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위그 르 그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그 르 그랑은 로베르티앙 가문의 일원으로, 서프랑크 왕국의 귀족이자 네우스트리아의 유력자였다. 로베르 1세의 아들로, 샤를마뉴의 후손이며, 922년 샤를 3세에 대항한 반란으로 아버지가 왕으로 선출되었으나, 위그는 왕위를 거부했다. 그는 루이 4세를 잉글랜드에서 데려와 왕위에 앉히는 등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부르고뉴 공작령을 얻어 세력을 확장했다. 위그는 세 번 결혼하여 여러 자녀를 두었으며, 그의 아들 위그 카페는 카페 왕조를 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890년대 출생 - 마로치아
    9세기 말에서 10세기 초 로마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한 마로치아는 투스쿨룸 백작의 딸로서 교황과의 관계 및 혼인, 아들의 교황 옹립 등을 통해 로마 정계를 장악했으며, 그녀의 통치는 교황직 암흑기로도 여겨지지만 정치적 수완을 발휘하여 로마를 통치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890년대 출생 - 애설스탠
    애설스탠은 925년부터 939년까지 앵글로색슨족의 왕으로, 잉글랜드 전체를 통일하고 브리튼 섬 전체의 종주권을 확립했으며, 중앙 집권적 통치를 강화하고 법전을 편찬하는 등 앵글로색슨 왕국의 기틀을 다졌다.
  • 956년 사망 - 조홍은
    조홍은 뛰어난 기마궁술 실력으로 후당 장종 치하에서 무관으로 활동했으며, 이존욱을 지원하고 두씨 부인과 결혼하여 북송의 황실 조광윤 등을 낳았다.
  • 956년 사망 - 마수디
    마수디는 9세기 후반에서 10세기 중반에 활동한 아랍의 역사가이자 지리학자로, 다양한 문화권의 지식인들과 교류하며 얻은 지식을 바탕으로 역사, 지리, 종교 등 다방면에 걸친 방대한 저술을 남겼다.
  • 파리 백작 - 위그 카페
    위그 카페는 987년부터 996년까지 프랑크 왕국의 왕으로 재위하며 카페 왕조의 시조가 되었고, 왕위 계승을 위해 아들 로베르 2세를 공동 왕으로 임명하여 카페 왕조 세습의 기반을 다졌다.
  • 파리 백작 - 앙리 도를레앙 (1933년)
    앙리 도를레앙은 프랑스 왕위 요구자이자 오를레앙 가문의 수장으로, 작가와 화가로도 활동하며 왕립 동맹을 지지했다.
위그 르 그랑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4세기 로베르티안 가문의 가계도에 묘사된 위그
14세기 로베르티안 가문의 가계도에 묘사된 위그
칭호프랑크인의 공작
재위 기간923년–956년
이전로베르 1세
이후위그 카페
출생일기원전 898년경
출생지파리
사망일956년 6월 16일
사망지두르당
매장지생드니 대성당
배우자주디트
에아드힐트
헤드비히 폰 작센
자녀베아트리스 드 프랑스
위그 카페
엠마 드 파리
오토, 부르고뉴 공작
앙리 1세, 부르고뉴 공작
가문로베르 가문
아버지로베르 1세
어머니베아트리스 드 베르망두아
작위
파리 백작 및 네우스트리아 변경백923년 - 956년
프랑스 공작936년 - 956년
오세르 백작952년 - 956년

2. 생애

위그는 서 프랑크 왕 로베르 1세와 베아트리스의 아들로 프랑스 파리, 일 드 프랑스에서 태어났다.[2] 베르망두아 백작 에르베르 1세의 딸인 베아트리스를 통해 샤를마뉴의 후손이기도 하다. 그의 가문은 로베르티앙 가문으로 알려져 있다.[4]

922년, 서 프랑크 왕국의 귀족들이 카롤링거 왕조의 샤를 3세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키고, 샤를 3세는 왕국에서 도망쳤다. 이후 귀족들은 위그의 아버지 로베르 1세를 서프랑크의 왕으로 선출했다.[5] 923년 수아송 전투에서 로베르 1세가 전사하자, 위그는 왕위를 거부하였고, 왕위는 루돌프에게 돌아갔다.[5] 샤를 3세는 왕위를 되찾기 위해 위그의 사촌인 베르망두아의 에르베르 2세 백작에게 도움을 요청했지만, 에르베르는 왕을 돕는 대신 그를 감옥에 가두었다.[5] 에르베르 2세는 929년 샤를 3세가 사망할 때까지 왕을 풀어주겠다는 협박으로 자신의 야망을 추구하는 데 그의 포로를 이용했다.[6] 이후 베르망두아의 에르베르 2세는 루돌프 왕과 위그 공작과 갈등을 겪었다.[5] 결국 루돌프와 에르베르 2세는 935년에 합의를 보았다.[5]

936년 라울 왕이 사망하자 위그는 루아르 강과 센 강 사이 지역 대부분의 영주와 수도원장직을 차지하여[21] 네우스트리아 최고의 권력자가 되었다.[22] 그는 루이 4세를 잉글랜드 왕국에서 데려오는 데 적극적인 역할을 했다.[8] 리케루스는 위그 대공이 "야망"을 위해 죽었던 그의 아버지를 기억했고, 이것이 그의 짧고 격동적인 통치의 원인이었다고 설명한다.[9]

937년 위그는 작센의 헤드비지와 결혼했으나, 곧 루이 4세와 갈등을 겪게 되었다.[10][11] 938년 루이 4세는 위그 가문의 영토를 공격하기 시작했고,[12] 939년에는 위그와 기욤 1세를 공격했다.[13] 같은 해, 위그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오토 1세에게 경의를 표하고 루이 4세에 대항하는 투쟁을 지지했다.[14]

945년 루이 4세가 노르만족에게 사로잡히자, 위그에게 넘겨졌고, 위그는 라옹 요새를 받는 조건으로 루이 4세를 풀어주었다.[15][16] 948년 잉겔하임 교회 회의에서 위그는 파문당했고,[17] 트리어 회의에서 파문이 반복되었다.[17] 953년 위그는 루이 4세, 교회, 그리고 그의 매형인 오토 1세와 평화를 맺었다.[17]

954년 루이 4세가 죽자, 위그는 로테르를 후계자로 인정하고 그가 왕위에 오르도록 도왔으며, 그 대가로 부르고뉴와 아키텐 공작령을 받았다.[18] 956년 부르고뉴의 길베르트 공작이 사망하면서 위그는 실질적인 부르고뉴의 주인이 되었다.[10] 위그는 956년 6월 16일 두르당에서 사망하여 생드니 대성당에 안장되었다.[2] 그의 장남 위그 카페는 987년 프랑스 왕이 되어 카페 왕조를 열었다.[3]

2. 1. 초기 생애와 가문 배경

위그 르 그랑은 로베르 1세와 베아트리스의 아들로 프랑스 파리, 일 드 프랑스에서 태어났다.[2] 베르망두아 백작 에르베르 1세의 딸인 베아트리스를 통해 샤를마뉴의 후손이기도 하다. 그의 가문은 로베르티앙 가문으로 알려져 있다.[4]

922년, 서 프랑크 왕국의 귀족들이 카롤링거 왕조의 샤를 3세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키고, 샤를 3세는 왕국에서 도망쳤다. 이후 귀족들은 위그의 아버지 로베르 1세를 서프랑크의 왕으로 선출했다.[5] 923년 수아송 전투에서 로베르 1세가 전사하자, 위그는 왕위를 거부하였고, 왕위는 루돌프에게 돌아갔다.[5] 샤를 3세는 왕위를 되찾기 위해 위그의 사촌인 베르망두아의 에르베르 2세 백작에게 도움을 요청했지만, 에르베르는 왕을 돕는 대신 그를 감옥에 가두었다.[5] 에르베르 2세는 929년 샤를 3세가 사망할 때까지 왕을 풀어주겠다는 협박으로 자신의 야망을 추구하는 데 그의 포로를 이용했다.[6] 이후 베르망두아의 에르베르 2세는 루돌프 왕과 위그 공작과 갈등을 겪었다.[5] 결국 루돌프와 에르베르 2세는 935년에 합의를 보았다.[5]

936년 라울 왕이 사망하자 위그는 루아르 강과 센 강 사이 지역 대부분의 영주와 수도원장직을 차지하여[21] 네우스트리아 최고의 권력자가 되었다.[22] 그는 루이 4세를 잉글랜드 왕국에서 데려오는 데 적극적인 역할을 했다.[8] 리케루스는 위그 대공이 "야망"을 위해 죽었던 그의 아버지를 기억했고, 이것이 그의 짧고 격동적인 통치의 원인이었다고 설명한다.[9]

2. 2. 권력 강화와 왕위 계승

위그는 서 프랑크 왕 로베르투스 1세의 아들로, 베아트릭스 드 베르망두아를 통해 샤를마뉴의 6대손이다. 로베르티앙 가문 출신으로,[4] 922년 귀족들이 카롤링거 왕조의 샤를 3세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켜, 아버지 로베르 1세가 왕으로 선출되었다.[5] 923년 수아송 전투에서 로베르 1세가 전사하자, 위그는 왕위를 거부하고 그의 매형인 루돌프에게 왕위가 돌아갔다.[5] 샤를 3세는 왕위를 되찾기 위해 위그의 사촌인 베르망두아의 에르베르 2세에게 도움을 요청했지만, 에르베르 2세는 샤를 3세를 가두었고, 929년 샤를이 죽을 때까지 그를 이용하여 자신의 야망을 추구했다.[5][6] 이후 에르베르 2세는 루돌프 왕 및 위그와 갈등을 겪었고, 935년에 합의를 보았다.[5]

936년 루돌프가 죽자, 위그는 네우스트리아의 대부분을 소유하게 되었고, 루이 4세를 잉글랜드 왕국에서 데려오는 데 적극적인 역할을 했다.[7][8] 역사가 리케루스는 위그가 아버지의 죽음에 충격을 받아 "야망"을 경계했다고 설명한다.[9] 937년, 위그는 작센의 헤드비지와 결혼했고, 이후 루이 4세와 갈등을 겪었다.[10][11] 939년, 위그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오토 1세에게 경의를 표하고 루이 4세에 대항하는 투쟁을 지지했다.[14]

945년 루이 4세가 노르만족에게 포로로 잡혔다가 위그에게 넘겨졌고, 위그는 946년 루이 4세를 풀어주면서 라옹 요새를 요구했다.[15][16] 948년 잉겔하임 교회 회의에서 위그는 파문되었고,[17] 953년에 루이 4세, 교회, 오토 대제와 평화를 맺었다.[17]

루이 4세가 죽자, 위그는 로테르를 후계자로 인정하고, 부르고뉴와 아키텐 공작령을 받았다.[18] 956년 4월 8일 부르고뉴의 길베르트 공작이 사망하면서 위그는 실질적인 부르고뉴의 주인이 되었다.[10] 위그는 956년 6월 16일 두르당에서 사망했고,[2] 생드니 대성당에 묻혔다.

2. 3. 루이 4세와의 갈등

922년, 서 프랑크 왕국의 귀족들은 카롤링거 왕조의 왕 샤를 3세에 반기를 들었고, 위그의 아버지 로베르 1세를 왕으로 추대했다.[5] 923년 수아송 전투에서 로베르 1세가 전사하자, 위그는 왕위를 거부했고, 왕위는 그의 매형인 루돌프에게 돌아갔다.[5] 샤를 3세는 왕위를 되찾기 위해 위그의 사촌인 베르망두아의 에르베르 2세에게 도움을 요청했지만, 에르베르 2세는 샤를 3세를 가두었고, 929년 샤를 3세가 사망할 때까지 그를 이용하여 자신의 야망을 추구했다.[5][6] 이후 에르베르 2세는 루돌프 왕 및 위그와 갈등을 겪었으나 935년에 루돌프와 합의를 보았다.[5]

936년 루돌프가 죽자, 위그는 네우스트리아의 대부분을 소유한 강력한 세력이 되었다.[7] 그는 루이 4세를 잉글랜드 왕국에서 데려와 왕위에 올리는 데 적극적인 역할을 했다.[8] 리케루스에 의하면 위그는 "야망"을 위해 죽었던 그의 아버지를 기억했고, 이것이 그의 짧고 격동적인 통치의 원인이었다고 설명한다.[9]

937년 위그는 작센의 헤드비지와 결혼했으나, 곧 루이 4세와 갈등을 겪게 되었다.[10][11] 938년 루이 4세는 위그 가문의 영토를 공격하기 시작했고,[12] 939년에는 위그와 기욤 1세를 공격했다.[13] 같은 해, 위그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오토 1세에게 경의를 표하고 루이 4세에 대항하는 투쟁을 지지했다.[14]

945년 루이 4세가 노르만족에게 사로잡히자, 위그에게 넘겨졌고, 위그는 라옹 요새를 받는 조건으로 루이 4세를 풀어주었다.[15][16] 948년 잉겔하임 교회 회의에서 위그는 파문당했고,[17] 트리어 회의에서 파문이 반복되었다.[17] 953년 위그는 루이 4세, 교회, 그리고 그의 매형인 오토 1세와 평화를 맺었다.[17]

954년 루이 4세가 죽자, 위그는 로테르를 후계자로 인정하고 그가 왕위에 오르도록 도왔으며, 그 대가로 부르고뉴와 아키텐 공작령을 받았다.[18]

2. 4. 로테르 왕 옹립과 사망

위그는 서 프랑크 왕 로베르투스 1세의 아들이자 베아트릭스 드 베르망두아를 통해 샤를마뉴의 6대손이다.[2] 922년 서프랑크 귀족들이 카롤링거 왕조의 샤를 3세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키고, 923년 수아송 전투에서 로베르 1세가 전사한 후, 위그는 왕위를 거부하여 그의 매형인 루돌프에게 왕위가 돌아갔다.[5]

936년 루돌프가 죽자, 위그는 네우스트리아의 대부분을 소유한 강력한 권력자였음에도 불구하고, 잉글랜드 왕국에서 루이 4세를 데려와 왕위에 올리는 데 적극적인 역할을 했다.[7][8] 위그 대공이 스스로 왕위를 차지하는 대신 어린 루이를 왕위에 초청한 이유로는 경쟁자들의 견제와 아버지의 죽음에 대한 충격 등이 거론된다.[9]

937년 위그는 작센의 헤드비지와 결혼하였으나, 이후 루이 4세와 오랜 갈등을 겪었다.[10][11] 939년에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오토 1세에게 경의를 표하며 루이 4세에 대항하는 세력을 형성하기도 했다.[14] 945년 루이 4세가 노르만족에게 포로로 잡히자 위그에게 넘겨졌으며, 위그는 946년 루이 4세를 풀어주는 조건으로 라옹 요새를 요구했다.[15][16] 948년 라인강변 잉겔하임에서 열린 교회 회의에서 위그는 파문당하기도 했으나,[17] 953년 루이 4세와 평화를 맺었다.[17]

954년 루이 4세가 죽자, 위그는 로테르를 후계자로 인정하고 그가 왕위에 오르도록 도왔으며, 그 대가로 부르고뉴와 아키텐 공작령을 받았다.[18] 956년 부르고뉴의 길베르트 공작이 사망하면서 위그는 실질적인 부르고뉴의 주인이 되었다.[10] 위그는 956년 6월 16일 두르당에서 사망하여 생드니 대성당에 안장되었다.[2] 그의 장남 위그 카페987년 프랑스 왕이 되어 카페 왕조를 열었다.[3]

3. 결혼과 후손

그의 첩, 후에 오세르 자작 앙수 1세 (앙수 로세루아 ''Ansoud L’Auxerrois'')의 부인이 되는 디종 백작 라울의 딸인 디종의 랭가르드하고 낳은 자식은


  • 에르베르 (Herbert) 혹은 '''에리베르''' (Héribert) : ''996년 사망'' 오세르 주교


그는 멘의 로제의 딸과 914년 결혼했다. 그 후 926년 에두아르 랑시엥의 딸 에아드힐트 (혹인 에디트)와 결혼했다. 마지막으로는 작센의 헤드비게 (922-966, 하인리히 1세 새잡이왕의 딸) 와 결혼했다. 이들 사이에 낳은 자식은

  • '''베아트리스''' : ''바르 백작이자 상 로렌 공작 프레데릭 1세와 결혼.''
  • 프랑크인의 왕 '''위그 카페''' (즉위 : 987-996) : ''후계 있음.''
  • '''엠마''' : ''노르망디 공작 리샤르 1세와 결혼. 후계 있음''
  • 부르고뉴 공작 '''오통''' (즉위 : 956–965) : ''질베르 드 샬롱의 상속녀 리에제아르드 드 샬롱 (Liegearde de Chalon)와 결혼.''
  • 부르고뉴 공작 '''앙리 1세''' (즉위 : 965–1002) : '''''외드-앙리'''라고도 불리는 그는 적어도 한 명의 서자 ( 자작 외드 (Eudes de Beaune) 1005년 8월 25일 사망)을 낳았고, 추정상으로는 한명 더 낳았다. (앙리 드 베르지? (Henri de Vergy) (1023년 이전에 사망) 로베르 가문의 분가 베르지 가문) 그의 첫 아내와 아내의 전 남편인 이탈리아 왕 아달베르투스의 아들 오통-귀욤을 양자로 삼는다. 훗날 오통-귀욤은 부르고뉴 백작위를 상속받는다. (즉위 : 1002–1004)''

휴는 922년, 처음으로 메인 백작 로제의 딸이자 카롤루스 대머리왕의 딸인 로틸드의 딸인 주디스와 결혼했다.[2] 그녀는 925년 자녀 없이 사망했다.[2] 휴의 두 번째 부인은 앵글로색슨족 왕 에드워드 1세의 딸이자 애설스탠왕의 이복 여동생인 에드힐드였다.[2] 그들은 926년에 결혼했고, 그녀는 937년 자녀 없이 사망했다.[2] 휴는 937년 사냥꾼 하인리히와 마틸다의 딸인 작센의 헤르비가와 세 번째 결혼을 했다. 그녀와 휴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자녀가 있었다.

  • 베아트리스는 상부 로렌 공작 프리드리히 1세와 결혼했다.[2]
  • 위그 카페 (c. 939–996)[19]
  • 엠마 (c. 943968년 이후).[19]
  • 부르고뉴 공작 오토, 956년 미성년자.[18]
  • 오도-앙리 (부르고뉴 공작 앙리 1세) (946–1002)[18]

디종 백작 라울의 딸이자, 후에 오세르 부백작 앙소 르 리슈 부인이 된 랭가르드 드 디종을 미혼 시절에 애첩으로 두었다. 랭가르드와의 사이에서 서자 1남을 두었다.

  • 에르베르 (프랑스어판) (? - 996년) - 성직자. 오세르 주교.


922년, 처음으로 메인 백작 로제와 로틸드(샤를 2세의 딸)의 딸 주디트(유디트)와 결혼했으나, 주디트는 자녀 없이 925년에 사망했다.[20]

926년, 두 번째로, 잉글랜드 왕에드워드 장자왕의 딸 에디르드(에드힐드)와 결혼했으나, 에디르드는 자녀 없이 938년에 사망했다.[20]

937년, 세 번째로, 로마 왕 하인리히 1세의 딸 에드비주(하트비히)와 결혼했다. 3남 2녀를 두었다.

3. 1. 첫 번째 결혼

위그 르 그랑은 922년 메인 백작 로제의 딸이자 카롤루스 대머리왕의 딸인 로틸드의 딸인 주디스와 결혼했으나,[2][20] 925년에 주디스는 자녀 없이 사망했다.[2][20]

926년에는 앵글로색슨족 왕 에드워드 1세의 딸이자 애설스탠왕의 이복 여동생인 에드힐드와 두번째로 결혼했으나,[2][20] 937년(혹은 938년)에 에드힐드는 자녀 없이 사망했다.[2][20]

그의 첩이자, 후에 오세르 부백작 앙소 르 리슈 부인이 된 디종 백작 라울의 딸 랭가르드 드 디종과의 사이에서 서자 에르베르(? - 996년)를 두었는데, 에르베르는 오세르 주교였다.

3. 2. 두 번째 결혼

위그 르 그랑은 926년 에두아르 랑시엥의 딸 에아드힐트(혹은 에디트)와 결혼했다.[2][20] 에아드힐트는 937년 혹은 938년에 자녀 없이 사망했다.[2][20] 그는 메인 백작 로제의 딸과 914년에 첫번째 결혼을 했으나, 925년에 사망하였다.

3. 3. 세 번째 결혼

위그 르 그랑은 937년 사냥꾼 하인리히와 마틸다의 딸인 작센의 헤드비게(하트비히)와 세 번째 결혼을 했다.[2] 이 결혼으로 3남 2녀를 두었다.

위그는 이전의 두 번의 결혼에서 자녀를 얻지 못했다. 922년 메인 백작 로제와 카롤루스 대머리왕의 딸인 로틸드의 딸인 주디스와 결혼했으나,[2] 925년 주디스는 자녀 없이 사망했다.[2][20] 926년에는 에드워드 1세의 딸이자 애설스탠왕의 이복 여동생인 에드힐드와 결혼했으나,[2] 937년 에드힐드 역시 자녀 없이 사망했다.[2][20]

위그는 미혼 시절에 디종 백작 라울의 딸이자, 후에 오세르 부백작 앙소 르 리슈 부인이 된 랭가르드 드 디종을 애첩으로 두었고, 그 사이에서 서자 에르베르(에리베르)를 두었다. 에르베르는 오세르 주교를 역임했다.

3. 4. 사생아

디종 백작 라울의 딸이자, 후에 오세르 부백작 앙소 르 리슈 부인이 된 랭가르드를 미혼 시절에 애첩으로 두었다. 랭가르드와의 사이에서 서자 1남을 두었다.

  • 에르베르(에리베르) (프랑스어판) (? - 996년) - 성직자. 오세르 주교.

4. 평가

4. 1. 긍정적 평가

4. 2. 부정적 평가

참조

[1] 서적 Legends in Limestone: Lazarus, Gislebertus, and the Cathedral of Autu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9
[1] 서적 Deeds of the Saxons The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2014
[2] 서적 Europäische Stammtafeln: Stammtafeln zur Geschichte der Europäischen Staaten Verlag von J. A. Stargardt, Marburg, Germany 1984
[3] 서적 The Capetians: Kings of France, 987-1328 Hambledon Continuum, London & New York 2007
[4] 서적 The History of France J.P. Gisserot, Paris 2001
[5] 서적 The Carolingians; A Family who Forged Europ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Philadelphia 1993
[6] 서적 The Carolingians; A Family who Forged Europ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Philadelphia 1993
[7] 서적 Capetian France; 987-1328 Longman Group Ltd., London & New York 1980
[8] 서적 The Annals of Flodoard of Reims: 919-966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11
[9] 간행물 "Hérédité royale et pouvoir sacré avant 987" http://www.persee.fr[...] 1988
[10] EB1911 Hugh
[11] 서적 The Carolingians; A Family who Forged Europ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Philadelphia 1993
[12] 서적 The Annals of Flodoard of Reims; 919-966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11
[13] 서적 The Annals of Flodoard of Reims; 919-966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11
[14] 서적 The Annals of Flodoard of Reims; 919-966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11
[15] 서적 The Normans Hambledon Continuum, London & New York 2007
[16] 서적 The Capetians: Kings of France, 987-1328 Hambledon Continuum, London & New York 2007
[17] 서적 The Capetians: Kings of France, 987-1328 Hambledon Continuum, London & New York 2007
[18] 서적 The Capetians: Kings of France, 987-1328 Hambledon Continuum, London & New York 2007
[19] 서적 Europäische Stammtafeln: Stammtafeln zur Geschichte der Europäischen Staaten Verlag von J. A. Stargardt, Marburg, Germany 1984
[20] 서적
[21] 문서
[22] 서적
[23] 문서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The Annals of Flodoard of Reims; 919-966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