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학적 검사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전학적 검사법은 특정 표현형을 나타내는 개체에서 원인이 되는 유전자 또는 유전자 집단을 찾아가는 순유전학, 특정 유전자의 기능을 밝히기 위해 유전자 변이를 일으키는 역유전학, 그리고 유전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돌연변이 지도 제작과 위치추적 클로닝으로 나뉜다. 순유전학은 돌연변이 유발 물질을 사용하여 무작위로 유전적 변이를 도입하고 특정 표현형을 보이는 개체를 찾아 유전자를 동정하는 방식이며, 역유전학은 미리 결정된 유전자를 변이시킨 후 표현형을 조사하여 기능을 밝힌다. 돌연변이 지도 제작은 유전자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염색체 상의 유전자 위치를 파악하고, 위치추적 클로닝은 유전자의 대략적인 위치가 알려진 경우, 유전자 도서관을 활용하여 특정 유전자를 찾아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전학 실험 - 그리피스 실험
그리피스 실험은 1928년 프레더릭 그리피스가 폐렴쌍구균을 이용하여 형질전환을 발견한 실험으로, 열처리로 죽은 S형 균주의 '형질전환 인자'가 R형 균주를 S형 균주로 변화시킬 수 있음을 밝혀 DNA가 유전 물질일 가능성을 제시했다. - 유전학 실험 - 허시-체이스 실험
허시-체이스 실험은 앨프레드 허시와 마사 체이스가 박테리오파지 T2를 이용하여 DNA가 유전 물질임을 밝혀낸 실험으로, DNA를 인-32로, 단백질을 황-35로 표지하여 박테리아 감염 과정을 추적한 결과, DNA가 유전 정보를 전달함을 증명했다. - 의학 유전학 - 유전자 검사
유전자 검사는 유전 질환 관련 유전자형, 돌연변이, 표현형 등을 임상적으로 감지하는 검사로, 진단 외 목적으로도 활용되지만 윤리적, 사회적 논란이 있다. - 의학 유전학 - 선천성 대사 이상
선천성 대사 이상은 유전적 원인으로 탄수화물, 아미노산, 유기산, 지방산 등의 대사 과정에 이상이 생기는 질환으로, 신생아 선별 검사를 통해 조기 진단이 가능하며 식이요법, 약물 치료 등으로 치료한다. - 고전유전학 - 대립 유전자
대립 유전자는 염색체 상의 동일한 유전자 자리에 위치하여 서로 다른 표현형을 나타내는 유전자의 변이 형태로, 유전자 활성 차이에 따라 여러 형태로 분류되며 복대립 유전 현상을 통해 다양한 표현형을 만들고 유전 질환 이해 및 유전자 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고전유전학 - 야생형
야생형은 특정 유전자 좌의 표준적인 대립 유전자의 산물로, 돌연변이 대립 유전자와 대비되며, 유전자 매핑 기술 발전에 따라 종의 지리적 범위에 걸쳐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질병 치료, 백신 개발, 농업 생산성 향상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유전학적 검사법 |
---|
2. 순유전학 (Forward Genetics)
순유전학(Forward Genetics)은 특정 표현형을 나타내는 개체로부터 원인 유전자를 찾아가는 접근법이다. 포워드 유전학이라고도 하며, 종래부터 이야기되어 온 유전학적 방법은 대부분 순유전학에 관한 것이다.
역유전학(Reverse Genetics)은 알고 있는 유전자를 파괴한 이후 개체의 표현형을 분석하는 반면, 순유전학은 표현형을 가지고 시작해서 책임지는 유전자를 확인한다. 전방향(순유전학)과 역방향 유전학 검사법 모두 유전자의 기능을 알아내는 것이다.[7]
성공적인 순유전학 검사법은 종종 두 가지 중요 요소를 가진다. 첫째는 사용하는 개체의 알려진 유전자 배경지식이고, 둘째는 관심있는 돌연변이를 확인할 때 간단하지만 일정한 실험적 절차를 이용하는 것이다. 알려진 유전적 배경지식은 연구자가 돌연변이 개체에서 영향을 받은 유전자를 알아차리고 위치를 찾아내는 것을 매우 효과적으로 가능하게 한다. 간소화된 스크리닝 방법은 다수의 개체를 스크린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관심이 있는 돌연변이를 생성하고 확인할 가능성을 높여주기 때문에 이롭다.[7]
자연적인 대립유전자 돌연변이는 드물기 때문에, 스크리닝 이전에 유전학자는 종종 알려진 돌연변이 유발 물질에 노출시켜 개체 집단에 돌연변이를 일으킨다. 이런 돌연변이 유발요인으로는 에틸 메탄술폰산(EMS)과 같은 화학 물질이나 방사선이 있으며, 그것 때문에 염색체 돌연변이의 빈도가 높아진다.[1]
2. 1. 순유전학의 기본 원리
순유전학은 특정 표현형을 보이는 개체를 선별하고, 그 표현형을 유발하는 유전자 또는 유전자 집단을 찾아내는 연구 방법이다. 이는 표현형에서 시작해 원인 유전자를 밝혀내는 과정으로, 크리스티안 뉘슬라인-폴하르트와 에릭 위쇼스가 초파리 연구에 이 방법을 적용한 것으로 유명하다.[7]성공적인 순유전학 연구에는 몇 가지 중요한 요소가 필요하다. 우선, 연구 대상 개체의 유전적 배경 정보가 잘 알려져 있어야 한다. 이를 통해 돌연변이 개체에서 어떤 유전자가 영향을 받았는지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간결하고 일관된 실험 절차를 통해 다수의 개체를 검사함으로써 원하는 돌연변이를 발견할 확률을 높일 수 있다.[7]
자연 상태에서는 돌연변이가 드물게 발생하므로, 연구자들은 종종 에틸 메탄술폰산(EMS)과 같은 화학 물질이나 방사선을 돌연변이 유발 물질로 사용하여 돌연변이 발생 빈도를 인위적으로 높인다.[1] 이를 통해 특정 표현형과 관련된 모든 유전자를 찾아내는 포화 스크리닝을 수행하기도 한다. 크리스티안 뉘슬라인-폴하르트와 에릭 위쇼스는 이러한 유형의 스크리닝 기법을 동물 연구에 처음으로 도입한 과학자들이다.[8]
예를 들어, 생쥐를 EMS로 처리하면 각기 다른 유전적 변이를 갖는 생쥐 집단을 얻을 수 있다. 이 집단에서 특정 행동 이상을 보이는 생쥐가 발견된다면, 해당 생쥐의 유전체 분석을 통해 어떤 유전자에 변이가 발생했는지 확인하여 행동 이상과 관련된 유전자를 규명할 수 있다.
2. 2. 순유전학의 종류
순유전학은 특정 표현형을 나타내는 개체를 통해 관련 유전자나 유전자 집단을 찾아내는 방법이다.종류
- 포화 스크리닝 (Saturation screen): 특정 표현형과 관련된 모든 유전자를 찾기 위한 방법이다. 크리스티안 뉘슬라인-폴하르트와 에릭 위샤우스는 초파리를 이용한 연구에서 이 방법을 처음으로 사용했다.[7][8]
- 인핸서 스크린 (Enhancer screen): 이미 돌연변이가 있는 개체에서, 특정 표현형을 더욱 강화하는 돌연변이를 찾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상호작용하는 유전자나 관련된 다른 유전자들을 찾아낼 수 있다.[7]
- 억제 스크린 (Suppressor screen): 원래 돌연변이의 표현형을 완화하거나 억제하는 두 번째 돌연변이, 즉 억제 돌연변이(suppressor mutation)를 찾는 방법이다.[13] 억제 돌연변이는 원래 돌연변이와 같은 유전자에 있을 수도 있고 (유전자내 억제), 다른 유전자에 있을 수도 있다 (유전자외 억제 또는 유전자간 억제).[1]
- 온도 감수성 스크린 (Temperature sensitive screen): 특정 온도에서만 표현형이 나타나는 돌연변이를 찾는 방법이다. 리 하트웰은 ''S. cerevisiae''(빵효모)에서, 폴 너스는 ''S. pombe''(분열효모)에서 세포 주기에 결함이 있는 돌연변이를 찾는 연구에 이 방법을 활용했다.[7]
3. 역유전학 (Reverse Genetics)
최근의 게놈 프로젝트를 통해 인간이나 생쥐에게 기능이 알려지지 않은 유전자가 다수 발견되었다. 역유전학에서는 이러한 유전자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밝히기 위해, 먼저 연구자가 미리 결정해 둔 유전자만을 변이시킨다. 그 후, 유전자가 변형된 개체의 표현형을 조사하여 해당 유전자의 기능을 밝힌다.
3. 1. 역유전학의 기본 원리
최근의 게놈 프로젝트를 통해 인간이나 생쥐에게 기능이 알려지지 않은 유전자가 다수 발견되었다. 역유전학에서는 이러한 유전자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밝히기 위해, 먼저 연구자가 미리 결정해 둔 유전자만을 변이시킨다. 그 후, 유전자가 변형된 개체의 표현형을 조사하여 해당 유전자의 기능을 밝힌다.3. 2. 역유전학의 종류

RNA 간섭(RNAi) 스크리닝은 역유전학 기술을 이용한 순방향 유전학 스크리닝의 한 종류이다. 대규모 RNAi 조사의 성공은 표현형 분석법의 개발과 해석에 달려있다.[9] RNAi는 초파리의 배양된 세포나 생체 내에서 유전자 기능을 조사하고, 유전자 전체에서 단일 유전자의 기능을 변경하기 위해 적용되었다. 또한, dsRNA를 초파리의 초기 배아에 주입하여 유전자 발현을 침묵시키는데 사용되며, Frizzled 및 Frizzled2 유전자를 간섭하여 wingless 기능 상실을 모방하는 배아 패턴 결함을 생성한다.[15]

CRISPR/Cas는 주로 역유전학적 스크리닝에 사용된다. CRISPR는 수천 개의 정밀한 유전자 변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암 연구에서 새로운 종양을 식별하고 오래된 종양을 검증할 수 있다. 64,751개의 고유한 가이드 서열로 18,080개의 유전자를 표적으로 하는 전체 유전체 CRISPR-Cas9 녹아웃(GeCKO) 라이브러리는 암세포 생존에 필수적인 유전자를 식별한다. 세균성 CRISPR–Cas9 시스템은 형질전환되지 않은 인간 장 오가노이드에서 기능 상실(LOF) 및 기능 획득(GOF) 변이를 모두 ইঞ্জিনিয়ারিং하여 대장암(CRC) 모델을 시연한다. 또한 체세포에서 직접적인 유전자 편집을 가능하게 하여 돌연변이의 기능적 결과를 생체 내에서 연구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다.[7]
최근 게놈 프로젝트를 통해 인간이나 생쥐에게 기능이 알려지지 않은 유전자가 다수 발견되었다. 역유전학에서는 이러한 유전자의 역할을 밝히기 위해, 연구자가 미리 결정해 둔 유전자만을 변이시킨다. 그 후, 유전자가 변형된 개체의 표현형을 조사하여 해당 유전자의 기능을 밝힌다.
4. 돌연변이 지도 제작 (Mapping Mutants)
고전 유전학적 접근 방식을 통해 연구자는 다른 특이한 형질을 가진 개체와 교배하고 두 형질이 함께 유전되는 빈도에 대한 통계를 수집하여 해당 유전자를 염색체에서 찾아내(지도화) 할 수 있다.[4] 고전 유전학자들은 표현형 형질을 사용하여 새로운 돌연변이 대립 유전자를 지도화했다. ''초파리,'' ''애기장대'' 및 ''꼬마선충''과 같은 모델 시스템의 유전체 서열이 등장하면서 매핑을 위한 형질로 사용할 수 있는 많은 단일 염기 다형성(SNP)이 확인되었다.[4] 1980년에 크리스티아네 뉘슬라인-폴하르트와 비샤우스에 의해 개발된 돌연변이 대량 검사를 허용하는 '''하이델베르크 스크린'''은 이 분야의 미래 과학자들에게 길을 열어주었다. SNP는 다양한 유기체 사이에서 1,000개의 염기쌍당 하나의 차수만큼 매우 빈번하기 때문에 매핑에 선호되는 형질이다.[4] 형질전환에 의한 무작위 DNA 삽입 또는 활성 전이인자와 같은 돌연변이 유발 물질도 새로운 돌연변이를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은 새로운 대립 유전자를 유전자의 신속한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알려진 분자 유전자 마커로 태그하는 이점이 있다.[8]
5. 위치추적 클로닝 (Positional Cloning)
위치추적 클로닝은 특정 표현형에 대한 유전자를 찾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으로, 유전자 내 대략적인 염색체 위치가 알려져 있을 때 사용된다.[1] 이 위치는 후보 영역이라고 불린다.[1]
후보 영역은 연관 분석과 같은 기술을 사용하여 초기 단계를 밝힐 수 있다.[1] 위치추적 클로닝은 일반적으로 유전자 도서관(genomic library)에서 부분적으로 겹치는(overlapping) DNA 조각을 분리하여, 염색체를 따라 특정 유전자 쪽으로 진행한다.[1]
위치추적 클로닝 과정에서 연구자는 현재 고려 중인 DNA 조각이 유전자의 일부인지 판단해야 한다.[1] 이를 위해 사용되는 테스트에는 종 간 잡종 형성(cross-species hybridization), 메틸화되지 않은 CpG 섬 식별, 엑손 트래핑, 직접 cDNA 선택, DNA 시퀀스 컴퓨터 분석, 영향을 받은 개체의 돌연변이 스크리닝, 유전자 발현 테스트 등이 있다.[1]
유전적 다형성 영역이 알려진 게놈에서 위치추적 클로닝은 돌연변이 옆에 있는 다형성을 확인하는 것을 포함한다.[1] 이 과정은 이미 알려진 유전자 마커에서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클론되고 시퀀스된 DNA 조각을 통해, 새로운 클론 대립 형질 유전자 가까이 이동한다.[1] 이 과정은 더듬이식 염색체 탐색법(또는 염색체 워킹(chromosome walking))으로 알려진 로커스의 콘틱 맵을 생성한다.[1] 인간 게놈 프로젝트와 같은 게놈 시퀀싱 프로젝트가 완료됨에 따라, 현대 위치추적 클로닝은 게놈 시퀀스 데이터베이스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콘틱을 활용한다.[1]
각 새로운 DNA 클론에서 다형성은 돌연변이 표현형과 유전적 재조합 빈도를 비교하여 지도 제작 집단에서 테스트하고 확인한다.[1] DNA 클론이 돌연변이 대립 유전자 위치에 있거나 그 근처에 있으면 재조합 빈도는 0에 가까워야 한다.[1] 염색체 워킹이 돌연변이 대립 유전자를 통과하면 새로운 다형성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재조합 빈도는 돌연변이 표현형과 비교하여 증가한다.[1] 지도 제작 집단의 크기에 따라 돌연변이 대립 유전자는 작은 영역(<30Kb)으로 좁힐 수 있다.[1] 해당 영역에서 표현형 차이를 일으키는 DNA 돌연변이 위치를 찾기 위해 야생형과 돌연변이 DNA 사이의 시퀀스 비교가 필요하다.[1]
현재 위치추적 클로닝은 게놈 시퀀스 프로젝트에서 직접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후보 영역의 유전자를 분석하여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1] 후보 영역에 잠재적인 질병 유전자가 있으면 우선적으로 처리되어 관련 작업량을 줄일 수 있다.[1] 질병 표현형과 일치하는 발현 패턴을 보이거나, (추정상의) 기능과 관련된 표현형을 보이거나, 표현형과 관련된 다른 유전자와 상동인 경우 등은 모두 우선적인 후보가 된다.[1] 이러한 위치추적 클로닝 기술의 일반화를 위치추적 유전자 발견법(positional gene discovery)이라고도 한다.[1]
위치추적 클로닝은 편향되지 않은 방법으로 질병 유전자를 분리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며, 뒤센 근이영양증, 헌팅턴병, 낭성 섬유증의 질병 유전자를 확인하는 데 사용되었다.[1] 그러나 질병이 유전자좌 이형성(locus heterogeneity)을 가지는 경우 분석법은 복잡해진다.[1]
참조
[1]
서적
Genetics: from genes to genomes
https://archive.org/[...]
McGraw-Hill Higher Education
[2]
논문
The art and design of genetic screens: zebrafish
2001-12
[3]
논문
The art and design of genetic screens: Arabidopsis thaliana
2002-02
[4]
논문
The art and design of genetic screens: Drosophila melanogaster
2002-03
[5]
논문
The art and design of genetic screens: caenorhabditis elegans
2002-05
[6]
논문
The art and design of genetic screens: filamentous fungi
2002-09
[7]
논문
Mutations affecting segment number and polarity in Drosophila
1980-10
[8]
웹사이트
Genetic Screen
http://www.stemcells[...]
Stem Cells Research
2012-05-03
[9]
논문
The art and design of genetic screens: RNA interference
2008-07
[10]
논문
CRISPR: a versatile tool for both forward and reverse genetics research
2016-09
[11]
논문
Spectrum of chemically induced mutations from a large-scale reverse-genetic screen in Arabidopsis
2003-06
[12]
논문
Genetic enhancers
2005-09
[13]
논문
Synthetic viability genomic screening defines Sae2 function in DNA repair
2015-06
[14]
논문
Genetic suppression
2005-12
[15]
논문
RNA Interference (RNAi) Screening in ''Drosophila''
2018-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