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팔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팔라는 안데스 원주민을 상징하는 깃발로, 무지개색 사각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잉카 제국과 관련된 깃발로 오해되기도 한다. 티와나쿠 문화 유물에서 위팔라 디자인이 발견되었으며, 스웨덴의 세계 문화 박물관에도 11세기에 제작된 위팔라가 소장되어 있다. 16~17세기 기록에서는 잉카인들이 깃발을 사용했음을 보여주지만, 이는 제국이 아닌 잉카 사람들을 대표했다. 각 색깔은 대지, 사회, 에너지 등 다양한 의미를 나타내며, 볼리비아에서는 국기와 함께 사용되기도 한다. 에콰도르에서는 원주민 사회 운동과 관련되어 사용되며, 쿠스코의 깃발과 혼동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볼리비아의 상징 - 안데스콘도르
안데스콘도르는 남아메리카 안데스 산맥에 사는 신세계 독수리로, 썩은 고기를 먹는 가장 큰 비행 조류 중 하나이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수가 줄어 취약종으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있고, 안데스 지역 문화와 신화에서 중요한 상징으로 여겨진다. - 볼리비아의 상징 - 볼리비아의 국장
볼리비아의 국장은 타원형 방패 안의 세로 리코와 떠오르는 해, 라마, 밀 다발, 야자수 등을 통해 볼리비아의 역사, 문화, 자연환경, 국방력, 자유 수호 의지, 광물 자원, 농업 생산력, 안데스 문화적 특징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국가 문장이다.
위팔라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위팔라 |
로마자 표기 | Wipalla |
용도 | 원주민 대표 |
상징 | 7x7 사각형 패치워크의 일곱 가지 색상 |
비율 | 1:1 |
채택일 | 2009년 8월 5일 |
2. 역사
위팔라 형식의 디자인은 티와나쿠 문화(기원전 1580년 ~ 서기 1187년)에 해당하는 코카 주머니 또는 자루에서 찾을 수 있다. 현재 브루클린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이 코카 주머니는 위팔라 디자인과 다른 디자인이 혼합되어 있어, 당시 안데스 우주론에서 어떤 의미를 가졌는지, 어떻게 사용되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1]
스웨덴 예테보리의 세계 문화 박물관에는 11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위팔라가 있다. 이 위팔라는 티와나쿠 지역에서 유래되었으며, ''칼라와야'' 의사의 무덤에서 나온 유물 중 하나이다.[1]
16세기와 17세기의 기록을 보면, 잉카에서 깃발에 대한 개념이 나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 깃발은 제국이 아닌 잉카 사람들을 대표하는 것이었다. 또한, 그 기원은 수천 년의 역사를 가진 안데스 문명의 여러 상징과 벽화 디자인에서 유래되었다.
프란시스코 로페스 데 헤레즈[4]는 1534년에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 그들은 모두 기수와 지휘관을 앞세우고 부대별로 나뉘어 나왔는데, 그 모습이 마치 터키인들만큼이나 질서 정연했다.[5]
17세기 연대기 작가인 베르나베 코보는 다음과 같이 썼다.
> 왕실 깃발은 길이가 약 10~12 뼘 정도 되는 작고 정사각형 모양의 깃발로, 면이나 양모 천으로 만들어졌다. 긴 깃대 꼭대기에 매달려 팽팽하게 펴져 있어 공중에서 펄럭이지 않았다. 각 왕은 깃발에 자신의 문장과 상징을 그렸는데, 각 왕이 서로 다른 문장을 선택했기 때문이다. 잉카인들에게 공통적인 문장으로는 무지개가 있었다.[6]
구아만 포마가 1615년에 쓴 책에는 잉카 깃발의 수많은 선 그림이 실려 있다.[7]
2. 1. 콜럼버스 이전 시대
가장 오래된 위팔라 형식의 디자인은 티와나쿠 문화(기원전 1580년 ~ 서기 1187년)에 해당하는 코카 주머니 또는 자루에 해당한다. 이 코카 주머니는 현재 브루클린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위팔라 디자인과 여러 다른 디자인이 혼합되어 있어서 당시 안데스 우주론 내에서의 의미나 사용법을 확립하는 것은 불가능하다.[1]스웨덴 예테보리의 세계 문화 박물관은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에 따르면 11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위팔라를 소장하고 있다. 이는 티와나쿠 지역에서 유래되었으며, ''칼라와야'' 의사의 무덤에 기반한 소장품의 일부이다.[1]
2. 2. 식민지 시대 기록
16세기와 17세기의 기록 및 언급은 잉카에게서 기인한 깃발에 대한 아이디어를 뒷받침한다. 그러나 이는 제국이 아닌 잉카 사람들을 대표했다. 또한, 그 기원은 수천 년의 역사를 가진 안데스 문명의 여러 상징과 벽화 디자인에서 유래되었다.프란시스코 로페스 데 헤레즈[4]는 1534년에 다음과 같이 썼다.
>그들은 모두 기수와 지휘관을 앞세우고 부대별로 나뉘어 나왔는데, 그 모습이 마치 터키인들만큼이나 질서 정연했다.[5]
17세기 연대기 작가인 베르나베 코보는 다음과 같이 썼다.
>그 guiónes 또는 왕실 깃발 [교회 행렬 깃발]은 길이가 약 10~12 뼘 정도 되는 작고 정사각형 모양의 깃발로, 면이나 양모 천으로 만들어졌고, 긴 깃대 꼭대기에 매달려 팽팽하게 펴져 있어 공중에서 펄럭이지 않았다. 각 왕은 깃발에 자신의 문장과 상징을 그렸는데, 각 왕이 서로 다른 문장을 선택했기 때문이다. 잉카인들에게 공통적인 문장으로는 무지개 [하늘 활]가 있었다.[6]
구아만 포마의 1615년 저서 El primer nueva corónica y buen gobiernoes에는 잉카 깃발의 수많은 선 그림이 실려 있다.[7]
3. 색과 상징
위팔라는 무지개와 같은 색상을 가지며, 카타리스타 운동(Katarismo)[8][9]에서는 각 색상이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고 해석한다.
- 빨간색: 대지와 안데스의 인간
- 주황색: 사회와 문화
- 노란색: 에너지와 힘
- 흰색: 시간과 변화
- 녹색: 천연 자원과 부
- 파란색: 코스모스
- 보라색: 안데스 정부와 자기 결정
3. 1. 색상표
색상 | 의미 |
---|---|
빨강 | 대지와 안데스의 사람들 |
주황 | 사회와 문화 |
노랑 | 에너지 |
하양 | 시간 |
초록 | 천연자원 |
파랑 | 하늘 |
보라 | 안데스 정부와 자치권 |
4. 안데스 민족과 사회 운동
아이마라의 ''위팔라''는 7×7(49)개의 사각형으로 나뉜 사각형 깃발이다. 일곱 가지 무지개 색상은 대각선 사각형에 배치된다. 정확한 배열과 색상은 다양한 버전에 따라 다르며, 이는 수유 또는 투팍 카타리에 해당한다. 이는 볼리비아의 원주민 및 농민 운동의 행진에서 매우 두드러진다.
이 "무지개 사각형" 깃발은 볼리비아의 안데스 원주민의 범원주민 깃발로 사용되며, 최근에는 아마존 그룹이 정치적 동맹을 맺어 가끔 채택하고 있다.
에보 모랄레스 볼리비아 대통령은 새로 비준된 헌법에서 기존의 빨강, 노랑, 녹색 배너와 함께 Qullasuyu 위팔라를 이중 국기로 지정했다. 위팔라는 국가 색상에 포함되었으며, 볼리비아 공군의 행정 제트기(현재는 다쏘 팔콘 900EX[10])와 같은 기체에 사용되었다. 위팔라는 또한 2009년 개정된 헌법 도입 이후 삼색기와 함께 케마도 궁전과 의회와 같은 정부 건물에도 공식적으로 게양된다.[11]
2019년 볼리비아 정치 위기 동안, 볼리비아 경찰이 제복에서 위팔라를 떼어내는 영상이 등장했다. 또한 일부 정부 건물에서 제거되었고, "볼리비아는 그리스도께 속한다!"라고 외치는 시위대에 의해 불태워졌다.[12][13] 이는 이후 자닌 아녜스 임시 대통령에 의해 원주민 유산 파괴로 규탄받았다.[14]
현대 에콰도르에서 위팔라는 주로 CONAIE(에콰도르 원주민 민족 연합)가 대표하는 원주민 사회 운동과 동일시된다. 이 조직은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대규모 시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CONAIE의 깃발은 잉카 이전 에콰도르 해안 민족인 라 톨리타의 가면이 가운데에 있는 위팔라이다.
이 깃발은 CONAIE 운동의 행진에서 사용되며, 선거에 참여하고 상당한 입법 대표성을 가진 그들의 정치적 파벌인 Movimiento de Unidad Plurinacional Pachakutik - Nuevo País(파차쿠틱에서 영감을 받은 운동)에서도 사용된다. ''파차쿠틱''은 안데스 사람들의 더 나은 미래에 대한 비전과 희망과 관련된 케추아어 단어이다. MUPP는 1990년대에 주로 CONAIE와 농민 조직, 도시 사회 운동의 연합에 의해 결성되었다. 또한, 현지 LGBT, 페미니스트, 아프리카계 에콰도르인 단체 및 활동가들로부터 지지를 얻고 있다.[15]
5. 쿠스코 깃발과의 혼동
위팔라는 7색 무지개 디자인 깃발과 혼동되어 왔는데, 이는 페루 쿠스코 시의 현재 공식 깃발이며, 정부 건물과 주요 광장에 흔히 게양된다.[16]
이 무지개 깃발은 때때로 잉카 제국(Tawantinsuyu)의 상징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페루 역사학자들과 페루 의회는 잉카 제국에는 깃발이 없었다고 밝혔다.[17][18] 위팔라는 주로 아이마라 족과 관련된 상징이지만, 잉카는 케추아 족에서 기원했다.
6. 기타
참조
[1]
뉴스
Bandera indígena boliviana es incluida como símbolo patrio en nueva Constitución
http://espanol.upi.c[...]
United Press International
2008-10-21
[2]
간행물
Nueva Constitución Política del Estado
https://www.scribd.c[...]
Republic of Bolivia
2007
[3]
웹사이트
Carlotta – Objekt
http://collections.s[...]
Collections.smvk.se
2013-12-23
[4]
서적
Verdadera relacion de la conquista del Peru y provincia de Cuzco, llamada la Nueva Castilla
1534
[5]
문서
[6]
문서
[7]
서적
El primer nueva corónica y buen gobierno
1615/1616
[8]
웹사이트
Emblema Nacional del Pusinsuyo = Tawantinsuyo
http://www.katari.or[...]
2023-10-05
[9]
웹사이트
Wiphala | Ministerio de Defensa del Estado Plurinacional de Bolivia
http://www.mindef.go[...]
2019-10-27
[10]
웹사이트
Photos: Dassault Falcon 900EX Aircraft Pictures
http://www.airliners[...]
Airliners.net
2013-12-23
[11]
웹사이트
Por decreto, el Ejecutivo fija dos fechas fechas de fundación del país
http://eju.tv/2010/0[...]
eju.tv
2013-12-23
[12]
뉴스
A Bolivian crisis
https://www.thehindu[...]
2019-11-13
[13]
웹사이트
When the US Supports It, It's Not a Coup
https://www.commondr[...]
[14]
웹사이트
Jeanine Añez instruye que junto a la sagrada tricolor se mantenga la wiphala
https://eju.tv/2019/[...]
2019-11-12
[15]
문서
Inca empire#Organization of the empire
[16]
웹사이트
revista.serindigena.cl – Wiphala, Símbolo de la Nación Andina
http://revista.serin[...]
2007-08-17
[17]
웹사이트
Bandera Gay o Bandera del Tahuantinsuyo Terra.com
http://vidayestilo.t[...]
2015-08-21
[18]
웹사이트
La Bandera del Tahuantisuyo
http://www.congreso.[...]
2009-06-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