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예 (사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예는 북송 말기, 금나라가 세운 괴뢰 정권 제(齊)의 황제였다. 영정군 부성현 출신으로, 1100년 진사에 급제하여 송 왕조의 관료로 일했다. 정강의 변 이후 금나라에 항복하여 동평부 안무사가 되었고, 1130년 금나라의 옹립으로 제나라 황제가 되었다. 그는 다양한 정책을 추진했으나, 금나라와의 관계 악화와 후원자의 실각으로 1137년 제나라는 폐지되었고, 유예는 이후 조왕에 봉해졌으며 1146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유예 (사람)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호칭 | 황제 |
왕조 | 제 |
휘 | 유예 |
자 | 언유 |
생년 | 희녕 6년 (1073년) |
몰년 | 황통 6년 9월 11일 (1146년10월 18일) |
부친 | 유선 |
모친 | 적씨 |
통치 정보 | |
재위 기간 | 천회 8년 9월 9일 - 부창 8년 11월 18일 (1130년10월 12일 - 1138년1월 1일) |
연호 | 천회: 1130년 부창: 1130년 - 1137년 |
수도 | 대명부 → 변경 (개봉부) |
황후 | 전씨 |
2. 생애
영정군 부성현 출신의 농민으로, 원부 3년(1100년) 진사에 급제하여 송나라의 관료가 되었다. 정강의 변(1126년)으로 북송이 금나라에 의해 멸망할 당시 제남부 지부였으나, 건염 2년(1128년) 금나라 군대에 항복하였다.
금나라는 화북 지역의 한족을 직접 통치하는 데 어려움을 느껴 처음에는 장방창을 내세워 괴뢰 국가인 대초를 세웠으나 실패하였다. 이후 건염 3년(1129년), 금나라는 유예를 안무사로 임명하여 여러 지역을 다스리게 하다가, 이듬해인 건염 4년(1130년) 7월, 점몰갈(완안종한)의 주도로 유예를 황제로 추대하여 새로운 괴뢰 국가인 제(齊)를 세웠다. 유예는 9월 9일 황제로 즉위하고 부창이라는 연호를 사용했으며, 이후 수도를 변경으로 옮기고 관제를 정비하는 등 국가 체제를 갖추려 노력했다.
유예는 금나라와 협력하여 남송 공략을 시도했으나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고, 오히려 민심을 잃었다. 금나라 내부에서 유예 정권의 가치가 낮게 평가되던 중, 부창 8년(1137년) 그의 후원자였던 점몰갈이 실각하자 제나라는 건국 8년 만에 폐지되었다. 유예는 촉왕(蜀王)으로 강등되었다가 후에 조왕(曹王)에 봉해졌으며, 황통 6년(1146년)에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와 송나라 관료 시절
영정군 부성현 출신 농민이다. 원부 3년(1100년)에 진사에 급제하여 송나라에서 관료 생활을 시작했다. 정강 원년(1126년), 여진족이 세운 금의 군대가 수도 개봉을 점령하는 정강의 변이 일어나 북송은 사실상 멸망했다. 이때 유예는 제남부 지부로 임명되어 제남부를 지키는 임무를 맡았으나, 건염 2년(1128년) 금나라 군대의 침입에 결국 항복했다.2. 2. 정강의 변과 금나라 투항
영정군 부성현 출신 농민이다.[1] 원부 3년(1100년)에 진사에 급제하여 송 왕조에서 관료로 일했다. 정강 원년(1126년), 정강의 변으로 송나라는 여진족의 금군에게 수도 개봉을 점령당해 멸망한다. 유예는 제남부 지부에 임명되어 제남부를 지켰지만, 건염 2년(1128년) 금군의 침입에 항복했다.당시 금나라는 산동 · 하남 방면에 광범위하게 군사 행동을 전개하고 있었지만, 구 북송 지배하의 한족을 직접 통치할 자신이 없어, 정강 2년(1127년)에 북송의 재상이었던 장방창을 황제로 옹립하고, 금나라의 괴뢰 국가로서의 "대초"를 세워 구 북송의 지배 지역을 간접 통치하려 했다. 그러나 장방창은 북송의 마지막 황제 흠종의 동생 조구(고종)를 황제로 옹립하여 송나라(남송)를 재흥하는 데 협력했고, 후에 살해당했다.
이에 금나라는 건염 3년(1129년) 3월, 유예를 동평부로 옮겨 경동서 회남 등로 안무사로 임명하고 다음 지역들을 다스리게 했다.
건염 4년(1130년) 7월, 점몰갈(완안종한)의 계략에 따라, 유예를 황제로 옹립하여 괴뢰 국가를 세우기로 하고, 국호를 "제(齊)"로, 도읍을 대명부로 정했다. 유예는 9월 9일에 황제로 즉위했지만, 연호는 금나라의 정삭을 받들어 천회 8년으로 했다. 백관을 정한 뒤 동평부로 옮겨 생모의 적씨를 황태후, 측실 전씨[2]를 황후로 삼았다. 11월에는 부창 원년으로 개원하고, 아들 유린을 상서좌승·제로 병마대총관으로 임명한다. 부창 3년(1132년)에는 섬서도 봉토에 더해져 도읍을 변경(개봉부)으로 옮긴다. 상서성이나 육부를 설치하고, 징병을 실시하고, 십분의 일세를 시행, 법률을 정하고 돈을 주조하고 교초를 발행하며, 각지에 횡행하는 비적들을 통째로 끌어안는 등, 과거 이외의 관료 등용 루트를 창설하는 등 의욕적인 정책을 펼쳤기에, 남송에서 제나라로 가서 섬겼다는 예도 나왔다.
금나라의 원수부사 소경이 변경으로 가서 유예와 남송 공략을 상담했을 때, 유예는 송군의 내정을 상세히 보고하거나, 송군 장수의 내응을 꾀하는 등의 공작을 벌였지만, 유예 · 유린 부자는 실전 면에서는 전혀 활약하지 못하고, 오히려 인심을 잃어, 점차 금 · 송 전쟁은 교착 상태에 빠졌으므로, 금나라는 유예의 존재 가치를 낮게 보게 되었다. 그러던 중 부창 8년(1137년)에 유예의 후원자였던 점몰갈이 실각하면서, 제나라 불필요론이 압도했다. 같은 해, 제나라는 불과 8년 만에 폐지되었다.
유예는 촉왕으로 강등되었고, 후에 임황부로 옮겨진다. 황통 3년(1143년), 조왕에 봉해졌다. 황통 6년(1146년)에 사망했다.
덧붙여, 제나라의 영토는 일단 금나라의 지배 하에 들어갔다가, 천권 2년(1139년)에 남송에 반환되었지만, 황통 2년(1142년)의 소흥의 화의에서 다시 정식으로 금나라 영토로 편입되었다.
2. 3. 괴뢰 정권 제(齊) 황제 즉위
정강의 변으로 북송이 멸망한 후, 금나라는 한족이 거주하던 옛 북송 영토를 직접 통치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정강 2년(1127년), 북송의 재상이었던 장방창을 황제로 내세워 괴뢰 국가인 대초(大楚)를 세워 간접 통치를 시도했다. 그러나 장방창은 북송 황족인 조구를 지지하며 남송 건국에 협력하였고, 결국 금나라에 의해 살해당하면서 대초 정권은 오래가지 못했다.금나라는 새로운 괴뢰 정권 수립을 위해 제남부에서 투항한 유예를 주목했다. 건염 3년(1129년) 3월, 금나라는 유예를 동평부로 보내 경동서 회남 등로 안무사(京東西淮南等路 安撫使)로 임명하고, 대명부, 단주, 덕주, 복주, 빈주, 박주, 체주, 창주 등 광범위한 지역의 통치를 맡겼다.
건염 4년(1130년) 7월, 금나라의 실력자 점몰갈의 주도로 유예를 황제로 옹립하여 새로운 괴뢰 국가를 세우기로 결정했다. 국호는 제(齊), 수도는 대명부로 정해졌다. 유예는 같은 해 음력 9월 9일 황제로 즉위하였으나,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지 않고 금나라의 연호인 천회 8년을 그대로 따랐다. 이후 백관을 임명하고 수도를 동평부로 옮겼으며, 자신의 생모 적씨(翟氏)를 황태후로, 측실 전씨(田氏)[2]를 황후로 책봉했다. 같은 해 11월, 부창(阜昌)으로 개원하고 아들 유린을 상서좌승 겸 제로병마대총관(尚書左丞 齊魯兵馬大總管)이라는 요직에 앉혔다.
부창 3년(1132년), 금나라는 섬서 지역까지 제나라의 영토로 편입시켰고, 유예는 수도를 과거 북송의 수도였던 변경(汴京, 현재의 카이펑시)으로 옮겼다. 제나라는 상서성과 삼성 육부를 설치하여 중앙 관제를 정비하고, 징병제를 실시하여 군사력을 확보했으며, 십일세(十一稅) 제도를 시행하고 법률을 제정했다. 또한 독자적인 화폐를 주조하고 교초(交鈔)라는 지폐를 발행했으며, 각지에서 활동하던 비적 세력을 포섭하여 군사력으로 활용했다. 과거 시험 외에도 다양한 경로로 관료를 등용하는 등 적극적인 국가 운영 의지를 보였다. 이러한 정책들로 인해 일부 남송의 관료나 백성들이 제나라로 귀순하는 사례도 나타났다.
2. 4. 제(齊) 통치와 정책
금나라는 정강의 변 이후 화북 지역을 점령했지만, 한족을 직접 통치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처음에는 북송의 재상이었던 장방창을 내세워 괴뢰 국가인 대초를 세웠으나, 장방창이 남송 건국에 협력하면서 실패로 돌아갔다. 이에 금나라는 새로운 괴뢰 정권 수립을 모색하게 되었다.건염 2년(1128년), 제남부를 지키던 유예는 금군의 침입에 항복했다. 금나라는 건염 3년(1129년) 3월, 유예를 동평부로 보내 경동서 회남 등로 안무사로 삼고 대명부, 단주, 덕주, 복주, 빈주, 박주, 체주, 창주 등을 다스리게 했다. 이듬해인 건염 4년(1130년) 7월, 금나라의 실력자 점몰갈(완안종한)의 계획에 따라 유예를 황제로 추대하여 새로운 괴뢰 국가를 세우기로 결정했다. 국호는 제(齊), 도읍은 대명부로 정해졌다. 유예는 음력 9월 9일 황제로 즉위했으나, 연호는 독자적인 것을 사용하지 않고 금나라의 천회 8년을 그대로 따랐다. 이후 백관을 임명하고 수도를 동평부로 옮겼으며, 생모 적씨를 황태후로, 측실 전씨[2]를 황후로 책봉했다. 같은 해 11월에는 부창(阜昌)으로 개원하고, 아들 유린을 상서좌승 겸 제로 병마대총관으로 삼아 군사권을 맡겼다.
부창 3년(1132년), 금나라는 섬서 지역까지 제나라의 영토로 넘겨주었고, 유예는 도읍을 옛 북송의 수도였던 변경으로 옮겼다. 제나라는 상서성과 삼성 육부를 설치하여 중앙 관제를 정비하고, 징병제를 실시했으며, 십분의 일세를 거두었다. 또한 독자적인 법률을 제정하고 화폐를 주조했으며, 교초를 발행하는 등 국가 체제를 갖추려 노력했다. 각지에서 활동하던 비적 세력을 흡수하고, 과거 외의 인재 등용 경로를 마련하는 등 의욕적인 정책을 펼치기도 했다. 이러한 노력 덕분에 일부 남송의 관료들이 제나라로 넘어와 벼슬을 하기도 했다.
유예는 금나라와 긴밀히 협력하며 남송 공략을 시도했다. 금나라 원수부사 소경이 변경으로 와 남송 공격 계획을 논의했을 때, 유예는 송나라 군대의 내부 사정을 상세히 보고하고 송나라 장수들을 상대로 내응 공작을 벌이기도 했다. 그러나 유예와 아들 유린은 실제 전투에서는 별다른 능력을 보여주지 못했고, 백성들의 지지도 얻지 못했다. 결국 금나라와 남송의 전쟁은 교착 상태에 빠졌고, 금나라는 유예 정권의 가치를 낮게 평가하기 시작했다.
부창 8년(1137년), 유예의 강력한 후원자였던 점몰갈이 금나라 내부의 권력 다툼에서 밀려나 실각하자, 제나라를 유지할 필요가 없다는 주장이 힘을 얻었다. 결국 같은 해, 제나라는 건국 8년 만에 금나라에 의해 폐지되었다.
제나라가 폐지된 후 유예는 촉왕(蜀王)으로 강등되었고, 이후 임황부로 옮겨졌다. 황통 3년(1143년)에는 조왕(曹王)에 봉해졌으나, 황통 6년(1146년)에 사망했다. 제나라의 영토는 일단 금나라의 직접 지배 하에 들어갔다가 천권 2년(1139년)에 남송에 일시적으로 반환되었지만, 황통 2년(1142년)에 체결된 소흥의 화의를 통해 다시 금나라의 영토로 정식 편입되었다.
2. 5. 몰락과 죽음
금나라의 원수부사 소경이 변경으로 가서 유예와 남송 공략을 상담했을 때, 유예는 송나라 군대의 내부 사정을 상세히 보고하거나 송나라 장수들의 내응을 유도하는 등 공작을 벌였다. 그러나 유예와 그의 아들 유린 부자는 실제 전투에서는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했고, 오히려 백성들의 신망을 잃었다. 점차 금나라와 남송 간의 전쟁이 교착 상태에 빠지면서, 금나라는 유예의 존재 가치를 낮게 평가하기 시작했다.이러한 상황 속에서 부창 8년(1137년), 유예의 후원자였던 점몰갈(완안종한)이 정치적으로 실각하자, 제나라를 유지할 필요가 없다는 의견이 금나라 내부에서 우세해졌다. 결국 같은 해, 유예가 세운 제나라는 건국 8년 만에 폐지되었다.
제나라가 폐지된 후 유예는 촉왕(蜀王)으로 강등되었고, 이후 임황부로 거처를 옮겼다. 황통 3년(1143년)에는 조왕(曹王)에 봉해졌으나, 황통 6년(1146년)에 사망하였다.
참고로, 제나라의 영토는 폐지 후 일단 금나라의 직접 지배 하에 들어갔다가, 천권 2년(1139년)에 남송에게 반환되었다. 그러나 황통 2년(1142년)에 체결된 소흥의 화의를 통해 다시 정식으로 금나라의 영토로 편입되었다.
참조
[1]
서적
金史
[2]
문서
趙金奴(宋の栄徳帝姫、欽宗の妹で高宗の姉)の侍女。礼法に習熟していた。靖康の変後、劉豫に与えられ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