었다.
고대 시대에 우웨이는 량저우(—오늘날 우웨이의 중앙 도시 지구가 유지하는 이름)로 불렸으며, 허시 회랑의 동쪽 종착지였다. 약 5,000년 전부터 이곳에 사람들이 정착하기 시작했다. 이곳은 북 실크로드의 핵심 연결 고리였으며,[2] 우웨이에서 다수의 중요한 고고학적 발견이 이루어졌다.[3] 우웨이 무덤의 모티프와 물건 유형, 그리고 토기, 래커, 청동 구성은 중국 전역에서 찾아볼 수 있는 전형적인 한족 매장 양식의 예이다. 허시 회랑을 따라 발견된 다른 무덤들은 흉노 및 기타 소수 민족의 영향을 보여주며, 이는 북량과 같은 정권을 추적하는 데 사용된다.[4]
기원전 121년 한 무제는 흉노족을 방어하기 위해 이곳에 기병대를 투입했다. 그의 군사적 성공은 그가 회랑을 서쪽으로 확장할 수 있게 했다. 실크로드의 정류장으로서의 중요성은 중앙 아시아 전역의 문화와 민족 집단의 교차로가 되게 했다. 이 지역의 수많은 불교 석굴과 사원은 인도와 아프가니스탄에서 중국으로 불교를 가져오는 통로로서의 역할을 증명한다.
삼국 시대 (184-280) 동안 량저우는 마등에 의해 통치되었다. 마등 사망 후, 마초가 그 자리를 이어받아 잠시 동안 통치하다가 조조, 위 왕국의 통치자의 손에 넘어갔다.
량저우는 16국 시대 동안 잠시 (400년에서 421년까지) 국가였다.
십육국시대에는 전량, 후량, 남량, 북량의 각 왕조의 도성이 세워져 남북조 시대에 급속한 발전을 보였다.
2. 2. 중세
오호 십육국 시대에는 전량, 후량, 남량, 북량 등 여러 국가의 수도가 이곳에 설치되어 남북조 시대에 급속한 발전을 이루었다.[4]원나라 때부터는 감숙행성 (이후의 간쑤성)에 속하게 되면서 현재 행정 조직의 기반이 마련되었다.
2. 3. 근세
우웨이시는 고대 서강(西羌)의 땅이며, 『서경·우공』에 따르면 구주 중 옹주(후의 량주)에 속했다. 전한의 무제에 의한 서역 개발 결과, "무제의 위엄이 하서에 도달하다" 하여 하서 회랑에 처음 건설된 도시인 무위군이 설치되었고, 장액군, 주천군, 둔황군과 함께 하서 사군으로 불렸다. 후에 량주의 고장 등으로 불리며 지방 행정의 중심이 되었다. 무위는 그 이름과 같이 한 제국의 무의 위광을 나타낸다.오호 십육국 시대에는 전량, 후량, 남량, 북량 각국의 도성이 설치되어 남북조 시대에 급속한 발전을 보였다.
원대부터 감숙행성 (후의 간쑤성)에 속해 현재의 행정 조직의 기초가 완성되었다. 중화민국이 성립하고 현제가 시행되면서 무위현으로 개칭되었고, 1984년에 승격되어 현재에 이른다.
2. 4. 현대
오호 십육국 시대에는 전량, 후량, 남량, 북량 등 여러 국가의 도성이 설치되어 남북조 시대에 급속한 발전을 보였다.원대부터 감숙행성 (후의 간쑤성)에 속해 현재의 행정 조직의 기초가 완성되었다. 중화민국이 성립하고 현제가 시행되면서 무위현으로 개칭되었고, 1984년에 시로 승격되어 현재에 이른다.
우웨이시의 행정 구역 변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시기 | 내용 |
---|---|
1949년 10월 1일 | 중화인민공화국간쑤성 우웨이 분구 성립. 우웨이현, 융덩현, 민친현, 구랑현, 융창현, 장예현, 산단현, 민러현 발족 (8현) |
1949년 12월 | 우웨이 분구가 우웨이 전구로 개칭 (8현) |
1949년 12월 5일 | 장예현, 산단현, 민러현이 장예 전구에 편입. 딩시 전구 징타이현 편입 (6현) |
1950년 1월 | 융덩현 일부 분리, 톈주 자치구 발족 (6현 1자치구) |
1950년 5월 25일 | 장예 전구 장예현, 산단현, 민러현 편입 (9현 1자치구) |
1950년 12월 | 주취안 전구 가오타이현 일부 장예현 편입 (9현 1자치구) |
1951년 7월 24일 | 구랑현 일부 톈주 자치구 편입 (9현 1자치구) |
1953년 7월 6일 | 닝샤성알라산 기 자치구 일부 산단현 편입 (9현 1자치구) |
1953년 9월 22일 | 칭하이성러두현 일부 톈주 자치구 편입 (9현 1자치구) |
1953년 12월 22일 | 톈주 자치구 톈주 티베트족 자치구로 개칭 (9현 1자치구) |
1954년 3월 | 우웨이현 일부 구랑현 편입 (9현 1자치구) |
1954년 3월 20일 | 장예현 일부 주취안 전구 주취안현, 가오타이현 일부와 합병, 주취안 전구 수난 유구르족 자치구 발족 (9현 1자치구) |
1955년 7월 19일 | 톈주 티베트족 자치구 현제 시행, 톈주 티베트족 자치현 (9현 1자치현) |
1955년 10월 10일 | 우웨이 전구 주취안 전구와 합병, 장예 전구 발족, 소멸 |
1961년 11월 15일 | 장예전구 우웨이현, 민친현, 융창현, 톈주 티베트족 자치현 편입, 우웨이전구 성립 (3현 1자치현) |
1961년 12월 15일 | 톈주 티베트족 자치현 일부 분리, 구랑현 발족 (4현 1자치현) |
1963년 10월 23일 | 바이인시 징타이현, 란저우시 융덩현 편입. 란저우시 훙구구 일부 융덩현 편입 (6현 1자치현) |
1965년 4월 17일 | 내몽골 자치구바옌나오얼 맹알라산좌기, 알라산우기 일부 민친현 편입 (6현 1자치현) |
1969년 7월 5일 | 내몽골 자치구 바옌나오얼 맹 알라산우기 편입. 알라산우기 일부 닝샤 후이족 자치구 알라산좌기 편입 (6현 1자치현 1기) |
1969년 9월 4일 | 우웨이전구 우웨이 지구로 개칭 (6현 1자치현 1기) |
1969년 11월 17일 | 알라산우기 일부 닝샤 후이족 자치구 알라산좌기 편입 (6현 1자치현 1기) |
1970년 3월 25일 | 융덩현 란저우시 편입 (5현 1자치현 1기) |
1971년 10월 23일 | 장예 지구수난 위구르족 자치현 일부 융창현 편입. 톈주 티베트족 자치현 일부 우웨이현 편입 (5현 1자치현 1기) |
1971년 12월 19일 | 톈주 티베트족 자치현 일부(단마 공사) 우웨이현 편입. 우웨이현 일부(상취안 공사, 장이 공사 일부) 톈주 티베트족 자치현 편입 (5현 1자치현 1기) |
1972년 8월 12일 | 융창현 일부 장예 지구 수난 위구르족 자치현 편입 (5현 1자치현 1기) |
1979년 5월 30일 | 알라산우기 내몽골 자치구 바옌나오얼 맹 편입 (5현 1자치현) |
1981년 2월 9일 | 융창현 일부 분리, 지급시 진창시 성립. 융창현 진창시 편입 (4현 1자치현) |
1982년 12월 1일 | 우웨이현 일부 톈주 티베트족 자치현 편입 (4현 1자치현) |
1985년 4월 15일 | 우웨이현 시 승격, 우웨이시 (1시 3현 1자치현) |
1985년 5월 14일 | 징타이현 바이인시 편입 (1시 2현 1자치현) |
2001년 5월 9일 | 우웨이 지구 지급시 우웨이시 승격 |
3. 지리
우웨이는 북쪽으로 내몽골 자치구, 남서쪽으로 칭하이성과 접한다. 중국 서부의 세 개 성도인 란저우, 시닝, 인촨의 중앙에 위치해 지역의 업무와 교통의 중요한 축이다. 하서회랑을 따라 위치해 있어서 중원에서 서역과 중앙아시아로 가는 유일한 통로였으며, 많은 철도와 국도가 우웨이를 통과한다.
우웨이의 지리는 황투고원, 티베트고원, 몽골고원의 세 고원이 솟아있는 형태이다. 고도는 남쪽이 높고 북쪽이 낮으며, 해발 1020m에서 4874m 사이이다.
우웨이 인근에는 흑연, 철, 티타늄, 석회암 등이 매장되어 있다.[6]
3. 1. 기후
우웨이는 티베트 고원과 몽골 고원 사이의 허시 회랑에 위치해 있다. 우웨이 남쪽은 북쪽보다 높으며 해발 1020m에서 4874m이다. 면적은 33000km2이다. 연평균 기온은 7.8°C이다. 기후는 냉 사막 기후(쾨펜 ''BWk'')이며, 강수량은 60mm에서 610mm이다. 증발량은 1400mm에서 3000mm로, 물 부족으로 매년 순 손실이 발생한다. 연간 일조 시간은 2200~3000시간이며, 무상 일수는 85~165일이다. 여름 기온은 그늘에서도 45°C를 넘을 수 있다.[28][29]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평균 최고 기온 (℃) | 0.1°C | 4.8°C | 11.4°C | 18.8°C | 23.6°C | 27.8°C | 29.8°C | 28.1°C | 22.9°C | 16.6°C | 9°C | 1.9°C |
평균 최저 기온 (℃) | -13.3°C | -8.9°C | -2.2°C | 4.4°C | 9.3°C | 13.5°C | 15.7°C | 14.7°C | 9.9°C | 2.7°C | -4.7°C | -10.9°C |
강수량 (mm) | 2.2mm | 2.1mm | 5.7mm | 9.8mm | 18mm | 22.5mm | 34.7mm | 41.1mm | 29.1mm | 10mm | 3mm | 1.8mm |
평균 상대 습도 (%) | 50 | 44 | 40 | 36 | 41 | 47 | 54 | 58 | 61 | 55 | 53 | 54 |
미꾸리과의 한 종인 ''Triplophysa wuweiensis''(우웨이 미꾸리)는 처음 발견된 우웨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0]
4. 행정 구역
(2010)
(km²)
(/km²)
Zìzhìxià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