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파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파록은 극우, 네오나치즘, 인종차별주의 사상을 담은 음악 장르로, 주로 청소년들에게 이러한 사상을 전파하는 데 사용된다. 1980년대 영국에서 시작되어 펑크 록 스타일로 네오나치즘을 전파하는 밴드들이 등장했으며, 가사는 국가기관, 좌파, 외국인에 대한 저항을 호소하고 독일과 나치 독일을 찬양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1990년대 독일 재통일 이후에는 홀로코스트 부정, 나치즘 찬양 등 급진적인 경향을 보였으며, 현재는 온라인을 통해 전 세계로 확산되고 있다. 대한민국 사회에도 유입되어 극우 성향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확산될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정부와 시민사회의 적극적인 대응책 마련이 요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록 음악 - 발라드 (대중 음악)
발라드는 중세 프랑스 샹송에서 유래되어 감상적인 대중가요를 지칭하는 용어로 발전해왔으며, 다양한 하위 장르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대중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 록 음악 - 포스트 하드코어
포스트 하드코어는 하드코어 펑크에서 파생되어 빠른 템포, 큰 볼륨, 강한 베이스, DIY 정신을 특징으로 하며, 포스트 펑크의 영향을 받아 다양한 장르를 융합하여 1980년대 워싱턴 D.C. 하드코어 씬을 중심으로 미닛맨, 네이키드 레건, 블랙 플래그 등의 밴드들이 초기 사운드를 구축했다.
우파록 |
---|
2. 특징
우파록은 극우, 네오나치즘, 인종차별주의적인 사상을 다양한 방식으로 전파하며, 이 과정에서 청소년들에게 이러한 사상을 주입하는 역할을 한다. 가사는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데, 매우 단순하고 직선적인 각운을 갖고 있으며 내용은 주로 국가기관, 좌파, 외국인을 다루며 이들에 대해 '저항'할 것을 호소하는 동시에 독일과 나치독일을 찬양한다. 이외에도 사랑, 친구 관계, 축구에 대해 쓰기도 한다.
1980년대 초, 영국의 스크류드라이버(Skrewdriver)가 우파록을 시작했다. 1980년대 이전에도 극우 음악이 존재했지만, 행진곡 스타일로 올드나치나 소수 청소년들의 관심을 끌었다. 1980년대부터 네오나치즘을 펑크록 스타일로 전파하는 밴드들이 등장했다.
오늘날의 우파록은 청소년들을 극우, 네오나치즘에 끌어들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2004년에는 "Projekt Schulhof-CD"라는 앨범을 발매하여 수천 장을 전국의 학교 또는 청소년들이 자주 모이는 곳에 무료로 배포하였으나 전국적인 몰수 처분을 받았다. NPD(국가민주당)은 이 아이디어를 다양한 선거전에 활용하기도 했다. 크리스타인 도른부쉬(Christian Dornbusch)와 얀 라베(Jan Raabe)는 독일의 재통일이 있었던 1990년과 2006년 사이에 약 400개의 밴드가 1,200장 이상의 앨범을 발매하였고, 2006년에만 114개의 신보를 발매했다고 추측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평균 35개의 외국 밴드의 신보가 독일 레이블을 통해서 발매되고 있다고 한다. 1990년대에는 록-오-라마 레이블만 극우음악을 취급했던 반면, 2006년에는 약 50개에 달하는 레이블들이 자국 및 외국 밴드 유치 경쟁을 벌이고 있다고 한다. 평균적으로 3,000장을 발매하고 유명세가 높은 밴드는 훨씬 더 많다고 한다. 2006년에는 전국적으로 약 230개에 달하는 극우주의 콘서트가 있었다. 다수 레이블과 배송업체들을 사들인 V7-Versand가 현재 가장 유명한 온라인유통사이다.
Blood and Honour를 창시한 영국의 네오나치 밴드 스크류드라이버(Skrewdriver)의 보컬 이언 스튜어트(Ian Stuart)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 우파록은 독일에만 국한된 현상이 아니다. 유럽의 네오나치 밴드들은 매우 활발하게 교류하고 있으며, 독일에도 이러한 네트워크가 존재했었으나 2000년에 금지 조치되었음에도 여전히 활동 중이다. 밴드마다 국가주의적인 성격은 극단적으로 다르지만, 이들은 스플릿 앨범, 컴필레이션 앨범 발매를 통해 유대를 형성하고 있다. 자국에서 공연할 수 없는 독일의 우파록, NSBM 밴드들은 대부분 인접 국가에서 공연을 연다.
음악적인 면에서는 프로적인 면모는 상당히 부족하다. 하지만 아마추어들만이 우파록을 연주하는 것만은 아니다. 오늘날에는 많은 밴드가 앨범 작업을 상당히 전문적으로 하고 있으며 8, 90년대의 앨범들과는 비교하기 어려운 수준에 이르기도 했다. 청자들이 밴드가 네오나치 밴드인지를 노래에서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그래서 몇몇 우파록 밴드들은 비정치적인 활동을 통해서 자신들이 우파록 밴드임을 속이는 예도 있다. 이러한 밴드들은 역설적으로 나치즘을 부인하는 척하지만 가사에서 네오나치즘을 공공연히 표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밴드 슈툼베어(Stumwehr)는 일반적으로 발매하는 앨범의 가사에서는 국가주의적인 내용을 노래하지만, 나치즘적인 내용을 찾아볼 수 없는 반면에 프로젝트 밴드 슈트룸 아흐첸 (Sturm 18)의 앨범에서는 눈에 띄게 네오나치적인 가사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밴드의 로고, CD커버 디자인, 뮤직비디오 및 인터뷰에서 발언을 통해서 우파록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음반판매는 우파록 신의 레이블, 이메일, 팬매거진, 우파록 잡지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또한 콘서트나 파티 현장에서 직접 구매할 수 있다.
3. 역사
스킨헤드 신이 훌리건들 사이에서 퍼지면서, 영국의 오이! 무브먼트와 스크류드라이버가 독일 펑크 신으로 유입되었다. 독일 최초의 스킨헤드 밴드인 헤르배르츠(Herbärds), 디 알리이어텐(Die Alliierten)은 좌파 또는 비정치적 성향이었지만, 크라프트 두르히 프로이데(Kraft durch Froide)는 네오나치 성향을 보였다.
우파록 신의 첫 공식 앨범은 뵈제 옹켈츠(Böhse Onkelz)의 데뷔 앨범 Der nette Mann으로 여겨진다. (70년대 말 발매된 라그나뢰크(Ragnarök) 데뷔 앨범은 성적이 저조해 제외) 이 앨범은 1986년 판매 금지되었고, 이후 131조(폭력묘사)에 따라 압수되었다. 판매 금지 이유는 나치즘 사상 선동, 폭력 호소, 포르노그래피적 내용 때문이었다. 연방 청소년 유해 매체물 심의 위원회(BPjS)가 잘못 주장했듯, 이 앨범에는 ‘Detschland‘와 같은 애국적 성향의 곡, 축구 응원가(Frankreich 84') 등이 있지만, 나치즘 내용은 없었다.
Der nette Mann은 원래 펑크록 음반을 발매했으나, 이후 우파록 전문 레이블이 된 록-오-라마에서 발매되었다. 록-오-라마는 스크류드라이버, 슈퇴어크라프트(Störkraft), 엔트슈투페(Endstufe) 등의 초기 앨범도 발매했다. 메탈 엔터프라이즈(Metal Emterprises) 레이블도 우파록 밴드 앨범을 발매했다. 당시 우파록 신은 비정치적 성향이 강했고 싸움이나 도발 위주였다. 스킨헤드 신은 80년대에 훌리건 신에서 분리되어, 두 개의 정치적 세력과 비정치적 신으로 나뉘었다. 독일의 재통일 후 90년대 초, 독일 우파록 밴드는 인종차별적 소요를 일으키며 급진화되었다. 초기 밴드들이 인종차별적 태도를 보였다면, 90년대 밴드들은 홀로코스트 부정, 나치즘 찬양 태도를 보였다.
당시 가장 유명한 밴드는 란처(Landser)였는데, 멤버들은 범죄단체 결성, 국민 선동, 극우 프로파간다 살포로 징역 또는 벌금형을 선고받았다. 많은 우파록 앨범이 금지 또는 몰수되자, 몇몇 밴드들은 (유색인종에 대한) 살인 호소 등 처벌 발언을 포기했다. 대신 극우 신념을 공식 석상에서 언급하는 대신 네오나치 신의 암호(루나문자 등)를 통해 네오나치즘을 표현했다.
1990년대 중반 토어스텐 렘머의 퍼니 사운즈 레이블이 우파록의 최대 판매 경로가 되었다. 토어스텐은 자서전에서 슈퇴어크라프트(Störkraft) 앨범이 약 7만 장 팔렸다고 언급했다. 우파록 신에서 토어스텐에 대한 입장은 다른데, 이는 그가 전형적인 스킨헤드 출신이 아니라 기업가로 레이블을 경영했기 때문이다. 그가 극우록 신에서 은퇴한 후에는 대형 레이블 대신 다양한 판매 전략을 추구하는 경향으로 바뀌었다. 현재는 소규모 레이블(예: 슈프레게슈바더(Spreegeschwader))이나 밴드들이 직접 판매한다.
4. 오늘날의 우파록
5. 국제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