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투족은 중국 칭하이성, 간쑤성 등에 거주하는 민족으로, 민족 기원은 토욕혼 선비, 몽골 제국 군대, 사타 및 한족 등과 관련하여 다양한 설이 존재한다. 7세기부터 9세기 중반까지 티베트에서 번성했던 토번 제국에 멸망한 선비의 일파인 토욕혼에서 기원했다는 설이 유력하며, 몽골족과 한족의 영향을 받아 청나라 시대에 투족이 형성되었다고 전해진다. 몽골 고원에 거주하다가 칭기즈 칸의 몽골 제국이 서하를 정복하면서 칭하이성, 간쑤성으로 이주했으며, 몽골족과 구별하기 위해 '차칸 몽골'이라고 자칭하기도 했다. 20세기 초에는 인구 감소를 겪었으나,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민족 식별 정책으로 인구가 증가했다. 투족은 몽골어를 사용하며, 불교와 도교를 믿고, 나둔 축제와 같은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투족 - 몽구오르어
몽구오르어는 몽구오르족의 언어로, 다양한 모음과 자음으로 구성된 음운 체계와 고유한 수사 체계를 지니고 있지만, 공식적인 문자 표기 체계는 확립되지 않았다. - 몽골족 - 몽골인
몽골인은 몽골, 중국, 러시아 등에 거주하는 유목민족으로, 몽올실위에서 기원하여 흉노족, 돌궐족과 혼혈되었으며, 칭기즈칸의 몽골 제국을 거쳐 여러 칸국으로 분열 후 청나라 지배를 받았고, 다양한 부족으로 구성되어 몽골어를 사용하며 유목 목축과 라마 불교 중심의 전통 문화를 가지고 있다. - 몽골족 - 부랴트인
부랴트인은 러시아 부랴티야 공화국에 주로 거주하며 몽골 제국의 일원이었던 몽골계 민족으로, 바이칼호 주변에서 반유목 생활을 하며 샤머니즘과 티베트 불교를 믿고 독특한 문화와 언어를 가지고 있으며,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서 높은 사상자 비율로 논란이 되었다. - 중국의 민족 - 우즈베크인
우즈베크인은 중앙아시아의 튀르크계 민족으로, 기원전 2천년기부터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이슬람 문화를 받아들이고 러시아 제국과 소련을 거쳐 1991년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을 수립했으며, 농업, 목축, 수공업, 상업에 종사하며 튀르크어족의 우즈베크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다. - 중국의 민족 - 투르크멘인
투르크멘인은 투르크메니스탄을 중심으로 인접 국가에 거주하는 튀르크계 민족으로, 오구즈 투르크를 조상으로 하며 유목 생활, 여러 제국 지배,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거쳐 투르크메니스탄으로 독립했고, 투르크멘어를 사용하며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고 독특한 민속 공예와 음악 전통을 지닌다.
| 투족 | |
|---|---|
| 일반 정보 | |
![]() | |
| 다른 이름 | 투족/몽구오르/몽글족 |
| 인구 | 289,565명 (중화인민공화국 제6차 전국인구조사) |
| 거주 지역 | 중국 (칭하이성, 간쑤성) |
| 언어 | 몽구오르어, 오둔어 |
| 종교 | 주로 티베트 불교(황교), 도교, 기독교 |
| 관련 민족 | 몽골 민족 |
| 문화 | |
![]() | |
| 상세 정보 | |
| 중국어 간체 | 土族 |
| 중국어 병음 | Tǔ Zú |
2. 기원
투족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토욕혼, 선비족에서 기원했다는 설과, 몽골 정복 시대에 현재의 칭하이-간쑤 지역으로 온 몽골 군대, 사타, 한족과 관련이 있다는 설 등이 있다.[1][2]
투족은 중국 북동쪽의 강력한 유목 민족인 선비족에서 나왔으며, '투'라는 말은 모용선비의 왕 모용섭귀의 장남이었던 토욕혼에서 유래했다.[1]
2. 1. 명칭의 유래
투족이라는 명칭은 중국 북동쪽의 강력한 유목 민족인 선비족에서 기원한다. '투'라는 말은 모용선비의 왕 모용섭귀의 장남이었던 토욕혼에서 유래했다.[1] 그는 284년 북동쪽에서 서쪽으로 대이주를 이끌고 서역을 최초로 점령한 왕이었다."투(Tu)"라는 이름은 "토착민"을 뜻하는 모욕적인 의미를 가졌을 가능성이 높다. 이 모욕적인 의미는 "흙"을 의미하는 중국어 "투(Tu)" 글자에서 유래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투(Tu)"는 점차 자기 지칭으로 사용되게 되었다.
"몽구오르"라는 명칭은 서방에서 이들이 스스로를 "차간 몽구오르"(또는 "백색 몽골인")라고 부른 것에서 유래했다. 이는 투위후 칸이 선비족에서 분리되었는데, 이들은 역사적으로 피부가 더 하얘서 "백부" 또는 "백색 부락"으로 불렸기 때문이다.[7][8][9] "몽구오르"라는 용어는 20세기 초 몽구오르어를 연구하고 몽구오르-프랑스어 사전을 편찬한 유럽 가톨릭 선교사 스메트와 모사에르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10][11][12][13][14][15]
"몽구오르"가 "투족"의 국제적인 명칭이 되었지만, 이는 대표적이지 않다. 이 명칭은 칭하이성 후주현과 다퉁현의 몽구오르족만 사용하며, 사용할 때는 "하라"(또는 "흑") 몽골족과 구별하기 위해 "차간"(또는 "백")과 결합해야 한다.
2. 2. 선비족과의 관계
투족은 중국 북동쪽의 강력한 유목 민족이었던 선비족에서 기원하였다. '투'라는 명칭은 모용선비의 왕 모용섭귀의 장남이었던 토욕혼에서 유래되었다.[1][2] 그는 284년 북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하여 서역을 처음으로 차지한 위대한 왕이었다.토욕혼의 마지막 글자인 "훈(hun)"은 고대 중국어의 일부 방언에서 "후(hu)"로 발음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현대에는 "토욕혼(Tuyuhun)"으로 표기된다.[3][4] 이는 그의 원래 이름 "테이후(Teihu)"의 중국어 음역에서 유래되었으며, "테이(Tei)"를 표현하기 위해 "투(Tu)"와 "위(yü)" 두 글자가 사용되었다. "투(Tu)"는 "토욕혼 민족" 또는 "토욕혼 제국의 사람들"의 약칭에서 유래되었으며, 908년부터 1042년 사이에는 "투후(Tuhu)"와 "투이후(Tüihu)" 사람들로 간략화되었다.[5][6] 토욕혼 제국의 다른 민족 집단들이 다른 민족명을 갖게 되면서, 제국을 세운 선비족은 "투(Tu)"라는 정체성을 유지하게 되었다.
"투(Tu)"라는 이름은 "토착민"과 연관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흙"을 뜻하는 중국어 "투(Tu)" 글자의 의미에서 유래된 모욕적인 의미를 내포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 명칭은 점차 자기 지칭으로 사용되고 있다.
"몽구오르"라는 명칭은 서방에서 사용되었는데, 이는 투족이 스스로를 "차간 몽구오르"(백색 몽골인)라고 지칭한 데서 유래했다.[7][8][9] 이는 토욕혼 칸이 피부가 더 하얘서 "백부" 또는 "백색 부락"으로 불렸던 선비족 무리에서 유래했기 때문이다.[7][8][9]
오환과 흉노가 약해지자, 선비는 선비산으로 이동하여 세력을 보존했다. 1세기에 선비는 오환과 북흉노를 격파하고, 칸 탄석괴의 지도 아래 강력한 국가로 발전했다. 3세기에 후한이 멸망하고 조위, 동오, 촉한의 삼국으로 분열되었다. 235년, 조위는 선비의 마지막 칸인 가비능을 암살하여 선비 왕국을 분열시켰다. 이후 선비는 만리장성 안으로 진출하여 중국에 광범위하게 자리 잡았다.
오호 십육국 시대 (304–439년) 동안, 선비는 전연, 서연, 후연, 남연, 서진 및 남량의 여섯 왕국을 세웠다. 이들 대부분은 탁발 선비에 의해 통일되었으며, 탁발 선비는 북위를 건국했다.[35][36][37] 북위는 동위와 서위로 분열되었고, 각각 북제와 북주로 발전했다. 581년, 수나라가 건국되어 북조와 남조 시대를 종식시켰다. 이 기간 동안 중국으로 들어온 선비는 중국인들 속에 동화되었지만, 토욕혼은 서쪽으로 이주하여 다른 길을 걸었다.
토욕혼은 서진 시대에 조위를 계승한 북중국에서 선비족으로부터 분리되었다. 전설에 따르면, 그의 말과 동생 모용위의 말 사이의 싸움 때문에 분리가 일어났다고 한다. 실제로는 칸 자리와 미래 방향에 대한 갈등 때문이었다. 모용위를 칸국 자리에 옹호하는 세력은 중국 지배를 원했지만, 토욕혼은 선비 문화와 생활 방식 보존을 원했다. 이러한 의견 불일치로 토욕혼은 칸, 즉 커한을 선포하고 진 왕(Jin Wang)이라는 칭호로 서쪽으로 이동했다. 서부 랴오닝과 백산(Mt. Bai)을 지나면서 단부, 우웬, 백족에서 더 많은 선비 집단이 합류했다. 내몽골의 오르도스 고리 근처 허타오 평원에서 토욕혼 칸은 탁발 선비와 북선비가 정치적, 결혼 동맹을 통해 합류하면서 30년 이상 동안 음산(Mt. Yin) 근처에 머물도록 이끌었다. 그들은 북서부에 정착한 후, 강족으로 통칭되는 원주민을 정복하고 토욕혼 제국을 세웠다.
토욕혼 칸이 북동부를 떠난 후, 모용위는 "형님의 노래" 또는 "아 간의 노래"를 지었다. "아 간"은 선비어에서 "형님"을 뜻하는 "a ga"의 중국어 음역이다.[5][38] 이 노래는 그의 슬픔과 토욕혼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했다. 전설에 따르면 모용위는 죽을 때까지 이 노래를 자주 불렀고, 이 노래는 중국 중부와 북서부로 퍼져나갔다. 그가 이끌었던 선비족은 전연, 서연, 후연, 남연을 세웠다. 그들의 영토는 전성기에 현재의 랴오닝, 내몽골, 산둥, 산시, 허베이, 허난을 포함했으며, 수도는 베이징을 비롯한 다른 도시들을 포함했다. 이들은 중국인들 사이에 융화되었지만, 토욕혼 칸을 따라온 선비들은 그들의 언어와 문화를 보존했다.
광대한 선비족의 이동 과정에서, 선비산의 이름은 그들의 이동 경로를 따라 나타났다. 가장 초기의 기록은 대흥안령의 남쪽에 있었으며, 이는 선비족의 발원지인 내몽골 북동부에 위치해 있었다. 이후 랴오닝성 서부에서 두 개의 선비산이 기록되었는데, 하나는 현재의 진저우시에, 다른 하나는 이현 근처에 있었다. 또 다른 선비산은 내몽골 북동부의 오로첸 자치기의 아리허진 근처에 기록되었다. 현재 하바롭스크와 아무르주에 위치한 가시안 동굴[39]은, 443년에 제작된 북위 황제의 석각이 발견되었으며, 선비족의 신성한 조상 사당으로 인정되었다. 북서쪽에서는 간쑤성과 칭하이성을 따라 뻗어 있는 치롄산맥이 대 선비산으로 불렸다. 칭하이성 민허 후이족과 투족 자치현의 산촨/관팅은 몽골족의 인구가 가장 밀집된 곳으로, 선비산이 서쪽에 위치해 있으며, 그 위에 선비 칸의 조상 사당이 자리하고 있다.
3. 역사
투족은 7세기 초부터 9세기 중반까지 티베트에서 번성했던 토번(티베트 민족)에 의해 멸망한 선비모용부의 일파 토욕혼에서 기원하며, 몽골족, 한족과 함께 청나라 시대를 거쳐 형성되었다고 전해진다.
투족은 본래 몽골 고원에 거주하던 민족이었다. 1227년 칭기즈 칸이 이끄는 몽골 제국이 중국 서북부의 서하를 정복하면서 현재의 칭하이성·간쑤성 지역으로 이주하게 되었다. 이들은 몽골족과 자신들을 구별하기 위해 "'''차칸 몽골'''"(ᠴᠠᠭᠠᠨᠮᠣᠩᠭᠣᠯ|차칸 몽골mn)이라고 불렀다.
이후 투족의 인구는 감소 추세였으나,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중국 정부의 '''민족 식별 공작''' 정책으로 인해 인구가 급격히 증가했다.
3. 1. 동호와 선비
투족은 중국 북동쪽의 강력한 유목민인 선비에서 기원했다. 투라는 말은 모용선비의 왕 모용섭귀의 장자였던 토욕혼에서 유래했다. 그는 284년 북동쪽에서 서쪽으로 대이주를 감행하여 최초로 서역을 차지했던 위대한 왕이었다.[24]그들의 가장 초창기 기원은 동호에서 비롯되었으며, 이는 루쉬 부인에게서 기인한 독특한 결혼식에 대한 기록에서 나타난다.[24] 루쉬 부인은 "왕망"이라는 불량배를 제압하기 위해 술과 노래를 곁들인 정교한 연회를 통해 매복 작전을 펼쳤다.[25][26][27][28][29] 역사적으로 "왕망" 사람들은 4천 년도 더 전에 기록되었으며, 현재 랴오닝성 서쪽에 위치한 신체적으로 강건하고 활동적인 사람들이었고, 그들의 문화는 홍산 문화와 관련이 있었다.[30][31][32] 고고학적으로 홍산 문화는 점차 하가점 하층 문화로 발전했으며 청동 기술로의 전환을 나타냈다. 결국에는 동호와 관련이 있고 수공예품과 청동 예술을 보완하는 농업과 축산업의 관행을 특징으로 하는 하가점 상층 문화로 진화했다. 동호는 동호, 오환, 선비로 구성된 연맹이었다.
북방 민족들 중 동호는 가장 먼저 문명 국가로 발전했으며 최초로 청동 기술을 개발했다.[33][34] 그들은 청동 무기와 갑옷을 갖춘 기병을 전쟁에 사용하여 서쪽에 있는 흉노에 대해 광범위한 지배력을 유지했다. 기원전 3세기 말, 흉노의 묵돌은 동호를 기습 공격하여 멸망시켰고, 연맹은 해체되었다. 오환은 오환산으로 이동하여 서쪽의 흉노와 남쪽의 중국과 지속적인 전쟁을 벌였다. 동호는 몽골어를 사용했으며, 동호, 오환, 선비의 연맹으로 구성되었다.[33][34]
오환과 흉노가 오랜 전투로 인해 약해지자, 선비는 선비산으로 북쪽으로 이동하여 세력을 보존했다. 1세기에는 선비가 오환과 북흉노를 격파하고, 선출된 칸인 탄석괴의 지도 아래 강력한 국가로 발전했다.
3. 2. 토욕혼 제국
토욕혼은 서진 (265–316) 시대에 조위 (220–265)를 계승한 북중국에서 선비 모용부로부터 분리되었다. 전설에 따르면 이 분리는 토욕혼의 말과 동생 모용위의 말 사이의 싸움 때문이었다고 한다. 실제 원인은 칸 자리와 그들의 미래 방향에 대한 격렬한 갈등이었다. 모용위를 칸국 자리에 옹호하는 세력은 중국을 지배하려 했지만, 토욕혼은 선비 문화와 생활 방식을 보존하려 했다. 이 의견 불일치로 인해 토욕혼은 칸, 즉 커한을 선포하고 진 왕(Jin Wang)이라는 칭호로 다른 선비 및 오환 집단과 함께 서쪽으로 긴 여정을 시작했다.[5][38] 서부 랴오닝과 백산(Mt. Bai)을 지나면서 단부, 우원, 백족에서 더 많은 선비 집단이 합류했다. 내몽골의 오르도스 고리 근처 허타오 평원에서 토욕혼 칸은 탁발 선비와 북선비가 정치적, 결혼 동맹을 통해 합류하면서 30년 이상 동안 음산(Mt. Yin) 근처에 머물도록 이끌었다. 그들은 북서부에 정착한 후, 그곳으로 그들을 이끈 첫 번째 칸으로서 그의 이름을 따서 강력한 토욕혼 제국을 세웠으며, "강족"으로 통칭되는 원주민을 정복했고, 서로 또는 어떤 권력에도 복종하지 않는 100개 이상의 서로 다른 부족이 포함되었다.토욕혼 칸이 북동부를 떠난 후, 모용위는 "형님의 노래" 또는 "아간의 노래"를 지었다. "아간"은 선비어에서 "형님"을 뜻하는 "a ga"의 중국어 음역이다. 이 노래는 그의 슬픔과 토욕혼에 대한 그리움을 한탄했다. 전설에 따르면 모용위는 죽을 때까지 이 노래를 자주 불렀고, 이 노래는 중국 중부와 북서부로 퍼져나갔다.
광대한 선비족의 이동 과정에서, 선비산의 이름은 그들의 이동 경로를 따라 나타났다. 선비산에 대한 가장 초기의 기록은 대흥안령의 남쪽에 있었으며, 이는 선비족의 발원지인 내몽골 북동부에 위치해 있었다. 이후 랴오닝성 서부에서 두 개의 선비산이 기록되었는데, 하나는 현재의 진저우시에, 다른 하나는 이현 근처에 있었다. 또 다른 선비산은 내몽골 북동부의 오로첸 자치기의 아리허진 근처, 즉 동쪽 러시아와 접경한 대흥안령 북부에 기록되었다. 현재 하바롭스크와 아무르주에 위치한 가시안 동굴[39]은, 443년에 제작된 북위 황제의 석각이 발견되었으며, 선비족의 신성한 조상 사당으로 인정되었다. 북서쪽에서는 간쑤성과 칭하이성을 따라 뻗어 있는 치롄산맥이 대 선비산으로 불렸다. 칭하이성 민허 후이족 투족 자치현의 산촨/관팅은 몽골족의 인구가 가장 밀집된 곳으로, 선비산이 서쪽에 위치해 있으며, 그 위에 선비 칸의 조상 사당이 자리하고 있다.
토욕혼 칸이 317년 린샤(호저우, 간쑤성)에서 사망한 후, 그의 60명의 아들들이 제국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서진 (385–430)을 멸망시켰다. 서진은 이전에 남량 (396–414)을 병합했으며, 하오리안의 하 (407–431) 왕국을 멸망시켰다. 이 과정에서 칭하이 선비, 투파 선비, 치푸 선비, 하오리안 선비가 그들과 합류했다. 이들 선비 집단은 토욕혼 제국의 핵심을 이루었으며, 전성기에는 약 330만 명에 달했다. 그들은 서쪽으로 광범위한 군사 원정을 수행하여 신장의 호탄과 인도, 아프가니스탄 국경까지 이르렀고, 칭하이성, 간쑤, 닝샤, 북부 쓰촨성, 동부 산시성, 남부 신장, 그리고 대부분의 티베트를 아우르는 광대한 제국을 건설했다. 이 제국은 동쪽에서 서쪽으로 1,500km, 북쪽에서 남쪽으로 1,000km에 걸쳐 있었다. 그들은 역사상 처음으로 중국 북서부를 통일했으며, 실크로드의 남쪽 길을 개발하고 동서 지역 간의 문화 교류를 촉진하여 670년 토번에 의해 멸망될 때까지 3세기 반 이상 북서부를 지배했다.[40]
당나라 초기에, 토욕혼 제국은 점차 쇠퇴하여 당나라와 토번 사이의 갈등에 휘말리게 되었다. 토욕혼 제국은 동서 무역의 중요한 통로를 장악하고 있었기 때문에 당나라의 즉각적인 침략 대상이 되었다. 한편, 토번은 송짼감뽀의 지도 아래 빠르게 발전하여 티베트인들을 통일하고 북쪽으로 영토를 확장하여 토욕혼 제국을 직접적으로 위협했다. 망명한 토욕혼의 칸 다얀은 토번에게 항복했는데, 토번은 토욕혼이 당나라와의 혼인을 반대한다는 구실을 내세워 20만 명의 군대를 보내 공격했다. 토욕혼 군대는 칭하이성으로 후퇴했고, 토번은 동쪽으로 진격하여 당항족을 공격하여 남부 간쑤성까지 진출했다. 당나라는 충격을 받고 군대를 보내 싸웠다. 토번이 이에 대응하여 철수했지만, 토욕혼 제국은 남부 간쑤성의 많은 영토를 잃었다. 한편, 토욕혼 정부는 친당파와 친토번파로 분열되었고, 후자가 점점 더 강해져 토번과 공모하여 침략을 감행했다. 당나라는 유명한 장군 설인귀를 보내 10만 명의 군대를 이끌고 다페이촨(현재 칭하이성 공화현)에서 토번과 싸웠다. 그들은 다얀과 토번의 20만 군대의 매복에 의해 전멸당했는데, 이는 당나라 역사상 가장 큰 참패였으며, 토욕혼 제국을 공식적으로 멸망시켰다.
670년 멸망 이후, 토욕혼 제국은 동부 왕국과 서부 왕국으로 분열되었다. 동부 왕국은 치롄산맥 동쪽에 존재했으며 점차 동쪽으로 이동하여 중국 중부로 진출했고, 서부 왕국은 전 망명 칸 다얀의 지도 아래 티베트에 존재했다. 안사의 난으로 당나라 조정이 흔들리고 황제가 피신하자, 토번은 토욕혼의 모든 영토를 장악했으나, 토번 정부 내에서 내분이 발생하고 대규모 반란이 일어나 토번의 지배가 종식되었다. 이 기간 동안 선비족은 광대한 영토에서 대규모 분산을 겪었는데, 그 영토는 북서쪽에서 중국 중부 및 동부 지역까지 뻗어 있었으며, 가장 큰 집단은 오르도스 인근의 음산 부근에서 발견되었다. 946년, 사타 돌궐족인 유지원은 선비족의 최고 지도자 백승부를 암살했는데, 그는 "그의 말에게 은제 구유가 있었다"고 할 정도로 부유했다고 전해진다.[46] 풍부한 재산과 수천 필의 좋은 말 등 훔친 재산을 바탕으로 유지원은 후한 (947–950)을 건국했는데, 이는 중국 역사상 가장 짧은 왕조로, 단 4년 동안 지속되었다. 이 사건으로 인해 선비족의 중심 지도력이 사라졌고, 선비족이 토욕혼 제국을 재건할 가능성은 없어졌다.
3. 3. 서하
서하는 당나라의 정치 및 사회 구조를 계승하여 문학, 예술, 음악, 건축, 화학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이루었다.[47] 서하는 나라를 잃은 투유후 선비의 후손들을 위한 새로운 왕국이었다. 서하는 기병, 전차, 궁술, 방패, 포병(낙타 등에 실린 대포), 육해상 전투를 위한 수륙 양용 부대를 통합한 효과적인 군사 조직을 갖추었다.[48] 이를 통해 서하군은 동쪽의 송나라, 요나라(916–1125), 금나라(1115–1234)에 맞서 강력한 입지를 유지했다. 서하의 영토는 현재의 닝샤, 간쑤, 동부 칭하이, 북부 산시, 북동부 신장, 남서부 내몽골, 최남부 외몽골을 포함하여 약 80만 제곱킬로미터에 달했다.[49][50][51]13세기 초 칭기즈 칸은 몽골의 북부 초원을 통일하고 몽골군을 이끌고 22년에 걸쳐 서하를 6차례 공격했다. 서하는 격렬하게 저항했고, 몽골의 공격을 피하기 위해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치롄 산맥을 넘어 칭하이와 간쑤의 초기 정착지에 합류했으며, 이로 인해 현재의 몽골족 정착지가 생겨났다. 마지막 공격에서 칭기즈 칸은 서하에서 사망했다. 몽골 공식 역사 기록에서는 그의 죽음을 질병으로, 전설에서는 전투에서 입은 상처로 사망했다고 전했다. 1227년 서하의 수도가 함락된 후 몽골군은 서하 건축물과 기록을 대거 파괴하고 마지막 황제를 살해했으며 수만 명의 민간인을 학살했다. 서하군은 이후 몽골군에 편입되어 중국 중부 및 남부 지역을 정복하는 데 참여했다.
몽골의 공격, 특히 칭기즈 칸의 죽음에 대한 서하의 격렬한 저항으로 인해 원나라(1271–1368) 초기에 억압을 받았다. 원나라 중후반에는 서하는 지배 몽골족과 동등한 대우를 받았으며 중앙 조정에서 최고 관직을 얻었다. 원나라가 멸망한 후 몽골을 따라 북부 초원으로 간 서하는 "몽골족"에 동화되어 분류되었다.
"당항-서하"에 대한 영어식 표기는 "당항"에 대한 몽골어 표기와 "서하"로 불리는 중국어 표기의 조합에서 유래했다. 중국어 표기는 황하 서쪽에 위치한 제국에서 유래했으며, 동쪽에 위치한 요나라(916–1125) 및 금나라와 대조를 이룬다.
서하의 공식 국호는 "백고대하국"(白高大夏國) 또는 "백고 대하 왕국"이었다.
3. 4. 몽골 제국 시기
몽골 제국이 13세기에 강력한 세력으로 부상하면서, 선비족과 몽골족의 민족명칭에 역전 현상이 발생했다.[57] 선비족의 후예들을 "차간 몽구오르"(또는 "백색 몽골")라고 지칭했으며, 이로 인해 서방 출판물에서 "몽구오르"라는 민족명이 생겨났다. "백색 몽골" 또는 "바이 멍구"라는 용어는 칭기즈 칸이 1206년 몽골에서 몽골족을 통일하여 일어섰을 때 처음 등장했다.[57] 음산산맥 인근에 거주하던 선비족 후예들은 스스로를 "백색 몽골"이라고 칭하며 몽골족에 합류했고, 몽골족과 동일한 대우를 받으며 중앙아시아와 유럽으로의 서쪽 정복에 참여했다.[57]투족은 예로부터 몽골에 거주했던 민족이다. 1227년 칭기즈 칸이 이끄는 몽골 제국이 중국 서북부에 번성했던 서하를 정복하여 몽골 제국 영토가 된 현재의 칭하이성・간쑤성에 거주하게 되었다. 또한 몽골족과 구별하기 위해 "'''차칸 몽골'''"이라고 자칭했다.
3. 5. 중화인민공화국 시기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당시 몽골족 중 약 5만 명만이 그들의 언어를 유지했으며, 주로 칭하이성과 간쑤성에서 사용되었다.[74] 1950년대에 실시된 중국 분류 캠페인 동안 그들의 언어를 더 이상 구사할 수 없는 사람들은 한족으로, 언어를 구사할 수 없지만 이슬람교를 받아들인 사람들은 후이족으로 분류되었다. 몽골족을 따라 북부 초원으로 간 사람들은 몽골족으로 분류되었고, 언어를 구사하고 이슬람교를 받아들인 사람들은 둥샹족, 보난족, 유구르족으로 분류되었으며, 마지막은 선비족과 사리 위구르의 혼합을 나타냈다.[74]투족은 1227년 칭기즈 칸이 이끄는 몽골 제국이 서하를 정복하여 몽골 제국 영토가 된 현재의 칭하이성·간쑤성에 거주하게 되었다. 이후 투족의 인구는 감소 추세였으나,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중국 정부의 '''민족 식별 공작''' 정책으로 인해 인구가 급격히 증가했다.
4. 유전적 연구
투족에 대한 유전적 연구는 http://admixturemap.paintmychromosomes.com/ DNA 분석과 Y 염색체 하플로그룹 분포를 통해 이루어졌다.
4. 1. DNA 연구 결과
투족의 http://admixturemap.paintmychromosomes.com/ DNA 염기 서열은 그리스인이 서기 1200년경 동아시아 집단과 혼합되어 투족의 유전자 풀에 약 7.7% 기여했음을 나타낸다. 이 유럽 DNA의 출처는 실크로드를 여행하는 상인일 수 있다.[20][21] 이러한 혼합은 그들의 카니발과 같은 축제와 가면을 쓴 다산 의식이 헬레니즘 시대의 디오니소스적 표현과 유사점을 보이는 것처럼 더 이른 시기에 기인했을 수 있으며, 비잔틴 기독교 시대의 그리스 축제와는 다르다.[22]몽골족의 Y 염색체 하플로그룹 분포는 다음과 같다.[23]
| 하플로그룹 | 비율 |
|---|---|
| O | 38.85 (O2=31.42, O1a=4.13, O1b=3.3) |
| D | 14.87 |
| R1 | 14.05 (R1a=13.22, R1b=0.83) |
| N | 11.57 |
| C | 9.09 |
| J | 5.79 |
| 기타 | 5.78 |
4. 2. 하플로그룹 분포
투족의 DNA 염기 서열은 그리스인이 서기 1200년경 동아시아 집단과 혼합되어 투족의 유전자 풀에 약 7.7% 기여했음을 나타낸다. 이 유럽 DNA의 출처는 실크로드를 여행하는 상인일 수 있다.[20][21] 이러한 혼합은 그들의 카니발과 같은 축제와 가면을 쓴 다산 의식이 헬레니즘 시대의 디오니소스적 표현과 유사점을 보이는 것처럼 더 이른 시기에 기인했을 수 있으며, 비잔틴 기독교 시대의 그리스 축제와는 다르다.[22]몽골족의 Y 염색체 하플로그룹 분포는 다음과 같다.[23]
| 하플로그룹 | 비율 |
|---|---|
| O | 38.85% (O2=31.42%, O1a=4.13%, O1b=3.3%) |
| D | 14.87% |
| R1 | 14.05% (R1a=13.22%, R1b=0.83%) |
| N | 11.57% |
| C | 9.09% |
| J | 5.79% |
| 기타 | 5.78% |
5. 문화
오늘날 빠르게 변화하는 농촌 정착지에 거주하는 대부분의 몽골족은 최소한의 축산업과 도시에서의 계절 노동으로 보충되는 정착 농업을 실천한다. 중국 교육 시스템에서 성공한 사람들은 다양한 학문, 의료 및 비즈니스 분야에서 정부 직책을 맡는다.
전통적인 몽골족 문화와 언어는 위기에 처해있다.[75][76] 결혼, 나둔, 장례식, 설날 의식과 같은 전통 행사는 점점 축약되고 있으며 전통 노래, 수수께끼, 민담, 속담도 사라지고 있다.
5. 1. 언어
투족은 문자를 갖지 않았지만, 1979년부터 중국어 병음 문자를 기반으로 한 라틴 문자 표음 문자화를 진행하고 있다.[1] 투족의 약 85%는 몽골어족 언어인 몽골어를 사용하며, 그 외에는 중국어, 티베트어 등을 사용한다.[1]5. 2. 종교
대부분의 투족 마을에는 불교 사찰과 도교 사당이 공존한다. 오늘날 볼 수 있는 거의 모든 사찰과 사당은 문화 대혁명 (1966–1976) 동안 파괴되었기 때문에 지난 30년 동안 재건되었다.[77][78][79] 대부분의 마을에서는 불교 승려를 흔히 볼 수 있지만, 도교 사제와 무당은 그 수가 매우 적어져서 전체 지역을 섬기고 있다. 도교 사제는 결혼식, 장례식, 사당 관리 등 다양한 역할을 담당하는 반면, 무당의 주요 기능은 나둔 축제 기간과 때로는 질병을 관리할 때 무아지경 상태에서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이다.[77][78][79] 현지 기록에 따르면 과거 몽골 지역에는 여러 가톨릭 교회가 건설되었다고 한다.[80] 이 교회들은 공산주의자들이 통제권을 잡은 후 1950년대 초에 파괴되었으며, 재건되지 않았다.투족은 티베트 불교를 신봉하며, 그 외에도 도교 등을 신앙하고 있다. 불교 사원이나 신사의 승려는 대부분 무당이다.
5. 3. 풍습
전통적인 몽골족 문화와 언어는 위기에 처해있다.[75][76] 결혼, 나둔, 장례식, 설날 의식과 같은 전통 행사는 점점 축약되고 있으며 전통 노래, 수수께끼, 민담, 속담도 사라지고 있다.
연중 뚜렷한 문화 행사가 열린다. 춘절 동안 열리는 일반적인 축제는 "양궈"이지만, 가장 특징적인 전통은 여름 말에 열리는 나둔으로 대표된다. 나둔은 이름은 몽골족의 나담과 유사하지만 형식과 내용이 다르다. "나둔"과 "나담"은 모두 연례 축제를 지정하는 특수 명사이며, 선비족이 "매년 봄 강가에서 여가와 재미를 위해 한 번의 큰 모임"을 가졌다고 기록된 것에서 공통된 기원을 반영한다.[81] 몽골의 나담이 경마, 레슬링, 양궁의 유목적 특징을 보존한 반면, 몽골족 나둔은 가면극 공연을 통해 그들의 역사를 기록하고 풍성한 수확을 기뻐하는 연례 군사 훈련으로 제시한다.[82] 황하를 따라 마을별로 교대로 열리고, 민허의 싼촨/관팅 지역 전체를 순회하는 나둔 축제는 본질적으로 농업과 관련되어 있다. 이 축제는 서양 문화의 "추수감사절" 형태와 같으며, "톈거레"라고 불리는 천국의 축복을 받은 풍성한 수확에 대한 감사를 표현한다. 이 행사는 중국 음력으로 7월 12일부터 9월 15일까지 두 달 이상 지속되며, 총 63일 동안 진행되어 "세계에서 가장 긴 축제"라는 별칭을 얻었다.[83][84][85] 후주 몽골족 사이에서, 특징적인 전통 무용은 "안자오"이다. 그 이름과 스타일은 역사적으로 선비족이 중국에서 이동하는 과도기적 역할을 했던 지역인 오르도스에 거주하는 몽골족의 "안다이" 춤과 유사하다.
몽골족의 전통적인 결혼식은 매우 다르다. 민허 현에서는 정교한 예의와 적절성에 대한 규칙이 적용되었다. 많은 노래 "다올라"가 멜로디와 내용에 큰 변화를 주면서 며칠 밤낮으로 불렸다.[86][87] 몽골족은 어디를 가든 그들의 노래를 가져가며, 이는 그들이 일하는 도시의 파티, 연회, 모임에서 들을 수 있다.
몽골과 거의 일관된 관습이 있다.
6. 자치 지방
투족은 칭하이성과 간쑤성에 주로 거주하며, 여러 자치 지방을 가지고 있다. 칭하이성에는 다퉁 후이족 투족 자치현, 민허 후이족 투족 자치현, 후주 투족 자치현이 있으며, 간쑤성에는 초네 현 셔와 투족향이 있다.
6. 1. 자치현 (自治縣)
- 칭하이성
- * 다퉁 후이족 투족 자치현
- * 민허 후이족 투족 자치현
- * 후주 투족 자치현
6. 2. 민족향 (民族鄕)
초네 현 셔와 투족향이 있다.참조
[1]
논문
'Mongghul Ha Clan Oral History Documentation'
2013
[2]
논문
'An overview of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Xianbei (''Monguor''/''Tu'')'
2010
[3]
서적
Tu zu shi [The Tu History] 土族史
Zhongguo she hui ke xue chu ban she [Chinese Social Sciences Press] 中囯社会科学出版社
2002
[4]
간행물
Tuzu ming cheng kao shi [A Textual Analysis of the Tu Names] 土族名称考释
2007
[5]
서적
Account of the T'ù-yü-hún in the history of the Chìn dynast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53
[6]
서적
The T'u-yü-hun from the Northern Wei to the time of the five dynasties
Istituto italiano per il Medio ed Estremo Oriente
1970
[7]
서적
Xianbei shi lun [the Xianbei History] 鮮卑史論
Nan tian shu ju [Nantian Press] 南天書局
1994
[8]
서적
Tu zu shi [The Tu History] 土族史
Zhongguo she hui ke xue chu ban she [Chinese Social Sciences Press] 中囯社会科学出版社
2002
[9]
서적
Wei jin nan bei chao shi [History of Wei, Ji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魏晋南北朝史
Zhonghua shu ju [China Press] 中华书局
2007
[10]
논문
"Le dialecte monguor parlé par les Mongols du Kansou occidental, Ie partie. Phonétique."
1929
[11]
논문
"Le dialecte monguor parlé par les Mongols du Kansou occidental, Ie partie. Phonétique."
1930
[12]
논문
"Le dialecte monguor parlé par les Mongols du Kansou occidental, Ie partie. Phonétique."
1931
[13]
서적
Le dialecte monguor parlé par les Mongols du Kansou occidental, IIIe partie. Dictionnaire Monguor–Français
Imprimerie de l'Universite Catholique
1933
[14]
서적
Le dialecte monguor parlé par les Mongols du Kansou occidental, IIe partie
Catholic University
1945
[15]
간행물
"The Mongols of Kansu and their Language."
1931
[16]
간행물
"The Monguors of the Kansu-Tibetan Frontier. Their Origin, History, and Social Organization."
1954
[17]
서적
The Monguors of the Kansu-Tibetan Frontier: Part II. Their Religious Lif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1957
[18]
서적
The Monguors of the Kansu-Tibetan Frontier: Part III. Records of the Monguor Clans. History of the Monguors in Huangchung and the Chronicles of the Lu Family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1961
[19]
간행물
"The Monguors of the Kansu-Tibetan Frontier. Their Origin, History, and Social Organization."
1954
[20]
웹사이트
A genetic atlas of human admixture history
http://admixturemap.[...]
2014
[21]
뉴스
Modern genes yield atlas of ancient inter-ethnic sex
http://www.nature.co[...]
Nature
2014-02-13
[22]
웹사이트
Dionysian rituals and the Golden Zeus of China
http://www.sino-plat[...]
[23]
웹사이트
The Silk Road: Language and Population Admixture and Replacement
https://hal-inalco.a[...]
Springer, Singapore
2017
[24]
서적
The Monguors of the Kansu-Tibetan Frontier: Part III. Records of the Monguor Clans. History of the Monguors in Huangchung and the Chronicles of the Lu Family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1961
[25]
간행물
Minhe Monguor Folktales (collected and translated folktales from Monguor and Chinese)
1994
[26]
간행물
"Lu shi tai tai xiang wang mang [Madam Lushi subdues Wang Mang] 鲁氏太太降王莽[汪芒]."
2002
[27]
서적
Tu zu shi [The Tu History] 土族史
Zhongguo she hui ke xue chu ban she [Chinese Social Sciences Press] 中囯社会科学出版社
2002
[28]
서적
Tu Zu: Qinghai Huzhu xian Dazhuang cun diao cha [The Tu Nationality: investigation in Dazhuang Village of Huzhu County, Qinghai] 土族: 靑海互助县大庄村调查
Yunnan da xue chu ban she [Yunnan University Press] 云南大学出版社
2004
[29]
서적
Zhongguo Minhe Tu zu min jian gu shi [Folktales of China's Minhe Monguor] 中国民和土族民间故事
Lincom Europa
2005
[30]
서적
Tu zu shi [The Tu History] 土族史
Zhongguo she hui ke xue chu ban she [Chinese Social Sciences Press] 中囯社会科学出版社
2002
[31]
서적
Xiongnu shi [The Xiongnu History] 匈奴史
Nei Mengguo ren min chu ban she (Inner Mongolia People's Press] 内蒙古人民出版社
2007
[32]
간행물
"Ren zhong xue shang de xiong nu, xian bei yu qi dan [The Xiongnu, Xianbei and Qidan in racial perspectives] 人种学上的匈奴、鲜卑与契丹."
1994
[33]
서적
Wuhuan yu Xianbei [Wuhuan and Xianbei] 烏桓與鮮卑
Shanghai ren min chu ban she [Shanghai People's Press] 上海人民出版社
1962
[34]
서적
Donghu shi [The Donghu History] 东胡史
Nei Mengguo ren min chu ban she (Inner Mongolia People's Press] 内蒙古人民出版社
2007
[35]
서적
Wuhuan yu Xianbei [Wuhuan and Xianbei] 烏桓與鮮卑
Shanghai ren min chu ban she [Shanghai People's Press] 上海人民出版社
1962
[36]
서적
Xianbei shi lun [the Xianbei History] 鮮卑史論
Nan tian shu ju [Nantian Press] 南天書局
1994
[37]
서적
Wei jin nan bei chao shi [History of Wei, Ji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魏晋南北朝史
Zhonghua shu ju [China Press] 中华书局
2007
[38]
서적
Qun ti shen fen yu duo yuan ren tong: ji yu san ge tuzu she qu de ren lei xue dui bi yan jiu [Group Identity and Diversity of Identification: an anthropological comparison of three Tu ethnic communities] 群体身份与多元认同:基于三个土族社区的人类学对比研究
Shehui ke xue wen xian chu ban she [Chinese Social Sciences Academic Literature Press] 社会科学文献出版社
2008
[39]
웹사이트
鮮卑石室(嘎仙洞)祝詞Xianbei cave
https://web.archive.[...]
[40]
서적
Tuyühu shi [The Tuyühu History] 吐谷浑史
Ningxia ren min chu ban she [Ningxia People's Press] 宁夏人民出版社
1985
[41]
서적
On the other hand, it may not
Stanford University Press
1953
[42]
서적
Nanliang yu xi qin [Southern Liang and Western Qin] 南凉与西秦
Guangxi shi fan da xue chu ban she [Guangxi Normal University Press] 广西师范大学出版社
2006
[43]
서적
Tu zu shi [The Tu History] 土族史
Zhongguo she hui ke xue chu ban she [Chinese Social Sciences Press] 中囯社会科学出版社
2002
[44]
서적
Qun ti shen fen yu duo yuan ren tong: ji yu san ge tuzu she qu de ren lei xue dui bi yan jiu [Group Identity and Diversity of Identification: an anthropological comparison of three Tu ethnic communities] 群体身份与多元认同:基于三个土族社区的人类学对比研究
Shehui ke xue wen xian chu ban she [Chinese Social Sciences Academic Literature Press] 社会科学文献出版社
2008
[45]
서적
Travels in Tartary, Tibet, and China, 1844–1846
Dover Publications
1987
[46]
서적
The T'u-yü-hun from the Northern Wei to the time of the five dynasties
ed Estremo Oriente
1970
[47]
간행물
Qian tan xi xia gong wen wen feng yu gong wen zai ti [A brief discussion on the writing style in official documents and documental carrier] 浅谈西夏公文文风与公文载体
2005
[48]
간행물
Xixia jun shi ti yu yu ke xue ji shu [The military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of West Xia] 西夏军事体育与科学技术
1998
[49]
서적
Xixia zhan shi [The Battle History of Western Xia] 西夏战史
Ningxia ren min chu ban she [Ningxia People's Press] 宁夏人民出版社
1993
[50]
서적
Xixia: xiao shi zai li shi ji yi zhong de guo du [Western Xia: the kingdom lost in historical memories] 西夏: 消逝在历史记忆中的国度
Wai wen chu ban she [Foreign Language Press] 外文出版社
2005
[51]
서적
Xixia tong shi [Comprehensive History of Western Xia] 西夏通史
Ren min chu ban she [People's Press] 人民出版社; Ningxia ren min chu ban she [Ningxia People's Press] 宁夏人民出版社
2005
[52]
서적
Zhonghua min zu duo yuan yi ti ge ju [The Framework of Diversity in Unity of the Chinese Nationality] 中华民族多元一体格局
Zhongyang min zu da xue chu ban she [Central Nationalities University Press] 中央民族大学出版社
1999
[53]
서적
Tu zu shi [The Tu History] 土族史
Zhongguo she hui ke xue chu ban she [Chinese Social Sciences Press] 中囯社会科学出版社
2002
[54]
서적
Neimenggu tong shi gang yao [Outline of Comprehensive History of Inner Mongolia] 内蒙古通史纲要
Renmin chu ban she [People's Press] 人民出版社
2007
[55]
서적
Yuan Menggu ren de li shi: Shiwei—Dada yan jiu [History of the Original Mongols: research on Shiwei-Dadan] 原蒙古人的历史: 室韦--达怛研究
Gao deng jiao yu chu ban she [High Education Press] 高等教育出版社
1998
[56]
간행물
Ren zhong xue shang de xiong nu, xian bei yu qi dan [The Xiongnu, Xianbei and Qidan in racial perspectives] 人种学上的匈奴、鲜卑与契丹
1994
[57]
서적
Tu zu shi [The Tu History] 土族史
Zhongguo she hui ke xue chu ban she [Chinese Social Sciences Press] 中囯社会科学出版社
2002
[58]
서적
Qidan di guo chuan qi [Legends of the Khitan Empires] 契丹帝国传奇
Zhongguo guo ji guang bo chu ban she [Chinese International Broadcasting Press] 中国国际广播出版社
2008
[59]
서적
History of Chinese society: Liao, 907–1125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distributed by the Macmillan Co. New York
1949
[60]
서적
Zhonghua min zu duo yuan yi ti ge ju [The Framework of Diversity in Unity of the Chinese Nationality] 中华民族多元一体格局
Zhongyang min zu da xue chu ban she [Central Nationalities University Press] 中央民族大学出版社
1999
[61]
서적
Xianbei shi yan jiu [Research on the Xianbei History] 鮮卑史硏究
Zhongzhou gu ji chu ban she [Zhongzhou Ancient Literature Press] 中州古籍出版社
2000
[62]
서적
Zhongguo Miao zu tong shi [A comprehensive history of the Chinese Hmong] 中国苗族通史
Guizhou min zu chu ban she [Guizhou Nationalities Press] 贵州民族出版社
1999
[63]
서적
Minority rules: the Miao and the feminine in China's cultural politics
Duke University Press
2000
[64]
서적
Xixia tong shi [Comprehensive History of Western Xia] 西夏通史
Ren min chu ban she [People's Press] 人民出版社; Ningxia ren min chu ban she [Ningxia People's Press] 宁夏人民出版社
2005
[65]
서적
From Pekin to Sikkim through the Ordos, the Gobi Desert and Tibet
J. Murray
1908
[66]
간행물
The Monguors of the Kansu-Tibetan Frontier. Their Origin, History, and Social Organization
1954
[67]
서적
Louis Schram and the Study of Social and Political History. The Monguors of the Kansu-Tibetan Frontier
Plateau Publications
2006
[68]
간행물
Louis Schram and the Study of Social and Political History. The Monguors of the Kansu-Tibetan Frontier
Plateau Publications
2006
[69]
간행물
Xi xia huang zu hou yi kao [Investigation on the descendants of the royal family of Western Xia] 西夏皇族后裔考
1995
[70]
간행물
Li pei ye shi xi xia huang zu hou yi [Li Peiye is the descendant of the royal family of Western Xia] 李培业是西夏皇族后裔
1996
[71]
논문
"Xi xia huang zu hou yi zai kao [Reinvestigation on the descendants of the royal family of Western Xia] 西夏皇族后裔再考."
1997
[72]
서적
Xi xia li shi shi pu [Genealogical records of Li Clan of Western Xia] 西夏李氏世谱
Liaoning min zu chu ban she [Liaoning Nationalities Press] 辽宁民族出版社
1998
[73]
논문
"Li tu si xian shi bian zheng [A Textual Analysis of the Ancestral Origins of Li Tusi] 李土司先世辨正."
2005
[74]
서적
The Monguors of the Kansu-Tibetan Frontier: Part III. Records of the Monguor Clans. History of the Monguors in Huangchung and the Chronicles of the Lu Family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1961
[75]
서적
"A grammar of Mangghuer: a Mongolic language of China's Quinghai-Gansu Sprachbund."
http://www.endangere[...]
Routledge
2003
[76]
간행물
"Mangghuer Embroidery: A Vanishing Tradition."
https://www.academia[...]
2015
[77]
논문
"Death and funerals among the Minhe Tu (Monguor)."
1992
[78]
논문
"The Tu Fala: trance mediums of northwest China."
1991
[79]
논문
"Illness among the Minhe Monguor, Qinghai Province, PR China: prevention and etiology."
1992
[80]
간행물
Louis M. J. Schram’s Relevance to Current Monguor Ethnographic Research
Plateau Publications
2006
[81]
서적
Wuhuan yu Xianbei [The Wuhuan and Xianbei] 烏桓與鮮卑
Shanghai ren min chu ban she [Shanghai People's Press] 上海人民出版社
1962
[82]
논문
"That all may prosper: the Monguor Nadun of the Guanting/Sanchuan Region, Qinghai, China."
1993
[83]
잡지
Xin ji gu tu, peng cheng wan li [Heart tied to the homeland, the eagle flies thousands of miles] 心系故土, 鹏程万里
2001
[84]
잡지
"Da hao—Tu xiang 'nadun' [The Great Tu 'Nadun'] 大好--土乡'纳顿'."
2004
[85]
논문
"Qinghai tu zu 'Nadun' wen hua xian xiang jie du [An Interpretation of the cultural phenomenon of 'Nadun' of the Tu Nationality in Qinghai] 青海土族'纳顿'文化现象解读."
2005
[86]
논문
"Wedding, Etiquette, and Traditional Songs of the Minhe Region Tu (translated by Jun Hu and Kevin Stuart)."
1990
[87]
논문
"The Guanting Tu (Monguor) wedding ceremonies and songs."
199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