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고속도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울산고속도로는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에서 남구 무거동을 잇는 고속도로이다. 1969년 12월 29일 개통되었으며, 1974년 한국도로공사가 운영권을 인수했다. 2008년 울산 요금소 이전, 차로 확장 등의 개량이 이루어졌고, 2010년 도로명주소 고시를 통해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총 연장은 14.3km이며, 언양 분기점, 울산 분기점, 장검 나들목, 울산 나들목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짧은 구간과 높은 통행료로 인해 통행료 폐지 논쟁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산고속도로 - 울산 나들목
울산 나들목은 울산광역시 울주군과 남구에 위치하며, 1969년 언양울산고속도로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남부순환도로와 국도 제7호선으로 연결된다. - 울산고속도로 - 울산 분기점
울산 분기점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위치한 이중 Y자형 입체 교차로이며, 울산고속도로와 동해고속도로를 연결하고 1998년 도시계획시설로 고시되어 2008년에 통행이 시작되었다. - 울산 남구의 교통 - 국도 제7호선
국도 제7호선은 부산광역시 중구에서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까지 동해안을 따라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확장 및 개량 공사를 거쳐 전 구간 4차선으로 확장되었으며,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울산 남구의 교통 - 국도 제14호선
국도 제14호선은 경상남도 거제시에서 시작하여 부산광역시와 울산광역시를 거쳐 경상북도 포항시까지 연결되는 일반 국도로, 여러 차례 노선 연장 및 변경을 거쳐 김해, 창원, 거제 지역에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이 지정되었다. -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 남해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는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부산광역시를 잇는 총 연장 273.17km의 고속도로 10호선으로, 1973년 개통 이후 확장 공사와 노선 변경을 거쳐 현재 전 구간 4차선 이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구간별로 차로 수와 제한속도가 다르다.
울산고속도로 | |
---|---|
개요 | |
노선 번호 | EX 16 |
노선명 | 울산 고속도로 |
다른 이름 | 울산 고속 도로 |
![]() | |
총 길이 | 14.3km |
개통일 | 1969년 |
기점 | 울산광역시 울주군 |
종점 | 울산광역시 남구 |
구글 지도 검색어 | 울산 고속도로 |
2. 역사
1968년 2월 17일 언양 ~ 울산 간 고속도로 건설 계획이 발표되었으며,[8] 1969년 6월 20일 전 구간(언양 분기점 ~ 울산 나들목) 착공에 들어갔다.[10] 같은 해 12월 29일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개통 당시에는 한신부동산이 50년간 운영을 담당하기로 하였다.[10]
1974년 11월 1일 한국도로공사가 인수하면서 운영권이 이양되었다.[10] 1978년 6월 22일에는 고속국도 제8호선 언양 ~ 울산선으로 지정되었고,[11] 1981년 11월 7일에는 노선명이 울산고속도로(울산선)로 변경되었다.[12]
1992년 3월 16일에는 울산 요금소 이설 공사로 인해 경상남도 울산군 언양면 반송리 600m 구간 도로구역이 변경되었고,[13] 4월 29일에는 종점이 '경상남도 울산시 무거동'에서 '경상남도 울산시 남구 무거동'으로 변경되었다.[14] 1995년 1월 1일에는 기점이 '경상남도 울주군 언양면'에서 '경상남도 울산시 언양면'으로 변경되었으며,[15] 1997년 8월 27일에는 울산광역시 승격에 따라 기점과 종점의 행정구역 명칭이 변경되었다.[16]
언양 나들목은 평면교차식으로 경부고속도로 방면에서 울산 방면으로 U턴하는 차량과 언양에서 경부고속도로로 진입하려는 차량 간의 병목 현상이 심하고 사고 위험이 높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97년 5월 서울산 나들목이 착공되어 2000년 9월 10일 개통되면서 언양 나들목의 언양 방향 진출입로가 폐쇄되었다.[17]
2001년 8월 25일에는 고속국도 노선 번호가 제8호에서 제16호로 변경되었다.[18] 2002년 8월 31일에는 반송 정류장이 폐쇄되었고, 2004년 12월 29일에는 국도 제24호선 확장 개통으로 언양 나들목이 완전히 폐쇄되었다.
2008년 7월 24일에는 울산 종점 ~ 범서 구간이 4차로에서 6차로로 확장되었고, 12월 8일에는 울산 요금소가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반송리에서 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읍 굴화리로 이전되었다. 12월 29일에는 장검 나들목과 울산 분기점이 개통되었고, 범서 정류장이 재개장되었다.
2010년 12월 28일에는 도로명주소 고시를 통해 언양 분기점부터 신복로터리까지 14.3km 구간이 울산고속도로로 명명되었다.[21]
2017년 7월 18일에는 장검 나들목 언양방향 울산역 방면 진출로가 개통되었고,[25] 2018년 2월 5일에는 장검 나들목 울산방향 진입로가 개통되었다.[26]
3. 구성
3. 1. 차로수
언양 분기점 ~ 범서 하이패스 나들목 (예정) 구간은 왕복 4차로, 범서 하이패스 나들목 (예정) ~ 울산 요금소 구간은 왕복 6차로, 울산 요금소 ~ 울산 나들목 구간은 왕복 8차로이다.
3. 2. 총연장
울산고속도로의 총연장은 14.3km이다. 기점은 울산광역시울주군 언양읍 (언양 분기점)이며, 종점은 울산광역시 남구 무거동 (울산 나들목)이다. 관리 회사는 한국도로공사이다. 제한 최고 속도는 100 km/h이고 제한 최저 속도는 50 km/h이다. 차선 수는 언양 분기점 ~ 범서 하이패스IC 예정지 부근은 4차선, 범서 하이패스IC 예정지 부근 ~ 울산 요금소는 6차선, 울산 요금소 ~ 울산 나들목은 8차선이다.
3. 3. 제한속도
전 구간 최고 100km/h, 최저 50km/h로 제한되어 있다.
4. 나들목 · 분기점
거리
거리
(주유소 없음)
구 울산 요금소 부지
백천2길·장검길
국도 제14호선 (대학로·북부순환도로)
남부순환도로·삼호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