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뉴질랜드삼(Phormium tenax)은 뉴질랜드 원산의 여러해살이풀로, 1776년 요한 라인홀트 포르스터와 게오르크 포르스터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다. 마오리어로 '하라케케'라고 불리며, 엮는 데 사용되는 잎을 감싸는 유사한 특징을 가진 판다누스 식물을 지칭하는 오스트로네시아어 어근에서 유래되었다. 뉴질랜드삼은 깡충거미의 일종인 Trite planiceps의 서식지이며, 멸종 위기종인 노란눈펭귄의 번식 환경 유지에 기여한다. 마오리족은 이 식물의 잎을 섬유로 가공하여 바구니, 망토 등을 만들었으며, 유럽인들은 섬유 산업을 위해 재배를 시도하기도 했다. 현재는 관상용으로도 재배되며, 다양한 품종이 개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추리과 - 원추리속
원추리속은 동아시아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백합과 유사한 꽃이 피지만 하루 만에 시들며, 관상용, 식용, 약용으로 이용되는 7종 1변종이 한국에 자생한다. - 섬유식물 - 코이어
코이어는 코코넛 열매 껍질에서 추출한 섬유로, 밧줄을 뜻하는 언어에서 유래되었으며, 고대부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갈색과 흰색으로 나뉘고, 인도, 베트남, 스리랑카 등에서 주로 생산된다. - 섬유식물 - 아마
아마는 섬유와 씨앗을 얻기 위해 재배되는 1년생 식물로, 아마 섬유는 리넨의 원료로, 아마 씨앗은 아마인유를 짜는 데 사용되며, 인류는 3만 년 전부터 사용했고 비옥한 초승달 지대에서 처음 재배되기 시작하여 현재 유럽과 아시아, 대한민국 일부 지역에서 재배된다. - 약용식물 - 인삼
인삼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동아시아에서 약재로 사용되며, 뿌리가 사람의 모습을 닮아 이름 붙여졌고, 강장, 강심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약용식물 - 아스파라거스
아스파라거스는 유럽, 서아시아, 북아프리카 등지에서 자생하며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는 여러해살이풀로, 어린 순은 채소로, 고대부터는 식재료와 약재로 사용되었고, 아스파라긴산, 루틴, 비타민 등이 풍부하며, 화이트, 그린, 보라색 등 다양한 종류가 있고 볶음, 구이, 샐러드 등 여러 요리에 쓰인다.
뉴질랜드삼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Phormium tenax |
마오리어 | harakeke |
생물학적 분류 | |
계 | 식물계 |
문 (계급 없음) | 피자식물 |
강 (계급 없음) | 외떡잎식물 |
목 | 아스파라거스목 |
과 | 아스포델루스과 |
아과 | 올챙이꽃아과 |
속 | 마오란속 |
종 | 마오란 |
일반 정보 | |
원산지 | 뉴질랜드 |
특징 | 튼튼한 섬유를 제공 다양한 용도로 사용 (마오리족 전통 직물 등) |
용도 | 섬유 생산 정원 식물 토양 안정화 |
화학 성분 | |
주요 성분 | 쿠쿠르비타신 |
기타 정보 | |
외래종 정보 | 태평양 섬 생태계 위험 (PIER) 정보 |
2. 분류 및 어원
''포르미움 테낙스''(''Phormium tenax'')는 1776년 독일의 식물학자 부자인 요한 라인홀트 포르스터와 게오르크 포르스터가 처음으로 기술하였다. 이들은 제임스 쿡의 두 번째 항해에 참여하였다.[7]
2. 1. 어원
마오리어 이름인 ''harakeke''의 ''hara'' 부분은 원시 오스트로네시아어 어근 ''*paŋudaN''에서 유래했다. 이 어근은 원시 오세아니아어 ''*padran''을 거쳐 변화한 것으로 보이며, 잎을 엮는 데 사용하는 판다누스 식물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이러한 어원은 다른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들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하와이어에서는 판다누스 텍토리우스(''Pandanus tectorius'')를 ''hala''라고 부른다. 뉴질랜드는 판다누스가 자생하지 않는 몇 안 되는 지역 중 하나이다.[8]3. 생태
(내용 없음)
3. 1. 서식 동물
깡충거미의 일종인 ''Trite planiceps''는 뉴질랜드삼의 말린 잎이나 말아놓은 잎 사이에서 주로 생활한다.[9][36] 또한 뉴질랜드삼은 해안의 덮개 식물로서 멸종 위기종인 노란눈펭귄(황안펭귄)의 번식지를 포함한 중요한 서식지를 제공한다.[9][36]3. 2. 보존
깡충거미의 일종인 ''Trite planiceps''는 주로 이 종의 말린 잎 사이에서 생활한다.[9][36] 또한 뉴질랜드삼은 해안 덮개 식물로서, 멸종 위기종인 노란눈펭귄(황안펭귄)의 번식지를 포함한 중요한 서식지를 제공한다.[9][36]4. 마오리족의 전통적 이용
뉴질랜드 삼( harakeke|하라케케mi )은 뉴질랜드에서 유럽인과의 접촉 이전에 마오리족이 널리 사용했던 가장 중요한 섬유 중 하나였다.[10] 이는 하라케케가 널리 구할 수 있고 섬유 가닥이 길었기 때문이다.[10] 폴리네시아에서 천을 만드는 데 사용되던 전통 나무인 아우테(닥나무)가 뉴질랜드 기후에서는 잘 자라지 못하자, 하라케케는 마오리족의 주요 직조 재료가 되었다.[13]
마오리족은 하라케케를 특정 농장에서 재배했으며, 잎을 가공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했다. 가공된 하라케케 섬유는 케테(바구니), 매트, 밧줄 등 튼튼한 생활용품부터 kākahu|카카후mi(망토)와 같은 섬세한 의류까지 만드는 데 쓰였다. 또한, 섬유질인 muka|무카mi는 tāniko|타니코mi라는 정교한 직조 기법을 통해 옷의 장식적인 부분을 만드는 데 활용되었고,[13] 마오리족의 회의장인 와레누이 내부 벽면을 장식하는 tukutuku|투쿠투쿠mi 패널의 구조적, 장식적 요소로도 사용되었다.[13]
과거 마오리 사회에서 매우 중요하게 사용되었던 하라케케는 현대에 들어 그 전통적인 용도가 대부분 사라졌지만, 최근 마오리 예술과 공예 분야에서 전통 재료로서 다시 주목받으며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13]
4. 1. 섬유 가공
뉴질랜드 삼(harakekemi, 하라케케)은 뉴질랜드에서 유럽인과의 접촉 이전에 널리 사용된 중요한 섬유 중 하나였다. 이는 쉽게 구할 수 있고 섬유 가닥이 길었기 때문이다.[10] 하라케케 잎은 식물의 방수 표피인 parami(파라)를 그대로 유지한 채 날것으로 엮어 통기성이 좋은 물건을 만들거나, 가공하여 mukami(무카)라는 섬유만 남겨 촘촘하게 짠 물건을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다.[10] 하라케케 잎은 폭이 넓고 길어 직조공이 다양한 길이의 끈을 만들 수 있게 해주었으며, 여러 종류와 크기의 물건 제작에 적합했다.[10]유럽인 도착 이전 사회에서 마오리족은 하라케케를 특정 농장에서 재배했으며, 이는 그들에게 가장 중요한 섬유였다. 잎을 밑동 가까이에서 잘라낸 후, 사용 목적에 맞게 쪼개고 엮어 준비했다. 이렇게 준비된 잎은 튼튼하고 납작하며 두껍게 짠 재료(예: 케테 및 매트)나 밧줄, 그리고 섬세하게 짠 망토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섬유 끈으로 활용되었다.
하라케케 섬유는 뜨거운 돌로 삶아 표백할 수 있지만, 방수성 표피인 parami 때문에 염색하기는 어렵다.[10] 그러나 철분이 풍부한 진흙인 parumi(파루)를 사용하면 염색이 가능하다.[11][10] 또한, hapinemi(하피네)이라는 기술을 사용하여 섬유의 유연성을 높이고 수축을 줄일 수 있다. 이 기술은 칼이나 조개껍질로 섬유 표면을 긁어 표면층을 깨지 않고 수분을 제거하는 방식이다.[10][12]
과거 마오리 사회에서는 매우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그 사용 빈도가 크게 줄었다. 잎을 가늘게 찢어 말린 후 엮어서 주로 케테라고 불리는 바구니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유럽인들은 1930년대 세계 대공황으로 인해 섬유 산업이 붕괴되기 전까지 하라케케 재배를 시도한 바 있다. 첫 시도는 1908년경 웰링턴의 레너드 코케인에 의해 이루어졌고[37], 두 번째 시도는 1920년대 후반 매시 대학교의 존 스튜어트 예이츠에 의해 진행되었다.[38][39]
4. 2. 염색
하라케케는 뜨거운 돌로 삶아 끈을 표백할 수 있지만, 방수성 표피인 para|파라mi 때문에 섬유를 염색하기는 어렵다.[10] 그러나 하라케케는 paru|파루mi 또는 철분이 풍부한 진흙을 사용하여 염색할 수 있다.[11][10] 하라케케는 표면층을 깨지 않고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칼이나 조개 껍질로 섬유를 긁는 hapine|하피네mi 기술을 사용하여 유연성을 높이고 수축을 줄일 수 있다.[10][12]5. 재배
뉴질랜드삼(''Phormium tenax'')은 전통적으로 마오리 사회에서 중요한 식물 자원으로 활용되었다. 폴리네시아에서 들여온 아우테(닥나무)가 뉴질랜드 기후에 잘 적응하지 못하자, 뉴질랜드삼은 직조용 섬유를 얻는 주요 재료가 되었다.[13] 마오리족은 잎에서 섬유를 추출하여 옷감을 짜거나(''무카'', ''타니코''), 잎 자체를 엮어 바구니(''케테'') 등을 만들었다. 또한 회의장(''와레누이'') 장식(''투쿠투쿠'')에도 사용되었다.
유럽인들은 뉴질랜드삼의 섬유 가치에 주목하여 상업적 재배 및 육종을 시도하였다. 1908년경 웰링턴의 레너드 코케인[14]과 1920년대 후반 매시 대학교의 존 스튜어트 예이츠[15][16] 등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1930년대 대공황으로 인해 관련 산업은 크게 위축되었다. 한편, 세인트헬레나 섬에서는 1800년대 후반부터 1966년경까지 끈과 로프 생산을 위해 뉴질랜드삼을 재배하기도 했으나,[18] 현재는 산업이 중단되었고 섬에 남은 뉴질랜드삼이 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19]
오늘날 뉴질랜드삼은 주로 관상용으로 재배된다. 독특한 부채 모양의 잎 때문에 정원 식물로 인기가 있으며, 다양한 재배 품종이 개발되었다.[40] 최근에는 매시 대학교 연구진에 의해 뉴질랜드삼 섬유를 이용한 슈퍼커패시터 성능 개선 연구도 진행되는 등[17] 새로운 산업적 활용 가능성도 모색되고 있다.
5. 1. 전통적 재배
''포르미움 테낙스''(뉴질랜드삼)는 전통적인 마오리 사회에서 중요한 식물 자원이었다. 폴리네시아에서 천을 만드는 데 주로 사용되던 아우테(닥나무)가 뉴질랜드의 기후에서는 잘 자라지 못하자, 뉴질랜드삼이 직조의 주요 재료로 자리 잡게 되었다.[13] 오늘날 전통적인 용도는 대부분 사라졌지만, 현대 마오리 예술과 공예 분야에서 전통 재료로서의 가치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마오리족은 뉴질랜드삼을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했다. 잎의 껍질을 벗겨 말린 후 넓은 띠 형태로 만들어 ''케테''(삼 바구니)와 같은 생활용품을 짰다. 또한 잎을 긁고, 두드리고, 세척하여 얻은 섬유인 ''무카''는 ''타니코''라는 전통 직조 기법을 통해 부드럽고 내구성이 좋은 의류용 직물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 이 외에도 마오리족의 회의 장소인 ''와레누이'' 내부를 장식하는 ''투쿠투쿠'' 패널의 구조적, 장식적 요소로도 활용되었다.
유럽인들은 뉴질랜드삼의 섬유에 주목하여 상업적 재배를 시도했다. 1908년경 웰링턴의 레너드 코케인이 처음으로 품종 개량을 시도했으며[14], 1920년대 후반에는 매시 대학교의 존 스튜어트 예이츠가 두 번째 육종 연구를 진행했다.[15][16] 그러나 1930년대 대공황의 여파로 뉴질랜드 삼 섬유 산업은 큰 타격을 받고 붕괴되었다.
한편, 세인트헬레나 섬에서는 1800년대 후반부터 1966년경까지 끈과 로프를 생산하여 수출할 목적으로 뉴질랜드삼을 재배했다.[18] 현재 관련 산업은 중단되었지만, 당시 도입된 뉴질랜드삼이 섬에 남아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로 여겨지고 있다.[19]
5. 2. 현대적 재배
뉴질랜드삼은 인상적인 부채 모양의 뾰족한 잎 덕분에 정원에서 좋은 액센트가 되어, 최근에는 관상 식물로 널리 재배되고 있다. 근연종인 ''포르미움 콜렌소이''(''Phormium colensoi'', 이명 ''P. cookianum'', 마오리어 이름 wharariki[29])도 함께 재배되는데, 이 종은 뉴질랜드삼보다 잎이 더 짧고 처지며, 마오리족은 잠자리에 사용하는 깔개로 사용하였다.[30]뉴질랜드삼은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잘 자라며, 특히 겨울 기온이 온화한 해안 지역에서 키우기 쉽다. 그러나 항상 습한 토양을 필요로 한다. 비슷한 외형 때문에 유카속이나 드라세나속 식물과 함께 정원에 심는 경우가 많지만, 이들은 실제로는 상당히 다른 종이며 생육 환경 요구 조건도 다르다. 뉴질랜드삼 품종 중에는 높이 4m, 폭 2m까지 크게 자라는 것도 있다.[40]
5. 2. 1. 섬유 산업
''포르미움 테낙스''(뉴질랜드삼)는 전통적인 마오리 사회에서 중요한 섬유 자원이었다. 폴리네시아에서 들여온 아우테(닥나무)가 뉴질랜드의 기후에 잘 적응하지 못하자, 뉴질랜드삼이 직조에 사용되는 주요 재료가 되었다.[13]전통적으로 뉴질랜드삼은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었다. 잎의 껍질을 벗기고 말린 넓은 띠는 ''케테''라는 바구니를 짜는 데 사용되었다. 또한 잎을 긁고, 두드리고, 세척하여 얻은 섬유인 ''무카''는 부드럽고 내구성이 좋은 의류용 직물인 ''타니코''를 만드는 데 쓰였다. 뉴질랜드삼은 마오리족의 회의 장소인 ''와레누이'' 내부 벽을 장식하는 ''투쿠투쿠'' 패널의 구조적, 장식적 요소로도 사용되었다. 오늘날 전통적인 용도는 대부분 사라졌지만, 현대 마오리 예술과 공예 분야에서는 전통 재료로서 뉴질랜드삼의 사용이 다시 늘어나고 있다.
유럽인들은 뉴질랜드삼을 섬유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두 차례 본격적인 육종을 시도했다. 첫 번째는 1908년경 웰링턴을 기반으로 활동한 레너드 코케인에 의해 이루어졌고,[14] 두 번째는 1920년대 후반 매시 대학교의 존 스튜어트 예이츠가 주도했다.[15][16] 그러나 1930년대 대공황의 여파로 뉴질랜드의 삼 산업은 큰 타격을 입고 붕괴되었다.
한편, 세인트헬레나에서는 1800년대 후반부터 1966년경까지 끈과 로프를 생산하여 수출하기 위해 뉴질랜드삼을 재배했다.[18] 현재 이 산업은 중단되었지만, 섬에 남아있는 뉴질랜드삼은 생태학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요인으로 여겨진다.[19]
최근에는 과학 기술 분야에서도 뉴질랜드삼의 활용 가능성이 연구되고 있다. 매시 대학교의 샤오원 위안이 이끄는 연구팀은 뉴질랜드삼 섬유로 만든 새로운 복합 재료를 이용하여 슈퍼커패시터의 성능을 개선하는 연구를 진행했다.[17]
5. 2. 2. 슈퍼커패시터 연구
최근 매시 대학교의 샤오원 위안이 이끄는 연구를 통해 삼 섬유로 만든 새로운 복합 재료를 사용하여 슈퍼커패시터 성능을 개선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17]5. 3. 관상용 품종
최근 뉴질랜드삼(''Phormium tenax'')과 그 근연종인 포르미움 콜렌소이(''Phormium colensoi'')는 관상용 정원 식물로 널리 재배되고 있다. 이 식물들은 뾰족한 잎이 부채꼴 모양으로 뻗어 나오는 모습이 특징이며, 다른 식물과 섞어 심거나 잔디밭 가장자리에 시각적인 초점을 제공하는 용도로 활용된다.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쉽게 자라며, 특히 겨울철에 어느 정도 보호를 받을 수 있는 해안 지역에서 잘 적응한다. 다만, 토양은 항상 습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20] 정원 센터 등에서는 외관이 비슷한 유카나 코르딜리네와 함께 판매되기도 하지만, 이들은 재배에 필요한 환경 조건이 서로 다른 별개의 식물이다.[20] 뉴질랜드삼과 일부 품종은 상당히 크게 자랄 수 있어, 높이는 4m, 너비는 2m에 이르기도 한다.[20]
장식용 정원을 위해 여러 재배 품종이 개발되었으며, 이 중 일부는 왕립 원예 학회의 정원 공로상(AGM)을 수상하기도 했다.[21][27]
5. 3. 1. 품종 목록

최근 몇몇 재배 품종이 장식용 정원 식물로 선택되어 개발되었다.[21][43] 주요 품종은 다음과 같다.
참조
[1]
GRIN
2017-12-18
[2]
서적
Crafting Aotearoa : a cultural history of making in New Zealand and the wider Moana Oceania
https://www.worldcat[...]
Te Papa Press
[3]
서적
California Home Landscaping
Creative Homeowner Press
[4]
웹사이트
Our Flax for the Navy | NZETC
https://nzetc.victor[...]
[5]
웹사이트
Phormium tenax (PIER species info)
http://www.hear.org/[...]
Pacific Island Ecosystems at Risk (PIER)
2011-01-09
[6]
학술지
New cucurbitacins from Phormium tenax and Marah oreganus
[7]
Q인용
[8]
웹사이트
Proto-Polynesian Etymologies: *Fara
http://www.temarareo[...]
Benton Family Trust
2019-01-15
[9]
웹사이트
Yellow-eyed Penguin (EN)-''Megadyptes antipodes''(Hombron & Jacquinot, 1841)
http://www.igoterra.[...]
2009-04-06
[10]
Q인용
[11]
서적
Crafting Aotearoa : a cultural history of making in New Zealand and the wider Moana Oceania
https://www.worldcat[...]
Te Papa Press
[12]
학술지
Identification and use of plant material for the manufacture of New Zealand indigenous woven objects
http://hdl.handle.ne[...]
2012
[13]
서적
Māori Cloaks
Te Papa Press
2011
[14]
뉴스
Scientific Plant Bredding
https://paperspast.n[...]
1908-05-07
[15]
뉴스
Progress Made - Various Investigations
https://paperspast.n[...]
1929-12-21
[16]
뉴스
Valuable Work Done
https://paperspast.n[...]
1930-09-20
[17]
웹사이트
Massey researchers awarded more than $13 million in MBIE funding
https://www.massey.a[...]
2024-02-10
[18]
웹사이트
The Flax Industry | Saint Helena Island Info: All about St Helena, in the South Atlantic Ocean
http://sainthelenais[...]
[19]
웹사이트
Endemic Species | Saint Helena Island Info: All about St Helena, in the South Atlantic Ocean
http://sainthelenais[...]
[20]
서적
RHS A-Z encyclopedia of garden plants
Dorling Kindersley
[21]
서적
Taylor's Encyclopedia of Garden Plants
Houghton Mifflin Company
[22]
웹사이트
RHS Plant Selector - ''Phormium'' 'Duet'
https://www.rhs.org.[...]
2021-02-06
[23]
웹사이트
''Phormium tenax'' Purpureum Group
https://www.rhs.org.[...]
RHS
2021-01-18
[24]
웹사이트
RHS Plant Selector - ''Phormium'' 'Sundowner'
https://www.rhs.org.[...]
2021-02-06
[25]
웹사이트
RHS Plant Selector - ''Phormium tenax'' 'Variegatum'
https://www.rhs.org.[...]
2021-02-06
[26]
웹사이트
RHS Plant Selector - ''Phormium'' 'Yellow Wave'
https://www.rhs.org.[...]
2021-02-06
[27]
웹사이트
AGM Plants - Ornamental
https://www.rhs.org.[...]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17-07
[28]
서적
California Home Landscaping
Creative Homeowner Press
[29]
문서
藤野 (1989).
[30]
웹사이트
Phormium - Māori Dictionary
http://maoridictiona[...]
2018-11-02
[31]
웹사이트
USDA GRIN Taxonomy
http://www.ars-grin.[...]
2015-04-08
[32]
문서
日外アソシエーツ編集部 (2004).
[33]
URL
http://www.nzetc.org[...]
[34]
웹사이트
Phormium tenax (PIER species info)
http://www.hear.org/[...]
Pacific Island Ecosystems at Risk (PIER)
2011-01-09
[35]
학술지
New cucurbitacins from Phormium tenax and Marah oreganus
[36]
웹사이트
Yellow-eyed Penguin: Megadypes antipodes
http://globaltwitche[...]
N. Stromberg
2009
[37]
뉴스
http://paperspast.na[...]
[38]
뉴스
http://paperspast.na[...]
[39]
뉴스
http://paperspast.na[...]
[40]
서적
RHS A-Z encyclopedia of garden plants
Dorling Kindersley
[41]
웹사이트
http://sainthelenais[...]
[42]
웹사이트
http://sainthelenais[...]
[43]
서적
Taylor's Encyclopedia of Garden Plants
Houghton Mifflin Company
2003
[44]
웹사이트
RHS Plant Selector - Phormium 'Duet'
http://apps.rhs.org.[...]
2013-06-30
[45]
웹사이트
RHS Plant Selector - Phormium 'Sundowner'
http://apps.rhs.org.[...]
2013-06-30
[46]
웹사이트
RHS Plant Selector - Phormium tenax 'Variegatum'
http://apps.rhs.org.[...]
2013-06-30
[47]
웹사이트
RHS Plant Selector - Phormium 'Yellow Wave'
http://apps.rhs.org.[...]
2013-06-30
[48]
간행물
GRIN
2017-12-18
[49]
서적
California Home Landscaping
Creative Homeowner Press
2005
[50]
웹인용
Our Flax for the Navy | NZETC
http://www.nzetc.org[...]
[51]
웹인용
Phormium tenax (PIER species info)
http://www.hear.org/[...]
Pacific Island Ecosystems at Risk (PIER)
2011-01-09
[52]
논문
New cucurbitacins from Phormium tenax and Marah oreganu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