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더랜드 (베이징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더랜드는 1990년대 후반 태국의 부동산 개발업체인 레인우드 그룹이 베이징시 교외에 건설하려다 중단된 놀이공원이다. 1998년 착공되었으나 토지 매입 문제로 2000년경 건설 계획이 무산되었고, 2008년 재추진 시도 역시 실패했다. 이후 부지는 옥수수 재배지로 사용되었으며, 2011년 사진가 데이비드 그레이에 의해 미완성된 구조물들이 "재발견"되어 사진이 공개되었다. 2014년에는 데일리 메일이 선정한 "세계 7대 낭비 관광 자원 프로젝트"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창핑구의 건축물 - 거용관
거용관은 베이징 북서쪽 광구 협곡에 위치한 요새로, 춘추전국시대에 처음 건설되었으며 명나라 때 몽골의 침략을 방어하는 데 사용되었고, 현재는 만리장성과 함께 베이징의 대표적인 관광지이다. - 창핑구의 건축물 - 명십삼릉
명십삼릉은 명나라 황제 13명과 황후, 후궁들이 안장된 베이징 북쪽의 능묘군으로, 풍수지리 사상에 따라 조성되었으며, 각 능묘는 시대별 건축 양식을 보여주고, 만력제 정릉 발굴은 명나라 황실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며, 2003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창핑구 - 정릉 (명)
만력제와 황후들을 안장한 정릉은 명십삼릉 중 유일하게 발굴된 황릉으로, 발굴 기술 부족과 문화대혁명으로 훼손되어 중국이 황릉 발굴 제한 정책을 시행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 창핑구 - 거용관
거용관은 베이징 북서쪽 광구 협곡에 위치한 요새로, 춘추전국시대에 처음 건설되었으며 명나라 때 몽골의 침략을 방어하는 데 사용되었고, 현재는 만리장성과 함께 베이징의 대표적인 관광지이다.
원더랜드 (베이징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창핑 구, 베이징시 |
좌표 | 40 |
소유주 | 화빈집단 |
면적 | 120 에이커 (약 48.6 헥타르) |
상태 | 철거됨 |
별칭 | (중국어 간체) (영어) |
개요 | |
개장 예정 | 미개장 (abandoned) |
건설 중단 | 2008년 |
철거 | 2013년 5월 |
역사 | |
초기 계획 | 아시아 최대의 놀이공원을 목표로 함 |
건설 중단 원인 | 지방 정부와 농민 간의 토지 가격 합의 실패 |
이후 활용 | 농경지로 복구 폐허 관광 명소로 활용 |
현재 위치 | (바달링 아울렛) 위치 |
2. 역사
1990년대 후반 베이징 외곽에 대규모 놀이공원 '원더랜드' 건설 계획이 시작되었다[8]. 1998년에 착공했으나[8], 2000년경 토지 문제로 건설이 중단되었다[9]. 이후 2008년에 계획을 재개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실패했고[9], 부지는 오랫동안 방치된 채 남겨졌다. 버려진 부지는 이후 농경지로 사용되기도 했으며[9], 2011년 미완성된 모습이 외부에 알려지며 다시 주목받았다[9].
2. 1. 건설 계획 및 중단 (1990년대 후반 ~ 2000년)
1990년대 후반, 태국의 부동산 개발 회사인 레인우드 그룹(Reignwood Group)은 베이징 교외 천야촌에 100acre 규모의 대형 놀이공원 건설을 계획했다. 이 놀이공원은 완공 시 아시아 최대 규모가 될 예정이었다[8]. 공사는 1998년에 시작되었으나[8], 2000년경 토지 매입 과정에서 발생한 가격 협상 문제로 인해 건설이 중단되었다[9]. 결국 건설 계획은 좌절되었고, 부지는 이후 오랫동안 방치 상태로 남게 되었다.2. 2. 방치와 재발견 (2000년 ~ 2011년)
1998년 시작된 원더랜드 건설은 토지 매입 가격 협상 실패로 2000년경 중단되었다[9]. 이로 인해 아시아 최대 규모의 놀이공원을 목표로 했던 계획은 무산되었고, 건설 부지는 이후 오랫동안 방치 상태로 남게 되었다. 2008년에 건설 계획을 다시 추진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이마저도 실현되지 못했다.개발사인 레인우드 그룹(Reignwood Group)이 다른 사업으로 관심을 돌리면서, 버려진 부지는 지역 주민들이 옥수수 등을 경작하는 농지로 사용되기도 했다[9].
세상에서 잊혀가던 이 미완성 놀이공원은 2011년 12월, 사진가 데이비드 그레이(David Gray)가 촬영한 사진들이 공개되면서 다시 주목받게 되었다[9]. 그가 찍은 사진들은 건설이 멈춘 채 기괴한 모습으로 남겨진 구조물들의 모습을 담고 있었고, 이를 통해 원더랜드는 '재발견'되어 세상에 알려졌다. 이후 2014년 9월에는 영국의 타블로이드 신문 데일리 메일이 선정한 "세계 7대 낭비 관광 자원 프로젝트" 중 하나로 언급되기도 했다[10].
2. 3. 재개 시도와 무산 (2008년)
2000년경 토지 매입 가격 협상 문제로 건설 계획이 중단된 이후[9] 오랫동안 방치되었던 원더랜드 건설 계획을 2008년에 다시 추진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하지만 이 계획 부활 움직임은 구체적인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결국 실현되지 못했다.[9]3. 실패 원인
(내용 없음)
4. 이후
원더랜드 건설 계획은 중단된 이후, 개발사인 레인우드 그룹은 다른 사업으로 관심을 돌렸고 해당 부지는 오랫동안 방치되었다. 시간이 흘러 미완성된 구조물들이 사진가에 의해 촬영되어 다시 알려지면서 세간의 주목을 받기도 했다.
4. 1. 부지 활용
원더랜드 건설 계획이 중단된 이후, 개발사인 레인우드 그룹(Reignwood Group)은 다른 사업으로 관심을 돌렸고, 계획 부지는 장기간 방치되었다. 결국 이 땅은 옥수수 재배와 같은 생산 활동의 장으로 활용되었다.[9]4. 2. 평가
원더랜드 건설 계획은 오랫동안 잊혔으나, 2011년 12월 사진가 데이비드 그레이(David Gray)가 미완성 상태로 방치된 구조물들을 촬영하여 공개하면서 다시 알려지게 되었다[9]。 이후 2014년 9월, 영국의 타블로이드 신문인 데일리 메일은 "세계 7대 낭비 관광 자원 프로젝트" 특집 기사에서 원더랜드를 그중 하나로 선정하며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다[10]。참조
[1]
뉴스
Pictures: China's Fake Disneyland, Overgrown and Ghostly
http://news.national[...]
2012-09-19
[2]
뉴스
China's Abandoned Wonderland
https://www.theatlan[...]
2011-12-17
[3]
뉴스
See China's 'Wonderland,' an abandoned fake-Disneyland (PHOTOS)
https://www.washingt[...]
2011-12-14
[4]
뉴스
This Abandoned Theme Park on the Edge of Shanghai Is Only The First Sign of a Major Crash
http://articles.busi[...]
2011-12-13
[5]
뉴스
Editor's Choice Slideshow
https://www.reuters.[...]
2011-12-12
[6]
뉴스
Beijing's Wonderland amusement park demolished
http://usa.chinadail[...]
2013-11-18
[7]
웹사이트
Abandoned theme park turned mega shopping mall
http://www.timeoutbe[...]
Time Out Group Ltd
2017-10-30
[8]
뉴스
亚洲最大游乐园中途停工烂尾10余年
http://finance.sina.[...]
2010-07-01
[9]
뉴스
夢の跡、中国の偽ディズニーランド
https://natgeo.nikke[...]
2011-12-19
[10]
뉴스
「世界7大ムダ観光資源プロジェクト」に「北京の遊園地」を英メディアが選ぶ=中国メディア
http://topics.jp.msn[...]
2014-09-07
[11]
뉴스
亚洲最大游乐园中途停工烂尾10余年
http://finance.sina.[...]
新浪財経
2010-07-01
[12]
뉴스
夢の跡、中国の偽ディズニーランド
http://www.nationalg[...]
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 ニュース
2011-12-26
[13]
뉴스인용
「世界7大ムダ観光資源プロジェクト」に「北京の遊園地」を英メディアが選ぶ=中国メディア
http://topics.jp.msn[...]
サーチナ
2014-09-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