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존스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윌리엄 존스컵은 국제 농구 연맹(FIBA) 사무총장을 역임한 레나토 윌리엄 존스를 기리기 위해 1977년 시작된 초청 형식의 농구 토너먼트이다. 중화민국 농구 협회가 주최하며, 각국 대표팀, 유스팀, 클럽팀 등이 참가하여 풀 리그 방식으로 우승팀을 가린다. 남자부에서는 미국이 최다 16회 우승을 차지했으며, 대한민국은 2회 우승했다. 여자부에서는 대한민국이 12회로 최다 우승을 기록했다. 대회는 1989년, 2003년,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세 차례 취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만의 스포츠 -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 위원회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 위원회는 1922년 중국 올림픽 위원회로 IOC 승인을 받아 창설되었고, 국공 내전 후 대만으로 이전, 중화인민공화국과의 논란 후 1981년 IOC와의 협정을 통해 현재 명칭을 사용하며 국제 스포츠 무대에서 활동하고 올림픽 정신을 전파한다. - 1975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크리켓 월드컵
크리켓 월드컵은 국제 크리켓 협의회(ICC)가 주관하는 국제 원데이 국제 크리켓(ODI) 대회로, 오스트레일리아가 최다 우승국이며 세계적인 스포츠 이벤트이다. - 1975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AFC 여자 아시안컵
AFC 여자 아시안컵은 아시아 축구 연맹이 주관하는 여자 축구 국가대항전으로, 1975년 아시아 여자 선수권 대회로 시작하여 2006년부터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FIFA 여자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을 겸하고 2022년부터 12개 팀으로 확대되었다.
윌리엄 존스컵 | |
---|---|
기본 정보 | |
종목 | 농구 |
창립 | 1975년 |
첫 대회 | 1977년 |
웹사이트 | 윌리엄 존스컵 |
운영 | |
참가 팀 수 | 남자: 9, 여자: 6 |
최근 대회 | 2024년 윌리엄 존스컵 |
남자부 최다 우승 | (16회) |
여자부 최다 우승 | (12회) |
최근 우승팀 | |
남자부 | 스트롱 그룹 애슬레틱스 (1회 우승, 국가 통산 7회) |
여자부 | 일본 유니버시아드 (1회 우승, 국가 통산 5회) |
관련 대회 | |
관련 대회 | FIBA 스탄코비치 컨티넨탈 챔피언스컵 |
이전 명칭 | |
이전 명칭 | 윌리엄 존스컵 국제 농구 초청 경기 |
2. 역사
이 대회는 1964년 도쿄에서 열린 FIBA 세계 회의에서 아시아에 지역 위원회 지위를 부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영국인 레나토 윌리엄 존스를 기리기 위해 1977년에 기획되었다. 레나토 윌리엄 존스는 1963년 타이베이에서 열린 아시아 농구 선수권 대회에도 참석했다.[1]
초청 형식의 대회이며, 참가팀은 각국 국가대표팀, 유스팀, 클럽팀, 선발팀 등 다양하다. 주최국인 대만은 2팀(보통 A팀, B팀 또는 블루팀, 화이트팀)이 출전한다.[8] 대회는 풀 리그 방식으로 진행되며, 승점에 따라 순위가 결정된다.
중화민국 농구 협회가 주최하는 이 초청 대회는 1975년 중화인민공화국이 ABC(현 FIBA 아시아)의 정식 회원으로 가입한 후 만들어졌다.[1] 레나토 윌리엄 존스가 대만에 야구 외의 스포츠를 보급하려 시작한 것이 유래이다.[8]
1977년에 제1회 대회가 개최되어 매년 7월경에 열린다. 초청 형식의 대회이며, 참가팀은 각국 대표팀, 유스팀, 클럽팀, 선발팀 등 다양하며, 주최국인 대만은 2팀이 출전한다. 대회는 풀 리그 방식으로 우승을 다툰다.
윌리엄 존스컵은 세 차례 취소되었다. 1989년에는 주요 경기장이 화재로 피해를 입었고, 2003년에는 사스 유행으로 인해, 2020년부터 2022년까지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취소되었다.[2]
2007년 대회는 마쓰다가 타이틀 스폰서를 맡았다.
3. 대회 방식
4. 역대 우승팀
연도(회) 우승 준우승 3위 1977(제1회) 애슬리츠 인 액션 이스턴 워싱턴 대학교 플라잉 캐멀 1978(제2회) American Buluside American College 1979 개최되지 않음(남자·여자) 1980(제3회) 1981(제4회) 노던 시멘트 1982(제5회) 1983(제6회) 밴더빌트 대학교 머레이 인터내셔널 메탈즈 1984(제7회) 1985(제8회) 산 미겔 1986(제9회) 1987(제10회) 서독 1988(제11회) 1989 개최되지 않음(남자·여자) 1990(제13회) A-10 올스타즈 1991(제14회) 1992(제15회) 마라톤 오일 USK 프라하 1993(제16회) 하와이 대학교 홍궈 스파르타크 1994(제17회) 위룽 1995(제18회) 홍궈 1996(제19회) 1997(제20회) 캥거루 점프 스태티바=리투에스 리투스 광화 1998(제21회) PBA 백주년 기념 1999(제22회) 2000(제23회) 2001(제24회) 로코모티프 노보시비르스크 2002(제25회) Great Mates 앨버타 대학교 2003 개최되지 않음(남자·여자) 2004(제26회) (백) 퍼스 와일드캐츠 2005(제27회) 패싱 레인 2006(제28회) 애슬리츠 인 액션 2007(제29회) 2008(제30회) 애슬리츠 인 액션 U-19 2009(제31회) 2010(제32회) 2011(제33회) 2012(제34회) 마람 테헤란 피츠버그 대학교 그린즈버그 2013(제35회) 2014(제36회)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청) 2015(제37회) (청) 2016(제38회) 마이티 스포츠 (A) 2017(제39회) 캐나다 건국 150주년 아틀레타스 올스타 2018(제40회) 3D 글로벌 스포츠 2019(제41회) 마이티 스포츠 2020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개최되지 않음 2021 2022 연도(회) 우승 준우승 3위 1977(제1회) 대한민국 올스타 캐세이 생명 크리스타 드림 1978(제2회) 개최되지 않음(여자) 1979(제-회) 대한민국 올스타 중화항공 1980(제3회) 1981(제4회) 1982(제5회) 1983(제6회) 1984(제7회) 1985(제8회) 1986(제9회) 개최되지 않음(여자) 1987(제10회) 1988(제11회) 1989 개최되지 않음(남자·여자) 1990(제13회) 1991(제14회) 1992(제15회) 아메리칸 올스타 일본 1993(제16회) 캐세이 생명 1994(제17회) 대한민국 알 하사 1995(제18회) 캐세이 생명 1996(제19회) 1997(제20회) 대한민국 캐세이 생명 1998(제21회) 1999(제22회) 2000(제23회) 2001(제24회) 개최되지 않음(여자) 2002(제25회) 2003 개최되지 않음(남자·여자) 2004(제26회) 2005(제27회) 저장 화둥 2006(제28회) 2007(제29회) 2008(제30회) 2009(제31회) 대한민국 2010(제32회) 신세계 쿨캣 대학 올스타 2011(제33회) 일본 2012(제34회) 캐세이 생명 중화텔레콤 일본 2013(제35회) 대한민국 일본 2014(제36회) 캐나다 덴소 아이리스 대한민국 2015(제37회) 2016(제38회) 2017(제39회) 2018(제40회) 2019(제41회) 미쓰비시 전기 코알라스 2020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취소 2021 2022 2023 샹송 V-매직 부산 BNK 썸 중화민국 블루 2024 일본 유니버시아드 중화민국 블루 중화민국 화이트
2023년에는 일본 샹송 화장품 샹송 V 매직이 우승을 차지했다.[1]
4. 1. 남자부
윌리엄 존스컵 남자부 역대 최다 우승팀은 미국(16회)이다. 대한민국은 1999년과 2014년에 우승하여 총 2회 우승을 차지했으며, 필리핀(7회), 이란(5회)이 그 뒤를 잇고 있다. 중화 타이베이(대만)와 요르단도 각각 2회 우승했으며, 요르단은 아랍 국가 중 유일한 우승국이다.
국가 | width=70px| | width=70px| | width=70px| | 합계 |
---|---|---|---|---|
align=left| | 16 | 5 | 6 | 27 |
align=left| | 7 | 1 | 3 | 11 |
align=left| | 5 | 2 | 0 | 7 |
align=left| | 3 | 4 | 0 | 7 |
align=left| | 2 | 10 | 5 | 17 |
align=left| | 2 | 7 | 7 | 16 |
align=left| | 2 | 1 | 0 | 3 |
align=left| | 1 | 1 | 2 | 4 |
align=left| | 1 | 1 | 1 | 3 |
align=left| | 1 | 0 | 1 | 2 |
align=left| | 1 | 0 | 0 | 1 |
align=left| | 1 | 0 | 0 | 1 |
align=left| | 0 | 2 | 1 | 3 |
align=left| | 0 | 2 | 0 | 2 |
align=left| | 0 | 1 | 1 | 2 |
align=left| | 0 | 1 | 0 | 1 |
align=left| | 0 | 1 | 0 | 1 |
align=left| | 0 | 1 | 0 | 1 |
align=left| | 0 | 1 | 0 | 1 |
align=left| | 0 | 1 | 0 | 1 |
align=left| | 0 | 0 | 4 | 4 |
align=left| | 0 | 0 | 2 | 2 |
align=left| | 0 | 0 | 2 | 2 |
align=left| | 0 | 0 | 1 | 1 |
align=left| | 0 | 0 | 1 | 1 |
align=left| | 0 | 0 | 1 | 1 |
align=left| | 0 | 0 | 1 | 1 |
align=left| | 0 | 0 | 1 | 1 |
align=left| | 0 | 0 | 1 | 1 |
4. 1. 1. 역대 대회 결과 (남자부)
국가 | width=70px| | width=70px| | width=70px| | 합계 |
---|---|---|---|---|
align=left| | 16 | 5 | 6 | 27 |
align=left| | 7 | 1 | 3 | 11 |
align=left| | 5 | 2 | 0 | 7 |
align=left| | 3 | 4 | 0 | 7 |
align=left| | 2 | 10 | 5 | 17 |
align=left| | 2 | 7 | 7 | 16 |
align=left| | 2 | 1 | 0 | 3 |
align=left| | 1 | 1 | 2 | 4 |
align=left| | 1 | 1 | 1 | 3 |
align=left| | 1 | 0 | 1 | 2 |
align=left| | 1 | 0 | 0 | 1 |
align=left| | 1 | 0 | 0 | 1 |
align=left| | 0 | 2 | 1 | 3 |
align=left| | 0 | 2 | 0 | 2 |
align=left| | 0 | 1 | 1 | 2 |
align=left| | 0 | 1 | 0 | 1 |
align=left| | 0 | 1 | 0 | 1 |
align=left| | 0 | 1 | 0 | 1 |
align=left| | 0 | 1 | 0 | 1 |
align=left| | 0 | 1 | 0 | 1 |
align=left| | 0 | 0 | 4 | 4 |
align=left| | 0 | 0 | 2 | 2 |
align=left| | 0 | 0 | 2 | 2 |
align=left| | 0 | 0 | 1 | 1 |
align=left| | 0 | 0 | 1 | 1 |
align=left| | 0 | 0 | 1 | 1 |
align=left| | 0 | 0 | 1 | 1 |
align=left| | 0 | 0 | 1 | 1 |
align=left| | 0 | 0 | 1 | 1 |
4. 2. 여자부
윌리엄 존스컵 여자부에서는 대한민국이 12회로 최다 우승을 차지했다. 미국이 9회, 중화 타이베이(대만)가 8회로 그 뒤를 이었으며, 일본은 5회 우승했다.4. 2. 1. 역대 대회 결과 (여자부)
역대 윌리엄 존스컵 여자부 대회 결과는 다음과 같다.연도 | 우승 | 준우승 | 3위 |
---|---|---|---|
1977 | 대한민국 올스타 | 캐세이 생명 | 크리스타 드림 |
1978 | 미개최 | ||
1979 | 미국 | 대한민국 올스타 | 중화항공 |
1980 | 대한민국 | 중화민국 | 미국 |
1981 | 대한민국 | 미국 | 중화민국 |
1982 | 캐나다 | 미국 | 오스트레일리아 |
1983 | 대한민국 | 이탈리아 | 네덜란드 |
1984 | 미국 | 브라질 | 이탈리아 |
1985 | 미국 | 캐나다 | 대한민국 |
1986 | 미개최 | ||
1987 | 미국 | 대한민국 | 서독 |
1988 | 대한민국 | 미국 | 중화민국 |
1989 | 주 경기장의 화재로 취소 | ||
1990 | 헝가리 | 중화민국 | 브라질 |
1991 | 대한민국 | 일본 | 미국 |
1992 | 미국 올스타 | 호주 유스 | 일본 |
1993 | 캐세이 생명 | 일본 | 미국 |
1994 | 미국 | 대한민국 | 알 하사 |
1995 | 캐세이 생명 | 대한민국 | 미국 |
1996 | 미국 | 슬로바키아 | 오스트레일리아 |
1997 | 대한민국 | 미국 | 캐세이 생명 |
1998 | 미국 | 중화민국 | 일본 |
1999 | 중화민국 | 뉴질랜드 | 오스트레일리아 |
2000 | 미국 | 일본 | 중화민국 |
2001 | 미개최 | ||
2002 | 러시아 | 중화민국 | 일본 |
2003 | SARS 유행으로 인해 취소 | ||
2004 | 중화민국 블루 | 대한민국 | 중화민국 화이트 |
2005 | 중화민국 | 뉴질랜드 | 저장 화동 |
2006 | 일본 | 중화민국 | 이탈리아 |
2007 | 오스트레일리아 | 중화민국 블루 | 미국 |
2008 | 중화민국 | 오스트레일리아 | 대한민국 |
2009 | 대한민국 | 중화민국 | 일본 |
2010 | 대한민국 | 중화민국 | 대학 올스타 |
2011 | 중화민국 | 일본 | 중화 타이베이 대학교 |
2012 | 캐세이 생명 | 중화텔레콤 | 일본 |
2013 | 대한민국 | 일본 | 중화민국 |
2014 | 캐나다 | 덴소 아이리스 | 대한민국 |
2015 | 대한민국 | 일본 B | 중화민국 A |
2016 | 대한민국 | 일본 | 중화민국 A |
2017 | 일본 U24 | 중화민국 블루 | 뉴질랜드 |
2018 | 뉴질랜드 | 일본 B | 중화민국 A |
2019 | 미쓰비시 전기 코알라스 | 뉴질랜드 | 중화민국 화이트 |
2020 |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취소 | ||
2021 | |||
2022 | |||
2023 | 샹송 V-매직 | 부산 BNK 썸 | 중화민국 블루 |
2024 | 일본 유니버시아드 | 중화민국 블루 | 중화민국 화이트 |
국가별 메달 집계는 다음과 같다.
국가 | width=70px | | width=70px | | width=70px | | 합계 |
---|---|---|---|---|
align=left | | 12 | 6 | 3 | 21 |
align=left | | 9 | 4 | 5 | 18 |
align=left | | 8 | 12 | 15 | 35 |
align=left | | 5 | 9 | 5 | 19 |
align=left | | 2 | 1 | 0 | 3 |
align=left | | 1 | 3 | 1 | 5 |
align=left | | 1 | 2 | 3 | 6 |
align=left | | 1 | 0 | 0 | 1 |
align=left | | 1 | 0 | 0 | 1 |
align=left | | 0 | 1 | 2 | 3 |
align=left | | 0 | 1 | 1 | 2 |
align=left | | 0 | 0 | 1 | 1 |
align=left | | 0 | 0 | 1 | 1 |
align=left | | 0 | 0 | 1 | 1 |
align=left | | 0 | 0 | 1 | 1 |
align=left | | 0 | 1 | 0 | 1 |
align=left | | 0 | 0 | 1 | 1 |
5. 대한민국 농구 국가대표팀의 참가
대한민국 농구 국가대표팀은 1978년 대회에 처음 참가하여 준우승을 차지했고,[2] 1999년 대회 결승에서 대만을 꺾고 첫 우승을 차지했다.[3] 2014년에는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단일팀으로 출전하여 우승했으며,[4] 2016년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기록했다.[5]
연도(회) | 대한민국 |
---|---|
1978(제2회) | 준우승 |
1986(제9회) | |
1988(제11회) | |
1991(제14회) | |
1998(제21회) | |
1999(제22회) | 우승 |
2000(제23회) | |
2001(제24회) | |
2011(제33회) | |
2013(제35회) | |
2014(제36회) | 우승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단일팀) |
2016(제38회) | 준우승 |
2017(제39회) | |
2018(제40회) | |
2019(제41회) |
5. 1. 남자부
威廉·瓊斯盃國際籃球邀請賽중국어 남자부 경기는 1977년에 처음 시작되어, 1979년, 1989년, 그리고 2003년을 제외하고 매년 개최되고 있다. 2020년부터 2022년까지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대회가 열리지 않았다.[1]대한민국은 1978년 대회에 처음 참가하여 준우승을 차지했고,[2] 1999년 대회 결승에서 대만을 꺾고 첫 우승을 차지했다.[3] 2014년에는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단일팀으로 출전하여 우승했으며,[4] 2016년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기록했다.[5]
연도(회) | 우승 | 준우승 | 3위 |
---|---|---|---|
1978(제2회) | American Buluside | American College | |
1986(제9회) | |||
1988(제11회) | |||
1991(제14회) | |||
1998(제21회) | PBA 백주년 기념 | ||
1999(제22회) | |||
2000(제23회) | |||
2001(제24회) | 로코모티프 노보시비르스크 | ||
2011(제33회) | |||
2013(제35회) | |||
2014(제36회)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 (청) | |
2016(제38회) | 마이티 스포츠 | (A) | |
2017(제39회) | 캐나다 건국 150주년 | 아틀레타스 올스타 | |
2018(제40회) | 3D 글로벌 스포츠 | ||
2019(제41회) | 마이티 스포츠 |
6. 한국 농구에 미친 영향
레나토 윌리엄 존스 초대 FIBA 사무총장이 대만에 야구 외의 스포츠를 보급하기 위해 윌리엄 존스컵을 시작했다.[8] 이 대회는 1977년부터 매년 7월경에 열리는 초청 형식의 대회로, 각국 대표팀, 유스팀, 클럽팀, 선발팀 등이 참가하며 주최국인 대만은 2팀이 출전한다. 대회는 풀 리그 방식으로 우승을 가린다.
윌리엄 존스컵은 한국 농구에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을 모두 주었다.
6. 1. 긍정적 영향
William Jones Cup영어은 대한민국 농구 국가대표팀에게 국제 대회 경험을 쌓을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하였다. 특히, 올림픽이나 FIBA 농구 월드컵과 같은 주요 대회를 앞두고 전력을 점검하고 새로운 선수들을 발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젊은 선수들이나 국제 경험이 부족한 선수들에게는 국제 무대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6. 2. 부정적 영향
윌리엄 존스컵은 매년 7월경에 개최되어 한국프로농구(KBL) 리그 일정과 겹치는 경우가 있어 선수 차출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참조
[1]
뉴스
All about the Jones Cup
http://www.philstar.[...]
The Philippine Star
2016-03-09
[2]
뉴스
Taiwan cancels this year's William Jones Cup due to COVID-19
https://focustaiwan.[...]
2020-07-03
[3]
뉴스
U.S. clips New Zealand in Jones Cup basketball
https://news.google.[...]
Lawrence Journal-World
2015-12-29
[4]
뉴스
Sport in Brief - Basketball
https://news.google.[...]
The Glasgow Herald
2015-12-29
[5]
뉴스
Rutger's player stars in victory
https://news.google.[...]
Gadsden Times
2015-12-29
[6]
웹사이트
3D Canada Brings On Kyle Julius as Head Coach for 39th William Jones Cup
http://www.asia-bask[...]
Eurobasket News
2017-06-23
[7]
뉴스
Canadian Roster Announced for The 39th William Jones Cup
http://www.3dglobals[...]
3D Global Sports Canada
2017-06-23
[8]
문서
ちなみに2代目はボリスラヴ・スタンコビッチで、FIBAアジアチャレンジという彼の名前を冠した大会もある。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여자 농구 대표팀, 타이완 30점 차 완파…존스컵 3승 1패
여자농구, 존스컵 3차전서 필리핀에 22점 차 완승
여자 농구대표팀, 존스컵 2차전서 일본 2진급에 역전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