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궁은 전한 시대의 제후왕으로, 강도역왕 유건의 후손으로 추정된다. 원시 2년(2년)에 왕망에 의해 강도역왕의 후사로 광세나라에 봉해졌으나, 신나라 건국 후 작위가 공으로 폄작되었고 이듬해에 작위를 잃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한의 제후왕 - 전한 무제
전한의 제7대 황제인 전한 무제는 54년간 재위하며 유교 기반 중앙집권 강화, 흉노 정벌을 통한 영토 확장, 소금과 철의 전매제 등 경제 개혁을 추진하여 전한의 최전성기를 이끌었으나, 과도한 군사 지출, 사치스러운 생활, 무고의 난 등 부정적인 면모도 보였다. - 전한의 제후왕 - 유굉 (광릉왕)
- 1세기 중국 사람 - 유급
유급은 전한 말기에 신양후에 봉해졌으나, 전한 멸망으로 작위를 잃은 유영의 아들이다. - 1세기 중국 사람 - 반초
반초는 후한 시대의 군인이자 외교관으로,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외교적 수완을 발휘하여 서역 경영에 크게 기여하고 실크로드를 확보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인물이다. - 전한 사람 - 전한 무제
전한의 제7대 황제인 전한 무제는 54년간 재위하며 유교 기반 중앙집권 강화, 흉노 정벌을 통한 영토 확장, 소금과 철의 전매제 등 경제 개혁을 추진하여 전한의 최전성기를 이끌었으나, 과도한 군사 지출, 사치스러운 생활, 무고의 난 등 부정적인 면모도 보였다. - 전한 사람 - 구독
구기(緱起)는 전한 시대에 기후(騎虎)에 봉해지고 태상(太常)을 역임한 인물로, 기원전 32년 사망 후 그의 아들 구숭(求崇)이 기후 자리를 계승했다.
유궁 |
---|
2. 생애
유궁의 가계에 대해서는 《한서》 내 기록이 상이하여 명확하지 않은 부분이 있다.[1][2][3] 평제 치세인 원시 2년(2년), 왕망이 단절된 제후왕의 후사를 잇게 하는 정책을 시행하면서 강도역왕의 후손인 유궁이 광세왕(廣世王)으로 봉해졌다.[1][2][3][4] 이는 강도역왕의 후사가 끊긴 지 121년 만의 일이었다.
광세왕이 된 지 5년째인 6년, 왕망이 전한을 멸하고 신나라를 세우면서 전한 제후왕들의 작위를 일괄적으로 공(公)으로 낮추었다. 이에 따라 유궁도 공으로 폄작되었고, 이듬해에는 그 작위마저 박탈당했다.[2][5]
2. 1. 전한 시기
평제 치세인 원시 2년(2년), 왕망이 단절된 제후왕의 후사를 잇게 하는 정책을 시행하면서 강도역왕의 후손인 유궁이 광세왕(廣世王)으로 봉해졌다.[1][2][3][4] 이는 강도역왕의 후사가 끊긴 지 121년 만의 일이었다. 유궁의 가계에 대해서는 《한서》 내 기록이 달라 명확하지 않은 부분이 있다.[1][2][3]광세왕이 된 지 5년째인 6년, 왕망이 전한을 멸하고 신나라를 세우면서 전한 제후왕들의 작위를 일괄적으로 공(公)으로 낮추었다. 이에 따라 유궁도 공으로 폄작되었고, 이듬해에는 그 작위마저 박탈당했다.[2][5]
2. 1. 1. 가계와 혈통
《한서》의 기록에 따라 유궁의 가계는 다소 불분명한 점이 있다. 평제기에는 유궁이 광세왕이 될 무렵 우이후(雩貽侯)였다고 기록되어 있으나,[1] 제후왕표에는 우이후의 아들이라고 되어 있다.[2] 또한 왕자후표에서는 강도역왕의 아들인 우이후 유몽지(劉蒙之)가 작위를 계승하지 못하고 박탈당했다고 하여[3] 정확한 관계를 파악하기 어렵다.평제 통치 시기인 서기 2년(원시 2년), 왕망은 기존에 후사가 끊긴 제후왕의 후손들을 다시 봉하는 정책을 추진했다. 이에 따라 강도역왕의 후사가 단절된 지 121년 만에 유궁이 강도역왕의 후사를 잇는 자격으로 광세나라 왕에 봉해졌다.[1][2][3][4]
광세왕이 된 지 5년째인 서기 6년, 왕망이 전한을 멸망시키고 신나라를 세우면서 전한의 제후왕들은 일괄적으로 공(公)으로 작위가 강등되었다. 유궁 역시 공으로 폄작되었으며, 이듬해에는 그 작위마저 잃게 되었다.[2][5]
2. 1. 2. 광세왕 즉위
유궁이 광세왕이 될 당시의 신분에 대해서는 기록이 명확하지 않다. 《한서》 평제기에는 우이후(盱眙侯)였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제후왕표에는 우이후의 아들이라고 하며, 왕자후표에서는 강도역왕(江都易王)의 아들인 우이후 유몽지(劉蒙之)는 작위를 잇지 못하고 박탈당했다고 하여 정황이 모호하다.[1][2][3][4]평제 재위 시기인 원시 2년(2년), 왕망은 기존에 단절되었던 제후왕의 후손들을 다시 세우는 정책을 추진했다. 이에 따라 강도역왕의 후사가 끊어진 지 121년 만에 유궁이 그 후사를 잇게 되어 광세나라(廣世-) 왕으로 봉해졌다.[1][2][3][4]
2. 2. 신나라 시기
서기 6년, 왕망이 전한을 무너뜨리고 신나라를 세워 황제의 자리에 올랐다.[2][5] 이로 인해 전한의 제후왕이었던 유궁의 지위에도 변화가 생겼다.[2][5]2. 2. 1. 작위 박탈
광세왕으로 지낸 지 5년째인 서기 6년, 왕망이 전한을 멸하고 신나라를 세우면서 황제에 올랐다.[2][5] 왕망은 전한 제후왕들의 작위를 일괄적으로 공으로 낮추었고, 이에 따라 유궁 역시 광세왕에서 광세공으로 폄작되었다.[2][5] 그리고 이듬해인 서기 7년에는 작위를 완전히 잃었다.[2][5]참조
[1]
서적
한서 권12 평제기제12
[2]
서적
한서 권14 제후왕표제2
[3]
서적
한서 권53 경십삼왕전제23
[4]
문서
광릉왕 봉해 (경십삼왕전)
[5]
문서
왕망의 전한 제후왕 작위 박탈 (시건국 원년)
[6]
문서
여나라 -> 제천나라 개명
[7]
문서
작위 추증, 봉지 없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