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응우옌푹응우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응우옌 푹 응우옌(Nguyễn Phúc Nguyên, 1585년 ~ 1635년)은 1613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꽝남을 통치한 응우옌 주(主)의 군주이다. 그는 서양 해적을 소탕하고 광남 지역을 개척하는 등 아버지 응우옌 호앙을 보좌했으며, 1613년 아버지의 뒤를 이어 군주가 된 후 백성들에게 불주 또는 사주로 불렸다. 포르투갈 상인과의 교류를 통해 서양 문물을 받아들이고, 유럽식 대포와 선박 제조 기술을 습득하여 찐-응우옌 분쟁 시기에 활용했다. 1620년대에는 캄보디아 및 라오스와의 관계를 통해 영토를 확장하는 등 서방 정책을 추진했다. 찐 주와의 갈등 속에서 조공 요구를 거부하며 찐-응우옌 분쟁의 씨앗을 뿌렸고, 1635년 사망하기 전까지 찐의 침략에 대비하여 방어 체제를 구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응우옌 주 - 응우옌푹코앗
    응우옌 푹 코앗은 베트남 응우옌 주의 제8대 군주로, 1744년 칭왕을 선포하고 독립적인 통치 체제를 구축하였으며, 캄보디아 내란 개입과 참파 속국화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사치와 과세로 서산당의 난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 응우옌 주 - 응우옌푹즈엉
    응우옌푹즈엉은 응우옌푹하오의 아들이자 응우옌푹코앗의 손자로 현명하고 덕이 있다는 평을 받았으나, 떠이선 반란으로 1777년 처형당했으며 후에 자롱 황제에 의해 효혜왕으로 추존되었다.
  • 1635년 사망 - 사뮈엘 드 샹플랭
    프랑스의 탐험가 사뮈엘 드 샹플랭은 16세기 말부터 17세기 초에 북아메리카를 탐험하며 퀘벡 시티를 건설하여 프랑스 식민지 확장에 기여했고, 원주민과의 관계를 맺으며 누벨프랑스 초기 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1635년 사망 - 로페 데 베가
    로페 데 베가는 스페인 황금기의 대표 작가로, 1500편이 넘는 희곡을 포함한 방대한 작품을 남기며 국민 연극 확립에 기여하고 연극 형식에 혁신을 가져왔으며, 다양한 주제를 다룬 작품과 파란만장한 개인사가 그의 작품 세계에 반영되었다.
  • 1563년 출생 - 호소카와 가라샤
    호소카와 가라샤는 아케치 미쓰히데의 딸로 태어나 호소카와 다다오키와 결혼하였으며, 혼노지의 변 이후 남편의 보호 아래 신앙을 지키다 이시다 미쓰나리의 인질이 되려 하자 가신에게 죽임을 당했다.
  • 1563년 출생 - 허난설헌
    허난설헌은 조선 중기의 여류 시인으로, 진보적인 아버지와 문인 집안의 영향으로 뛰어난 시적 재능을 보였으나 불행한 결혼 생활과 자녀의 죽음, 시대적 제약 속에서 요절하였고, 사후 동생 허균에 의해 간행된 《난설헌집》으로 문학적 가치를 인정받아 중국과 일본에서 먼저 이름을 알렸다.
응우옌푹응우옌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7세기 당 trong의 응우옌 푹 응우옌
응우옌 푹 응우옌 (17세기 일본 그림 『주인선 교지 도항도권』에서)
칭호주사이 (主仕 "Lord Sãi")
본명응우옌 푹 응우옌 (阮福源)
사후 칭호현모광렬온공명예익선수유효문황제 (顯謨光烈溫恭明睿翼善綏猷孝文皇帝)
종교불교
통치 정보
작위코친차이나의 군주
재위 기간1613년–1635년
이전 군주응우옌 호앙
다음 군주응우옌 푹 란
생애
출생일1563년 8월 16일
사망일1635년 11월 19일
사망 장소코친차이나
가족 관계
부친응우옌 호앙
모친응우옌 티
배우자막 티 자이
자녀응우옌 푹 키
응우옌 푹 란
응우옌 푹 응옥 반
묘호 및 시호
묘호희종 (熙宗)
시호현모광렬온공명예익선수유효문황제 (顯謨光烈溫恭明睿翼善綏猷孝文皇帝)
왕조
가문응우옌 푹 가문

2. 생애

응우옌호앙의 여섯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응우옌 씨|嘉裕皇后중국어이다. 꽝흥 8년(1585년)에 유럽 해적이 연안 일대를 약탈하자 군대를 이끌고 격퇴하여 아버지로부터 칭찬을 받았다. 호앙딘 3년(1602년)에는 꽝남영의 진수가 되어 토지 개척에 힘썼다.

17세기 말, 호이안의 꽝남 총독 관저에서 일본 상인이 응우옌 푹 응우옌(녹색 의상)에게 공물을 바치고 있다.


그는 왕(王)의 칭호를 사용하지 않고 대신 자신을 "Nhơn quốc công"(仁國公)이라 칭했는데, 이는 대략 "Nhơn" 공작으로 번역된다.

2. 1. 군주 즉위와 개방 정책

호앙딘 14년 5월 1일(1613년 6월 18일), 아버지 응우옌호앙이 위독하여 광남성에 있던 응우옌푹응우옌을 순화(順化)로 불러들였다. 그 해 6월 3일(1613년 7월 20일)에 응우옌호앙은 응우옌푹응우옌에게 군주 자리를 물려주고, 정씨에 맞서라는 유언을 남기고 사망하였다. 이후 응우옌푹응우옌은 군주로 즉위하였으며, 그 지역 백성들은 '''불주'''(Chúa Bụt|主佛vie) 또는 '''사주'''(Chúa Sãi|主仕vie)로 칭하였다.[1]

응우옌푹응우옌은 포르투갈 상인들에게 파이포(費福, 지금의 호이안) 항구 개방을 허용하였다. 이를 통해 유럽의 선진 문물, 무기, 선박 제조 기술 등을 배우게 되었고, 이 기술들은 찐-응우옌 분쟁 시기에 응우옌 주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 , 해금 정책으로 인해 호이안은 더욱 중요한 무역 항구가 되었다.[1]

1620년대에 응우옌푹응우옌은 서남쪽의 캄보디아 왕 체이 체타 2세에게 공녀를 시집보내 혼인 동맹을 맺고 국경 지역 무역을 허용하게 하였다. 서북쪽의 라오스 지역을 정벌하여 영토를 확장하는 등 서방 정책을 실시하였다.[1]

2. 2. 찐씨 가문과의 갈등

1620년, 황자 응우옌푹히엡(Nguyễn Phúc Hiệp|완복흡vi)과 응우옌푹짯(Nguyễn Phúc Trạch|완복택vi)이 찐 주와 내통하면서 역모를 꾸몄다.[1] 찐 주에서 이 기회를 노려 도독(都督) 응우옌카이(Nguyễn Khải/阮啓)와 5천 명의 군사를 보내 응우옌 주를 토벌하게 하였다.[1] 응우옌푹응우옌은 응우옌뚜옌(Nguyễn Tuyên|완선vi)으로 하여금 반란을 평정하게 하였으며, 평정 후 역모 주동자들을 폐서인시켜 죽을 때까지 구금시켰다.[1] 역모 이후에 찐 주에서 조공과 세금을 요구하면 거부하였으며, 찐-응우옌 분쟁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1]

1623년 찐뚱(Trịnh Tùng|정송vi)이 사망하자, 찐 주의 군공들이 군주 자리를 놓고 싸움을 벌이고 있었지만, 그는 북벌을 하자는 간언을 뿌리치고 조문을 보냈으며, 조문의 목적은 보내는 척 하면서 찐 주의 상황을 정탐하려는 것이 주 목적이었다.[2]

그 다음 해(1624년)와 1626년에 찐 주에서 조공을 요구하였으나, 재차 거부하였다.[2] 이는 찐-응우옌 분쟁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가 되었다.[2]

1633년, 후계자 자리에서 멀어진 응우옌푹아인은 찐 주와 내통하여 군주 자리를 놓고 역모를 꾸미고 있었으며, 찐 주는 다시 군대를 남하시켜 몰살시키려 하였으나, 일려해전(日麗海戰)에서 대패하였으며, 주동자 응우옌푹아인은 응우옌 군대에 잡혀 응우옌푹란 즉위 후에 처형되었다.[3]

2. 3. 대외 관계

1615년경부터 응우옌 푹 응우옌은 포르투갈 상인들이 호이안에 무역 거점을 마련하는 것을 허용했다.[2] 응우옌은 포르투갈로부터 진보된 유럽식 대포를 구매했고 유럽 선박 설계에 대해 어느 정도 배웠다. 이는 이후 찐-응우옌 분쟁에서 큰 도움이 되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호이안은 남서 태평양의 주요 무역 항구가 되었고, 이 지역의 상인들이 상품을 판매하고 구매하기 위해 모여들었다. 명나라, 일본, 유럽인, 남아시아인 모두 호이안에서 무역을 했다. 원래 호이안 자체의 토지는 가치가 없었지만, 이후 응우옌 영주들은 해외 수출용 상품을 생산하기 위해 다양한 사탕수수와 뽕나무 농장을 설립했다. 명나라와 후의 만주 황제들이 일본과의 무역을 금지했기 때문에 일본 상인들은 베트남까지 왔다. 일본인들은 매우 탐나는 중국산 비단과 도자기를 얻기 위해 호이안으로 와야 했다. 일본인들은 종종 현지 비단을 구매했는데, 이는 고품질이었고 일본인들이 연간 도착 몇 달 전에 전체 묶음을 구매할 정도로 인기가 있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호이안의 현지 비단 가격은 일본 시장의 변덕에 맞춰졌다. 응우옌 영주들은 또한 대량의 일본 동전을 수입하여 통화로 유통하거나 대포를 만들기 위해 사용했는데, 남부 베트남에는 금과 구리가 부족했고 일본은 수출할 것이 많았기 때문이다.

응우옌 푹 응우옌은 캄보디아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1620년경, 응우옌 푹 응우옌의 딸 응우옌 푹 응옥 반은 캄보디아 국왕 체이 체타 2세와 결혼했다(결혼은 수년 전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 결혼의 결과로, 캄보디아 국왕은 응우옌이 현재 호치민 시인 프레이 노코르에 작은 무역 및 세금 징수소를 설립하도록 허용했다. 또한 응우옌 영주들은 캄보디아인들에게 아유타야 왕국을 상대로 한 원정을 위한 무기를 제공했다. 프레이 노코르의 베트남 정착은 1471년 레 탄 통에 의해 설정된 남부 국경 너머로 베트남의 주요 확장의 시작이었다.

1631년, 꾸이년에 살던 이탈리아 선교사 크리스토포로 보리는 응우옌 푹 응우옌이 캄보디아인에게 군사 지원을 하는 것을 목격하고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 응우옌 푹 응우옌 영주는 자신의 사위 체이 체타 2세에게 두 차례에 걸쳐 태국인에 대항하도록 군사 지원을 보냈다. 1623년, 응우옌에서 온 사절단은 우동으로 파견되어, 두 정부 간의 관계를 강화하고 캄보디아와 응우옌의 동맹을 확인하기 위해 많은 보물과 선물을 가져왔다. 협상 후, 체이 체타 2세는 그들이 과세를 위해 꺄스 크로베이(붕따우)와 프레이 노코르(호치민 시)라는 무역소를 설립하도록 허락했다. 응우옌 영주들은 자신의 사병을 데려와 그들의 거점과 시민들을 보호하고 프레이 노코르 시의 공공 안전을 지킬 수 있었다.

2. 4. 후계자 선정과 죽음

호앙딘 14년 5월 1일(1613년 6월 18일), 아버지 응우옌호앙이 위독하여 광남성에 있던 응우옌푹응우옌을 순화로 불러들였다. 그 해 6월 3일(1613년 7월 20일)에 응우옌호앙은 응우옌푹응우옌에게 군주 자리를 물려주고 정씨에 맞서라는 유언을 남기고 사망하였다.[2] 응우옌푹응우옌은 군주에 오른 뒤 백성들에게 '''불주'''(Chúa Bụt|한자=主佛vi) 또는 '''사주'''(Chúa Sãi|한자=主仕vi)로 불렸다.[2]

빈또 2년(1620년), 황자 응우옌 푹 히엡(Nguyễn Phúc Hiệp|한자=阮福洽vi)과 응우옌 푹 짯(Nguyễn Phúc Trạch|한자=阮福澤vi)이 찐씨와 내통하여 역모를 꾸몄다.[2] 찐 주에서는 이 기회를 틈타 도독(都督) 응우옌 카이(Nguyễn Khải/阮啓)와 5천 명의 군사를 보내 응우옌 주를 공격하게 하였다.[2] 응우옌푹응우옌은 응우옌 뚜옌(Nguyễn Tuyên|한자=阮宣vi)을 시켜 반란을 진압하게 하였고, 주동자들을 폐서인하여 죽을 때까지 가두었다.[2] 이후 찐 주에서 조공과 세금을 요구하면 거부하였으며, 이는 찐-응우옌 분쟁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2]

득롱 3년(1631년) 7월, 응우옌푹응우옌은 정실부인과 장남을 연이어 잃었다.[2] 후계자 결정을 통해 차남 응우옌 푹 란과 삼남 응우옌 푹 아인(Nguyễn Phúc Anh|한자=阮福渶vi) 중에서 후계자를 정하려 하였으나, 결국 삼남의 교만한 성격 때문에 응우옌 푹 란을 후계자로 결정하였다.[2]

득롱 5년(1633년), 후계자에서 밀려난 응우옌 푹 아인은 찐 주와 내통하여 역모를 꾸몄다.[2] 찐 주는 다시 군대를 남하시켜 응우옌 가문을 몰살시키려 하였으나, 일려 해전에서 크게 패하였다.[2] 주동자인 응우옌 푹 아인은 응우옌 군에 잡혀 응우옌 푹 란 즉위 후 처형되었다.[2]

즈엉호아 원년 10월 10일(1635년 11월 19일), 응우옌푹응우옌은 중병으로 서거하니 향년 73세였다.[2]

3. 봉호, 시호, 능호

후 레 왕조에서 받은 봉호는 통령수보제영(統領水步諸營) 겸 총내외평장군국중사(總內外平章軍國重事) 겸 태보(太傅) 겸 '''서군공'''(Thụy Quận Công|서군공vi)이며, 득롱(德隆) 원년(1629년)에 절제순화광남이처수보제영(節制順化廣南二處水步諸營) 겸 총내외평장군국중사(總內外平章軍國重事) 겸 태부(太傅) 겸 '''서국공'''(Thụy Quốc Công|서국공vi)으로 진봉되었다.

사후 시호는 대도통진남방총국정익선수유'''서양왕'''(Đại Đô Thống Trấn Nam Phương Thống Quốc Chính Dực Thiện Tuy Du Thụy Dương Vương|대도통진남방총국정익선수유서양왕vi)이며, 까인흥(景興) 5년(1744년)에 칭왕이 된 후에 묘호를 '''선조'''(Tuyên Tổ|선조vi), 시호를 현모광렬온공명예익선수유'''효문왕'''(Hiển Mô Quang Liệt Ôn Cung Minh Duệ Dực Thiện Tuy Du Hiếu Văn Vương|현모광렬온공명예익선수유효문왕vi)으로 재추존하였다. 응우옌 왕조 건국 및 칭제 후인 자롱(嘉隆) 5년(1806년)에 묘호를 '''희종'''(Huy Tông|희종vi), 시호를 현모광렬온공명예익선수유'''효문황제'''(Hiển Mô Quang Liệt Ôn Cung Minh Duệ Dực Thiện Tuy Du Hiếu Văn Hoàng Đế|현모광렬온공명예익선수유효문황제vi)로 고쳐 재추존하였다.

능호는 '''장연릉'''(Trường Diễn Lăng|장연릉vi)이다.

4. 가족 관계

응우옌푹응우옌은 아들 12명, 딸 4명, 양녀 1명을 두었다.[3] 정실 부인은 휘공순비 막 티 자이(Mạc Thị Giai)로, 1578년에 태어나 1630년에 사망했다.[4][5][6]

4. 1. 자녀

응우옌푹응우옌은 아들 12명, 딸 4명, 양녀 1명을 두었다.[3] 그의 정실 부인은 휘공순비 막 티 자이(Mạc Thị Giai)로, 1578년에 태어나 1630년에 사망했다.[4][5][6]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4. 1. 1. 아들

순서봉호이름생몰년도생모비고
1경군공
(慶郡公)
응우옌푹끼
(Nguyễn Phúc Kỳ/阮福淇)
? ~ 1631년휘공순비
막 티 자이
2인군공
(Nhân Quận Công)
응우옌 푹 란
(Nguyễn Phúc Lan/阮福瀾)
1601년 ~ 1648년휘공순비
막 티 자이
응우옌 주 제3대 군주
3응우옌 푹 아인
(Nguyễn Phúc Anh/阮福渶)
? ~ 1635년
4응우옌 푹 쭝
(Nguyễn Phúc Trung/阮福忠)
5응우옌 푹 안
(Nguyễn Phúc An/阮福安)
6군공
(Quận Công)
응우옌 푹 빈
(Nguyễn Phúc Vĩnh/阮福永)
7응우옌 푹 록
(Nguyễn Phúc Lộc/阮福淥)
8응우옌 푹 뚜
(Nguyễn Phúc Tứ/阮福泗)
9응우옌 푹 티에우
(Nguyễn Phúc Thiệu/阮福紹)
10군공
(Quận Công)
응우옌 푹 빈
(Nguyễn Phúc Vinh/阮福榮)
11응우옌 푹 돈
(Nguyễn Phúc Đôn/阮福敦)
12응우옌 푹 응히아
(Nguyễn Phúc Nghĩa/阮福義)
휘공순비
막 티 자이


4. 1. 2. 딸

순서봉호이름생모부마비고
1응우옌 티 응옥리엔
(阮氏玉蓮)
휘공순비 막 티 자이응우옌 푹 빈
2송산군주
(宋山郡主)
응우옌 티 응옥반
(阮氏玉萬)
휘공순비 막 티 자이체타 2세캄보디아 왕에게 시집감.
3응우옌 티 응옥코아
(阮氏玉誇)
휘공순비 막 티 자이포 로메참파 왕에게 시집감.
4응우옌 티 응옥딘
(阮氏玉鼎)
응우옌 푹 지에우1624년 사망.
양녀
-응우옌 티 응옥호아
(阮氏玉華)
1645년 사망.


4. 1. 3. 양녀

봉호시호이름생몰년도생부/생모부마별칭비고
-阮氏玉華|응우옌 티 응옥호아중국어? ~ 1645년아라키 소타로[12]



응우옌 티 응옥호아는 일본 상인 아라키 소타로에게 시집갔다. 자손으로는 이타가키 다이스케에게 시집간 아라키 키누코가 있다.

5. 연표

희종원년2년3년4년5년6년7년8년9년10년
서기1614년1615년1616년1617년1618년1619년1620년1621년1622년1623년
육십간지갑인(甲寅)을묘(乙卯)병진(丙辰)정사(丁巳)무오(戊午)기미(己未)경신(庚申)신유(辛酉)임술(壬戌)계해(癸亥)
후 레 왕조
연호
호앙딘 15년16년17년18년19년20년
빈또 원년
2년3년4년5년
희종11년12년13년14년15년16년17년18년19년20년
서기1624년1625년1626년1627년1628년1629년1630년1631년1632년1633년
육십간지갑자(甲子)을축(乙丑)병인(丙寅)정묘(丁卯)무진(戊辰)기사(己巳)경오(庚午)신미(辛未)임신(壬申)계유(癸酉)
후 레 왕조
연호
6년7년8년9년10년11년
득롱 원년
2년3년4년5년
희종21년22년
서기1634년1635년
육십간지갑술(甲戌)을해(乙亥)
후 레 왕조
연호
6년7년
즈엉호아 원년


6. 평가 및 영향

응우옌푹응우옌은 1635년, 찐씨 가문과의 전쟁 중에 사망했지만, 그가 마련한 방어 체계는 응우옌씨 가문에 큰 도움이 되었다. 푸쑤언은 1774년에야 찐씨 가문에 의해 함락되었다. 응우옌푹응우옌은 초기 전투에서 방어에 성공했는데, 이는 재능 있는 인재들을 등용하고, 외국 전문가의 군사적 조언과 기술까지도 활용하는 능력이 뛰어났기 때문이다.[2]

참조

[1] 서적 The Tây Sơn Uprising
[2] 서적 Viet Nam: Borderless Histories 2006
[3] 문서
[4] 문서
[5] 문서
[6] 문서
[7] 문서
[8] 문서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