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요타덴소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요타덴소배는 일본기원이 주최하고, 토요타 자동차와 덴소가 협찬하며 니혼케이자이 신문이 협력하는 바둑 기전이다. 일본식 규칙으로 진행되며, 각 선수에게 3시간의 제한 시간이 주어진다. 한국의 이창호, 이세돌, 중국의 구리가 우승했으며, 각 국가 및 지역에서 선발된 32명의 선수가 출전한다.
대회는 2년마다 개최되었으며, 총 32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2. 대회 정보
우승 상금은 3000만엔(당시 약 28.5만달러)이었고, 부상으로 1000만엔(당시 약 9.5만달러) 상당의 신형 도요타 자동차가 주어졌다.
2009년 6월 16일, 일본기원은 후원사의 결정에 따라 대회가 중단되었음을 발표했다.
2. 1. 주최, 협찬, 협력
일본의 토요타 자동차와 덴소가 후원하는 이 대회는 일본 기업이 후원하는 최초의 국제 기전으로 여겨졌다.
2. 2. 대국 규정
일본식 바둑 규칙을 따른다. 제한 시간은 각자 3시간이며, 1분 초읽기 5회가 주어진다. 덤은 6집 반이다. 대국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며, 결승전은 제2기 대회부터 3번기(3전 2선승제)로 치러졌다.
2. 3. 참가 선수
총 32명의 선수가 참가하며, 각 국가 및 지역별 할당 인원과 전년도 대회 4강 진출자로 구성된다. 지역별 할당 인원은 다음과 같다.
도요타덴소배는 2002년부터 2009년까지 총 4회 개최되었다. 각 대회별 상세한 대진과 결과는 아래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단, 제1회 대회는 추천 선수 7명, 유럽 1명, 북아메리카 1명 등으로 일부 차이가 있었다.
3. 역대 우승자 및 결승전 결과
회수 연도 우승 전적 준우승 1 2002-2003 대한민국 이창호 九단 1-0 중국 창하오 九단 2 2004-2005 대한민국 이세돌 九단 2-1 중국 창하오 九단 3 2006-2007 대한민국 이세돌 九단 2-1 일본 장쉬 九단 4 2008-2009 중국 구리 九단 2-0 중국 퍄오원야오 五단
4. 역대 대회 상세 결과
4. 1. 제1회
2002년 3월 19일에 1회전이 열렸고, 같은 해 9월 2일, 4일, 6일에 걸쳐 2회전, 3회전, 준결승이 진행되었다. 결승전은 2003년 1월 29일 도쿄의 호텔 그랜드 팰리스에서 열렸으며, 이창호 9단이 창하오 9단을 1-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라운드 | 승자 (국적) | 패자 (국적) |
---|---|---|
1회전 (2002.03.19) | 박지은 (한국) | 위다 기키 (일본) |
위빈 (중국) | A.디너슈타인 (러시아) | |
사오웨이강 (중국) | 조치훈 (일본) | |
유창혁 (한국) | 마샤오춘 (중국) | |
야마시타 게이고 (일본) | 박영훈 (한국) | |
이창호 (한국) | 유시훈 (일본) | |
페르난도 아길라르 (아르헨티나) | 하세가와 나오시 (일본) | |
양자위안 (일본) | 김수장 (한국) | |
이세돌 (한국) | 유키 사토시 (일본) | |
창하오 (중국) | 고마쓰 히데키 (일본) | |
양스하이 (중국) | 장쉬 (일본) | |
왕밍완 (일본) | 장쉬안 (중국) | |
왕레이 (중국) | 린위샹 (중화 타이베이) | |
조훈현 (한국) | 고바야시 고이치 (일본) | |
왕리청 (일본) | 휴렌 양 (미국) | |
천주더 (중국) | 고토 슌고 (일본) | |
2회전 (2002.09.02) | 위빈 (중국) | 박지은 (한국) |
유창혁 (한국) | 사오웨이강 (중국) | |
이창호 (한국) | 야마시타 게이고 (일본) | |
페르난도 아길라르 (아르헨티나) | 양자위안 (일본) | |
창하오 (중국) | 이세돌 (한국) | |
왕밍완 (일본) | 양스하이 (중국) | |
왕레이 (중국) | 조훈현 (한국) | |
왕리청 (일본) | 천주더 (중국) | |
3회전 (2002.09.04) | 위빈 (중국) | 유창혁 (한국) |
이창호 (한국) | 페르난도 아길라르 (아르헨티나) | |
창하오 (중국) | 왕밍완 (일본) | |
왕레이 (중국) | 왕리청 (일본) | |
준결승 (2002.09.06) | 이창호 (한국) | 위빈 (중국) |
창하오 (중국) | 왕레이 (중국) | |
결승 (2003.01.29) | 이창호 (한국) | 창하오 (중국) |
4. 2. 제2회
2004년 8월 21일에 1회전, 23일에 2회전, 25일에 3회전(8강), 27일에 준결승이 열렸다. 결승 3번기는 2005년 1월 5일부터 8일까지 일본 나고야시의 웨스틴 나고야 캐슬에서 진행되었다. 대한민국의 이세돌 9단이 중국의 창하오 9단을 상대로 최종 스코어 2-1로 승리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대회 결과 ===
승자 | 패자 |
---|---|
사카이 슈시 (일본) | 알렉산더 디너슈타인 (러시아) |
최철한 (한국) | 히코사카 나오토 (일본) |
왕레이 (중국) | 페르난도 아길라르 (아르헨티나) |
유키 사토시 (일본) | 조훈현 (한국) |
요다 노리모토 (일본) | 장명구 (미국) |
송태곤 (한국) | 다카오 신지 (일본) |
창하오 (중국) | 펑윈 (미국) |
쑤야오궈 (일본) | 프랭크 얀센 (네덜란드) |
위빈 (중국) | 고바야시 고이치 (일본) |
이세돌 (한국) | 저우쥔쉰 (대만) |
저우허양 (중국) | 미조가미 토모치카 (일본) |
장쉬 (일본) | 왕시 (중국) |
이창호 (한국) | 량진화 (싱가포르) |
구리 (중국) | 야마시타 케이고 (일본) |
쿵제 (중국) | 안드레이 쿠르코프 (러시아) |
유창혁 (한국) | 펑취안 (중국) |
승자 | 패자 |
---|---|
최철한 (한국) | 사카이 슈시 (일본) |
유키 사토시 (일본) | 왕레이 (중국) |
송태곤 (한국) | 요다 노리모토 (일본) |
창하오 (중국) | 쑤야오궈 (일본) |
이세돌 (한국) | 위빈 (중국) |
저우허양 (중국) | 장쉬 (일본) |
이창호 (한국) | 구리 (중국) |
쿵제 (중국) | 유창혁 (한국) |
4. 3. 제3회
(2006.8.26)(2006.8.28)
(2006.8.30)
(2006.9.1)
(2007.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