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행진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행진곡은 특정 박자표 없이 4/4, 2/2, 6/8 박자를 주로 사용하며, 군인들의 행진 속도에 맞춰 템포가 조절되는 음악 형식이다. 고대부터 축제나 전쟁에서 사용되었으며, 르네상스 시대 이후 군대에서 널리 활용되었다. 독일, 영국, 프랑스 등 국가별로 독특한 스타일의 행진곡이 발전했으며, 결혼 행진곡, 장송 행진곡과 같은 특수한 의례를 위한 곡도 존재한다. 현대에는 다양한 영화, 스포츠, 애니메이션 등의 테마 음악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취주악 - 세토구치 도키치
    세토구치 도키치는 일본 해군 군악대에서 활동하며 군가와 행진곡을 다수 작곡한 군악가이자 작곡가로, 특히 군함행진곡이 유명하며 일본 군국주의 고취 비판과 군가 발전 기여 평가를 동시에 받는다.
  • 행진곡 - 리우데자네이루 찬가
    리우데자네이루 찬가는 역사, 주요 특징, 한국 사회에 미치는 영향, 논쟁 등을 다루는 문서이다.
  • 행진곡 - 슬라브 행진곡
    슬라브 행진곡은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가 작곡한 관현악곡으로, 세르비아-오스만 전쟁 당시 러시아의 세르비아 지지를 배경으로 세르비아 민요와 러시아 제국 국가 등을 인용하여 세르비아인의 억압, 러시아인의 결집, 전투를 묘사하는 약 10~11분 길이의 곡이다.
행진곡
음악 장르
기원군사 행진
특징반복적인 리듬과 멜로디, 강한 박자 강조
용도군대 행진
퍼레이드
의식
스포츠 행사
음악 작품의 일부
일반적인 박자2/4, 4/4, 6/8
템포빠르고 규칙적임
역사적 맥락
기원고대 로마 시대의 군대 행진곡에서 유래
발전중세 시대와 르네상스 시대를 거치면서 다양한 형태로 발전
유명 작곡가존 필립 수자
요한 슈트라우스 1세
요한 슈트라우스 2세
카를 미하엘 치러
루트비히 판 베토벤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주세페 베르디
에드워드 엘가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행진곡의 종류
군대 행진곡군대의 사기를 고취하고 행진을 돕기 위한 곡
장송 행진곡장례식에서 사용되는 곡
결혼 행진곡결혼식에서 사용되는 곡
축전 행진곡축제나 기념식에서 사용되는 곡
콘서트 행진곡연주회를 위해 작곡된 곡
국가별 행진곡
미국성조기여 영원하라
영국위풍당당 행진곡
독일프로이센의 영광
프랑스라 마르세예즈
일본군함 행진곡
음악적 특징
리듬강하고 규칙적인 리듬이 특징
멜로디단순하고 반복적인 멜로디가 많음
화성밝고 웅장한 화성을 사용
악기금관 악기 (트럼펫, 트롬본, 호른)
목관 악기 (클라리넷, 플루트)
타악기 (드럼, 심벌즈)
행진곡 관련 용어
트리오행진곡 중간에 삽입되는 서정적인 부분
스타카토음을 짧게 끊어서 연주하는 기법
레가토음을 부드럽게 이어서 연주하는 기법
크레센도점점 소리를 크게 하는 기법
디크레센도점점 소리를 작게 하는 기법

2. 역사

행진을 위한 악곡은 오래전부터 존재했으며, 군악이나 의식 등에서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17세기 말 무렵, 오스만 제국(터키)의 군악대(메흐테르하네)가 중앙 유럽에 들어와[14], 당시 유럽인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주었다. 이 군악대는 관악기타악기, 그리고 심벌즈로 구성되었으며, 춤을 추면서 행진했다. 오스만 제국군이 강성했던 점도 있어, 이것이 유럽에서 유행하여, 모방한 작품이 많이 쓰여졌다. 『터키 행진곡』이라고 불리며, 합주에는 큰 북, 심벌즈, 트라이앵글을 포함했다. 또한, 그 악기를 포함한 음악이 "터키풍"으로서 터키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된 적도 있다(모차르트: 오페라 『후궁으로부터의 도주』 서곡 등).

2. 1. 고대

고대에도 축제 행렬에 동반되는 음악은 있었다. 그리스 비극에서는 기악 반주보다도 노래의 형식으로 행진을 보조한 기록이 나타난다. 반면 투키디데스는 고대의 전쟁에서 기악 행진곡이 연주된 사례를 기록한다. 스파르타 군대가 만티네이아 전투에서 진격할 때 아울로스의 반주에 맞추어 균일하게 진격할 수 있었다고 기록한다.[16]

2. 2. 중세 및 르네상스 시대

고대에도 축제 행렬에 동반되는 음악은 있었다. 그리스 비극에서는 기악 반주보다도 노래의 형식으로 행진을 보조한 기록이 나타난다. 반면 투키디데스는 고대의 전쟁에서 기악 행진곡이 연주된 사례를 기록한다. 스파르타 군대가 만티네이아 전투에서 진격할 때 아울로스의 반주에 맞추어 균일하게 진격할 수 있었다고 기록한다.[16]

로마 이후 군대에 행진곡이 본격적으로 도입된 것이 30년 전쟁이라고 보는 것은 잘못이다. 제바스티안 비르둥은 16세기 초에 왕자가 도시로 말을 타고 들어가거나 들판으로 나갈 때 행진곡이 연주된 사례를 남기고 있으며, 십자군과 용병들의 노래뿐만 아니라 중세 후기의 행진곡들에 대한 기록도 남아있다.

다만 르네상스 시대에 행진곡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 시기 군사 행진곡은 윌리엄 버드의 작품 "The Battle for Virginal or harpsichord" (1591년)에서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17] 19세기 경 금관악기가 개발됨에 따라 정교하게 편성된 행진곡들이 여럿 작곡되기 시작했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루트비히 판 베토벤, 엑토르 베를리오즈, 표트르 차이콥스키, 구스타프 말러 등의 작곡가들이 행진곡을 작곡했는데, 행진곡이라는 별개의 곡으로만 작곡되지는 않고 오페라, 소나타, 모음곡, 교향곡 등의 일부로써 쓰여진 경우도 많이 있다.

2. 3. 근대

고대에도 축제 행렬에 동반되는 음악은 있었다. 그리스 비극에서는 기악 반주보다도 노래의 형식으로 행진을 보조한 기록이 나타난다. 반면 투키디데스는 고대의 전쟁에서 기악 행진곡이 연주된 사례를 기록한다. 스파르타 군대가 만티네이아 전투에서 진격할 때 아울로스의 반주에 맞추어 균일하게 진격할 수 있었다고 기록한다.[16]

로마 이후 군대에 행진곡이 본격적으로 도입된 것이 30년 전쟁이라고 보는 것은 잘못이다. 제바스티안 비르둥은 16세기 초에 왕자가 도시로 말을 타고 들어가거나 들판으로 나갈 때 행진곡이 연주된 사례를 남기고 있으며, 십자군과 용병들의 노래뿐만 아니라 중세 후기의 행진곡들에 대한 기록도 남아있다.

다만 르네상스 시대에 행진곡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 시기 군사 행진곡은 윌리엄 버드의 작품 "The Battle for Virginal or harpsichord" (1591년)에서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17] 19세기경 금관악기가 개발됨에 따라 정교하게 편성된 행진곡들이 여럿 작곡되기 시작했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루트비히 판 베토벤, 엑토르 베를리오즈, 표트르 차이콥스키, 구스타프 말러 등의 작곡가들이 행진곡을 작곡했는데, 행진곡이라는 별개의 곡으로만 작곡되지는 않고 오페라, 소나타, 모음곡, 교향곡 등의 일부로써 쓰여진 경우도 많이 있다.

16세기 후반까지 행진곡은 기록되지 않았으며, 그전까지는 일반적으로 타악기만으로 시간을 맞추었고, 종종 즉흥적인 피페 장식이 더해졌다. 19세기에 특히 금관 악기의 광범위한 발전과 함께 행진곡은 널리 인기를 얻었으며 종종 정교하게 오케스트라로 편곡되었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루트비히 판 베토벤, 엑토르 베를리오즈, 표트르 일리치 차이코프스키, 구스타프 말러, 랄프 본 윌리엄스, 찰스 아이브스, 아르놀트 쇤베르크,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알반 베르크,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파울 힌데미트,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레너드 번스타인과 같은 작곡가들은 오페라, 소나타, 모음곡 및 교향곡에 행진곡을 통합하기도 하면서 행진곡을 작곡했다. 존 필립 수자의 밴드 행진곡의 인기는 타의 추종을 불허했다.

전통적인 교향곡 행진곡의 스타일은 르네상스 시대의 교향곡 작품, 예를 들어 귀족을 위해 쓰여진 작품에서 유래되었다. 행진을 위한 악곡은 오래전부터 존재했으며, 군악이나 의식 등에서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17세기 말 무렵, 오스만 제국(터키)의 군악대(메흐테르하네)가 중앙 유럽에 와서[14], 당시 유럽인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주었다. 이 군악대는 관악기타악기, 그리고 심벌즈로 구성되었으며, 춤을 추면서 행진했다. 오스만 제국군이 강성했던 점도 있어, 이것이 매우 유럽에 유행하여, 모방한 작품이 많이 쓰여졌다. 『터키 행진곡』이라고 불리며, 합주라면 큰 북, 심벌즈, 트라이앵글을 포함했다. 또한, 그 악기를 포함한 음악이 "터키풍"으로서 터키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된 적도 있다(모차르트: 오페라 『후궁으로부터의 도주』 서곡 등).

2. 4. 한국의 행진곡

행진곡은 16세기 후반까지 기록되지 않았으며, 그전까지는 일반적으로 타악기만으로 시간을 맞추었고, 종종 즉흥적인 피페 장식이 더해졌다. 19세기에 특히 금관 악기의 광범위한 발전과 함께 행진곡은 널리 인기를 얻었으며 종종 정교하게 오케스트라로 편곡되었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루트비히 판 베토벤, 엑토르 베를리오즈, 표트르 일리치 차이코프스키, 구스타프 말러, 랄프 본 윌리엄스, 찰스 아이브스, 아르놀트 쇤베르크,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알반 베르크,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파울 힌데미트,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레너드 번스타인과 같은 작곡가들은 오페라, 소나타, 모음곡 및 교향곡에 행진곡을 통합하기도 하면서 행진곡을 작곡했다. 존 필립 수자의 밴드 행진곡의 인기는 타의 추종을 불허했다.

전통적인 교향곡 행진곡의 스타일은 르네상스 시대의 교향곡 작품, 예를 들어 귀족을 위해 쓰여진 작품에서 유래되었다.

3. 특징

행진곡은 일반적으로 군악대에 의해 연주되며, 주요 악기는 다양한 드럼(특히 스네어 드럼), 호른, 피리 또는 목관 악기, 그리고 금관 악기이다. 각 부분은 보통 16마디 또는 32마디로 구성되며 반복될 수 있다. 행진곡의 핵심은 군대 야전 드럼을 연상시키는 강력하고 꾸준한 타악기 비트이다.[15]

다양한 군악대와 부대가 공연하는 군악 행사는 ''밀리터리 타투''라고 불린다.

3. 1. 박자 및 템포

행진곡은 박자표에 명확한 제한은 없지만, 일반적으로 , (알라 브레베), 박자를 사용한다. 현대에는 와 박자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템포는 보통 120 bpm이지만, 장송행진곡은 60 bpm가 일반적이다.[15] 템포는 군인들이 발을 맞춰 걷는 속도와 일치한다.

나폴레옹 군대는 빠른 행진을 위해 120 bpm을 도입했다.[1] 프랑스 행진곡은 영국 행진곡보다 빠른 템포를 가지며, 미국 행진곡은 프랑스의 영향을 받아 빠른 템포를 채택했다. 이는 미국 독립 혁명 당시 프랑스의 지원과 존 필립 수자포르투갈독일 혈통과 관련이 있다.

행진곡은 조바꿈을 자주 사용하며, 아래 딸림조로 변조했다가 원래 조성으로 돌아가는 경우가 많다. 단조로 시작하면 상대 장조로 변조되기도 한다. 주 선율에 다른 선율이 대위법적으로 추가되거나, 두 그룹의 악기가 교대로 연주하는 '개싸움 변형(dogfight strain)'이 나타나기도 한다. 미국 행진곡은 '트리오(trio)'라는 변형을 추가하기도 한다.

3. 2. 변조 및 선율

행진곡은 변조가 적극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특징이다. 보통 처음에는 아래 딸림조로 변조했다가 종종 원래의 조성으로 되돌아간다. 단조로 시작하는 경우 장조로 변조되기도 한다. 주 선율에 다른 선율이 대위법적으로 더해지기도 한다. 두 그룹의 악기들(높음/낮음, 목관/금관 등)이 교대로 연주하는 부분이 삽입되는 경우도 자주 있는데, 이를 개싸움 변형(dogfight strain)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미국 행진곡의 대부분은 여기에 더해 트리오(trio)라는 이름의 변형을 추가적으로 가지고 있다.[15]

행진곡은 종종 한 번 조바꿈을 하며, 4도 조로 조바꿈하고, 때로는 원래의 으뜸조로 돌아간다. 만약 단조로 시작한다면, 상대 장조로 조바꿈한다. 행진곡은 종종 주요 멜로디가 반복되는 동안 대선율을 도입한다. 행진곡에는 종종 두 그룹의 악기(고음/저음, 목관/금관 등)가 문장/응답 형식으로 번갈아 연주하는 끝에서 두 번째 ''도그파이트'' 스트레인이 있다. 대부분의 전통적인 미국 행진곡에는 세 개의 스트레인이 있는데, 세 번째 스트레인은 "트리오"라고 불린다.

대개 복합 삼부 형식으로 쓰이며, 중간부(트리오)는 딸림조인 경우가 많다. 또한 사람의 발걸음에 맞추는 관계에서 2/4박자 또는 2/2박자, 더 나아가 3박자의 요소(세잇단음표적인 속도)가 들어간 6/8박자 등의 2박자가 된다. 트리오 뒤의 주부(재현부)를 생략하는 것도 많으며, 『성조기여 영원하라』나 『워싱턴 포스트』로 유명한 수자의 행진곡에서 자주 보인다. 또한, J.F. 바그너의 『쌍두의 독수리 깃발 아래』처럼 트리오의 끝에 D.C.(다 카포)가 지정된 악곡에서도 주부로 돌아가지 않고 트리오로 끝내는 경우도 있다.

3. 3. 악기 편성

행진곡은 어떤 박자표로도 작곡될 수 있지만, 가장 일반적인 박자표는 , (''알라 브레베'' ), 이다. 그러나 일부 현대 행진곡은 또는 박자로 작곡되고 있다. 현대 행진곡의 템포는 일반적으로 분당 약 120비트이다. 많은 장송 행진곡은 분당 60비트의 로마 표준을 따른다. 템포는 군인들이 발을 맞춰 걷는 속도와 일치하며, 두 템포 모두 분당 120보의 표준 속도를 달성한다.[15]

행진곡의 각 부분은 일반적으로 16마디 또는 32마디로 구성되며 반복될 수 있다. 행진곡은 군대 야전 드럼을 연상시키는 강력하고 꾸준한 타악기 비트로 구성된다.

행진곡은 종종 조바꿈을 하며, 4도 조로 조바꿈하고, 때로는 원래의 으뜸조로 돌아간다. 단조로 시작한다면, 상대 장조로 조바꿈한다. 주요 멜로디가 반복되는 동안 대선율을 도입하기도 한다. 두 그룹의 악기(고음/저음, 목관/금관 등)가 문장/응답 형식으로 번갈아 연주하는 ''도그파이트'' 스트레인이 나타나기도 한다. 대부분의 전통적인 미국 행진곡에는 세 개의 스트레인이 있는데, 세 번째 스트레인을 "트리오"라고 부른다.

행진곡 음악은 군대에서 유래되었으며, 일반적으로 군악대에 의해 연주된다. 가장 중요한 악기는 다양한 드럼(특히 스네어 드럼), 호른, 피리 또는 목관 악기, 그리고 금관 악기이다.

4. 종류

행진곡은 16세기 후반까지 기록되지 않았으며, 그전까지는 일반적으로 타악기만으로 시간을 맞추었고, 종종 즉흥적인 피페 장식이 더해졌다. 19세기에 특히 금관 악기의 광범위한 발전과 함께 행진곡은 널리 인기를 얻었으며 종종 정교하게 오케스트라로 편곡되었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루트비히 판 베토벤, 엑토르 베를리오즈를 비롯한 여러 작곡가들이 행진곡을 작곡했으며, 존 필립 수자의 밴드 행진곡은 큰 인기를 얻었다.


  • 이탈리아 행진곡: 매우 가벼운 음악적 느낌을 가지며, 팡파르나 소프라노 오블리가토 섹션을 포함한다. 오페라 아리아를 연상시키는 서정적인 멜로디와 대조를 이룬다.
  • 스페인 행진곡: 파소도블레가 대표적이며, 전통 대중 음악을 연상시키는 팡파레를 가지고 있다. 장조와 단조 사이를 오가며 템포 변화가 크다. 군대 행진곡은 파소도블레의 변형으로, 강력한 타악기가 특징이며 여러 국가의 영향을 받았다. 하이메 테이시도르의 "암파리토 로카" 등이 대표적이다.
  • 무어인과 기독교인 축제 행진곡: 스페인 남동부 지역 축제에 사용되는 부수 음악으로, ''música festera''로 불린다. 파소도블레, ''marchas moras''(무어인 스타일), ''marchas cristianas''의 세 가지 주요 장르가 있다.
  • 의례 행진곡: 결혼 행진곡, 장송 행진곡과 같이 특수한 의례를 위한 행진곡이 있다.

4. 1. 군대 행진곡

군대 행진곡은 군악대에서 주로 연주하며, 군대의 열병 및 퍼레이드와 관련이 깊다. 16세기 후반부터 기록되기 시작했으며, 이전에는 타악기만으로 시간을 맞추고 피페 장식을 즉흥적으로 더했다. 19세기에는 금관 악기의 발달과 함께 행진곡이 널리 인기를 얻었다.

행진곡은 다양한 박자표로 작곡될 수 있지만, 가장 일반적인 박자표는 4/4, 2/2 (''알라 브레베''), 6/8 박자이다. 현대 행진곡은 1/2 또는 2/4 박자로 작곡되기도 한다. 현대 행진곡의 템포는 보통 분당 약 120비트이며, 많은 장송 행진곡은 분당 60비트를 따른다.

행진곡은 군대 야전 드럼을 연상시키는 강력하고 꾸준한 타악기 비트로 구성되며, 각 부분은 일반적으로 16마디 또는 32마디로 구성된다. 주요 멜로디가 반복되는 동안 대선율이 도입되기도 하며, 두 그룹의 악기가 문장/응답 형식으로 번갈아 연주하는 ''도그파이트'' 스트레인이 나타나기도 한다.

분당 120비트 또는 보폭의 행진곡 템포는 나폴레옹 군대에 의해 채택되었다.[1] 프랑스 행진곡 템포는 영국 행진곡의 전통적인 템포보다 빠르며, 영국에서는 프랑스 템포의 행진곡을 ''급행진곡''이라고 부른다. 미국 행진곡은 프랑스 또는 급행진곡 템포를 사용하는데, 이는 미국 군악대가 프랑스 및 기타 유럽 국가의 행진곡 템포를 채택했고, 미국 행진곡 작곡가 존 필립 수자가 포르투갈과 독일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루트비히 판 베토벤, 엑토르 베를리오즈 등 많은 작곡가들이 행진곡을 작곡했으며, 특히 존 필립 수자의 밴드 행진곡은 큰 인기를 얻었다.

미국 해군 군악대가 연주한 드럼 케이던스는 다음과 같다.

4. 2. 의식 행진곡

행진곡 음악은 의식 행사에 중요하게 사용된다. 자코모 마이어베어의 ''예언자'' 중 대관식 행진곡, 에드워드 엘가, 에드워드 게르만, 윌리엄 월턴 같은 영국 작곡가들이 영국 군주를 위해 작곡한 여러 대관식 행진곡과 같은 행렬 행진곡 또는 대관식 행진곡은 모두 전통적인 영국 템포로 연주된다.[1] 결혼 행진곡, 장송 행진곡과 같이 특수한 의례를 위한 행진곡도 있다.

4. 3. 연주회용 행진곡

19세기에 특히 금관 악기의 광범위한 발전과 함께 행진곡은 널리 인기를 얻었으며 종종 정교하게 오케스트라로 편곡되었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루트비히 판 베토벤, 엑토르 베를리오즈, 표트르 일리치 차이코프스키, 구스타프 말러, 랄프 본 윌리엄스, 찰스 아이브스, 아르놀트 쇤베르크,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알반 베르크,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파울 힌데미트,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레너드 번스타인과 같은 작곡가들은 오페라, 소나타, 모음곡 및 교향곡에 행진곡을 통합하기도 하였다. 존 필립 수자의 밴드 행진곡의 인기는 타의 추종을 불허했다.

전통적인 교향곡 행진곡의 스타일은 르네상스 시대의 교향곡 작품, 예를 들어 귀족을 위해 쓰여진 작품에서 유래되었다. 관현악을 위한 작품이나 피아노를 위한 작품도 많이 만들어지고 있지만, 역사적인 경위로 인해 취주악을 위해 작곡되는 경우가 많다.

한편, 취주악단에게도 중요한 레퍼토리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으며, 예를 들어 전일본 취주악 콩쿠르의 과제곡에도 행진곡이 채택되고 있다.

5. 국가별 행진곡

세계 각국의 행진곡은 그 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하여 다양한 스타일로 발전해 왔다.

=== 유럽 ===

유럽에서는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등 여러 나라에서 독특한 행진곡들이 만들어졌다.


  • 영국 행진곡은 분당 120박자의 표준 속도로 연주되며, 복잡한 대선율과 다양한 다이내믹을 가진다. 대표적인 영국 행진곡으로는 "영국 근위병"과 케네스 J. 알포드의 작품("보거이 대령 행진곡" 등)이 있다.
  • 독일 행진곡은 분당 114 비트의 엄격한 템포로 연주되며, 강한 움파 폴카/민속적인 특징을 가진다. 대표적인 작곡가로는 카를 타이케 ("알테 카머라덴"), 루트비히 판 베토벤 ("요르크셔 행진곡") 등이 있다.
  • 프랑스 군가 행진곡은 타 유럽 행진곡과는 달리 타악기와 금관악기를 강조하며, 종종 멜로디의 일부 또는 절과 절 사이의 간주로 나팔 신호를 사용한다.[1] 대부분의 프랑스 행진곡은 4/4 박자이며, 밴드와 야전 군악대의 드럼 라인에서 각 마디의 첫 박에 강한 타악기적 강조를 두어 특징적인 "BOOM-whack-whack-whack" 리듬을 만들어낸다.
  • 이탈리아 행진곡은 밝은 컬러라투라 아티큘레이션으로 연주되는 팡파르 또는 소프라노 오블리가토 섹션을 포함한다. 보칼라리의 "Il Bersagliere"(이탈리아 저격수)가 대표적이다.
  • 스페인 행진곡의 가장 특징적인 형식은 파소도블레이다. 하이메 테이시도르의 "암파리토 로카"가 대표적이다.
  • 러시아 행진곡은 차르 시대에는 독일 행진곡과 유사한 특징을 공유했지만, 혁명 이전의 토착 러시아 행진곡은 독특한 러시아적 사운드를 가지고 있었다. 소련 시대에는 러시아 테마와 네덜란드 행진곡을 연상시키는 구조를 모두 통합한 많은 현대 행진곡이 제작되었다. 아가프킨의 "슬라브 여인의 고별"은 고전적인 러시아 행진곡의 일반적인 예이며, 소련 스타일의 러시아 행진곡의 주목할 만한 예로는 "승리의 날" 등이 있다.
  • 오스만 제국(터키)의 군악대(메흐테르하네)는 17세기 말 무렵, 중앙 유럽에 강렬한 인상을 주었다.[14] 이 군악대는 관악기타악기, 그리고 심벌즈로 구성되었으며, 춤을 추면서 행진했다. 오스만 제국군이 강성했던 점도 있어, 유럽에 유행하여, 모방한 작품이 많이 쓰여졌다. 『터키 행진곡』이라고 불리며, 합주라면 큰 북, 심벌즈, 트라이앵글을 포함했다.


=== 아메리카 ===

미국에서는 "행진곡의 왕" 존 필립 수자가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행진곡을 혁신했다. 그의 가장 유명한 행진곡으로는 "Semper Fidelis", "The Washington Post", "The Liberty Bell" 및 "성조기여 영원하라"가 있다.

헨리 필모어와 칼 킹의 행진곡으로 대표되는 서커스 행진곡 또는 스크리머는 빠른 템포(분당 140~200 비트)로 연주되며 화려한 특징을 가진다.

=== 아시아 ===

군함 행진곡의 석상


일본의 행진곡(''고신쿄쿠'', 行進曲) 전통은 페리 제독의 일본 원정으로 인해 일본의 항구가 외국과의 무역을 위해 강제로 개방된 19세기에 시작되었다. 가장 초창기이자 가장 오래 지속된 일본 행진곡 중 하나는 1886년 프랑스 육군 장교이자 일본 제국 육군 고문이었던 샤를 르루가 작곡한 ''분열 행진곡'' (分列行進曲)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육상자위대일본 경찰청이 이 행진곡을 채택하여 현재까지 레퍼토리의 핵심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가장 인기 있는 일본 행진곡으로는 ''분열 행진곡'' (分列行進曲), ''군함 행진곡'' (''군칸'', 行進曲「軍艦」)등이 있다.

한국의 주요 행진곡은 다음과 같다.

군가



독립군가



민중가요


5. 1. 유럽

유럽에서는 다양한 국가와 문화권에서 특징적인 스타일의 행진곡이 발전했다.

영국 행진곡은 일반적으로 분당 120박자의 표준 속도로 연주되며, 복잡한 대선율을 가지고 있다. 또한 다양한 다이내믹을 가지며, 구절의 끝에 전체 음표 길이의 '스팅어'를 사용한다. 마지막 절은 종종 넓고 서정적인 특징을 띤다. 대표적인 영국 행진곡으로는 "영국 근위병"과 메이저 리케츠의 작품("보거이 대령 행진곡", "작지만 훌륭한 군대" 등)이 있다.

스코틀랜드 백파이프 음악은 분당 약 90박자의 속도로 연주되는 행진곡을 광범위하게 사용한다. 많은 인기 있는 행진곡은 전통적이며 기원이 알려지지 않았다. 주목할 만한 예로는 용감한 스코틀랜드인, 하이랜드 래디, 보니 던디 및 북쪽의 수탉이 있다. 퇴각 행진곡은 티롤의 푸른 언덕과 '전투가 끝나면'과 같이 3/4 박자로 되어 있다.

육군(오늘날 더 라이플스와 왕립 구르카 라이플)의 경보병 및 소총 연대를 나타내는 행진곡("실버 뷰글", "가장 용감한 자" 등)은 분당 140박자의 더 빠른 속도로 연주된다.

독일 행진곡은 분당 114 비트의 매우 엄격한 템포로 연주되며, 강한 움파 폴카/민속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낮은 금관악기가 종종 두드러지게 사용되며, 마지막 부분(트리오)은 종종 서정적인 특징을 가진다. 주목할 만한 독일 및 오스트리아 행진곡 작곡가로는 카를 타이케 ("알테 카머라덴"), 루트비히 판 베토벤 ("요르크셔 행진곡"), 헤르만 루트비히 블랑켄부르크, 요한 고트프리트 피프케 ("프로이센의 영광"), 요한 슈트라우스 1세 ("라데츠키 행진곡"), 요한 슈트라우스 2세, 한스 슈미트, 요제프 바그너, 카를 미하엘 치러가 있다.

이탈리아 행진곡은 매우 가벼운 음악적 느낌을 가지며, 종종 밝은 컬러라투라 아티큘레이션으로 연주되는 팡파르 또는 소프라노 오블리가토 섹션을 포함한다. 이탈리아 행진곡의 예로는 보칼라리의 "Il Bersagliere"(이탈리아 저격수)와 크루의 "4 Maggio"가 있다. 베르사리에리 연대는 항상 빠른 속도로 움직이며, 그들의 군악대는 이러한 속도로 연주한다.

스페인 행진곡의 가장 특징적인 형식은 파소도블레이다. 스페인 행진곡은 종종 전통적인 대중 음악을 연상시키는 구절의 시작 또는 끝 부분에 팡파레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행진곡은 종종 장조와 (상대) 단조 사이를 오가며, 템포가 크게 변화한다. 전형적인 스페인 행진곡으로는 하이메 테이시도르의 "암파리토 로카", 헤로니모 히메네스의 "Los Voluntarios", 로만 데 산 호세의 "El Turuta"가 있다.

스페인 남동부 지역에서 매년 열리는 무어인과 기독교인 축제(''무어인과 기독교인'')를 위해 행진곡 형태의 부수 음악이 상당량 작곡되었고, 현재도 작곡되고 있다. 이는 ''música festera''로 알려져 있다.

주목할 만한 체코(보헤미아) 행진곡 작곡가로는 프란티셰크 크모흐와 "검투사의 입장"을 작곡한 율리우스 푸치크가 있다.

차르 시대 러시아의 많은 행진곡은 독일 행진곡과 유사한 특징을 공유하며, 일부는 독일("쾨니히그래처 행진곡" 등)과 프랑스, 오스트리아에서 직접 차용되었다. 그러나 혁명 이전의 토착 러시아 행진곡은 독특한 러시아적 사운드를 가지고 있다. 소련 시대에는 러시아 테마와 네덜란드 행진곡을 연상시키는 구조를 모두 통합한 많은 현대 행진곡이 제작되었다. 아가프킨의 "슬라브 여인의 고별"은 고전적인 러시아 행진곡의 일반적인 예이며, 소련 스타일의 러시아 행진곡의 주목할 만한 예로는 "승리의 날", "성스러운 전쟁", "길 위에", "모스크바 수호자 행진곡" 등이 있다.

17세기 말 무렵, 오스만 제국(터키)의 군악대(메흐테르하네)가 중앙 유럽에 와서[14] 유럽인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주었다. 이 군악대는 관악기타악기, 그리고 심벌즈로 구성되었으며, 춤을 추면서 행진했다. 오스만 제국군이 강성했던 점도 있어, 유럽에 유행하여, 모방한 작품이 많이 쓰여졌다. 『터키 행진곡』이라고 불리며, 합주라면 큰 북, 심벌즈, 트라이앵글을 포함했다.
유럽의 주요 행진곡

국가작곡가곡명
오스트리아요한 슈트라우스 1세라데츠키 행진곡
독일카를 타이케알테 카머라덴
루트비히 판 베토벤요르크셔 행진곡
러시아아가프킨슬라브 여인의 고별
(소련)"승리의 날", "성스러운 전쟁"
스페인하이메 테이시도르암파리토 로카
이탈리아보칼라리"Il Bersagliere"
체코율리우스 푸치크검투사의 입장


5. 2. 아메리카



진정한 행진곡 음악 시대는 1855년부터 1940년대까지 존재했으며, 이 시대는 행진곡 형식이 영향을 미친 재즈(특히 래그타임을 통해)에 의해 가려졌다.[5] 미국 행진곡 음악은 "행진곡의 왕" 존 필립 수자를 언급하지 않고는 논의할 수 없는데, 그는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행진곡을 혁신했다. 그의 가장 유명한 행진곡으로는 "Semper Fidelis", "The Washington Post", "The Liberty Bell" 및 "성조기여 영원하라"가 있다. 수자의 행진곡은 일반적으로 "성조기여 영원하라"에서와 같이 ''차분한'' 트리오로 특징지어지며, 여기서 나머지 밴드는 모든 음악에서 가장 유명한 피콜로 독주에 종속된다. 일반적으로 미국의 행진곡은 조바꿈(보통 플랫 추가)으로 구성되며, 이는 종종 트리오 동안 발생한다. 조바꿈은 특히 트리오가 행진곡의 마지막 몇 마디 전에 끝나면 노래가 끝나기 전에 다시 돌아올 수 있다.

전형적인 미국 행진곡 음악의 특화된 형태는 헨리 필모어와 칼 킹의 행진곡으로 대표되는 서커스 행진곡 또는 스크리머이다. 이 행진곡들은 현저히 빠른 템포(분당 140~200 비트)로 연주되며 일반적으로 많은 런, 팡파르 및 기타 화려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종종, 낮은 금관 악기는 속도와 과장 모두를 보여주는 하나 이상의 스트레인(보통 두 번째 스트레인)을 갖는다. 양식적으로, 많은 서커스 행진곡은 서정적인 마지막 스트레인을 사용하는데, 이는 (스트레인을 마지막으로 연주할 때) ''maestoso''(웅장하게, 더 느리고 위엄있게)로 시작하여, 스트레인의 후반부에서 템포를 높여 행진곡을 원래 템포보다 더 빠르게 끝낸다.

20세기 내내 중요한 미국의 행사를 기념하기 위해 행진곡이 계속 위촉되었다. 1960년대, 미국 해군 밴드의 지휘자인 앤서니 A. 미첼은 나중에 케네디 공연 예술 센터로 알려지게 될 센터를 위해 "The National Cultural Center March"를 작곡하도록 위촉받았다.[6]

5. 3. 아시아

일본의 행진곡 ('고신쿄쿠', 行進曲) 전통은 페리 제독의 일본 원정으로 인해 일본의 항구가 외국과의 무역을 위해 강제로 개방된 19세기에 시작되었다. 새로 도착한 상인과 외교관들이 가져온 서양 음악 문화의 유입은 일본 음악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일본 음악에 지속적인 유산을 남겼다. 당시 일본과 외국 음악가들은 일본인들에게 서양 음악 형식을 가르치려 했고, 일본풍 멜로디와 서양식 화성을 결합하려 했다. 또한,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 정부와 사회가 안정되면서 프랑스와 프로이센의 군대를 모델로 삼아 군대를 중앙 집권화하고 현대화하려 했다. 이 모든 것들이 나중에 현대 일본 음악이 되는 데 기여했다. 기존의 "군가" 전통과 뿌리를 공유하고 있던 행진곡 장르는 특히 청일 전쟁러일 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한 이후 몇 년 동안 매우 인기를 얻었다.

가장 초창기이자 가장 오래 지속된 일본 행진곡 중 하나는 1886년 프랑스 육군 장교이자 일본 제국 육군 고문이었던 샤를 르루가 작곡한 ''분열 행진곡'' (分列行進曲)이다. 원래 일본 멜로디를 기반으로 한 두 개의 별도 행진곡인 ''후소카'' (扶桑歌)와 ''밧토타이'' (抜刀隊)는 사쓰마 반란에서 영감을 얻었으며 메이지 천황이 가장 좋아하는 노래였다고 전해지는데, 나중에 오늘날 인식되는 행진곡으로 통합되었다. 곧 매우 인기 있는 밴드 표준이 되었고, 일본 제국 육군은 이를 대표적인 행진곡으로 채택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육상자위대일본 경찰청이 이 행진곡을 채택하여 현재까지 레퍼토리의 핵심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1945년 이전에는 야마다 고사쿠, 나카야마 심페이, 하시모토 구니히코, 세토구치 도키치, 에구치 요시와 같은 많은 저명한 작곡가들이 이 장르에 기여했다. 어떤 곡은 군국주의적이고 민족주의적인 어조를 띠었다. 나카야마의 1928년 작품 ''도쿄 행진곡'' (東京行進曲)과 같은 다른 곡들은 대중 소비를 위한 것이었으며 군사 음악과는 전혀 관련이 없었다.

가장 인기 있는 일본 행진곡은 다음과 같다.

  • ''분열 행진곡'' (分列行進曲) (일본 제국 육군과 오늘날의 육상자위대의 행진곡)
  • ''군함 행진곡'' (''군칸'', 行進曲「軍艦」) (일본 제국 해군과 오늘날의 해상자위대의 행진곡)
  • ''간칸시키 행진곡'' (観艦式行進曲)
  • ''기미가요 행진곡'' (君が代行進曲)
  • ''태평양 행진곡'' (太平洋行進曲)
  • ''애국 행진곡'' (愛国行進曲)
  • ''오조라'' (行進曲「大空」) (자위대의 행진곡)
  • 1964년 하계 올림픽을 위해 작곡된 ''도쿄 올림픽 행진곡'' (オリンピック・マーチ)
  • ''슈쿠텐 행진곡'' (祝典行進曲) (1959년 아키히토 황태자의 결혼 기념)
  • ''소라노 세이에이'' (空の精鋭) (항공자위대의 행진곡)

5. 4. 한국의 주요 행진곡

한국한국어의 주요 행진곡은 다음과 같다.

군가



독립군가



민중가요



기타


참조

[1] 서적 Danse et musique https://books.google[...] Fayard/Mirare 2021-03-22
[2] 웹사이트 Айчыны нашай сцяг http://vuchoba.org/a[...] 2020-05-22
[3] 웹사이트 Айчыны нашай сцяг 💗 – Сяргей Макей https://belsat.eu/ne[...]
[4] 웹사이트 Беларуская армія можа атрымаць беларускамоўныя маршы? https://belsat.eu/ne[...]
[5] 문서 See, ''e.g.'', [[F. W. Meacham]]. 2024-08
[6] 웹사이트 History 1960-1970 http://www.navyband.[...] 2012-03-23
[7] 웹사이트 Beating the Retreat — a musical military tradition celebrating the Republic for 7 decades https://theprint.in/[...] 2020-01-29
[8] 뉴스 Where does India's military music come from? https://timesofindia[...] 2022-03-21
[9] 웹사이트 Tri-Services Band — [EN] Spasskaya bashnya https://spasstower.r[...]
[10] 웹사이트 Indian Military Marches http://members.tripo[...]
[11] 웹사이트 Indian Military Marches – Bharat Rakshak – Indian Army & Land Forces https://www.bharat-r[...]
[12] 웹사이트 Под марш "Абылай-хан" – Новости Казахстана – свежие, актуальные, последние новости об о всем https://www.kazpravd[...]
[13] 웹사이트 Audios a Demanda http://www.radiocuba[...] Radio Cubana
[14] 문서 当時[[ハプスブルク君主国|オーストリア]]を中心とする中東欧諸国は1683年の[[第二次ウィーン包囲]]、それに続く[[大トルコ戦争]]などでオスマン帝国軍と戦っていた。
[15] 서적 Danse et musique https://books.google[...] Fayard/Mirare 2021-03-22
[16] 문서 Thukydides, ''Geschichte des Peloponnesischen Kriegs'' 5,70: ὁμαλῶς μετὰ ῥυθμοῦ βαίνοντες.
[17] 문서 William Byrd, Hilda Andrews (Bearb.): ''My Ladye Nevells Booke of Virginal Music''. Dover Publications, New York 1969, S. 20–3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