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토머스 셸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머스 셸링은 1921년 캘리포니아에서 태어나 2016년 사망한 미국의 경제학자이자 전략가이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학사, 하버드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유럽 부흥 계획에 참여하고 백악관에서 근무했다. 예일 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메릴랜드 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핵전쟁 방지 연구로 전미 과학 아카데미 상을 수상하고, 2005년에는 게임 이론 분석을 통해 갈등과 협력에 대한 이해를 높인 공로로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주요 저서로는 《갈등의 전략》, 《무기와 영향력》, 《미시적 동기와 거시적 행동》 등이 있으며, 핵무기 및 국제 안보, 기후 변화, 인종 분리 문제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캘리포니아주의 경제학자 - 토머스 사전트
    토머스 사전트는 합리적 기대 혁명의 주요 인물로서 정책 무효성 명제를 제안하고 합리적 기대 이론을 발전시켜 현대 거시경제학에 큰 영향을 미친 미국의 경제학자이며, 크리스토퍼 심스와 함께 거시경제의 인과 관계에 대한 경험적 연구로 2011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 캘리포니아주의 경제학자 - 재닛 옐런
    재닛 옐런은 미국의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으로, 조 바이든 행정부의 미국 재무부 장관이며 연방준비제도 의장, 부의장,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 총재, 대통령 경제 자문 위원회 의장 등 주요 경제 직책을 역임한 최초의 여성 재무부 장관이다.
  • 메릴랜드 대학교 교수 - 리처드 호프스태터
    리처드 호프스태터는 20세기 미국의 역사학자로서, 미국 사회의 다양한 현상을 분석하고 사회심리학적 개념을 활용하여 정치사를 설명했으며, 퓰리처상을 두 차례 수상했다.
  • 메릴랜드 대학교 교수 - 허먼 데일리
    허먼 데일리는 정상 상태 경제 이론의 선구자이자 지속 가능한 경제 후생 지수(ISEW) 개발에 기여한 경제학자로서, 지속 가능한 발전과 사회적 형평성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며 다양한 상을 수상했다.
  • 게임 이론가 - 존 포브스 내시
    미국의 수학자 존 포브스 내시는 게임 이론의 내시 균형 개념을 제시하고 미분기하학과 편미분 방정식 분야에서도 업적을 남겼으며 조현병을 극복하고 노벨 경제학상과 아벨상을 수상한 인물로, 그의 삶은 영화 《뷰티풀 마인드》로 알려졌다.
  • 게임 이론가 - 존 폰 노이만
    헝가리 출신의 존 폰 노이만은 수학, 물리학, 컴퓨터 과학, 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에 혁신적인 업적을 남겼으며, 특히 폰 노이만 아키텍처는 현대 컴퓨터 설계의 기초가 되었고 게임 이론의 창시자로도 알려진 20세기 과학기술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토머스 셸링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0년의 셸링
출생 이름토머스 크롬비 셸링
출생일1921년 4월 14일
출생지미국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
사망일2016년 12월 13일
사망지미국 메릴랜드주 베데스다
국적미국
학력 및 경력
소속 기관예일 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메릴랜드 대학교
뉴잉글랜드 복잡계 연구소
전공 분야게임 이론
모교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BA)
하버드 대학교 (PhD)
박사 지도교수아서 스미시스
바실리 레온티예프
제임스 듀젠베리
박사 지도 학생마이클 스펜스
엘리 노암
타일러 코웬
영향 받은 인물카를 폰 클라우제비츠
니콜로 마키아벨리
연구 및 업적
주요 기여초점점
에고노믹스
주요 저서분쟁의 전략 (The Strategy of Conflict)
무기와 영향력 (Arms and Influence)
미시적 동기와 거시적 행동 (Micromotives and Macrobehavior)
수상 내역
수상프랭크 E. 시드먼 정치경제학상 (1977년)
노벨 경제학상 (2005년)
논문
학위 논문 제목국가 소득 행동: 대수적 분석 소개
학위 논문 URL학위 논문 링크
학위 논문 발표 년도1951년
기타
RePEc 접두사e
RePEc IDpsc152

2. 생애

토머스 셸링은 1921년 4월 14일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에서 태어나, 1944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를 졸업하고 1951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37]

그는 마셜 플랜(유럽 부흥 계획) 참여(1948년-1950년)와 백악관 및 미국 대통령 집무실 근무(1950년-1953년)를 거쳐 학계로 자리를 옮겼다.[37] 예일 대학교(1953년-1958년)와 하버드 대학교(1958년-1990년)에서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특히 하버드에서는 1969년부터 하버드 케네디 스쿨에서 정치경제학 교수를 맡았다.[37] 하버드 퇴직 후에는 메릴랜드 대학교에서 강의와 연구를 이어갔다.

핵전쟁 방지 관련 연구에 대한 공로로 1993년 전미 과학 아카데미로부터 상을 받았으며,[38] 2009년에는 예일 대학교맨체스터 대학교로부터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39]

개인적으로는 1947년 코린 티게이 사포스(Corinne Tigay Saposs)와 결혼하여 네 아들을 두었으나 1991년 사별했다. 같은 해 앨리스 M. 콜먼(Alice M. Coleman)과 재혼했으며, 2016년 메릴랜드주 자택에서 향년 95세로 사망했다.[34][35]

2. 1. 초기 생애

토머스 셸링은 1921년 4월 14일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에서 태어났다.[3] 그는 샌디에이고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44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경제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1951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셸링은 박사 과정 중이던 1948년부터 1950년까지 유럽 부흥 계획(마셜 플랜)에 참여했으며, 이후 3년 동안(1950년-1953년) 백악관과 미국 대통령 집무실에서 근무했다.[37] 1953년부터 1958년까지 예일 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했고, 1958년에는 하버드 대학교 경제학과로 자리를 옮겼다.[37] 1969년에는 같은 대학 케네디 스쿨의 정치경제학 교수가 되었다.[37]

2. 2. 경력

1944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학사 학위를 받고, 1951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37]

학위 과정 중이던 1948년부터 1953년까지 유럽 부흥 계획(마셜 플랜) 관련 업무로 유럽에서 근무했으며, 백악관과 미국 대통령 집무실에서도 일했다.[37][4] 유럽 체류 중 밤 시간을 활용해 국민소득 관련 박사 논문 대부분을 작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4]

정부 근무를 마친 후 1953년부터 1958년까지 예일 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했다.[37][4] 1956년에는 랜드 코퍼레이션에 준회원으로 참여했으며, 예일대를 떠난 후 1년간 정규 연구원으로 활동했고 2002년까지 준회원 자격을 유지했다.[5]

1958년 하버드 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로 자리를 옮겼고,[37] 같은 해 웨더헤드 국제관계센터의 전신인 국제 문제 센터를 공동 설립했다.[6] 1969년에는 하버드 케네디 스쿨(존 F. 케네디 행정대학원)로 옮겨 루시우스 N. 리토어 정치경제학 교수를 역임했다.[37][4] 그는 케네디 스쿨의 교육과정을 행정 중심에서 리더십 중심으로 전환하는 데 기여하며 현대 케네디 스쿨의 기반을 다진 인물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6]

1990년 하버드를 떠나 메릴랜드 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과 동 대학 경제학과 교수로 부임했다.[7] 학계 활동으로는 1991년 미국 경제학회 회장을 맡았으며,[8] 1995년에는 동부 경제학회 회장을 역임했다.[9] 그는 미국 경제학회 명예 펠로우이기도 하다.[8]

국제적인 연구 활동에도 참여하여 1994년부터 1999년까지 오스트리아 락센부르크의 국제응용시스템분석연구소(IIASA)에서 연구를 수행했고,[4] 코펜하겐 컨센서스에도 참여했다.[4][10]

핵 문제에 대한 깊은 관심을 바탕으로 연구를 지속했으며, 1993년 전미 과학 아카데미로부터 핵전쟁 방지 관련 연구 공로로 상을 받았다.[38] 2006년 발표한 논문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60년간 원자폭탄이 실전에서 사용되지 않은 것을 기적이라고 평가하면서도, 이것이 앞으로도 유지될 것이라는 보장은 없다고 지적했다. 또한 아이젠하워 행정부 시절 존 포스터 덜레스 국무장관이 한반도에 핵무기 투하를 제안했으나 보류되었던 사실과, 케네디 행정부에서 맥나마라 국방장관의 역할로 반핵 입장으로 전환된 과정을 언급하기도 했다.

2009년에는 예일 대학교맨체스터 대학교로부터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다.[39]

2. 3. 개인사

토머스 셸링은 1921년 4월 14일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에서 태어났다. 1944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고, 1951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37]

그는 1948년부터 1950년까지 마셜 플랜(유럽 부흥 계획)에 참여했으며, 이후 1950년부터 1953년까지 백악관과 미국 대통령 집무실에서 근무했다.[37] 1953년부터 1958년까지 예일 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했고, 1958년 하버드 대학교 경제학과로 자리를 옮겼다. 1969년에는 같은 대학 케네디 스쿨의 정치경제학 교수가 되었다.[37] 하버드 대학교에서 퇴직한 후에는 메릴랜드 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에서 강의했다.[34][35]

1993년에는 전미 과학 아카데미로부터 핵전쟁 방지 관련 연구 공로로 상을 받았다.[38] 2009년에는 예일 대학교맨체스터 대학교로부터 명예박사학위를 받았다.[39]

셸링은 1947년 코린 티게이 사포스(Corinne Tigay Saposs)와 결혼하여 네 명의 아들을 두었으나, 1991년에 사별했다. 같은 해 후반, 그는 두 아들을 둔 앨리스 M. 콜먼(Alice M. Coleman)과 재혼했으며, 그들은 셸링의 의붓아들이 되었다.[14][15][34][35]

2016년 12월 13일, 메릴랜드주 베데스다 자택에서 고관절 골절 후 발생한 합병증으로 향년 95세에 사망했다.[7][34][35]

셸링의 가족은 그의 노벨상 메달을 경매에 부쳐 18.7만달러에 낙찰받았고, 이 수익금 전액을 시민권과 공익 소송을 전문으로 하는 미국의 비영리 법률 옹호 단체인 남부 빈곤층 법률센터에 기부했다. 그의 부인 앨리스 셸링은 고인이 된 남편이 윌 제임스(Will James)의 저서 『스모키 더 카우호스(Smoky the Cowhorse)』(1927년 뉴베리 메달 수상작)를 자신에게 가장 큰 영향을 준 책 중 하나로 꼽았다고 전했다.[16]

3. 주요 연구 및 업적

셸링은 전략 연구의 권위자로 유명하며, 그의 가장 잘 알려진 저서 《갈등의 전략》(1960년)은 협상과 전략적 행동에 대한 선구적인 연구로 평가받으며, 1945년 이후 서구 국가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권 중 하나로 꼽히기도 했다.

또한, 1969년과 1971년에 발표한 인종 분리에 관한 논문들을 통해 "티핑 포인트에 관한 일반적인 이론"을 제시했다.[40] 그는 개인들이 자신과 같은 인종으로 구성된 이웃을 선호하거나, 다른 인종이 특정 비율 이하로만 섞여 있기를 바라는 미미한 선호만으로도 완전한 주거 분리가 발생할 수 있음을 동전들을 이용한 모델을 통해 설명했다. 이러한 "인종 역학" 분석은 1971년 논문 "분리의 동적 모델"(Dynamic Models of Segregationeng)에서 구체화되었으며, 인종 외에도 성별, 나이, 언어, 성적 지향, 종교 등 다양한 사회적 분리 현상 설명에 적용되었다.[40] 이 연구는 이후 1978년 저서 ''미시 동기와 거시 행동''(Micromotives and Macrobehavioreng)으로 확장, 일반화되었다.[41]

1980년대부터는 지구 온난화 문제에 대해 연구하며, 이 문제가 개발도상국에는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지만 미국과 같은 선진국에 미치는 영향은 과장되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유럽 부흥 계획 참여 경험을 바탕으로, 지구 온난화 해결을 위한 탄소 배출 감축 노력이 비용 부담(선진국)과 혜택(개도국)의 불일치로 인해 어려운 협상 문제라고 분석했다.

3. 1. 《갈등의 전략》 (1960)

1960년에 출판된 셸링의 저서 《갈등의 전략》[17]은 그가 "갈등 행동"이라고 부르는 분야에서 협상과 전략적 행동 연구의 선구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받는다.[18] 이 책은 셸링이 1957년부터 1960년까지 발표했던 여러 학술지 논문들을 엮은 것이다.[20]

셸링은 이 책에서 갈등에 대해 "합리적"이면서도 "성공적인" 결과를 얻기 위한 전략적인 관점을 제시했다.[17] 그는 갈등 상황에서 단순히 지능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특정 행동 방침을 선택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이점"을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이러한 이점은 "명시적이고 일관성 있는 가치 체계"에 근거해야 한다고 보았다.[17]

셸링은 갈등이 단순히 상대방을 이기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부분의 갈등 상황(참가자들의 이해관계가 완전히 상반되는 "순수한 갈등"의 드문 경우를 제외하고)에서는 협력의 기회가 존재하며 이를 활용해야 한다고 보았다.[17] 그는 "완전한 절멸 전쟁"과 같은 극단적인 상황을 예로 들며, 일반적인 갈등은 이와 다르다는 점을 설명했다.[17]

가능한 협력의 형태는 "억제, 제한 전쟁, 군축"에서부터 "협상"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17], 이러한 행동들을 통해 참가자들은 갈등의 강도를 낮추고 더 유리한 "협상 상황"을 만들어낼 수 있다.[17] 협상 과정에서 얻을 수 있는 이익은 상대방의 "선택이나 결정"에 크게 의존하게 된다.[17]

《갈등의 전략》에서 셸링은 초점(focal point)과 "신뢰할 수 있는 약속"(credible commitment)과 같은 중요한 개념들을 소개했다. 또한, 당사자 간의 의사소통 방식에 대해서도 분석했다. 말이나 글을 통한 "명시적" 의사소통(예: 양보 제안)이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상황에서는[17], 행동을 통해 의사를 전달하는 "암묵적 전술"이 중요해진다고 설명했다. 그는 전략적 요충지의 점령이나 철수 같은 행동을 암묵적 의사소통의 예로 들었다.[17]

이 책은 출간 이후 큰 영향을 미쳤다. 국제 관계 학자 모튼 카플란(Morton Kaplan)은 1961년 논평에서 이 책을 "놀라울 정도로 독창적인 기여"이자 "문학의 랜드마크"라고 극찬했다.[20] 또한, 1995년 타임스 문학 보충판(The Times Literary Supplement)은 《갈등의 전략》을 1945년 이후 서구 사회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책 100권 중 하나로 선정하기도 했다.[19]

셸링의 노벨 경제학상 수상을 기념하는 기사에서[21], 워싱턴 포스트칼럼니스트이자 그의 제자였던 마이클 킨슬리(Michael Kinsley)는 셸링의 게임 이론적 접근 방식을 다음과 같은 비유로 설명했다. 절벽 끝에 다른 사람과 발목이 쇠사슬로 연결된 상황에서, 상대방을 항복시켜야만 풀려나고 큰 상을 받을 수 있다. 이때 유일한 수단은 상대를 절벽 아래로 밀어 떨어뜨리겠다고 위협하는 것인데, 어떻게 상대를 설득할 수 있을까? 킨슬리는 셸링의 전략을 "절벽 가장자리에 점점 더 가까이 다가가며 춤을 추기 시작하는 것"에 비유했다. 이는 자신이 완전히 비이성적인 행동(자신과 상대를 함께 떨어뜨리는 것)을 할 것이라고 설득할 필요 없이, 단지 상대방이 생각하는 '우발적으로 떨어질 위험'보다 더 큰 위험을 자신이 감수할 준비가 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만 하면 된다는 것이다. 만약 상대방이 이를 믿게 된다면, 결국 항복하게 되고 자신이 승리한다는 설명이다.

3. 2. 인종 분리 모델 (1971)

셸링은 1969년과 1971년에 인종 분리에 관한 중요한 논문들을 발표했는데, 이는 그가 "티핑포인트에 관한 일반적인 이론"이라고 부른 것의 일부였다.[40][27] 특히 1971년 발표된 논문 "분리의 동적 모델"(Dynamic Models of Segregationeng)에서 그는 개인이 자신의 이웃이 같은 인종이거나, 혹은 다른 인종이 섞여 있더라도 그 비율이 일정 수준 이하이기를 선호하는 경향만으로도 완전한 주거 분리가 발생할 수 있음을 보였다.[40] 즉, 인종 차별과 같은 악의적인 동기가 없더라도, 단순히 동질적인 환경을 선호하는 개인들의 미시적인 선택이 거시적으로는 완전한 분리라는 의도치 않은 결과를 낳을 수 있다는 것이다.

셸링은 이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게임 이론의 방법론을 활용하여, 마치 체스판과 같은 공간 위에 서로 다른 종류의 동전(예: 페니와 다임)을 놓고 각 동전이 주변의 다른 종류 동전 비율 때문에 "불행하다고" 느낄 때 다른 위치로 이동하는 간단한 모델(멀티에이전트 시뮬레이션)을 제시했다.[40] 이 시뮬레이션을 통해 개인들의 작은 선호가 연쇄적인 이동을 유발하며 결국에는 동종 집단끼리 모여 사는 분리 상태로 귀결됨을 시각적으로 보여주었다.

이러한 분리 메커니즘은 인종뿐만 아니라 성별, 나이, 언어, 성적 지향, 종교 등 사회 내에서 인식되는 다양한 차이에 따른 분리 현상을 설명하는 데에도 적용될 수 있다.[40] 일단 분리가 시작되면, 그 과정 자체가 추진력을 얻어 더욱 심화되는 경향을 보일 수 있다.

셸링은 이러한 연구를 더욱 발전시켜 1978년에 출간한 저서 ''미시 동기와 거시 행동''(Micromotives and Macrobehavioreng)에서 개인의 미시적인 동기가 어떻게 거시적인 사회 현상으로 이어지는지에 대한 이론을 확장하고 일반화했다.[41][28][29] 이 연구는 이후 에이전트 기반 계산 경제학 분야를 비롯한 여러 사회과학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29]

3. 3. 《무기와 영향력》 (1966)

1966년에 출판된 셸링의 저서 Arms and Influence는 그의 전쟁 이론을 더욱 확장시킨 결과물이다.[22][23] 출판사에 따르면, 이 책은 그의 이전 저서인 The Strategy of Conflict (1960)와 모튼 할페린과 함께 쓴 Strategy and Arms Control (1961)에서 시작된 분석을 발전시키고, 현대전과 외교에 대한 연구에 중요한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책의 주요 장 제목으로는 The Diplomacy of Violence, The Diplomacy of Ultimate Survival, The Dynamics of Mutual Alarm 등이 있다.

이 책에서 셸링은 군사력이 어떻게 교섭력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 탐구한다. 그는 단순히 표면적으로 드러난 선택지만을 고려하는 대신, 상대방을 원하는 결론으로 이끌기 위해 군사력을 어떻게 전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 분석한다. 특히 셸링은 쿠바 미사일 위기와 베를린 위기 당시 미국의 행동을 예로 들며, 이러한 군사적 조치들이 단순한 전쟁 준비를 넘어 상대방에게 특정 의도를 전달하는 '신호'로서 기능했다고 설명한다. 예를 들어, 셸링은 베트남 전쟁 중 미국의 북베트남 폭격이 "전술적인 목표만큼이나 강압적인 목적"을 띠고 있었다고 지적한다.[24] 이는 폭격이 적의 군사력을 약화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북베트남을 협상 테이블로 끌어들이기 위한 외교적 압박 수단으로 사용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셸링의 분석은 게임 이론핵무기에 대한 그의 깊은 관심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셸링의 연구는 이후 국제정치학자 로버트 저비스 등에게 영향을 미쳤다.[25][26]

3. 4. 지구 온난화 문제

셸링은 1980년 지미 카터 대통령을 위한 위원회 위원장을 맡으면서 지구 온난화 논쟁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그는 기후 변화가 개발도상국에는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지만, 미국에 미치는 영향은 과장되었다고 보았다. 셸링은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오늘날 우리의 국내총생산 중 거의 대부분은 야외에서 생산되지 않으므로 기후에 민감한 부분은 거의 없다. 농업과 임업은 총생산량의 3% 미만이며, 그 외 다른 것들도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향후 반세기 동안 농업 생산성이 3분의 1 감소하더라도, 우리가 2050년까지 달성할 수 있었던 1인당 GNP는 2051년에도 여전히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세계 대부분 지역에서 농업 생산성이 계속 향상되고 있고(이산화탄소 증가로 인해 광합성이 증진되는 많은 작물이 있으므로) 농업에 대한 순 영향이 부정적이거나 선진국에서 크게 눈에 띄지 않을 것이라는 점은 전혀 확실하지 않다."[30]

셸링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 부흥 계획 (마셜 플랜)에 참여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지구 온난화 문제 해결을 일종의 협상 문제로 파악했다. 그는 세계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일 경우, 그 혜택은 주로 개발도상국이 받게 되지만, 비용 부담은 선진국이 지게 되는 구조적 어려움이 있다고 지적했다.[30]

4. 핵무기와 국제 안보에 대한 공헌

토머스 셸링은 게임 이론, 군축, 국제 안보 분야에서 중요한 저작을 남겼다. 특히 핵무기 시대의 갈등과 협상 전략에 대한 그의 분석은 큰 영향을 미쳤다. 주요 관련 저작은 다음과 같다.


  • Game Theory and the Study of Ethical Systems영어. ''The Journal of Conflict Resolution : a Quarterly for Research Related to War and Peace.'' '''12''' (1): 34-44, 1968년. 가제 「게임 이론과 윤리적 제도의 연구」
  • 「미시적 동기의 생태학」 로빈 마리스(편), 이마이 겐이치(감역) 『기업과 사회의 이론』(일본경제신문사, 1976년).
  • What went wrong with arms control?영어 ''Foreign Affairs''. '''64''': 219-233, 1986년. 가제 「군축의 실패란 무엇인가?」
  • The Diplomacy of Violence영어. ''Essential Readings in World Politics.'' 2004년, p.301-309. 가제 「폭력의 외교」
  • "놀라운 60년: 히로시마의 유산". ''PNAS''. 2006년 4월 18일, '''103''' (16): 6089-6093.
  • The Importance of Agreements영어. ''Arms Control and Disarmament : 50 Years of Experience in Nuclear Education.'' 2018년, p.65-78. 가제 「합의의 중요성」

5. 수상 및 영예

1977년 프랭크 E. 세이드먼 정치경제학 우수상을 받았다. 1991년에는 미국경제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1993년에는 미국국립과학원(United States National Academy of Sciences)으로부터 핵전쟁 방지와 관련된 행동 연구 공로로 상(NAS Award for Behavior Research Relevant to the Prevention of Nuclear War)을 받았다.[11][38]

2005년에는 로버트 아우만(Robert Aumann)과 함께 "게임 이론(Game theory) 분석을 통해 갈등과 협력에 대한 이해를 높인 공로"로 노벨 경제학상(Nobel Memorial Prize in Economic Sciences)을 공동 수상했다.[3][35][34] 2008년에는 비텐/헤르데케 대학교(Witten/Herdecke University)에서 비텐 경제철학 강좌(Witten Lectures in Economics and Philosophy) 수상자로 선정되어 비텐 강사(Witten Lecturer)를 역임했다.[13]

또한 여러 대학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연도수여 기관
2003에라스무스 로테르담 대학교 (Erasmus University Rotterdam)
2009예일 대학교 (Yale University)[39][12]
2009RAND 공공분석 대학원[9]
2010맨체스터 대학교 (University of Manchester)[39][8]



또한 하버드 대학교 리타우어 연구소에서 정치경제학 분야의 업적을 인정받아 루시아스 N. 리타우어(Lucius N. Littauer) 정치경제학 교수로 임명되었다.

6. 주요 저서


  • ''국민소득 행동: 대수적 분석의 서론'' (McGraw-Hill Education, 1951) (가제: ''세입의 행동: 대수적 분석의 서론'')
  • ''국제경제학'' (Allyn and Bacon, 1958)
  • * 高中公男|다카나카 키미오일본어 역, ''국제경제학'' (時潮社|시조사일본어, 1997)
  • ''갈등의 전략''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1963)
  • * 河野勝|고노 마사루일본어 감역, ''분쟁의 전략 ― 게임 이론의 에센스'' (勁草書房|경초서방일본어, 2008)
  • * 赵 华|자오 화중국어 역, ''갈등의 전략'' (华夏出版|화하출판중국어, 2006) 〈현대 서방 경제학 고전 번역총서〉
  • ''무장과 영향력'' (예일 대학교 출판부, 1966)
  • * 斎藤 剛|사이토 고일본어 역, ''군비와 영향력: 핵무기와 駆け引き|가케히키일본어의 논리'' (勁草書房|경초서방일본어, 2018)
  • ''미시적 동기와 거시적 행동'' (Norton, 1978)
  • * 무라이 아키코 역, ''미시 동기와 거시 행동'' (勁草書房|경초서방일본어, 2016)
  • * 謝静|셰징중국어, 鄭子梁|정쯔량중국어, 李天有|리톈유중국어 역, ''微观动机与宏观行为|미관동기여홍관행위중국어'' (中国人民大学出版社|중국인민대학출판사중국어〈현대 세계 학술 명저. 경제학 계열〉, 2005)
  • ''선택과 결과''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1984)

참조

[1] 논문 Signaling in Retrospect and the Informational Structure of Markets https://www.nobelpri[...] Nobel Foundation 2017-06-08
[2] 웹사이트 Eli M. Noam https://web.archive.[...] Columbia Institute for Tele-Information 2016-10-16
[3] 웹사이트 Thomas C. Schelling – Facts https://www.nobelpri[...] Nobel Foundation 2016-12-13
[4] 웹사이트 Curriculum Vitae: Thomas C. Schelling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Maryland School of Public Policy 2008-09-18
[5] 웹사이트 Nobel Committee Honors Former RAND Economist Thomas Schelling https://www.rand.org[...] 2017-11-16
[6] 뉴스 Thomas Schelling, Nobelist and game theory pioneer, 95 https://news.harvard[...] 2017-11-16
[7] 웹사이트 In Memory of Thomas Schelling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Maryland School of Public Policy 2016-12-13
[8] 웹사이트 Honorary Doctorate for professor Thomas C. Schelling https://web.archive.[...] 2017-11-16
[9] 웹사이트 Thomas C. Schelling NECSI http://www.necsi.edu[...] 2017-11-16
[10] 웹사이트 Thomas Schelling http://www.copenhage[...] 2016-01-16
[11] 웹사이트 NAS Award for Behavior Research Relevant to the Prevention of Nuclear War http://www.nasonlin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011-02-16
[12] 웹사이트 Nobel prize winner delivers SCI annual lecture https://www.manchest[...]
[13] 웹사이트 2. Witten Lectures in Economics and Philosophy http://wittenlecture[...] 2024-08-19
[14] 웹사이트 Thomas C. Schelling http://www.nndb.com/[...] 2008-11-18
[15] 뉴스 American and Israeli Share Nobel Prize in Economics https://www.nytimes.[...] 2017-11-16
[16] 웹사이트 Family of Late UMD Professor Auctions Nobel Medal to Fight Hate http://terp.umd.edu/[...] 2018-06-08
[17] 서적 The Strategy of Conflict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0-09-21
[18] 논문 War as a Commitment Problem http://dx.doi.org/10[...] 2006
[19] 웹사이트 100 Most Influential Books Since the War (TLS) http://www.interleav[...]
[20] 논문 Strategy and International Politics https://www.cambridg[...] 1961
[21] 뉴스 A Nobel Laureate Who's Got Game https://www.washingt[...] 2005-10-12
[22] 웹사이트 Arms and Influence – Schelling, Thomas C. – Yale University Press http://yalepress.yal[...] 2016-01-07
[23] 논문 Weakening the Belief in General War: Schelling on Strikes https://www.cambridg[...] 1967
[24] 웹사이트 Arms and Influence Yale University Press https://yalebooks.ya[...] 2019-11-14
[25] 웹사이트 H-Diplo Essay 198- Robert Jervis on Learning the Scholar's Craft https://issforum.org[...] 2021-06-08
[26] 웹사이트 Thomas C. Schelling: A Reminiscence https://warontherock[...] 2021-12-10
[27] 논문 Models of segregation http://isites.harvar[...]
[28] 서적 Micromotives and Macrobehavior http://books.wwnorto[...] Norton
[29] 논문 Some Fun, Thirty-Five Years Ago Elsevier 2006
[30] 백과사전 Concise Encyclopedia of Economics Library of Economics and Liberty 2017-12-07
[31] 서적 Strategies of commitment and other essays Harvard University Press
[32] 논문 INFORMS PubsOnline
[33] 서적 Choice and consequence Harvard University Press 1984
[34] 뉴스 トーマス・シェリングさん死去 ゲーム理論で紛争分析 https://www.asahi.co[...] 朝日新聞デジタル 2019-12-12
[35] 뉴스 トーマス・シェリングさん死去 ゲーム理論で紛争分析 http://www.asahi.com[...] 2016-12-14
[36] 웹인용 Eli M. Noam http://www.citi.colu[...] 컬럼비아 통신정보 연구소 2016-10-16
[37] 웹인용 Curriculum Vitae: Thomas C. Schelling http://www.puaf.umd.[...] University of Maryland School of Public Policy 2008-09-18
[38] 웹인용 NAS Award for Behavior Research Relevant to the Prevention of Nuclear War http://www.nasonlin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011-02-16
[39] 웹사이트 http://www.mancheste[...]
[40] 논문 Models of segregation http://isites.harvar[...]
[41] 서적 Micromotives and Macrobehavior http://books.wwnorto[...] Nort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