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윤공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윤공희는 1924년 평안남도 진남포에서 출생하여 1950년 사제 서품을 받은 한국 천주교의 주교이다. 로마 유학 후 수원교구 초대 주교를 거쳐 1973년 광주대교구 대주교로 임명되었으며, 5·18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시민들을 보호하고 민주주의를 옹호했다. 2000년 은퇴 후, 2024년 100세를 맞이하며 한국 주교단 최고령자이자, 한국인 주교 중 가장 오랫동안 주교로 봉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주교 광주대교구장 - 옥현진
    옥현진은 1994년 사제 서품을 받고 2011년 광주대교구 보좌주교이자 페데로디아나의 명의 주교로 임명된 천주교 광주대교구의 주교이며, 그의 문장은 예수 성심, 올리브 잎, 성모 마리아를 상징하고 사목 표어는 "Manete in me(내 안에 머물러라)"이다.
  • 천주교 광주대교구장 - 최창무
    최창무는 1963년 사제 서품을 받은 대한민국의 천주교 성직자로, 가톨릭대학교 교수 및 총장, 서울대교구 보좌주교를 거쳐 광주대교구 교구장을 지냈으며,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의장과 현재 교황청 인류복음화성 위원,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신앙교리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 천주교 서울대교구장 - 염수정
    염수정은 1943년 안성에서 태어나 5대째 가톨릭 신앙을 이어온 가정에서 성장하여 사제가 되었고, 서울대교구장 겸 평양교구장 대행 대주교를 거쳐 2014년 추기경으로 서임되어 생명 존중, 사회 정의, 남북 화해를 위해 활동하다 2021년 서울대교구장직에서 사임한 대한민국의 천주교 추기경이다.
  • 천주교 서울대교구장 - 김수환
    김수환은 한국 천주교 최초의 추기경이자 서울대교구장으로, 민주화 운동 참여와 사회 정의 구현에 헌신하며 '시대의 양심'으로 불렸으나, 일부 정치적 행보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윤공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윤공희 대주교
윤공희 대주교
제목 모양대주교
접두어빅토리노
이름윤공희
접미어대주교
원어 이름윤공희
대교구광주대교구장 (1973~2000)
교구수원교구장 (1963~1973)
사제 서품1950년 3월 20일
사제 서품자노기남 대주교
주교 서품1963년 10월 20일
주교 서품자교황 바오로 6세
출생 이름윤공희
출생일1924년 11월 8일
출생지평안남도 남포시
종교로마 가톨릭교회
재직광주가톨릭대학교 이사장
학력가톨릭대학교 신학부 학사
사목 표어그리스도의 평화(PAX CHRISTI)
참고 자료

2. 생애

윤공희는 1950년 사제서품을 받고 성직 생활을 시작하여, 로마 유학 후 신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63년 주교로 임명되어 바오로 6세에게 주교 서품을 받았다. 서울대교구 임시 관리자를 거쳐, 1973년 광주대교구 대주교로 임명되었다.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평화적 해결을 위해 노력했으나 군부의 무력 진압으로 실패했다. 2000년 은퇴 후, 2024년 현재 한국 주교단 최고령(100세)이자 최장기 봉직(61년) 주교이다. 2013년 주교 수품 50주년을 맞았고, 2024년 100세를 맞았다.

2. 1. 초기 생애와 사제 수품

1924년 11월 8일 평안남도 진남포(현재 남포)의 가톨릭 신자 집안에서 태어났다. 1950년 서울성신대학(현가톨릭대 신학부)을 졸업하고 그해 3월 20일 사제서품을 받았다. 명동성당 보좌신부로 성직 생활을 시작하였으며, 1954년 성신중고등학교 라틴어 교사로 봉직한 다음 로마로 유학을 가서 신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학위 논문 주제는 나지안조스의 그레고리우스의 성서 주석에 관한 것이었다.

2. 2. 주교 서품과 수원교구장

1963년 윤공희 신부는 새로 신설된 수원교구의 주교로 임명되었다. 주교 서품식은 당시 로마 교황이었던 바오로 6세가 바티칸에서 집전하였다.[1] 1967년 노기남 대주교 은퇴로 공석이 된 서울대교구 대주교 자리에 임시 관리자로 1년 이상 봉직하였다.[1] 당시 서울대교구는 엄청난 부채를 지고 있었는데, 윤공희 주교는 이를 줄이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였다.[1] 훗날 서울대교구 대주교에 오른 김수환 추기경은 윤공희 주교의 노력에 대해 매우 고마워하였다.[1]

2. 3. 서울대교구 임시 관리자

1967년 노기남 대주교가 은퇴하면서 천주교 서울대교구 대주교 자리가 비게 되자, 윤공희 주교가 임시 관리자로 1년 넘게 봉직하였다.[1] 당시 서울대교구는 막대한 부채를 안고 있었는데, 윤공희 주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였다.[1] 이후 서울대교구 대주교가 된 김수환 추기경은 윤공희 주교의 노력에 깊이 감사했다.[1]

2. 4. 광주대교구장과 5.18 민주화운동

1973년 11월 광주대교구 대주교로 임명되었다.[1] 윤공희 대주교는 재임 기간 동안 광주 민주화 운동을 겪었다.[1] 그는 평화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였지만, 군부의 무력 진압으로 인해 실패했다.[1]

2. 5. 은퇴 이후

윤공희 대주교는 교구장 정년인 75세를 1년 넘긴 2000년 11월 30일 은퇴하였다.

2024년 기준으로 윤공희 대주교는 한국 주교단의 최고령자(100세)이며, 한국인 주교 가운데 주교로서 가장 오래 봉직한 사람(61년)이다.

1963년 10월 20일 주교로 수품되어 2013년에 주교품 금경축을 맞이하였다. 한국교회에서 세 번째로 주교 수품 50주년을 맞이하는 주교가 되었으며, 이전에는 전 부산교구장 고 최재선 주교와 전 인천교구장 나길모 주교가 있었다.

2024년 11월 8일 상수 100세를 맞이하였다.

3. 업적 및 평가

(요약이 있으나, 원본 소스가 비어있어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Most Rev. Victorinus Youn, S.T.D., D.D. http://english.cbck.[...] Catholic Bishops' Conference of Korea 2010-12-29
[2] 뉴스 Korean bishop issues caution on alleged Marian revelations http://www.catholicc[...] 2007-07-1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