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머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티머니는 2004년 서울 대중교통 시스템 도입과 함께 사용이 시작된 교통 카드이다.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사용 가능하며, 버스, 지하철, 택시 등에서 요금 결제가 가능하다. 다양한 형태로 출시되었으며, 편의점, 지하철역 등에서 구입 및 충전할 수 있다. 잔액 환불 및 다른 카드로의 이체도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운임 징수 시스템 - 하나로카드
1998년 부산에서 처음 상용화된 하나로카드는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출시된 교통카드로, 사용 지역이 확대되어 캐시비에 통합되었으며 현재는 캐시비 브랜드로 전국에서 사용 가능하다. - 대한민국의 운임 징수 시스템 - 하이패스
하이패스는 차량에 단말기와 하이패스 카드를 사용하여 고속도로 통행료를 정차 없이 자동 결제하는 시스템으로, 다차로 하이패스와 스마트 톨링 시스템 도입으로 더욱 편리해지고 있다. -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 - 마스터카드
마스터카드는 1958년에 설립된 미국의 다국적 금융 서비스 기업으로, 신용카드 및 직불카드 결제 처리 네트워크를 운영하며, 2006년 기업공개를 통해 뉴욕 증권 거래소에 상장되었다. -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 - 교통계 IC 카드 전국 상호 이용 서비스
일본의 교통계 IC 카드 전국 상호 이용 서비스는 10종의 IC 카드를 대상으로 일본 전역의 철도 및 버스에서 상호 이용이 가능하도록 2013년에 시작되었으며, PiTaPa는 제외되고 일부 지역에서는 제한되나, 지역 연계 IC 카드 도입을 통해 서비스 확장을 추진 중이다. - 교통 카드 - 교통카드
교통카드는 대중교통 요금 지불을 위해 사용자 카드, 단말기, 중앙처리시스템으로 구성된 시스템을 사용하는 스마트카드로 편리성을 제공하지만 보안 취약성 및 개인정보 노출 위험, 시스템 및 규격의 다양성 등의 단점도 가진다. - 교통 카드 - 교통계 IC 카드 전국 상호 이용 서비스
일본의 교통계 IC 카드 전국 상호 이용 서비스는 10종의 IC 카드를 대상으로 일본 전역의 철도 및 버스에서 상호 이용이 가능하도록 2013년에 시작되었으며, PiTaPa는 제외되고 일부 지역에서는 제한되나, 지역 연계 IC 카드 도입을 통해 서비스 확장을 추진 중이다.
티머니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티머니 (한꿈이 카드) |
로마자 표기 | T-money |
한글 표기 | 티머니 |
출시일 | 2004년 4월 22일 |
운영사 | (주)티머니 |
관리사 | (주)티머니 |
홈페이지 | 티머니 공식 홈페이지 |
![]() | |
사용 지역 | |
광역 철도 | 수도권 부산 대구 대전 |
시내 버스 | 수도권 (백령도 제외) 대전 세종 충남 대구 부산 울산 제주 등 |
택시 | 카드 리더기가 있는 택시 ( 수도권, 대전, 부산, 대구, 울산, 광주, 제주 등) |
편의점 | 많은 편의점 |
기타 사용 지역 | 강원특별자치도 충청북도 경상북도 (군위군, 영양군 제외) 경상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진도군 제외) |
판매 및 충전 장소 | |
판매 장소 | 지하철역 편의점 및 키오스크 우체국 신용협동조합 하나은행 신한은행 (제주은행) 우리은행 KB국민은행 농협은행 |
결제 정보 | |
통화 | KRW |
최대 충전 금액 | 500,000 KRW |
잔액 만료 | 없음 |
자동 충전 | 가능 |
종류 | |
종류 1 | 티머니 M패스 |
종류 2 | POP 카드 |
기술 정보 | |
기술 1 | ISO/IEC 14443 Type A/B |
기술 2 | KS X 6923/6924 |
2. 역사
2003년 10월 6일 (주)한국스마트카드가 설립되었고, 2004년 4월 22일 하이 서울 페스티벌에서 진행된 공개 투표를 통해 새로운 교통카드의 명칭을 '''티머니'''로 확정지었다.
2004년 6월 14일 티머니 사용이 가능한 신형 단말기가 버스와 지하철에 설치되었으나, 초기에는 오류가 다수 발생하여 새 대중교통 시스템 시행을 연기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2004년 7월 1일 서울특별시의 새로운 대중교통 시스템이 작동을 시작하였으나, 첫날 시스템 오류로 인해 전체 대중교통 수단이 무료로 개방되었다.
2004년 11월 1일 스마트 티머니 카드 판매가 시작된 이후[5], 서비스 지역이 점차 확대되었다. 주요 서비스 지역 확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연도 | 내용 |
---|---|
2004년 | |
2005년 | |
2006년 | |
2007년 | |
2008년 | |
2009년 | |
2010년 | |
2011년 | |
2012년 | |
2013년 | |
2014년 | |
2015년 | |
2016년 |
2. 1. 티머니 도입 및 발전 (2003년 ~ 2010년)
2003년 10월 6일 (주)한국스마트카드가 설립되었다.[5] 2004년 4월 22일에는 하이 서울 페스티벌에서 공개 투표를 통해 새로운 교통카드의 명칭을 '''티머니'''로 확정지었다.[5]2004년 6월 14일, 티머니를 사용할 수 있는 신형 단말기가 버스와 지하철에 설치되었다. 그러나 신형 단말기에서 다수의 오류가 발견되어 새 대중교통 시스템 시행을 연기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5] 2004년 7월 1일, 서울특별시의 새로운 대중교통 시스템이 작동을 시작하였으나, 첫날 시스템 오류로 인해 전체 대중교통 수단이 무료로 개방되었다.[5]
2004년 11월 1일 스마트 티머니 카드 판매가 시작되었고,[5] 2004년 11월 10일 경상북도 안동시 시내버스에서 티머니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5] 이후 티머니 사용 지역은 점차 확대되어, 2005년에는 경상북도 포항시 (10월 1일)[5], 인천광역시 (10월 16일)[5], 제주특별자치도 시내버스·공항버스 (11월 1일)[5], 2006년에는 경기도 시내버스 (11월 13일)[5], 2007년에는 충청남도 천안시, 아산시 시내버스 (6월 1일)[5], 경기도 마을버스 (7월 1일)[5], 강원도 원주시, 횡성군 시내버스 (11월 1일)[5], 2008년에는 서울특별시 공항버스 (2월 3일)[5], 경기도 시외버스·공항버스 (5월 1일)[5], 2009년에는 강원도 강릉시 시내버스 (1월 1일)[5],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및 부산 도시철도 (1월 10일)[5], 전라남도 목포시, 여수시, 광양시 시내버스 (1월 10일)[5], 보령시 시내버스 (6월 1일)[5], 울산광역시 시내버스 (9월 1일)[5], 2010년에는 전라북도 시내버스 (2월 1일)[5], 영주시 시내버스 및 시외버스 (5월 1일)[5], 순천시 시내버스 (10월 1일)[5], 창원시 시내버스 (12월 1일)[5] 등에서 순차적으로 티머니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2005년 12월 6일에는 스마트 티머니의 인터넷 충전 서비스가 시작되었다.[5] 2007년 3월 1일에는 비자캐시 코리아에서 운영하던 대전광역시 교통카드 사업권을 (주)한국스마트카드에서 인수하였다.[5] 2008년 3월 25일에는 (주)한국스마트카드, (주)이비카드, (주)마이비 3사가 교통카드 단말기에 대한민국 표준 기술을 채택하였다.[5]
2. 2. 서비스 지역 확대 (2004년 ~ 2014년)
연도 | 내용 |
---|---|
2004년 | |
2005년 | |
2006년 | |
2007년 | |
2008년 | |
2009년 | |
2010년 | |
2011년 | |
2012년 | |
2013년 | |
2014년 |
2. 3. 전국 호환 및 서비스 확장 (2014년 ~ 현재)
2014년 6월 21일, 국토교통부의 "One card, All pass" 정책에 따라 전국호환 티머니와 팝카드가 출시되었다.[14] 같은 날, 부산교통공사 부산 도시철도 역사 내 교통카드 무인 충전기에서 티머니 충전이 가능해졌다.[14] 11월 1일에는 경상북도 안동시 시내버스에서 기존 탑티머니를 인수하여 티머니로 변경 개통하였고, 주 사용 지역이 아닌 호환 사용 지역에서 지불한 금액도 T-마일리지가 적립되도록 개선되었다.[13] 12월 30일에는 티머니로 한국도로공사의 고속도로 통행료를 지불할 수 있게 되었고, 한국철도공사 철도역 매표소에서 승차권을 구입할 수 있게 되었다.[14]2015년 4월 30일, 마이너스 서비스가 폐지되었다.
2016년 1월 30일, 강원도[15] 및 광주광역시 시내버스와 광주 도시철도에서 티머니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16] 8월 25일에는 CU 제휴 티머니가 출시되었다.[17] 12월 16일에는 전라남도 곡성군, 영광군, 장흥군 농어촌버스에서 티머니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2017년 3월 8일, 경상남도 김해시 시내버스에서 티머니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18]
3. 기술
보급형 티머니는 구형 유패스(서울교통카드)와 같이 마이페어(Mifare) 클래식 기반의 메모리카드이며[19], 스마트(고급형) 티머니는 IC(집적회로) 기반 스마트카드이다. 스마트 티머니에 사용된 KS X 6923은 ISO 14443에 기반을 두고 있어서, ISO 14443 표준을 따르고 있는 다른 교통 카드 시스템과 호환이 가능하다. 그러나 사용자 카드 및 단말기 관련 표준이 제정되기 전에 출시되었으므로 다른 부분은 표준을 따르지 않고 있다.
2005년 이후 보급형 티머니는 더 이상 발행하지 않고 있다. 2005년까지는 네덜란드 필립스(Philips)사의 "Mifare(마이페어)" 기술[3]을 사용했다. "Mifare"는 런던, 베이징, 모스크바의 공공 교통 시스템에서도 채택되었으며[4], 일본의 Felica(펠리카) 기술과는 직접적인 호환성이 없다. 2005년 이후부터 IC카드를 채택하고 있다.
4. 종류
티머니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크게 일반 티머니, 할인 카드, 기타 카드, 관련 카드(티머니 기반)로 나눌 수 있다.
- 일반 티머니: 2004년 7월에 출시된 초기 모델로, 현재는 단종되었다.
- 스마트 티머니: 2004년 12월에 출시된 모델로, 현재 발행되는 대부분의 티머니 카드이다. T-마일리지가 적립된다.
- 인터넷 티머니: 온라인 충전이 가능한 모델이었으나, 현재는 단종되었다.
- 티머니 플러스: 현금영수증 기능이 추가된 모델이었으나, 현재는 단종되었다.
- 티머니 마이너스: 잔액 부족 시 1회 승차가 가능한 모델이었으나, 2015년 4월에 폐지되었다.
- 모바일 티머니: SIM 카드를 이용한 티머니 서비스이다.
- 전국호환 티머니: 국토교통부의 "One card, All pass" 정책에 따라 출시된 카드이다.
- 기타: 휴대전화 고리형, 미니카드형, 밴드형 등이 있다.
- 서울 시티패스: 수도권 대중교통과 서울시티투어버스 이용이 가능한 카드이다.
- 서울 시티패스 플러스: 서울 시티투어 버스 할인 혜택이 추가된 스마트 티머니이다.
- 짱플러스: 홈플러스 상품권 기능이 결합된 카드이다.
- 팝카드: GS25 포인트 및 해피포인트 기능이 결합된 카드이다.
- 한꿈이카드: 대전광역시에서 사용되는 티머니 기반 카드이다.
- 1회용 교통카드: 수도권 전철 전용으로 사용되는 카드이다.
- 수도권 전철 정기권: 수도권 전철 정기 승차권으로만 사용 가능한 카드이다.
- 기후동행카드: 따릉이 및 시내버스 이용이 가능한 정기권이다.
이 외에도, 후불식 신용카드나 학생증과 결합된 형태 등 다양한 종류의 티머니가 있다.
4. 1. 일반 티머니
2004년 7월 티머니 카드 출시 초기에 발행되었던 카드이다. 기능 및 시스템상 기존의 교통 카드인 유패스와 구형 이비카드와 다르지 않다.[19] 현재는 단종되었고 스마트 티머니로 대체되어 더 이상 발행되지 않는다. 보급형과 기능이 동일한 휴대전화 고리형 카드도 판매되었으나, 마찬가지로 단종되었다. 서비스 시작 당시 판매된 카드로, 기존 교통카드와 서비스가 동일했다. 현재는 판매하지 않으며, 수도권 이외 지역에서는 호환되지 않아 사용할 수 없다. 종류는 다음과 같다.종류 |
---|
카드형(성인·청소년·어린이) |
미니 카드형(어린이) |
목걸이형(어린이) |
휴대폰 스트랩형(성인·청소년) |
휴대폰 스트랩형의 세부 종류는 다음과 같다.
종류 |
---|
I형 |
T형 |
원형 |
하트형 |
HUMANIMAL |
T-STRAP |
핸드콘 |
T-Sleek |
T-Glass |
- 스마트 티머니: 2004년 12월에 출시되었고 중앙처리장치를 탑재한 스마트 카드이다. 신형 한꿈이카드를 포함하여 현재 발행 및 유통되는 티머니 카드는 모두 스마트 티머니다. 스마트 티머니는 사용액을 계산하여 T-마일리지를 0.2% 적립하여 준다.
- 인터넷 티머니: 전용 온라인 충전기를 통하여 온라인으로 충전할 수 있는 티머니이다. 소량 제조되어 현재 단종되었다.
- 티머니 플러스: 자기띠를 부착하여 별도의 현금영수증 카드로 사용할 수 있다. 현재는 단종되었다.
- 티머니 마이너스: 카드 잔액이 부족하더라도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수도권 전철을 1회 승차할 수 있다. 서울이 아닌 다른 지역에서 승차하거나 환승 땐 마이너스 승차가 불가능하다. 한국스마트카드 본사에서만 4000KRW에 판매하였다. 2015년 4월 폐지되었다.
- 기타: 휴대전화 고리형, 미니카드형, 밴드형 등이 있다. 밴드형의 종류는 T-band, Color T-band가 있다.
- '''전국호환 티머니''': 국토교통부의 "One card, All pass" 정책을 따라 출시된 전국호환 규격 카드다. 팝카드·서울 시티패스·한꿈이카드의 형태로도 전국호환 카드를 출시했으며, 대중교통안심카드도 원 카드 올 패스 인증형으로 교체됐다.[2] 2016년 3월 기준으로 "원 카드 올 패스" 티머니는 주요 소매점, 대부분의 고속버스 및 일부 시외버스 노선, 고속도로 요금소, 한국철도공사 역, 모든 지하철 및 김해를 제외한 모든 버스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후불식 신용카드 일체형 카드나 학생증과 일체화된 카드 등이 있다.
4. 2. 할인 카드
청소년·어린이 할인카드의 경우 구입 즉시 할인 운임이 적용되나, 구입 후 최초 사용일로부터 10일 이내에 티머니 웹사이트에서 청소년·어린이 할인 카드 등록을 하여야 한다. 등록하지 않으면 최초로 사용한 날로부터 10일 이후부터 일반 운임이 지불된다.[21]이 과정에서 다수의 액티브엑스 설치를 요구함과 동시에 사용하기 까다로운 아이핀·휴대전화 인증으로 인하여 청소년·어린이 할인 등록이 불편하다는 민원이 상당수 제기되었다.[21] 이에 대한 회피책으로 ㈜한국스마트카드는 팩스를 통한 할인 등록 방법을 제시하였다. 티머니 웹사이트에서 청소년·어린이 할인 등록 양식을 다운로드하여 고객센터로 팩스를 보내면 1영업일 내에 할인 정보가 등록된다.
하지만 이후로도 불편 민원이 계속되자, 2015년 3월부터 티머니 할인 등록 방법을 티머니 웹사이트, 서울·인천 수도권 전철 역사, 시중 편의점에서 생년월일만을 등록하는 형태로 바꾸어 청소년·어린이 우대권종 등록 과정이 매우 단순하게 바뀌게 되었다. 따라서 "통합권종" 카드 구입 시, 구입한 편의점에서 즉시 할인 등록을 할 수 있게 되었다.
타 교통카드와 마찬가지로 티머니의 청소년·어린이 할인 우대 기준은 각각 만 19세 생일, 만 13세 생일이다. 등록 시 입력한 생일이 지나면 이후부터 자동으로 각각 일반 운임, 청소년 운임이 지불된다. 할인 카드는 10대(13~18세)용과 아동(7~12세)용 두 종류가 판매된다. 구매하려면 청소년증이나 학생증과 같은 적절한 신분증이 필요하다.
4. 3. 기타 카드
- 보급형 티머니: 2004년 7월 티머니 카드 출시 초기에 발행되었던 카드이다. 기능 및 시스템상 기존의 교통 카드인 유패스와 구형 이비카드와 다르지 않다.[19] 현재는 단종되었고 스마트 티머니로 대체되어 더 이상 발행되지 않는다. 보급형과 기능이 동일한 휴대전화 고리형 카드도 판매되었으나, 마찬가지로 단종되었다.
- 스마트 티머니: 2004년 12월에 출시되었고 중앙처리장치를 탑재한 스마트 카드이다. 신형 한꿈이카드를 포함하여 현재 발행 및 유통되는 티머니 카드는 모두 스마트 티머니다. 스마트 티머니는 사용액을 계산하여 T-마일리지를 0.2% 적립하여 준다.
- 인터넷 티머니: 전용 온라인 충전기를 통하여 온라인으로 충전할 수 있는 티머니이다. 소량 제조되어 현재 단종되었다.
- 티머니 플러스: 자기띠를 부착하여 별도의 현금영수증 카드로 사용할 수 있다. 현재는 단종되었다.
- 티머니 마이너스: 카드 잔액이 부족하더라도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수도권 전철을 1회 승차할 수 있다. 서울이 아닌 다른 지역에서 승차하거나 환승 땐 마이너스 승차가 불가능하다. 한국스마트카드 본사에서만 4,000원에 판매하였다. 2015년 4월 폐지되었다.
- 모바일 티머니: NFC, 혹은 금융기능이 있는 SIM 카드를 휴대전화에 탑재하여 사용하는 교통카드 서비스로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에서 서비스하고 있다. 오프라인 충전이 불가능하다고 오해하는 사용자가 다수 있는데, 타 플라스틱카드와 마찬가지로 오프라인 충전소에서 수수료 없이 충전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는 설치하면 선후불 모두 가능하나 애플은 모바일티머니 앱을 설치해도 스티커를 붙여야 사용을 할수 있으며 비싼 온라인 충전 수수료가 문제시되고 있다.[20]
- '''전국호환 티머니''': 국토교통부의 "One card, All pass" 정책을 따라 출시된 전국호환 규격 카드다. 팝카드·서울 시티패스·한꿈이카드의 형태로도 전국호환 카드를 출시했으며, 대중교통안심카드도 원 카드 올 패스 인증형으로 교체됐다.
- 센스패스 티머니(이전에는 Topcash 티머니): 경상남도와 경상북도(안동 제외)에서 판매. 스마트 티머니와 완벽하게 호환되지 않음.
- 행복이 카드: 대전 지역에서 판매. 스마트 티머니의 리브랜딩 버전임.
- POP 카드: GS25에서 판매. GS&포인트와 해피포인트 멤버십 카드가 결합된 스마트 티머니의 리브랜딩 버전임.
- 나라사랑카드: 신한카드·신한은행 및 국방부에서 발급. POP 카드 기능이 포함된 케이캐시 지원 직불카드임. 이 카드는 ROTC 장교와 대한민국 국군 병사( KATUSA 포함)에게만 발급됨.
- 기타: 휴대전화 고리형, 미니카드형 등이 있다.
- 카드형(성인·청소년·어린이)
- 미니 카드형(어린이)
- 목걸이형(어린이)
- 휴대폰 스트랩형(성인·청소년)
종류 |
---|
I형 |
T형 |
원형 |
하트형 |
HUMANIMAL |
T-STRAP |
핸드콘 |
T-Sleek |
T-Glass |
- 밴드형(성인·청소년·어린이)
종류 |
---|
T-band |
Color T-band |
이 외에도, 후불식 신용카드 일체형 카드나 학생증과 일체화된 카드 등이 있다.
4. 4. 관련 카드 (티머니 기반)
- '''보급형 티머니''': 2004년 7월 티머니 카드 출시 초기에 발행되었던 카드이다. 기능 및 시스템상 기존의 교통 카드인 유패스와 구형 이비카드와 다르지 않다.[19] 현재는 단종되었다.
- '''스마트 티머니''': 2004년 12월에 출시되었고 중앙처리장치를 탑재한 스마트 카드이다. 신형 한꿈이카드를 포함하여 현재 발행 및 유통되는 티머니 카드는 모두 스마트 티머니다. T-마일리지를 0.2% 적립하여 준다.
- '''인터넷 티머니''': 전용 온라인 충전기를 통하여 온라인으로 충전할 수 있는 티머니이다. 소량 제조되어 현재 단종되었다.
- '''티머니 플러스''': 자기띠를 부착하여 별도의 현금영수증 카드로 사용할 수 있다. 현재는 단종되었다.
- '''티머니 마이너스''': 카드 잔액이 부족하더라도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수도권 전철을 1회 승차할 수 있다. 서울이 아닌 다른 지역에서 승차하거나 환승 땐 마이너스 승차가 불가능하다. 한국스마트카드 본사에서만 4,000원에 판매하였다. 2015년 4월 폐지되었다.
- '''모바일 티머니''': NFC, 혹은 금융기능이 있는 SIM 카드를 휴대전화에 탑재하여 사용하는 교통카드 서비스이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에서 서비스하고 있다. 안드로이드는 설치하면 선후불 모두 가능하나, 애플은 모바일티머니 앱을 설치해도 스티커를 붙여야 사용할 수 있으며 비싼 온라인 충전 수수료가 문제시되고 있다.[20]
- '''전국호환 티머니''': 국토교통부의 "One card, All pass" 정책을 따라 출시된 전국호환 규격 카드다. 팝카드·서울 시티패스·한꿈이카드의 형태로도 전국호환 카드를 출시했다.
- '''신한카드''': 틴즈플러스 PONEY 체크카드(마스터카드/국내전용 비후불형)
- '''KB국민카드''': 영 유스 체크카드, 주니어라이프 체크카드, 티머니 체크카드[22]
- '''중소기업은행''': 나의 알파 그린 체크카드
- '''새마을금고''': 카카오페이 체크카드
- '''우정사업본부''': 영리한 플러스 마스타(비후불형), 어디서나 비자(비후불형), 행복한 체크카드(비후불형), 개이득(비후불형), 우리동네플러스 체크카드, 국민행복 체크카드
- '''이비 티머니''': 이비카드에서 발행하였던 교통카드로, 경기도 및 인천광역시 지역의 버스정류소 인근 가두 판매대에서 구입할 수 있었다. 단종되었으며, 보급형 티머니와 그 기능이 동일하다.
- '''서울 시티패스''': 수도권 광역전철, 서울, 인천 지하철 및 순환, 간선, 지선, 마을버스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1일 최대 30회까지 승차가 가능하다.
- '''서울 시티패스 플러스''': 스마트 티머니에 서울 시티투어 버스에 승차시 운임을 5% 할인하여 준다.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역사 내 교통카드 충전기와 CU, GS25에서 판매하고 있다.
- '''짱플러스''': 스마트 티머니에 홈플러스의 충전식 디지털 상품권 기능을 결합한 카드이며, 2011년 3월에 출시되었다.
- '''팝카드''': 스마트 티머니에 GS25의 GS&포인트카드와 SPC그룹의 해피포인트카드 기능을 결합한 카드이며, 2011년 11월 25일에 출시되었다.
- '''한꿈이카드''': 대전광역시에서 사용하던 MIFARE 구형 비자캐시 한꿈이카드가 2011년부터 단종되고, 티머니 기반 카드로 제작되고 있다. 스마트 티머니와 완전히 동일하다.
- '''1회용 교통카드''': 기존 종이 승차권의 발권 비용을 감소하고 역무 자동화의 효율을 증대하기 위한 카드로, 2009년 5월 1일부터 기존의 종이 승차권을 대체하여 사용하고 있다. 수도권 전철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 '''수도권 전철 정기권''': 티머니와 동일한 외형 및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수도권 전철 정기 승차권으로만 사용할 수 있는 카드다. 시내버스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서울특별시 전용 정기권과 거리비례형 정기권으로 나누어 충전할 수 있다.
- '''기후동행카드'''
- '''서울 및 인천 지하철 시스템을 위한 월간 정기권'''(Metro Pass): 역에서 구입할 수 있다.
- '''티머니 M패스'''(T-money Mpass): 서울시티투어버스 티켓과 수도권 대중교통 제한 이용권이 포함된 1일 교통카드이다.
- '''서울시티패스 플러스'''(Seoul Citypass Plus): 관광 명소에서 추가 혜택을 제공하는 티머니이다.
- '''모바일 티머니'''(Mobile T-money): RF/NFC 기반의 가입자 식별 모듈 티머니 서비스이다.
- '''카드형'''(성인·청소년·어린이)
- '''미니 카드형'''(어린이)
- '''목걸이형'''(어린이)
- '''휴대폰 스트랩형'''(성인·청소년)
종류 |
---|
I형 |
T형 |
원형 |
하트형 |
HUMANIMAL |
T-STRAP |
핸드콘 |
T-Sleek |
T-Glass |
- '''밴드형'''(성인·청소년·어린이)
종류 |
---|
T-band |
Color T-band |
이 외에도, 후불식 신용카드 일체형 카드나 학생증과 일체화된 카드 등이 있다.
5. 사용처
티머니는 대중교통뿐만 아니라 다양한 곳에서 사용할 수 있다.
고속버스티머니는 고속버스 요금 결제에도 사용 가능하다. 단, 일부 회사는 티머니 결제를 지원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권역 | 취급사 |
---|---|
경기도 | KD운송그룹, 경기공항리무진버스, 경남여객, 경진여객, 금강고속, 동양고속, 용남고속, 진흥고속, 태화상운, 화성고속 |
강원특별자치도 | 강원고속, 강원여객, 강원흥업, 대한교통, 동해상사, 영암고속 |
충청북도 | 경일여객, 코리아와이드대성, 새서울고속, 서울고속, 충북리무진, 친선고속 |
충청남도 | 금남고속, 삼흥고속, 중부고속, 충남고속, 한양고속 |
전북특별자치도 | 남원여객, 대한고속, 대한관광리무진, 안전여객, 전북고속, 전주고속, 호남고속 |
전라남도 | 광신고속, 광우고속, 금호고속, 동광고속, 동방고속, 오동운수, 옥주여객 |
경상북도 | 경북고속, 경산버스, 금아고속관광앤경주시티투어, 금아리무진, 금아여행, 아성고속, 아진고속, 코리아와이드진안, 천마고속 |
경상남도 | 거제현대고속, 거창고속, 경남고속, 경원여객, 경전여객, 고려여객, 김해여객, 남흥여객, 대한여객, 동아여객, 동일고속, 밀성여객, 부산교통, 세원, 신흥여객, 영화여객, 창원고속, 천일여객, 푸른교통, 함양지리산고속, 해운대고속 |
결제 가능한 카드 | 신한카드, KB국민카드, NH농협카드, 하나카드, 삼성카드, 현대카드, 롯데카드, 비씨카드(우체국, 새마을금고, 수협은행, 전북은행, 광주은행, 우리카드) |
- 한국도로공사가 운영하는 고속도로 요금소
- 서울의 4대궁 (경희궁 제외), 롯데월드, 교보문고, GS25, CU/FamilyMart 및 기타 일부 편의점
- 역 구내 자판기, 휴대전화 충전기
- 나튀르(Natuur) 아이스크림 체인
- 인터넷카페 (티머니 가맹점만)
- 인터넷쇼핑몰 (티머니 가맹점만)
- KT 공중전화
- 서울 시내 주요 관광 시설 입장료
- 서울 시내 공영·민영 주차장 (일부)
- 서울특별시·관악구 각종 증명서·발급 수수료 지불
- 남산 1, 3호 터널 혼잡 통행료 지불
5. 1. 대중교통
티머니는 서울특별시가 2004년 7월 대중교통 요금 체계를 개편하면서 도입한 새로운 교통카드이다. 서비스 초기에는 수도권 전철과 시내버스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지만, 2004년 12월부터 전자화폐 기능이 추가되어 편의점 등 가맹점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1]티머니는 버스, 지하철, 그리고 일부 택시 요금 결제에 사용할 수 있다. 2024년 6월 기준, 티머니는 다음과 같은 곳에서 사용 가능하다.[1]
- 전국 모든 시내버스
- 수도권 전철 6개 노선 (서울, 인천, 부산, 대구, 대전, 광주)
- 공항철도(AREX), 의정부경전철(U Line), 에버라인(EverLine), 신분당선(Shinbundang Line), 동해선(동해선 광역전철), 부산김해경전철(Busan–Gimhae Light Rail Transit)
- 한국철도공사(KORAIL) 승차권 발매소
- 한국도로공사가 운영하는 고속도로 요금소
사용 방법
- 한국철도공사(KORAIL)(광역전철)/지하철: 승하차 시 자동개찰기 카드리더기에 태그한다. 지하철 이용 시 요금이 할인된다.
- 버스: 승하차 시 운전석 옆 및 중문 근처에 설치된 카드리더기에 태그한다. 하차 시 태그를 잊으면 다음 승차 시 위약금(기본요금의 2배)이 부과된다. 공항리무진버스의 경우, 승차 시에만 태그한다.
티머니 사용 가능 지역
- 수도권 전철
- 서울교통공사 (구: 서울메트로,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 인천교통공사
- 한국철도공사 광역전철
- KORAIL 공항철도
- 서울 지하철 9호선
- 부산 도시철도
- 부산교통공사
- 김해경전철
- 한국철도공사 광역전철 동해선
- 대구 도시철도
- 광주 도시철도
- 대전 도시철도
- 시내버스
- 서울특별시
- 인천광역시
- 부산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
- 경기도
- 충청도
- 전라북도
- 경상남도
- 강원도
- 전라남도 (\진도, 완도 제외)
- 경상북도 (\군위, 영덕, 영양, 청송 제외)
- 대구광역시
- 제주특별자치도
- 대전광역시
- KAL 리무진버스
스마트 티머니, 티머니 플러스, 티머니 마이너스는 교통카드제를 시행하지 않는 영양, 청송, 옹진(영흥도 790번 제외), 교통카드제를 시행하지만 정식 호환이 안 되는 진도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는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고속버스 티머니 취급사 (일부 회사는 취급을 안 할 수도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권역 | 취급사 |
---|---|
경기도 | KD운송그룹, 경기공항리무진버스, 경남여객, 경진여객, 금강고속, 동양고속, 용남고속, 진흥고속, 태화상운, 화성고속 |
강원특별자치도 | 강원고속, 강원여객, 강원흥업, 대한교통, 동해상사, 영암고속 |
충청북도 | 경일여객, 코리아와이드대성, 새서울고속, 서울고속, 충북리무진, 친선고속 |
충청남도 | 금남고속, 삼흥고속, 중부고속, 충남고속, 한양고속 |
전북특별자치도 | 남원여객, 대한고속, 대한관광리무진, 안전여객, 전북고속, 전주고속, 호남고속 |
전라남도 | 광신고속, 광우고속, 금호고속, 동광고속, 동방고속, 오동운수, 옥주여객 |
경상북도 | 경북고속, 경산버스, 금아고속관광앤경주시티투어, 금아리무진, 금아여행, 아성고속, 아진고속, 코리아와이드진안, 천마고속 |
경상남도 | 거제현대고속, 거창고속, 경남고속, 경원여객, 경전여객, 고려여객, 김해여객, 남흥여객, 대한여객, 동아여객, 동일고속, 밀성여객, 부산교통, 세원, 신흥여객, 영화여객, 창원고속, 천일여객, 푸른교통, 함양지리산고속, 해운대고속 |
결제 가능한 카드 | 신한카드, KB국민카드, NH농협카드, 하나카드, 삼성카드, 현대카드, 롯데카드, 비씨카드(우체국, 새마을금고, 수협은행, 전북은행, 광주은행, 우리카드) |
5. 2. 기타
교통카드제를 시행하지 않는 영양, 청송, 옹진(영흥도, 790번 제외), 교통카드제를 시행하지만 정식 호환이 안 되는 진도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는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1]고속버스 취급사는 다음과 같다. (단, 일부 회사는 취급을 안 할 수도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권역 | 취급사 |
---|---|
경기도 | KD운송그룹, 경기공항리무진버스, 경남여객, 경진여객, 금강고속, 동양고속, 용남고속, 진흥고속, 태화상운, 화성고속 |
강원특별자치도 | 강원고속, 강원여객, 강원흥업, 대한교통, 동해상사, 영암고속 |
충청북도 | 경일여객, 코리아와이드대성, 새서울고속, 서울고속, 충북리무진, 친선고속 |
충청남도 | 금남고속, 삼흥고속, 중부고속, 충남고속, 한양고속 |
전북특별자치도 | 남원여객, 대한고속, 대한관광리무진, 안전여객, 전북고속, 전주고속, 호남고속 |
전라남도 | 광신고속, 광우고속, 금호고속, 동광고속, 동방고속, 오동운수, 옥주여객 |
경상북도 | 경북고속, 경산버스, 금아고속관광앤경주시티투어, 금아리무진, 금아여행, 아성고속, 아진고속, 코리아와이드진안, 천마고속 |
경상남도 | 거제현대고속, 거창고속, 경남고속, 경원여객, 경전여객, 고려여객, 김해여객, 남흥여객, 대한여객, 동아여객, 동일고속, 밀성여객, 부산교통, 세원, 신흥여객, 영화여객, 창원고속, 천일여객, 푸른교통, 함양지리산고속, 해운대고속 |
결제 가능한 카드 | 신한카드, KB국민카드, NH농협카드, 하나카드, 삼성카드, 현대카드, 롯데카드, 비씨카드(우체국, 새마을금고, 수협은행, 전북은행, 광주은행, 우리카드) |
티머니는 버스, 지하철, 그리고 일부 택시 요금 결제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서울의 4대궁 (경희궁 제외), 롯데월드, 교보문고, GS25, CU/FamilyMart 및 기타 일부 편의점 등의 상점과 관광지에서도 결제 가능하다.
6. 구입 및 충전
티머니는 수도권 전철, 대전 도시철도, 부산-김해 경전철, 부산 도시철도 역사 내 무인 충전기, 인천국제공항철도 매표소, 경기·서울·인천·대전·세종 등지의 가두 판매대와 지정 충전소, CU, 세븐일레븐, 스토리웨이, 미니스톱, GS25, 이마트24, 씨스페이스, IGA, 팝스토어 편의점에서 구입 및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다음과 같은 은행의 자동화기기(ATM)에서도 충전이 가능하다.
은행명 | 충전 방식 | 비고 |
---|---|---|
하나은행 | 현금/계좌이체 | 1만 원부터 현금충전은 1만 원 단위, 계좌이체는 1천 원 단위 |
우리은행 | 현금/계좌이체 | 1만 원부터 1천 원 단위[25] |
신한은행 | 현금/계좌이체 | 1천 원 단위 |
제주은행 | 계좌이체 | 1천 원 단위 |
우체국 | 현금/계좌이체 | 5천 원부터 1천 원 단위, 접촉 및 투입 겸용 |
NH농협은행, 농협 | 계좌이체 | 1천 원 단위, 접촉식 |
KB국민은행 | 계좌이체 | 1천 원 단위, 투입식 |
신협 | 계좌이체 | 1천 원 단위, 투입식 |
티머니 카드는 3,000~5,000원[1]에 판매되며, 지하철역, 은행 ATM, 편의점, 버스 정류장 인근의 키오스크에서 구매 및 충전할 수 있다. 서울 및 부산 지하철역에는 무인 충전기도 있다.
구매 시에는 T머니 카드 본체 가격만 지불하면 되며, 원하는 충전 금액을 1,000원 단위 이상으로 지불해야 한다. T머니 카드는 1회 1,000원~9만 원까지 충전할 수 있으며, 상한액은 50만 원이다.
청소년, 어린이용 카드의 경우, 카드 구매 후 10일 이내에 T머니 사이트 또는 편의점에서 생년월일을 입력하여 등록 절차를 마쳐야 할인 요금이 적용된다. 충전 금액을 다 사용한 경우에는 위 판매소에서 1,000원 단위로 충전하여 계속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역의 자동 티켓 판매기에서도 매표소와 마찬가지로 재충전이 가능하다.
7. 환불 및 잔액 이체
지정된 편의점이나 수도권 전철 역사[24]에서 정상 작동하는 카드에 충전된 금액이 2만원 이하인 경우 환불받을 수 있다. 수도권 전철 역사에서는 5만원 이하일 때 수수료 500원을 공제하고 환불한다. 충전 금액이 그 이상이거나 고장 카드, SIM카드 단독 상태인 모바일티머니는 대행 편의점이나 본사에 접수하면 환불받을 수 있다. 최초 충전일로부터 2년 이내에 고장난 카드는 카드 구입 대금과 잔액을, 파손된 카드는 잔액만 환불받을 수 있다.
잔액 이체는 지정된 편의점이나 수도권 전철 역사[24]에서 잔액을 보낼 카드의 잔액이 2만 원 이하인 경우에만 가능하다. 부분 이전은 불가능하며 전액 이전만 가능하다. 잔액 이전 수수료는 없다.
참조
[1]
웹사이트
Transportation Cards : VISITKOREA
https://english.visi[...]
2024-06-12
[2]
웹사이트
국토부인증 전국호환 티머니 카드 출시 안내
https://www.t-money.[...]
2014-06-27
[3]
웹사이트
1枚で地下鉄から美術館まで~ソウル市交通カード「T-money」
https://www.itmedia.[...]
2005-01-24
[4]
웹사이트
Mifare【まいふぇあ】
https://www.itmedia.[...]
2004-05-18
[5]
일반
[6]
뉴스
해킹 무방비 '교통카드'(偽造に無防備な「交通カード」)
http://imnews.imbc.c[...]
2010-03-15
[7]
뉴스
나 몰래 16억 충전된 교통카드 썼다가…헉!
http://article.joins[...]
2012-08-04
[8]
뉴스
MB임기시 추진한 서울시교통카드사업 특혜 의혹
http://news.kukmin.t[...]
2013-10-28
[9]
뉴스인용
26일 KT LTE폰 모바일 티머니 '봉인 해제'
http://www.newstomat[...]
뉴스토마토
2012-07-27
[10]
뉴스
한국스마트카드, 티머니 부산 고객서비스 센터 오픈
https://news.naver.c[...]
2012-08-28
[11]
뉴스
"카드 분실해도 걱정마세요" 서울특별시 대중교통 안심카드 출시
http://www.edaily.co[...]
2012-12-25
[12]
뉴스
세종 시내버스에 티머니 적용…국내 첫 LTE망도
http://www.inews365.[...]
2013-04-11
[13]
뉴스
티머니, 교통 마일리지 적립 1.5%로 대폭 올린다
https://news.naver.c[...]
2014-10-30
[14]
일반
[15]
일반
[16]
뉴스
서울 ‘티머니’ 광주·대구에서도 쓴다…광주 ‘한페이’·대구 ‘원패스’도 서울·수도권 이용 가능
https://news.naver.c[...]
[17]
뉴스
한국스마트카드 - CU, 'CU 플러스 티머니' 25일 출시
https://news.naver.c[...]
[18]
일반
[19]
뉴스인용
나 몰래 16억 충전된 교통카드 썼다가…헉!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2020-08-30
[20]
뉴스
모바일 티머니 충전 수수료 3배 뛰어..이용자 죽을맛
http://www.consumern[...]
2013-04-10
[21]
뉴스
티머니 어린이·청소년 카드 등록, 어렵다 어려워
http://www.asiatoday[...]
2013-05-03
[22]
일반
[23]
일반
[24]
일반
[25]
일반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존재감 커지는 애플페이···삼성전자 고민도 커졌다
[르포]“속이 다 시원, 카드지갑 버렸다”…아이폰으로 지하철 ‘띡’, 현장 반응은?
'툭 대면 탑승'...오늘부터 '애플페이'로 대중교통 이용 가능
“아이폰 이용자들 한 풀렸다”…오늘부터 ‘애플’도 대중교통 이용가능
오늘부터 아이폰·애플워치 찍고 대중교통 탄다
아이폰, 오늘부터 기후동행·K패스 없는 ‘반쪽짜리’ 교통카드 기능 지원
지하철 지연 시 택시비 月3만원 주는 1400원짜리 미니보험 화제
“어르신들 전화로 택시 부르세요”…서울시 ‘동행 콜택시’ 운영
“어르신, 전화로 택시 부르세요”…서울시 ‘동행 온다콜택시’ 운영
“전기차 충전도 교통카드로” 서울시, 공공충전소에 티머니 도입
티머니도 애플페이 연동…카드사는 비용 부담에 도입 ‘저울질’
이제 아이폰 대고 버스·지하철 탄다…애플페이에 티머니 도입
티머니, ‘애플페이’ 공식 지원 예고 – 바이라인네트워크
서울 마을버스 '환승 할인 탈퇴' 예고…운행 중단은 안한다
교통안전공단 "SKT 유심교체 티머니·이즐 이용자 K패스 재등록"
유심 교체하니 티머니 '0원' 됐다…교체 시 주의사항은?
“기존 유심, 연락처 등 옮기고 잘라서 폐기해야”
유심 교체했더니 티머니가 0원?…유심 교체 시 주의사항은
수도권 지하철 요금 6월 150원 오른다…행정절차 마무리 수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