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 위원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 위원회는 중화민국(대만)의 국가 올림픽 위원회이다. 1922년 중화 아마추어 체육 연합회로 시작하여, 중국 올림픽 위원회로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의 승인을 받았으나, 국공 내전 이후 중화민국 정부가 대만으로 이전하면서 올림픽 참가가 어려워졌다. 1979년 IOC는 중화인민공화국을 중국 대표로 승인하고, 중화민국에 국호, 국기, 국가 변경을 요구했다. 1981년 중화민국은 IOC와 협약을 체결하여 '중화 타이베이' 명칭과 새로운 깃발, 엠블럼을 사용하기로 합의했고, 1984년 사라예보 동계 올림픽부터 중화 타이베이 명칭으로 참가했다. 현재는 매화기를 사용하며,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 위원회 찬가를 국가 대신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만의 스포츠 - 윌리엄 존스컵
    윌리엄 존스컵은 FIBA 사무총장 레나토 윌리엄 존스를 기념하기 위해 1977년 시작되어 중화민국 농구 협회가 주최하는 국제 농구 초청 토너먼트이며, 다양한 국가의 팀들이 참가하여 풀 리그 방식으로 우승을 겨룬다.
  • 대만의 스포츠 행정 기구 - 중화민국 축구 협회
    중화민국 축구 협회는 타이완의 축구 협회로서 FIFA와 AFC의 회원국이며, 국가대표팀 운영 및 국내 리그 관리, 유소년 육성 및 재정 자립도 강화를 통해 대만 축구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1922년 설립 - 소련
    소련은 1922년 결성되어 15개의 공화국으로 구성된 사회주의 연방 국가였으며, 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과 함께 초강대국으로 부상했으나, 1991년 해체되었다.
  • 1922년 설립 - 조선극장
    조선극장은 일제강점기 경성부에 개관하여 연극, 영화 상영 등 조선인들의 문화 향유 및 민족의식 고취에 기여했으나 화재로 소실되어 폐관되었다.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 위원회
기본 정보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 위원회 엠블럼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 위원회 엠블럼
국가중화민국(타이완)
IOC 코드TPE
창립1922년 4월 3일 (중국으로)
승인1922년 (중국으로)
1960년 1월 1일 (중화민국으로)
1981년 3월 23일 (CTNOC로)
소속아시아 올림픽 평의회(OCA)
본부타이완(중화민국) 타이베이시 중산구 주룬가 20호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조직
위원장린훙다오
사무총장리위팡 프랜시스

2. 역사

1922년 4월 3일에 베이징에서 중화 아마추어 체육 연합회(中華業餘運動聯合會)가 창설되었다. 이 기구는 같은 해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IOC 총회에서 "중국 올림픽 위원회"로 승인받았다.[1] 1924년 7월에는 상하이에서 중화 전국 체육 협진회(中華全國體育協進會)로 개편되었고, 1932년 로스앤젤레스 하계 올림픽에서 중화민국 선수단이 처음으로 올림픽에 참가했다.[3][4]

국공 내전 이후 중국 국민당이 중화민국 정부를 타이완으로 이전하면서 중화민국 국가 올림픽 위원회도 타이완으로 이전했다.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은 각각 자신이 중국을 대표하는 유일한 합법 정부임을 주장했고, 올림픽 참가 자격을 둘러싼 논란이 국제 스포츠계에서 이어졌다.[7][8] 1971년 유엔 총회 결의 제2758호에 따라 중화인민공화국이 유엔에서 중국을 대표하는 유일한 합법 정부로 승인되면서, 국제 스포츠계에서도 중화민국을 축출하고 중화인민공화국의 참가를 허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1973년 아시아 경기 연맹은 중화인민공화국 가입을 승인하면서 중화민국은 자동 추방되었고, 1976년 몬트리올 하계 올림픽에서는 캐나다 정부가 중화민국의 국호, 국기, 국가 사용을 제한하자 중화민국은 대회에 불참했다.[9][10]

1979년 일본 나고야에서 열린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집행위원회는 중화인민공화국중국 올림픽 위원회를 중국을 대표하는 국가 올림픽 위원회로 승인했다. 그리고 중화민국이 올림픽과 국제 스포츠 대회에 참가하려면 국호, 국기, 국가를 변경해야 한다고 결정했다.[5][12] 이에 1981년 3월 23일 중화민국은 스위스 로잔에서 IOC와 협정을 체결하여 중화 타이베이라는 국호를 사용하기로 합의했다.[8][13] 1986년에는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OCA)가 대한민국 서울에서 열린 총회에서 중화민국의 OCA 재가입을 승인하여 아시안 게임에 복귀할 수 있게 되었다.

2. 1. 중화민국 시기 (1922년 ~ 1949년)

1922년 4월 3일, 베이징에서 중화민국의 스포츠 발전을 담당하던 기구인 중화 아마추어 체육 연합회(中華業餘運動聯合會)가 창설되었다.[1] 이 기구는 같은 해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IOC 총회에서 중국을 대표하는 국가 올림픽 위원회인 "중국 올림픽 위원회"로 승인받았다.[2] 1924년 7월에는 상하이에서 중화 전국 체육 협진회(中華全國體育協進會)로 개편되었고,[3] 1932년 로스앤젤레스 하계 올림픽에서는 중화민국 선수단이 처음으로 올림픽에 참가하여 류창춘이 단거리 경주에 출전했다.[4]

당시 조선은 일제 강점기하에 있었고, 많은 독립운동가들이 중국에서 활동하고 있었다. 중화민국의 올림픽 참가는 이러한 한국 독립운동가들에게도 희망과 영감( অনুপ্রেরণা)을 주었을 것이다.

2. 2. 국공 내전과 대만 이전 (1949년 ~ 1970년대)

국공 내전에서 중국 공산당이 승리하고 중국 국민당이 중화민국 정부를 타이완으로 이전하면서, 중화민국을 대표하던 국가 올림픽 위원회도 타이완으로 이전하게 되었다.[5]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은 서로를 중국의 유일한 합법 정부로 주장하며 올림픽 참가 자격을 두고 갈등을 빚었고, 이는 국제 스포츠계에도 영향을 미쳤다.[7][8]

1971년 유엔 총회 결의 제2758호 채택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이 유엔에서 중국을 대표하는 유일한 합법 정부로 인정받고 중화민국은 유엔에서 축출되었다.[9] 이는 국제 스포츠계에도 영향을 미쳐, 1973년 아시아 경기 연맹(AGF)은 중화인민공화국을 가입시키고 중화민국을 추방했다.[9] 1976년 몬트리올 하계 올림픽에서는 캐나다 정부가 하나의 중국 원칙을 이유로 중화민국의 국호, 국기, 국가 사용을 제한하자 중화민국은 대회에 불참하기도 했다.[9][10]

이러한 상황은 한국전쟁 이후 냉전 체제와 맞물려 더욱 복잡해졌다. 대한민국은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성공적으로 개최했지만, 1991년에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함께 유엔에 동시 가입할 수 있었다.

1979년 일본 나고야에서 열린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집행위원회는 중국 올림픽 위원회를 중국 대표로 승인하고, 중화민국에게는 국호, 국기, 국가 변경을 요구했다.[5][12] 결국 1981년 중화민국은 스위스 로잔에서 IOC와 협정을 체결, 중화 타이베이라는 대체 국호를 사용하기로 합의하면서 양안의 올림픽 위원회가 모두 국제 대회에 참가할 수 있게 되었다.[8][13]

2. 3. 중화 타이베이 명칭 사용과 올림픽 복귀 (1979년 이후)

1979년 10월, 일본 나고야시에서 열린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집행위원회는 중화인민공화국중국 올림픽 위원회를 중국 대표로 승인하고, 중화민국(대만) 측에는 국호, 국기, 국가를 변경해야 올림픽에 참가할 수 있다고 결정했다.[5][12] 이는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캐나다 정부가 하나의 중국 원칙을 이유로 중화민국의 국호, 국기, 국가 사용을 제한하여 중화민국이 대회에 불참한 사건[9][10] 이후의 조치였다.

이에 따라 중화민국은 1981년 3월 23일 스위스 로잔에서 국제 올림픽 위원회와 협정을 체결, 중화 타이베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새로운 올림픽기와 엠블럼을 사용하기로 합의했다.[8][13] 이 협정으로 양안의 올림픽 위원회가 모두 올림픽에 참가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중화 타이베이는 1984년 동계 올림픽 사라예보 대회부터 이 명칭으로 올림픽에 참가하기 시작했다.[14]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에서는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OCA)가 대한민국 서울 총회에서 중화민국의 OCA 재가입을 승인하면서, 중화 타이베이는 아시안 게임에도 복귀하게 되었다. 이는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앞두고 한국과 중화 타이베이 간의 스포츠 교류가 활발해지는 계기가 되었다.

3. 상징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 위원회기는 1981년 3월 23일에 제정되었으며, 매화기(梅花旗)라고도 부른다. 매화는 중화민국(대만)의 국화로, 겨울 추위를 이겨내고 피어나는 꽃은 고된 훈련을 통해 좋은 성적을 기록하는 대만 선수들을 상징한다. 파란색, 하얀색, 빨간색은 중화민국의 국기(대만의 국기)에서 유래되었으며, 청천백일 문양은 중화민국을 상징하지만, 국제 올림픽 위원회 승인을 받은 청천백일 문양은 중화민국의 국장(대만의 국장)과 중국 국민당 휘장의 중간 크기이다. 오륜 문양은 올림픽을 상징한다.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 위원회 찬가(中華奧林匹克委員會會歌)는 《중화민국 국기가》를 올림픽 정신을 찬양하는 내용으로 개사한 것으로, 1983년 6월 1일에 국제 올림픽 위원회로부터 승인받았다.[18][19]

3. 1. 올림픽 위원회기 (매화기)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 위원회기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 위원회기는 1981년 3월 23일에 제정되었으며, 매화기(梅花旗)라고도 불린다. 하얀색 바탕 가운데에 매화의 5개 꽃잎 모양을 한 파란색, 하얀색, 빨간색 고리가 있고, 빨간색 고리 안에는 하얀색 매화 문양이 있다. 하얀색 매화 문양 안에는 청천백일 문양과 오륜 문양이 그려져 있다.

매화는 중화민국(대만)의 국화로서 겨울 추위를 이겨내고 피어나는 꽃으로, 고된 훈련을 통해 좋은 성적을 기록하는 대만 선수들을 의미한다. 파란색, 하얀색, 빨간색은 중화민국의 국기(대만의 국기)에서 유래되었다. 청천백일 문양은 중화민국(대만)을 상징하지만, 국제 올림픽 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청천백일 문양은 중화민국의 국장(대만의 국장)과 중국 국민당 휘장의 중간 크기이다. 오륜 문양은 올림픽을 상징한다.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 위원회 엠블럼은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 위원회와 중화 타이베이 팀의 상징을 포함하며, 매화 모양이다. 여기에는 올림픽 오륜과 청천백일기가 포함되어 있다.[16]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는 엠블럼과 동일하다.[17] 1981년 6월 국제올림픽위원회의 승인을 받았다.[18][19]

3. 2. 올림픽 위원회 찬가

중화민국 국기가》를 올림픽 정신을 찬양하는 내용으로 개사한 가사를 사용하는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 위원회 찬가(中華奧林匹克委員會會歌)는, 장비더(張彼德)가 작사를 맡았으며, 1983년 6월 1일에 국제 올림픽 위원회로부터 승인을 받았다.[18][19]

원문 (간체)원문 (번체)한어 병음한국어 독음한국어 번역 (비공식)


4. 역대 회장

순서영어 이름중국어 이름임기비고
1왕정정王正廷1922년–1954년
2하오겅성郝更生1954년–1956년아시안 게임 공동 창립자
3저우즈러우周至柔1956년 6월 – 1957년 12월
4덩추안카이鄧傳楷1957년 12월 – 1962년 9월
5양센楊森1962년 2월 24일 – 1973년 6월
6쉬헝徐亨1973년 7월 17일 – 1974년 5월
7선자밍沈家銘1974년 5월 – 1982년 9월심장병으로 사망
8정웨이위안鄭為元1982년 12월 – 1987년 9월
9장펑쉬張豐緒1987년 9월 – 1998년 1월 19일1994년까지 중화전국아마추어체육연합회 회장 겸임
10황다저우黃大洲1998년 1월 19일 – 2006년 1월
11차이천웨이蔡辰威2006년 1월 – 2013년 12월
12린훙다오林鴻道2013년 12월 – 현재

[1]

참조

[1] 웹사이트 中華奧林匹克委員會簡介 http://www.tpenoc.ne[...] 2016-12-10
[2] 간행물 The Biographies of All IOC-members Part VI https://isoh.org/wp-[...]
[3] 웹사이트 Republic of China at the Olympics http://www.topendspo[...] 2016-12-16
[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la84found[...] 2008-11-18
[5] 뉴스 The Latest Threat to the Olympics – And its all over a name The Times 1976-07-10
[6] 웹사이트 Yang C. K. Biography and Olympic Results | Olympics at https://www.sports-r[...] Sports-reference.com
[7] 웹사이트 The Official Report of the Organising Committee for the Games of the XV Olympiad Helsinki 1952 http://www.la84found[...] Werner Soderstrom Osakeyhtio
[8] 웹사이트 奧會模式奧會模式的由來 http://www.tpenoc.ne[...] 2016-12-16
[9] 간행물 Side-Swiped: the IOC and the China Issue at the 1976 Montreal Olympic Games https://isoh.org/wp-[...] 2012
[10] 간행물 Side-Swiped: the IOC and the China Issue at the 1976 Montreal Olympic Games Part 2 https://isoh.org/wp-[...] 2012
[11] 웹사이트 第34 屆奧林匹克研討會 http://www.tpenoc.ne[...] 2016-12-16
[12] 웹사이트 Chinese Olympics Committee website http://en.olympic.cn[...]
[13] 웹사이트 解析「奧會模式」與政治歧視--追記「兩會洛桑協議」之淵源 http://www.sac.gov.t[...] 行政院體育委員會 2008-12-15
[14] 웹사이트 奧會模式 http://www.tpenoc.ne[...] 2016-12-16
[15] 웹사이트 Mainland clarifies name issue of Taiwan Olympic team http://english.sina.[...] Sina English 2008-07-23
[16] 웹사이트 謎底揭開:原來中華奧會一直用黨徽出賽 http://newtalk.tw/ne[...] 2016-09-20
[17] 웹사이트 Paris Olympics 2024: Here’s why Taiwan’s flag, anthem and name are banned from the event https://economictime[...] 2024-08-16
[18] 웹사이트 中華奧會:會歌改歌詞非秘密 http://news.ltn.com.[...] 2009-01-06
[19] 웹사이트 奧會擅改我會歌 官員皆不知 http://www.appledail[...] 2016-12-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