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원추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추리는 여러해살이풀로,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이 원산지이며 관상용으로 재배되기도 한다.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특히 왕원추리는 한국 특산종이다. 원추리는 덩이뿌리에서 자라며, 주황색 또는 빨간색 꽃이 피고, 식용 가능한 부분이 있어 어린순, 꽃, 덩이줄기를 섭취한다. 잎과 뿌리는 민간에서 약재로 사용되었으며, 최근 연구를 통해 수면 개선, 우울증 완화 등의 효과가 밝혀지기도 했다. 하지만 고양이에게는 독성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추리과 - 원추리속
    원추리속은 동아시아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백합과 유사한 꽃이 피지만 하루 만에 시들며, 관상용, 식용, 약용으로 이용되는 7종 1변종이 한국에 자생한다.
  • 원추리과 - 뉴질랜드삼
    뉴질랜드가 자생지인 뉴질랜드삼은 섬유 자원 및 관상용으로 활용되는 여러해살이풀로, 마오리족은 잎을 섬유로 사용했으며 깡충거미와 공생하는 등 생태적으로 중요한 식물이며 다양한 품종이 재배된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벵골호랑이
    벵골호랑이는 인도아대륙에서 서식하는 호랑이 아종으로, 노란색~주황색 털과 검은 줄무늬를 가지며, 멧돼지, 사슴 등 우제류를 먹이로 하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제한적인 지역에서 서식한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잉어
    잉어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민물고기로, 하천 중류 이하의 진흙 바닥을 선호하며, 길조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요리 재료로 활용되며, 기생충 감염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원추리
기본 정보
''Hemerocallis fulva'' var. ''fulva'' 꽃
Hemerocallis fulva var. fulva의 꽃
학명Hemerocallis fulva (L.) L.
이명Hemerocallis crocea Lam.
Gloriosa luxurians Lour. ex B.A.Gomes (syn. of H. fulva var. fulva)
한국어 이름원추리
망우초 (忘憂草)
칸조 (萱草)
일본어 이름와스레구사 (忘れ草)
와스루루구사 (忘るる草)
칸조 (萱草)
영어 이름Orange Daylily
Tawny Daylily
Tiger Daylily
Ditch Daylily
분류
식물계 (Plantae)
문 (계통 분류군)속씨식물 (angiosperms)
강 (계통 분류군)외떡잎식물 (monocots)
아스파라거스목 (Asparagales)
아스포델루스과 (Asphodelaceae)
아과원추리과 (Hemerocallidoideae)
원추리속 (Hemerocallis)
원추리 (H. fulva)
분포
서식지
특징
설명은 여름에 피고, 주황색이다.
기타대한민국에서는 어린 순을 나물로 먹는다.
활용
용도식용, 약용, 관상용
식용 부위어린 순

2. 분류

원추리속에는 다양한 종과 변종이 있으며, 대표적인 종은 다음과 같다.

이름학명특징
야부칸조(藪萱草)Hemerocallis fulva var. kwanso
노란 원추리(野萱草)Hemerocallis fulva var. longituba
갯고사리Hemerocallis fulva var. littorea
니시노하마칸조Hemerocallis fulva var. auranttiaca
아키노와스레구사 (별명 토키와칸조)Hemerocallis fulva var. sempervirens
혼칸조우Hemerocallis fulva var. fulva
Hemerocallis fulva var. europaea


3. 형태

여러해살이풀로 덩이뿌리에서 자라며, 줄기는 40cm 높이까지 자란다. 은 선형이며, 0.5m 길이와 1.5cm 너비를 가진다.[4] 은 5cm 크기로, 주황색-빨간색이며 각 꽃덮이에 옅은 중심선이 있다. 초여름부터 늦가을까지 10개에서 20개의 꽃이 달린 꽃줄기에서 피어나며, 각 꽃은 순차적으로 피어나 하루만 지속된다. 열매는 세 개의 판막이 있는 삭과로 2cm 길이에 1.2cm 너비이며, 성숙하면 갈라져 씨앗을 방출한다.[5][6]

야생에서는 이배체와 삼배체 형태가 모두 나타나지만, 대부분의 재배 식물은 씨앗을 거의 생산하지 않고 주로 주경으로 영양 번식하는 삼배체이다.[5] 적어도 네 가지 식물 품종이 인정되고 있으며, 전형적인 삼배체 품종인 ''fulva'', 긴 꽃을 가진 이배체 품종인 ''angustifolia'' (동의어: var. ''longituba''), 꽃잎 모양의 수술을 가진 삼배체 품종 ''Flore Pleno'', 그리고 상록 품종인 ''aurantiaca'' 등이 있다.[5]

원추리의 변종은 다음과 같다.

노란 원추리 꽃

  • '''노란 원추리''' (''Hemerocallis fulva'' var. ''longituba''): 중국이 원산지로, 한반도, 일본 열도, 사할린에 분포한다. 일본에서는 혼슈 이남의 들판 등에 군생한다. 다년생 식물이지만, 겨울철에는 지상부의 잎이 말라 죽는다. 겹원추리와 비슷하지만, 전체적으로는 다소 작다. 7월부터 8월에, 줄기 끝에 백합과 비슷한 홑겹의 등황색 6개의 꽃잎이 달린 꽃을 피운다. 원예 품종으로는 흰색, 노란색, 빨간색, 주황색, 자주색, 적자색, 복숭아색, 흑갈색 등 다양한 색이 있다. 꽃잎은 6장이다.

  • '''갯고사리''' (''Hemerocallis fulva'' var. ''littorea''): 일본에서는 난지의 해안 등에 군생한다. 원추리에 비슷하지만 자생지가 거의 해안으로 한정된다는 점과, 겨울에도 지상부의 잎이 남아 있다는 점에서 구별할 수 있다. 다른 종보다 늦게 피며, 여름부터 초가을에 걸쳐 원추리와 비슷한 꽃을 피운다. 등황색이며 꽃잎은 6장이다.
  • 니시노하마칸조 (''Hemerocallis fulva'' var. ''auranttiaca''): 꽃은 노칸조우와 비슷하다. 일본에서는 규슈 이남의 해안 등에 자생한다.
  • 아키노와스레구사(별명 토키와칸조) (''Hemerocallis fulva'' var. ''sempervirens''): 꽃은 노칸조우와 비슷하다. 상록성이다. 일본에서는 규슈 남부 및 남서 제도에 자생한다. 오키나와현에서는 전통 채소로 재배되고 있다.
  • 혼칸조우 (''Hemerocallis fulva'' var. ''fulva''): 일본에서는 자생하지 않는다.
  • ''Hemerocallis fulva'' var. ''europaea''

4. 분포

원추리는 아시아 코카서스 지역에서 시작하여 히말라야를 거쳐 중국, 일본, 한국에 이르는 지역이 원산지이다.[5][6][7][8] 재배지에서 벗어나 미국 대부분 지역과 캐나다 일부 지역에서 잡초 또는 침입종이 되었다.[9]

''Hemerocallis fulva''는 미국의 일부 지역에서 침입 외래 식물이며, 델라웨어,[10] 메릴랜드,[11] 버지니아를 포함한 일부 주와 다른 중부 대서양 주에서 식재를 피해야 할 식물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13]

5. 재배

훤초(Hemerocallis fulva)는 적어도 16세기부터 유럽에서 재배되었으며, 많은 국가에서 귀화했다.[14] 여러 현대 품종이 관상용으로 재배되고 있다.[15]

''H. fulva''는 오래 사는 여러해살이 식물이며, 다양한 기후 조건에 적응할 수 있다. 이 종은 거의 모든 곳에서 왕성하게 자라며, 다른 식물이 잘 자라지 못하는 어려운 지역에서도 잘 자란다.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약간 그늘진 곳까지 잘 자라며, 가뭄에도 강하다. USDA 식물 내한성 구역 4까지 겨울을 견딘다.[16]

재배되는 대부분의 품종은 불임 삼배체이며, 모두 지하 구근의 곁가지로 번식하므로 가장 일반적이고 간단한 식물 번식 방법은 뿌리 또는 구근 분할이다.

고양이를 키우거나, ''훤초''가 자라는 정원에 길 잃은 고양이가 자주 나타나는 경우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대부분의 훤초 품종은 고양이과 동물에게 심각한 독성을 띠기 때문이다(개과 동물에게는 독성이 다소 덜하다). 특히 고양이는 종종 야외를 탐험하고, 꽃이 핀 훤초에 부딪혀 꽃가루가 털에 우연히 묻을 수 있으므로 매우 취약하다. 그 후, 고양이의 본능적인 그루밍 및 핥는 행동은 꽃가루를 직접 섭취할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17][18]

6. 이용

원추리의 꽃, 잎, 덩이줄기는 식용이 가능하다.[19][20] 잎과 어린 순은 너무 질겨지기 전에 날로 먹거나 익혀 먹을 수 있다. 꽃잎과 어린 덩이줄기는 샐러드에 넣거나 볶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할 수 있다. 꽃잎은 익혔을 때 맛이 더 좋으며, 튀겨서 보관하거나,[21] 말려서 수프나 소스의 증점제로 사용할 수 있다.[19] 익힌 꽃봉오리는 강낭콩과 비슷한 맛이 나며,[22] 덩이줄기는 "견과류" 맛이 나며 감자를 대체할 수 있다.[4]

원추리의 어린 싹은 특유의 냄새가 없고, 단맛과 미끄러움, 씹는 맛이 있다.[10] 꽃은 하루 만에 시들기 때문에 핀 꽃만 따서 이용한다.[14] 어린 잎(어린 싹)은 살짝 데쳐서 나물, 초된장 무침, 버터 볶음, 국, 튀김 등으로 먹는다.[13][15][10] 꽃봉오리는 데쳐서 초무침, 튀김, 수프의 재료로 먹거나, 건조시켜 보존식(건어물)으로 만든다.[13][10]

중국 요리에서는 주로 "금침화"(金針花, jīnzhēnhua중국어) 또는 "황화채"(黄花菜, huánghuācài중국어)라고 불리는 꽃봉오리 건조품을 사용하며, 물에 불려서 수프 재료로 활용한다. 꽃을 화이트 리커에 담가서 건강주로도 만들 수 있다.[15] 금침채는 생약으로도 쓰이며, 빈혈, 불면증, 불안증, 해열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13][11] 오키나와현에서는 불면증과 정신 안정에 효과가 있다고 하여 콴소차나 콴소를 사용한 보충제도 판매되고 있다. 해열을 위해 금침채 15g을 물에 달여 복용하는 민간 요법이 알려져 있다.[13]

잎이나 뿌리도 가을에 캐내어 물로 씻어 햇볕에 말린 후 생약으로 사용하며,[13] 민간약으로 활용되었다.[14] 불면증이나 부기 제거, 이뇨 작용을 위해 뿌리는 10g, 잎은 20g을 물에 달여 복용하는 민간 요법이 알려져 있다.[13] 감초콩과 식물로, 중국 원산의 약용 식물로 잘 알려져 있지만, 원추리와는 전혀 다른 종이다.[14]

원추리 꽃은 주황색으로 아름다워 정원에 심어 감상하기도 한다.[13]

6. 1. 한국에서의 이용

한국에서는 예로부터 원추리의 어린순을 '넘나물'이라 하여 봄철 나물로 즐겨 먹었다.[19] 어린 잎은 살짝 데쳐서 나물 무침, 초된장 무침, 버터 볶음, 국, 튀김 등으로 먹는다. 꽃봉오리는 데쳐서 초무침, 튀김, 수프의 재료로 먹거나, 건조시켜 보존식(건어물)으로 활용한다.

민간에서는 잎과 뿌리를 약재로 사용해 왔다.[19] 가을에 잎과 뿌리를 캐내어 물로 씻고 햇볕에 말려 사용하는데, 불면증이나 부기 제거(이뇨), 지혈, 소염 등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민간요법으로는 뿌리 10g 또는 잎 20g을 물에 달여 복용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원추리 추출물은 수면 개선, 우울증 완화, 인지 기능 개선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특히, 오키나와에서는 원추리의 일종인 '쿠완소우'를 전통 채소로 재배하며, 여기에서 추출한 옥시피나타닌 성분을 활용한 건강 보조 식품이 만들어지고 있다.[23][24][25][26]

7. 주의사항

원추리는 석산과 외형이 매우 흡사하여 혼동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석산은 리코린 등의 독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섭취 시 중독을 일으킬 수 있다.[23] 석산은 다른 잡초 등이 무성하게 자라는 시기에 잎을 떨어뜨리는 습성이 있고, 개화 시기가 마침 그런 시기에 해당하므로 구별할 수 있다. 꽃봉오리 등을 채취할 때는 꽃대의 뿌리를 보고 잎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다. 잎이 있다면 원추리류이고, 없으면 석산이다. 겹원추리는 주로 햇볕이 잘 드는 강가에 서식하며, 채취 시기에는 다른 풀이 무성하게 자라는 곳에서 꽃을 피운다. 반면, 석산은 약간 그늘을 좋아하며, 꽃봉오리 하부에 둥근 팽창이 있는 경우가 많다. 꽃이 피면 판별이 용이하므로, 개화한 포기의 꽃봉오리를 채취하는 것이 확실하다.

8. 문화

와카에서는 여름의 계절어이며, 슬픈 일(잊고 싶은 일)이 있었던 심경을 나타내는 말로서 읊어진다.[1]

'''잊혀진 풀, 담장도 무성하게 심었지만 흉한 풀, 흉한 풀, 여전히 그리워하네''' - 만엽집 권12 3062

忘れ草、垣もしげに植ゑたれど 醜草、醜草、なほ恋ひにけり|와스레구사, 가키모시게니 우에타레도 시코구사, 시코구사, 나오코이니케리일본어

'''우리 집 처마의 고사리 풀이 자랐지만, 사랑을 잊는 풀을 보아도 아직 자라지 않았네''' - 만엽집 권11 2475

わが屋戸の 軒のさ百合は 生ひたれど 恋を忘るる 草見れどいまだ生ひなくに|와가야도노 노키노사유리와 오이타레도 코이오와스루루 쿠사미레도이마다오이나쿠니일본어

참조

[1] 웹사이트 'Hemerocallis fulva' (L.) L. https://powo.scienc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20-02-08
[2] 웹사이트 Gloriosa luxurians https://wcsp.scienc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20-02-08
[3] 간행물 BSBI 2007 2014-10-17
[4] 서적 Edible Wild Plants: A North American Field Guide to Over 200 Natural Foods Sterling
[5] 웹사이트 Hemerocallis fulva https://www.efloras.[...]
[6] 서적 New RHS Dictionary of Gardening Macmillan
[7] 웹사이트 GRIN 2018-01-01
[8] 서적 Vascular Plants of Russia and Adjacent States
[9] 웹사이트 USDA Plants Profile for Hemerocallis fulva (orange daylily)(Classified as invasive only by Wisconsin) https://plants.sc.eg[...] 2018-05-31
[10] 웹사이트 Delaware Invasive Species Council https://delawareinva[...] 2024-07-16
[11] 웹사이트 Maryland Invasive Plant List https://mda.maryland[...] 2023-06-22
[12] 웹사이트 Common Day Lily https://mgnv.org/pla[...] 2023-06-22
[13] 웹사이트 Common Daylily (Hemerocallis fulva) https://www.invasive[...] 2023-06-22
[14] 서적 The Cultural History of Plant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2-10-12
[15] 서적 World Economic Plants: A Standard Reference https://books.google[...] CRC Press 1999-02-26
[16] 서적 When Perennials Bloom: An Almanac for Planning and Planting https://books.google[...] Timber Press 2008-01-01
[17] 웹사이트 Lovely Lilies and Curious Cats: A Dangerous Combination https://www.fda.gov/[...] US Food and Drug Admin 2021-09-16
[18] 학술지 An overview of potentially life-threatening poisonous plants in dogs and cats https://confluence.c[...] 2006
[19] 웹사이트 PFAF 2018-11-20
[20] 웹사이트 Edible Landscaping: Eat Your Environment https://www.homestea[...] 2018-11-20
[21] 서적 The Complete Guide to Edible Wild Plants Skyhorse Publishing
[22] 서적 The Audubon Society Field Guide to North American Wildflowers, Eastern Region Knopf
[23] 웹사이트 家庭菜園にクワンソウを 沖縄の植物漫歩(2) https://ryukyushimpo[...]
[24] 웹사이트 沖縄の伝統野菜・クワンソウから生まれた快眠成分 https://allabout.co.[...]
[25] 웹사이트 クワンソウ-オキシピナタリンで快眠生活!! http://kurei-okinawa[...]
[26] 웹사이트 島の恵み、島の味 その36 クワンソウ http://okinawaclip.c[...]
[27] 서적 かしこく選ぶ・おいしく食べる 野菜まるごと事典 成美堂出版 2012-07-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