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광역시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울산광역시도는 울산광역시의 주간선도로로, 12m 이상 도로 중 30개의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횡단 도로는 일의 자리 숫자가 0, 종단 도로는 일의 자리 숫자가 1로 번호가 부여된다. 2001년 3월 22일 30개 노선에 노선번호가 부여되었으며, 자세한 정보는 울산광역시고시 제2001-40호에 따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산광역시의 도로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 울산광역시의 도로 - 아시안 하이웨이 6호선
아시안 하이웨이 6호선(AH6)은 부산에서 크라스닌스키군까지 이어지는 아시아 고속도로망의 일부로, 남북 관계 단절로 한국과 북한 구간은 연결되지 않았으며, 러시아, 중국, 카자흐스탄을 거쳐 1만km가 넘는 경로를 포함하지만, 여러 문제로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다. - 낡은 정보를 포함한 문단 - 추미애
추미애는 대한민국의 판사 출신 정치인으로, 김대중 전 대통령의 권유로 정계에 입문하여 다선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대표, 법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 낡은 정보를 포함한 문단 - 옥천군
옥천군은 충청북도 남부에 위치하며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곳으로 백제와 신라의 각축장이었고 조선 태종 때 옥천이라는 지명을 얻어 현재는 대전광역시의 위성도시로서 경부고속도로와 경부선 철도가 지난다. - 낡은 정보를 포함한 문서 - 추미애
추미애는 대한민국의 판사 출신 정치인으로, 김대중 전 대통령의 권유로 정계에 입문하여 다선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대표, 법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 낡은 정보를 포함한 문서 - 옥천군
옥천군은 충청북도 남부에 위치하며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곳으로 백제와 신라의 각축장이었고 조선 태종 때 옥천이라는 지명을 얻어 현재는 대전광역시의 위성도시로서 경부고속도로와 경부선 철도가 지난다.
울산광역시도 | |
---|---|
지도 | |
울산광역시도 | |
![]() | |
일반 정보 | |
관리 | 울산광역시 |
총 연장 | 45개 노선, 623.5km |
지정 제도 | 도로법 제10조 |
노선 | |
울산광역시도 제1호선 | 공업로 |
울산광역시도 제2호선 | 남부순환도로 |
울산광역시도 제3호선 | 북부순환도로 |
울산광역시도 제4호선 | 신항만배후도로 |
울산광역시도 제5호선 | 장생포로 |
울산광역시도 제6호선 | 옥동~농소간 도로 |
울산광역시도 제7호선 | 삼산로 |
울산광역시도 제11호선 | 울밀로 |
울산광역시도 제20호선 | 이예로 |
울산광역시도 제21호선 | 강남로 (울산) |
울산광역시도 제22호선 | 태화로 |
울산광역시도 제23호선 | 명륜로 |
울산광역시도 제31호선 | 문수로 |
울산광역시도 제32호선 | 남운로 |
울산광역시도 제41호선 | 상평로 |
울산광역시도 제51호선 | 방어진순환도로 |
울산광역시도 제61호선 | 반구로 |
울산광역시도 제71호선 | 신천로 (울산) |
울산광역시도 제81호선 | 삼호로 |
울산광역시도 제91호선 | 산업로 (울산) |
울산광역시도 제101호선 | 아산로 |
울산광역시도 제102호선 | 화합로 |
울산광역시도 제103호선 | 두왕로 |
울산광역시도 제104호선 | 돋질로 |
울산광역시도 제105호선 | 번영로 (울산) |
울산광역시도 제106호선 | 청량~옥동간 도로 |
울산광역시도 제107호선 | 남창~웅촌간 도로 |
울산광역시도 제201호선 | 농소~강동간 도로 |
울산광역시도 제202호선 | 오토밸리로 |
울산광역시도 제203호선 | 울산외곽순환도로 |
울산광역시도 제204호선 | 국도대체우회도로 (울산) |
2. 구성
울산광역시도는 12m 이상 가로 중 주간선도로로 지정된 30개 노선에 두 자리 번호를 가진 광역시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번호 부여 방식은 다음과 같다.
- 서쪽에서 동쪽으로 횡단하는 도로에는 일의 자리 숫자가 0인 번호를 부여한다. (예: 10, 20, 30...)
- 남쪽에서 북쪽으로 종단하는 도로에는 일의 자리 숫자가 1인 번호를 부여한다. (예: 21, 31, 41...)
3. 역사
4. 노선 목록
번호
(가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