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엔 총회 결의 제112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엔 총회 결의 제112호는 1947년 11월 14일 유엔 총회에서 채택된 결의안으로, 한반도의 독립과 통일을 지원하기 위해 유엔 한국 임시위원단을 설치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결의안은 한국인의 선출된 대표들이 문제 해결에 참여하도록 초청하고, 위원단이 한국 전역을 여행하며 관찰, 협의할 권한을 부여하여, 한국의 자유와 독립을 위한 선거 실시와 민족 정부 수립을 권고하는 내용을 포함한다. 또한, 점령군의 철수와 한국의 독립을 위한 프로그램 이행을 촉진하고, 회원국들에게 위원단의 임무 수행에 대한 지원을 요청하며, 한국 문제에 대한 간섭을 자제할 것을 촉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7년 유엔 - 유엔 총회 결의 제177호 (II)
  • 1947년 유엔 - 팔레스타인 분할안
    팔레스타인 분할안은 1947년 유엔 총회에서 채택된 결의안 181호로, 영국 위임 통치령 팔레스타인을 아랍 국가와 유대 국가로 분할하는 내용이지만, 아랍 국가의 반발을 야기하여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의 원인이 되었고 분쟁의 근본적인 해결에 이르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한국-유엔 관계 - 한국과 유엔
    대한민국은 북한과 함께 1991년 유엔에 동시 가입한 이후 유엔을 통해 북한 핵 개발 문제 해결과 인권 개선을 위한 국제 사회의 지지를 확보하고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는 데 기여해왔다.
  • 한국-유엔 관계 - 유엔 총회 결의 제498호
    유엔 총회 결의 제498호는 1951년 한국 전쟁 당시 중국 인민지원군을 침략자로 규탄하고 유엔군의 한국 내 주둔을 정당화하며 미국이 주도하여 채택되었다.
  • 1947년 한국 - 좌우합작운동
    좌우합작운동은 해방 직후 좌우익 대립 심화 속에서 김규식, 여운형 등 중도파가 주도한 민족통일운동으로, 미군정 지원과 좌우합작 7원칙 발표 등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미소공동위원회 결렬, 냉전 심화, 여운형 암살 등으로 실패하여 1947년 해산되었으나, 남북 분단 방지와 통일 정부 수립 노력으로 평가받는다.
  • 1947년 한국 - 장덕수 피살 사건
    장덕수 피살 사건은 1947년 12월 2일 한국민주당 당수 장덕수가 박광옥과 배희범에게 암살당한 사건으로, 김구 연루 의혹이 제기되었고 우익 진영의 분열과 정치적 갈등 속에 배후 및 관련 인물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유엔 총회 결의 제112호
유엔 결의 정보
결의안 번호112
기구총회
날짜11월 14일
년도1947
회의제112차 회의
코드A/RES/112(III)
문서A/RES/112(III)
찬성48
기권1
반대6
불참3
주제한반도 내 총선거 실시
결과결의안 채택

2. 유엔 한국 임시위원단 설립 배경

3. 유엔 한국 임시위원단의 활동과 한계

일제강점기 이후 미군정 시절 유엔 한국 임시위원단이 한반도의 독립, 통일, 그리고 발전 지원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그러나 미소공동위원회에서 미국과 소련의 의견 및 입장 차이, 그리고 북한과 소련의 반대로 인하여 한반도에서 총선거 실시가 매우 어려운 상황이었다.[1][2][3]

1948년 2월 유엔 소총회는 선거가 가능한 지역에서 총선을 하기로 결정했고, 한국 임시위원회가 3월에 승인하면서 남한에서는 5·10 총선거가 치러져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됐다.[4][5][6][7][8] 북한 지역은제1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를 통해서 1948년 9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수립했다.[9][10]

1948년 12월 12일에 유엔 총회유엔 총회 결의 제195호대한민국 정부를 한반도의 인구 대부분을 차지하는 지역에서 선거로 수립된 합법정부이자 유일하게 그러한 정부로 승인하기로 결의했다.[11]

4. 5·10 총선거와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일제강점기 이후 미군정 시절 유엔 한국 임시위원단이 설립되어 한반도의 독립, 통일, 그리고 발전 지원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그러나 미소공동위원회에서 미국과 소련의 의견 및 입장 차이, 그리고 북한과 소련의 반대로 인하여 한반도에서 총선거 실시가 매우 어려운 상황이었다.[1][2][3]

1948년 2월 유엔 소총회는 선거가 가능한 지역에서 총선을 하기로 결정했고, 한국 임시위원회가 3월에 승인하면서 남한에서는 5·10 총선거가 치러져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됐다.[4][5][6][7][8] 북한 지역에서도 제1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를 통해서, 남한지역에서는 남로당원에 의한 선거로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을 선출한 뒤 1948년 9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수립했다.[9][10]

1948년 12월 12일에 유엔 총회유엔 총회 결의 제195호대한민국 정부한반도의 인구 대부분을 차지하는 지역에서 선거로 수립된 합법정부이자 유일하게 그러한 정부로 승인하기로 결의했다. 해방 직후 한반도 전체인구는 대략 2천5백만 정도였는데 이중 당시 남한 지역은 한국 인구의 약 2/3을 차지했다.[11]

5. 북한의 최고인민회의 구성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

6. 유엔 총회 결의 195호와 대한민국의 유일 합법 정부 승인

7. 유엔 한국 임시위원단 결의안 전문

'''A'''

한반도 문제가 총회에 상정된 것은 주로 한국인 자신들의 문제이며, 그 자유와 독립에 관한 것이므로,

이 문제는 토착민 대표들의 참여 없이는 정확하고 공정하게 해결될 수 없음을 총회는 인지한다.

# 한국인의 선출된 대표들이 이 문제에 대한 심의에 참여하도록 초청할 것을 결의한다.

# 이러한 참여를 용이하게 하고 촉진하며, 한국 대표들이 한국 내 군정 당국에 의해 임명된 것이 아니라 실제로 한국인에 의해 정당하게 선출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한국 전역을 여행하고, 관찰하고, 협의할 권한을 가진 유엔 한국 임시위원단을 즉시 설치한다.

'''B'''

총회는,

한국인의 독립에 대한 긴급하고 정당한 요구를 인정하며,

한국의 민족 독립이 재건되고 모든 점령군이 가능한 한 빠른 시일 내에 철수해야 한다고 믿는다.

한국인의 자유와 독립은 한국인 대표들의 참여 없이는 정확하고 공정하게 해결될 수 없다는 이전의 결론과, 선출된 한국인 대표들의 참여를 촉진하고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해 유엔 한국 임시위원단(이하 "위원회")을 설치하기로 한 결정을 상기하며,

# 위원회는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중국, 엘살바도르, 프랑스, 인도, 필리핀, 시리아,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대표들로 구성할 것을 결정한다.

# 1948년 3월 31일 이전에 성인 선거권과 비밀 투표를 기반으로 선거를 실시하여, 위원회가 한국인의 자유와 독립의 신속한 달성에 관해 협의할 수 있는 대표를 선출하고, 이 대표들은 국회를 구성하여 한국의 국가 정부를 수립할 수 있도록 권고한다. 각 투표 지역 또는 구역의 대표자 수는 인구에 비례해야 하며, 선거는 위원회의 감독하에 있어야 한다.

# 선거 후 가능한 한 빨리 국회가 소집되어 국가 정부를 구성하고 위원회에 그 구성을 통보할 것을 권고한다.

# 국가 정부가 수립되는 즉시, 정부는 위원회와 협의하여: (a) 자체 국가 안보군을 구성하고 그 안에 포함되지 않은 모든 군사 또는 준군사 조직을 해산해야 한다: (b) 북한과 남한의 군정과 민간 당국으로부터 정부 기능을 인수받아야 하며, (c) 점령국과 협의하여 가능한 한 빨리, 가능하다면 90일 이내에 한국에서 그들의 군대를 완전히 철수하도록 조치해야 함을 권고한다.

# 위원회는 한국의 민족 독립 달성과 점령군 철수를 위한 상기 프로그램의 이행을 촉진하고 신속하게 처리하며, 한국에서의 관찰 및 협의를 고려하여 그 결론과 함께 총회에 보고하고, 진행 상황에 따라 이 결의의 적용에 대해 중간 위원회(설립된 경우)와 협의할 수 있음을 결의한다.

# 관련 회원국들이 위원회의 임무 수행에 모든 지원과 편의를 제공할 것을 요청한다.

# 유엔의 모든 회원국들에게 한국 독립 수립을 위한 준비 기간 동안 총회의 결정에 따르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한국인의 문제에 간섭하지 말 것을 요청하며, 그 이후에는 한국의 독립과 주권에 저해되는 모든 행위를 완전히 삼갈 것을 요청한다.

''1947년 11월 14일''

''112차 총회''

8. 결론

참조

[1] 웹인용 112 (II), The Problem of the Independence of Korea ! Wilson Center Digital Archive https://digitalarchi[...] 2023-08-31
[2] 저널 The problem of the independence of Korea https://digitallibra[...] 1947
[3] 저널 The Resolution of the UN Interim Committee for the General Election of South Korea in 1948 and Its Significance https://www.kci.go.k[...] 2021
[4] 웹인용 5·10 https://encykorea.ak[...] 2023-08-31
[5] 웹인용 “1948년 5·10총선, 민주주의 원칙 따른 공정성 높은 선거였다” https://www.donga.co[...] 2023-08-31
[6] 저널 5.10 선거와 5.30선거의 비교연구 https://www.dbpia.co[...] 1992-12
[7] 저널 Process of Jeju 4·3―Focusing on the role of the United States https://www.kci.go.k[...] 2007
[8] 웹인용 국회전자도서관 https://dl.nanet.go.[...] 2023-08-31
[9] 웹인용 흑백투표(黑白投票) https://encykorea.ak[...] 2023-08-31
[10] 웹인용 우리역사넷 http://contents.hist[...] 2023-08-31
[11] 웹인용 우리역사넷 http://contents.hist[...] 2023-08-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