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윌리엄 대니얼 필립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윌리엄 대니얼 필립스는 미국의 물리학자이다. 1948년 펜실베이니아주에서 태어나 주니아타 칼리지를 졸업하고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레이저 냉각 기술 개발에 기여하여 1997년 스티븐 추, 클로드 코엔타누지와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현재 미국 표준 기술 연구소(NIST)에 있으며, 메릴랜드 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리스버그 출신 - 에릭 매비어스
    에릭 매비어스는 영화 데뷔 후 《레지던트 이블》 시리즈와 《어글리 베티》 등의 작품에서 활약한 미국의 배우이며, 배우 활동 외에도 루지 선수, 자선 활동가, 환경 보호 운동가로도 활동한다.
  • 윌크스배리 출신 - 존 J. 요삭
    존 J. 요삭은 베트남 전쟁과 걸프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육군 장군으로, 제1기병사단 사단장과 미 제3군 사령관을 역임하며 사막 방패 작전과 걸프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다수의 훈장을 수훈했다.
  • 윌크스배리 출신 - 데이비드 봄
    데이비드 봄은 양자역학, 상대성이론 연구에 기여하고 플라스마 이론과 봄 확산을 발견했으며, 숨은 변수 이론을 제시하고 EPR 역설 및 아하로노프-봄 효과 연구에 참여한 20세기 물리학자이다.
  • 메릴랜드 대학교 교수 - 리처드 호프스태터
    리처드 호프스태터는 20세기 미국의 역사학자로서, 미국 사회의 다양한 현상을 분석하고 사회심리학적 개념을 활용하여 정치사를 설명했으며, 퓰리처상을 두 차례 수상했다.
  • 메릴랜드 대학교 교수 - 토머스 셸링
    토머스 셸링은 게임 이론을 통해 갈등과 협력에 대한 이해를 높여 2005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경제학자이자 외교 정책 전문가이다.
윌리엄 대니얼 필립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윌리엄 D. 필립스
윌리엄 D. 필립스 (2012년 린다우 노벨상 수상자 회의)
출생일1948년 11월 5일
출생지미국 펜실베이니아주 윌크스배리
국적미국
분야물리학
직장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
메릴랜드 대학교 컬리지 파크 캠퍼스
모교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주요 업적레이저 냉각
박사 지도 교수다니엘 클레프너
수상노벨 물리학상 (1997년)

2. 생애

윌리엄 대니얼 필립스는 1948년 11월 5일 펜실베이니아 주 윌크스바레에서 태어나, 1970년 주니아타 칼리지를 최우등으로 졸업하고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1] 그의 박사 논문은 물 분자(H2O) 속 수소 원자의 자기 모멘트에 관한 것으로, 훗날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연구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1997년 스티븐 추, 클로드 코엔타누지와 함께 레이저 냉각 기술 개발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다.[1] 그는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와 메릴랜드 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필립스는 MIT에 가기 직전 제인 밴 위넨과 결혼했다. 1979년 메릴랜드주 게이더스버그에 있는 페어헤이븐 연합 감리교회에 가입했다. 그는 국제 과학 및 종교 협회의 창립 멤버이다. 슬하에 두 딸, 케이틀린 필립스(1979년생, 리바운드 디자인 설립)와 크리스틴 필립스(1981년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분야)를 두고 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윌리엄 대니얼 필립스는 1948년 11월 5일 펜실베이니아 주 윌크스바레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웨일스계였고, 어머니는 이탈리아계였다.[1] 1959년 가족이 펜실베이니아 주 캠프힐로 이사했다.[1] 그는 캠프힐 고등학교를 1966년 수석으로 졸업했다.[1] 1970년에는 주니아타 칼리지를 최우등(summa cum laude)으로 졸업했다.[1] 이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의 박사 학위 논문은 물 분자(H2O) 내 수소 원자의 자기 모멘트에 관한 것이었는데,[1] 이는 훗날 그의 연구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

2. 2. 경력

1978년 국립표준기술연구소에 합류했다.[1] NIST에서 레이저 냉각 기술을 개발하여 1997년 스티븐 추, 클로드 코엔타누지와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2] 레이저 냉각은 기체 원자의 움직임을 느리게 만들어 더 잘 연구할 수 있게 하는 기술로, 제만 감속기 발명에 기여했다.[2]

메릴랜드 대학교 칼리지 파크의 메릴랜드 대학교 컴퓨터, 수학 및 자연 과학 칼리지 소속 물리학 교수이다.

2008년 5월 조지 W. 부시 대통령에게 보낸 서한에 서명한 20명의 미국인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중 한 명으로, 미국 에너지부의 과학국, 국립 과학 재단, 국립표준기술연구소에 대한 추가 긴급 자금 지원을 요청했다.[3]

버락 오바마 대통령에게 청정에너지 연구, 기술 개발 및 시연에 대한 연간 150억달러의 안정적인 지원을 제공할 것을 촉구하는 서한에 서명한 35명의 노벨상 수상자 중 한 명이었다.[4]

종교와 과학 대화에 참여한 세 명의 유명한 과학자이자 감리교 평신도 중 한 명이다.

2010년 10월 USA 과학 및 공학 축제의 수상자와의 점심 식사 프로그램에 참여했다.[5] 또한 USA 과학 및 공학 축제 자문 위원회 위원이다.[6]

2. 3. 종교 활동

필립스는 독실한 연합 감리교회 신자이다.[1] 1979년, 그는 다양성을 존중하여 메릴랜드주 게이더스버그에 있는 페어헤이븐 연합 감리교회에 가입했다.[1] 그는 국제 과학 및 종교 협회의 창립 멤버이며,[1] 종교와 과학 대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그는 종교와 과학 대화에 참여한 세 명의 유명한 과학자이자 감리교 평신도 중 한 명인데, 다른 두 과학자이자 동료 감리교인은 화학자 찰스 쿨슨과 1981년 노벨상 수상자 아서 레너드 숄로이다.

메릴랜드 대학교 화학 및 생화학과의 "광격자 내의 결맞는 원자"라는 세미나에서 필립스는 "루비듐은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에 대한 하나님의 선물입니다."라고 말했다.

3. 연구 업적

필립스는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에서 물 분자(H2O)의 수소 원자 자기 모멘트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1] 이후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연구를 수행했으며, 현재 미국 표준 기술 연구소(NIST)와 메릴랜드 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3. 1. 레이저 냉각 기술 개발

1997년 스티븐 추, 클로드 코엔타누지와 함께 레이저를 이용하여 기체 원자의 운동 속도를 늦추는 레이저 냉각 기술을 개발한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1] 이 기술은 원자 시계, 양자 정보 처리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으며, 특히 제만 감속기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

3. 2.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연구

필립스는 레이저 냉각 기술을 이용하여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현상을 연구했다.[1]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은 극저온에서 원자들이 동일한 양자 상태를 갖는 현상이다. 필립스는 1997년 스티븐 추, 클로드 코엔타누지와 함께 레이저 냉각 연구에 대한 공헌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1] 레이저 냉각은 기체 원자의 움직임을 느리게 만드는 기술이며,[1] 특히 필립스는 제만 감속기를 발명한 공로를 인정받았다.[2]

4. 수상 내역

연도수상 내역
1982년메릴랜드 과학 아카데미 뛰어난 젊은 과학자상
1983년미국 상무부 은메달
1987년새뮤얼 웨슬리 스트래턴 상
1988년워싱턴 다운타운 제이시스 아서 S. 플레밍 상
1993년미국 상무부 금메달
1994년광학회 회원
1995년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 NIST 펠로우
1996년프랭클린 연구소 미켈슨 메달
1997년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 노벨 물리학상
1998년아서 L. 숄로 상
1999년미국 업적 아카데미 골든 플레이트 상
2000년리히트마이어 기념상, 유럽 예술 과학 인문학 아카데미 회원(정회원)
2004년교황청 과학 아카데미 학술원, 광학회 명예 회원
2005년대통령 공로상
2006년미국 봉사상 – 평생 업적, 과학 기기 제작자 협회 명예 회원


5. 개인 생활

필립스는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에 진학하기 직전 제인 밴 위넨과 결혼했다.[1] 결혼 초기에 그들은 정기적으로 교회에 다니지 않았다. 그러나 1979년, 그들은 다양성을 존중하여 메릴랜드주 게이더스버그에 있는 페어헤이븐 연합 감리교회에 가입했다.[1] 그는 국제 과학 및 종교 협회의 창립 멤버이다.[1] 그와 그의 아내는 두 딸을 두었는데, 케이틀린 필립스(1979년생)는 리바운드 디자인을 설립했고, 크리스틴 필립스(1981년생)는 과학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일하고 있다.[1]

메릴랜드 대학교 화학 및 생화학과의 "광격자 내의 결맞는 원자"라는 세미나에서 필립스는 "루비듐은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에 대한 하나님의 선물입니다."라고 말했다.[1]

참조

[1] 간행물 2020-04-29
[2] 웹사이트 Franklin Laureate Database – Albert A. Michelson Medal Laureates http://www.fi.edu/wi[...] Franklin Institute 2011-06-16
[3] 웹사이트 A Letter from America's Physics Nobel Laureates https://fire.pppl.go[...]
[4] 간행물 Open Letter to President Obama https://fas.org/pres[...] 2012-01-28
[5] 웹사이트 Lunch with a Laureate http://www.usascienc[...] 2010-12-09
[6] 웹사이트 Advisors http://www.usascienc[...] 2012-01-28
[7] 웹사이트 Golden Plate Awardees of the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https://achievement.[...]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