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패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패스는 1996년 서울특별시 버스운송사업조합이 회수권과 토큰을 대체하기 위해 시범 운영한 충전식 교통카드이다. 2000년 서울교통카드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2005년 티패스를 거쳐 2006년 유패스로 최종 변경되었다.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대중교통에서 사용되었으며, 일부 지역에서도 사용이 가능했다. 2014년 한국스마트카드에 사업이 양도되어 티머니에 통합되면서 단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운임 징수 시스템 - 티머니
티머니는 대한민국에서 사용되는 선불형 교통카드이자 전자결제 시스템으로,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대중교통, 고속도로 통행료 지불, 철도 승차권 구매 등에 사용 가능하며, 기술 발전과 서비스 확장을 통해 전국적인 교통 결제 시스템으로 자리매김했다. - 대한민국의 운임 징수 시스템 - 하나로카드
1998년 부산에서 처음 상용화된 하나로카드는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출시된 교통카드로, 사용 지역이 확대되어 캐시비에 통합되었으며 현재는 캐시비 브랜드로 전국에서 사용 가능하다. -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 - 티머니
티머니는 대한민국에서 사용되는 선불형 교통카드이자 전자결제 시스템으로,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대중교통, 고속도로 통행료 지불, 철도 승차권 구매 등에 사용 가능하며, 기술 발전과 서비스 확장을 통해 전국적인 교통 결제 시스템으로 자리매김했다. -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 - 마스터카드
마스터카드는 1958년에 설립된 미국의 다국적 금융 서비스 기업으로, 신용카드 및 직불카드 결제 처리 네트워크를 운영하며, 2006년 기업공개를 통해 뉴욕 증권 거래소에 상장되었다. - 교통 카드 - 티머니
티머니는 대한민국에서 사용되는 선불형 교통카드이자 전자결제 시스템으로,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대중교통, 고속도로 통행료 지불, 철도 승차권 구매 등에 사용 가능하며, 기술 발전과 서비스 확장을 통해 전국적인 교통 결제 시스템으로 자리매김했다. - 교통 카드 - 교통카드
교통카드는 대중교통 요금 지불을 위해 사용자 카드, 단말기, 중앙처리시스템으로 구성된 시스템을 사용하는 스마트카드로 편리성을 제공하지만 보안 취약성 및 개인정보 노출 위험, 시스템 및 규격의 다양성 등의 단점도 가진다.
유패스 | |
---|---|
개요 | |
![]() | |
위치 | 서울 및 수도권 지역 |
출시 | 1996년 6월 |
중단 | 2014년 10월 15일 |
후속 | 티머니 |
서비스 | |
서비스 대상 | 서울 지하철 서울 버스 |
판매 장소 | 서울 내 가판대 (과거) |
통화 | KRW |
기술 | MIFARE |
운영 | 서울특별시 버스 운송 사업 조합 |
관리 | 서울특별시 버스 운송 사업 조합 |
기타 | |
홈페이지 | 티머니 유패스 통합 안내 (현재는 티머니로 리디렉션됨) |
2. 역사
1995년 9월 15일 서울 시내 고덕동~잠실종합운동장 구간을 운행하는 21-2번 시내버스에서 '''버스 카드''' 시험 운용이 시작되었다. 처음에는 12대의 버스에 단말기가 탑재되었으며, 1996년 1월 1일 27개 노선, 3월 2일에는 65개 노선으로 확대되었다.
1996년 7월 1일, 서울 시내 모든 버스에서 버스카드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1998년 2월에는 카드 보증금 제도가 도입되었으나, 2001년 5월에 폐지되었다.
2000년 '''서울 교통 카드'''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2002년에는 서울 시내 공영 주차장 등에서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2006년 1월, '''U패스'''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14년 5월 28일 신규 충전이 중단되었으며, 2014년 9월 1일 한국스마트카드에 사업 양도가 결정되었다.
2. 1. 버스카드 (1996년 ~ 2000년)
1996년 3월, 서울특별시 버스운송사업조합은 기존의 회수권과 토큰을 대체하기 위해 '버스카드'를 시범 운영하였다. 이는 일부 노선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같은 해 7월부터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전 노선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세계 최초의 충전식 교통카드 시스템이었다. 초기에는 버스정류장 인근 가두판매대에서 버스카드를 구입하고 충전할 수 있었으며, 5% 추가 충전 혜택이 제공되었다.1998년 4월에는 서울-경기 간, 1998년 9월에는 서울-인천 간 버스에서 교통카드를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2. 2. 서울교통카드 (2000년 ~ 2006년)
2000년 1월, 수도권 전철 구간에서 사용되던 후불교통카드(KB 프리패스)와의 호환 문제가 해결되어 모든 종류의 카드를 호환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함께 교통카드의 명칭을 '''서울교통카드'''로 변경하여 판매하기 시작하였다.1998년 2월부터 시행된 카드 보증금 제도는 2001년 5월에 폐지되었다. 보증금 제도 시행 당시 한빛은행(현 우리은행)에서도 구입, 충전, 환불받을 수 있었다.
2002년에는 마을버스와 서울특별시 공영주차장에서도 교통카드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2004년 서울특별시에서 대중교통 체계를 개편하면서, 한국스마트카드에서 새로운 교통카드로 티머니를 출시하였다. 그러나 티머니는 경기, 인천 지역 버스와의 호환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대부분 시민들이 기존처럼 서울교통카드를 사용하였다.
2. 3. 유패스 (2006년 ~ 2014년)
2006년 1월, '유패스'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 2005년 10월에는 기존 '서울교통카드'의 명칭을 '티패스'로 변경하고(이후 유패스로 재변경), 강원도 원주 지역의 교통카드로도 판매하기 시작하였다.[1] 2007년 11월 1일 무료환승 제도 개편으로 티머니, 마이비카드로 대체되었고, 같은 해 12월 31일 사용이 중단되었다.[1] 2014년 9월 1일, 한국스마트카드에 사업을 양도하기로 결정하여 단종 수순을 밟게 되었고, 2014년 10월 15일 티머니에 통합되었다.[1]3. 기술
초기 유패스는 필립스의 MIFARE Standard 1k, Ultralight 기술을 이용하여 제작되었다. 특히 MIFARE Ultralight를 채택한 이유는 Ultralight가 단순한 메모리로 암호화 없는 512비트의 저장 용량을 지원하여 사용자 카드의 가격을 낮출 수 있기 때문이었다. 2000년대 초반까지 MIFARE는 세계적으로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에 널리 쓰였다. 2008년 이후의 신형 유패스는 KS X 6923를 따르는 표준형 카드로 제작된다.[1]
4. 이용
유패스는 서울 시내 지정 판매점, 수도권 전철역 등에서 구입 및 충전이 가능했다. 청소년 할인을 받기 위해서는 인터넷 홈페이지에 등록해야 했다. 하나카드의 일부 신용/체크카드에는 유패스 기능이 탑재되어 있었다.
- 구입: 서울 시내 지정 판매점에서 구입할 수 있었다.
- 할인 카드: 청소년(중, 고등학생)은 할인 카드를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었다. 할인을 계속 적용받으려면 구입 후 10일 이내에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u-pass.kr) 에 등록해야 했으며, 등록 3일 후부터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었다. (미등록 시 일반 요금 차감)
- 신용 카드 겸용 교통 카드: 하나카드에서 발행하는 일부 신용/체크카드에 유패스 기능이 탑재되어 있었다. 이 카드들은 "서울시교통카드" 라고 인쇄되어 있었다.
- 충전: 수도권 전철역에서 충전할 수 있었다. 경기도와 인천광역시 지역의 버스 정류장 근처 매점이나 지하철역 내 승차권 판매소에서도 충전이 가능했다.
- 환불: 서울시 소재 유패스 지정 가맹점, 서울시 소재 우리은행 전 지점(약 1주~10일 소요), 서울특별시 버스운송사업조합(즉시 처리)에서 가능했다.
- 정상 카드 및 사용자 부주의로 인한 파손 카드: 잔액만 반환
- 최초 구입 후 1년 이내 고장 카드: 잔액과 카드 구입 대금 전액 반환
우리은행 ATM에서도 충전 및 환불이 가능했으나, 2014년 11월부로 우리은행 ATM 유패스 충전 기능은 삭제되었다.
4. 1. 사용 지역
수도권(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의 대중교통(버스, 지하철) 및 충청남도 천안시, 아산시 농어촌버스, 강원도 강릉시, 제주도의 대중교통에서 사용 가능하다. 코레일 공항철도와 경기도 시외버스(일부 노선)에서도 사용 가능하다.지역 | 사용 가능한 교통 수단 |
---|---|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 대중교통(버스, 지하철) |
충청남도 천안시, 아산시 | 농어촌버스 |
강원도 강릉시 | 대중교통 |
제주도 | 대중교통 |
코레일 공항철도 | 전 구간 |
경기도 | 시외버스 (일부 노선) |
4. 2. 사용 제한
서울특별시 소속 공항리무진 버스는 2008년 3월부터 신형 티머니 단말기로 교체됨에 따라 유패스 사용이 불가능해졌다. 강원도 원주시는 2007년 12월부터 마이비 단말기로 교체되어 유패스를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참조
[1]
웹사이트
유패스(UPASS) 통합 안내
https://pay.tmoney.c[...]
T-money
2023-12-16
[2]
웹사이트
Showcases – Seoul: World's largest contactless Smart Card installation in full operation in Korea
http://www.mifare.ne[...]
[3]
문서
카드번호가 U 또는 S로 시작하는 카드
[4]
문서
카드번호가 16자리 숫자로 된 카드. 2500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