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워너 코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워너 코흐는 독일의 프로그래머로, GNU 프라이버시 가드(GnuPG)를 개발했다. 1997년 리처드 스톨먼의 강연에 영감을 받아 GnuPG 개발을 시작했으며, 1999년 첫 번째 버전을 출시했다. GnuPG는 윈도우와의 호환성을 위해 독일 연방 경제 기술부로부터 보조금을 받았고, S/MIME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계약을 독일 정부로부터 받았다. GnuPG는 에드워드 스노든이 미국 국가 안보국의 기밀 정보를 유출할 때 사용되었으나, 재정적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이후 자금 모금 운동을 통해 기부금을 받았으며, 페이스북과 스트라이프가 GPG 개발에 기여하기로 약속했고, 리눅스 재단으로부터도 보조금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유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머 - 얀 르쿤
    프랑스 컴퓨터 과학자 얀 르쿤은 딥 러닝 분야의 선구자로서 합성곱 신경망을 제안하여 이미지 인식 발전에 기여했고, 뉴욕 대학교 교수이자 메타 AI 연구소 초대 소장을 역임했으며, 제프리 힌턴, 요슈아 벤지오와 함께 튜링상을 공동 수상했다.
  • 자유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머 - 래리 월
    래리 월은 펄 프로그래밍 언어 창시자이자 rn, patch 개발자이며, 유니시스 근무 중 펄을 개발하고 《프로그래밍 펄》을 저술하는 등 펄 커뮤니티에 큰 영향을 미쳤고, 자유 소프트웨어 발전상 수상 및 펄 프로젝트의 자비로운 종신 독재자로 활동 중인 컴퓨터 과학자이자 기독교 신자이다.
  • 1961년 출생 - 박래군
    박래군은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생 박래전의 죽음을 계기로 인권 운동에 참여하여 전국민주화운동유가족협의회 사무국장, 인권운동사랑방 사무국장 및 정책실장,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조사3국 국장, 다산인권재단 상임이사, 인권재단 사람 상임이사 및 소장, 서울특별시 인권위원회 전문위원 및 부위원장, 2014년 세월호참사 국민대책회의 공동운영위원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인권 운동가이다.
  • 1961년 출생 - 이진숙 (언론인)
    이진숙은 문화방송의 기자 및 간부로 활동하다가 대전문화방송 사장을 역임했고, 걸프 전쟁 등 다양한 보도 활동을 펼쳤으며, 자유한국당에 입당하여 정치 활동을 시작하여 2024년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되었으나 직무가 정지되었다.
워너 코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5년의 베르너 코흐
2015년의 코흐
이름베르너 코흐
본명베르너 코흐
출생일1961년 7월 11일
출생지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뒤셀도르프
거주지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에어크라트
국적독일
직업소프트웨어 개발자
웹사이트베르너 코흐 개인 웹사이트
경력
주요 활동GNU 프라이버시 가드

2. 생애

독일 뒤셀도르프 근처 에르크라트Erkrath|에르크라트de에 거주하고 있다.[2][8] 그는 1997년 리처드 스톨먼의 강연을 듣고 영감을 받아 자유 소프트웨어로서 필 짐머만의 Pretty Good Privacy(PGP)를 대체할 GNU Privacy Guard(GnuPG) 개발을 시작했다. 당시 PGP는 미국 암호화 기술 수출 규제 대상이었다.[2][8] GnuPG의 첫 버전은 1999년에 공개되었으며, 이후 여러 이메일 암호화 프로그램의 기반이 되었다.[2][8]

초기에는 독일 연방 경제 기술부 등으로부터 개발 지원금을 받았으나,[1][7] 2001년 이후로는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2][8] 그러나 2013년 에드워드 스노든이 미국 국가 안보국(NSA)의 감시 활동을 폭로할 때 GnuPG를 사용한 사실이 알려지면서[4] 프로젝트의 중요성이 다시 부각되었고, 2014년 이후 대중의 기부와 페이스북, 스트라이프, 리눅스 재단 등의 지원을 통해 개발을 지속할 수 있게 되었다.[2][5][6][8][11]

2. 1. 초기 생애 및 GnuPG 개발

코흐는 독일 뒤셀도르프 근처 에르크라트Erkrath|에르크라트deu에 거주하고 있다. 그는 1997년 리처드 스톨먼의 강연에 영감을 받아 GNU Privacy Guard(GnuPG)를 작성하기 시작했다. 당시 스톨먼은 필 짐머만의 Pretty Good Privacy(PGP)를 대체할 자유 소프트웨어 개발자를 찾고 있었는데, PGP는 미국 암호화 기술 수출 규제의 대상이었기 때문이다.[2] GnuPG의 첫 번째 릴리스는 1999년에 이루어졌으며, 이후 GPGTools, Enigmail, 그리고 코흐 자신이 개발한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용 암호화 프로그램인 Gpg4win 등 여러 이메일 암호화 프로그램의 기반이 되었다.[2][8]

1999년, 코흐는 자신이 이사로 활동하던 독일 유닉스 사용자 그룹을 통해[2] 독일 연방 경제 기술부로부터 GnuPG를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와 호환되도록 개발하기 위한 보조금 318,000 마르크(당시 약 17만달러)[1]을 지원받았다. 2005년에는 S/MIME 개발 지원을 위해 독일 연방정부와 계약을 맺었다.

GnuPG는 많은 저널리스트와 보안 전문가들이 신뢰하는 도구가 되었으며, 특히 에드워드 스노든은 미국 국가 안보국(NSA)의 광범위한 감시 활동에 대한 기밀 정보를 폭로할 때 정부의 추적을 피하기 위해 GnuPG를 사용했다.[4] GnuPG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코흐는 2001년부터 연간 수입이 약 2.5만달러에 불과할 정도로 재정적 어려움을 겪었고,[2][8] 한때는 더 안정적인 수입을 위해 GnuPG 개발을 포기하는 것도 고려했다.[4][10]

그러나 스노든의 폭로를 통해 NSA의 무차별적인 감시 실태가 드러나자, 코흐는 GnuPG 프로젝트를 계속 이어가기로 결심했다.[4][10] 2014년, 그는 GnuPG 개발 자금 마련을 위한 모금 운동을 시작했고, 대중으로부터 13.7만달러의 기부금을 모으는 데 성공했다.[2][8] 또한 페이스북과 스트라이프는 각각 연간 5만달러를 GnuPG 개발에 지원하기로 약속했다.[2][5][8][11] 이와 별도로 2015년에는 리눅스 재단의 코어 인프라 이니셔티브로부터 6만달러의 일회성 보조금을 받았다.[5][6][11]

2. 2. 재정적 어려움과 지원

1999년, 코흐는 자신이 이사로 있던 독일 유닉스 사용자 그룹을 통해 독일 연방 경제 기술부로부터 GnuPG를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와 호환되도록 개발하기 위한 보조금 318,000 독일 마르크 (당시 약 17만달러)를 지원받았다.[1][7] 2005년에는 S/MIME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독일 정부와 계약을 맺기도 했다.

GnuPG는 저널리스트나 보안 전문가들에게 널리 사용되었으며, 특히 에드워드 스노든이 미국 국가 안보국(NSA)의 기밀 정보를 폭로할 때 감시를 피하기 위해 사용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었다.[4] 그러나 GnuPG의 명성과 달리, 코흐는 2001년부터 연간 약 2.5만달러의 수입으로 재정적인 어려움을 겪었다.[2][8] 그는 GnuPG 개발을 포기하고 보수가 더 나은 프로그래밍 일자리를 찾을까 고민하기도 했다.[4][10]

하지만 스노든의 폭로를 통해 NSA의 광범위한 감시 실태가 드러나자, 코흐는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GnuPG 프로젝트를 계속하기로 결심했다.[4][10] 2014년에 그는 GnuPG 개발 자금 마련을 위한 모금 운동을 시작했고, 대중으로부터 13.7만달러의 기부금을 모았다.[2][8] 또한 페이스북과 스트라이프는 GnuPG 개발을 위해 각각 연간 5만달러를 지원하기로 약속했다.[2][5][8][11] 이듬해인 2015년에는 리눅스 재단의 코어 인프라 이니셔티브로부터 일회성 지원금으로 6만달러를 받았다.[5][6][11]

2. 3. 에드워드 스노든과의 관계

저널리스트와 보안 전문가들은 GnuPG에 의존하며, 에드워드 스노든은 미국 국가 안보국(NSA)의 기밀 정보를 정보 유출할 때 감시를 피하기 위해 이를 사용했다.[4] GnuPG의 인기에도 불구하고, 코흐는 2001년부터 연간 약 2.5만달러를 벌며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었고,[2] 더 나은 급여를 받는 프로그래밍 직업을 갖는 것을 고려했다.[4] 그러나 스노든의 유출된 문서가 NSA 감시의 규모를 보여주면서, 코흐는 프로젝트를 계속하기로 결심했다.[4]

2014년 그는 자금 모금 운동을 벌였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대중으로부터 13.7만달러의 기부금을 받았으며,[2] 페이스북과 스트라이프는 각각 GPG 개발에 연간 5만달러를 기부하기로 약속했다.[2][5] 이와는 별개로, 2015년 코흐는 리눅스 재단의 코어 인프라 이니셔티브로부터 6만달러의 일회성 보조금을 받았다.[5][6]

참조

[1] 뉴스 Germany Awards Grant for Encryption http://partners.nyti[...] The New York Times 1999-11-19
[2] 웹사이트 The World's Email Encryption Software Relies on One Guy, Who is Going Broke https://www.propubli[...] ProPublica 2015-02-05
[3] Youtube Library Freedom Project and Werner Koch are 2015 Free Software Awards winners https://www.fsf.org/[...] FSF
[4] 웹사이트 Once-starving GnuPG crypto project gets a windfall. Now comes the hard part https://arstechnica.[...] Condé Nast 2015-02-06
[5] 뉴스 Internet lobs $$$s at dev of crucial GPG tool after he runs short of cash https://www.theregis[...] The Register 2015-02-05
[6] 웹사이트 Answering the Call for Werner Koch's Everywhere http://www.linuxfoun[...] Linux Foundation 2015-02-08
[7] 웹사이트 Germany Awards Grant for Encryption https://archive.nyti[...] The New York Times 1999-11-19
[8] 웹사이트 The World's Email Encryption Software Relies on One Guy, Who is Going Broke https://www.propubli[...] ProPublica 2015-02-15
[9] 웹사이트 Library Freedom Project and Werner Koch are 2015 Free Software Awards winners https://www.fsf.org/[...] Free Software Foundation 2016-03-19
[10] 웹사이트 Once-starving GnuPG crypto project gets a windfall. Now comes the hard part https://arstechnica.[...] Ars Technica 2015-02-07
[11] 웹사이트 Internet lobs $$$s at dev of crucial GPG tool after he runs short of cash https://www.theregis[...] The Register 2015-02-05
[12] 웹인용 Germany Awards Grant for Encryption http://partners.nyti[...] The New York Times 1999-11-19
[13] 웹인용 The World’s Email Encryption Software Relies on One Guy, Who is Going Broke http://www.propublic[...] 2015-02-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