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식의 흐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의식의 흐름은 인간의 정신 속에서 끊임없이 변하는 주관적인 생각, 감각, 인상을 문학적으로 표현하는 기법이다. 1855년 알렉산더 베인이 처음 사용했고, 윌리엄 제임스가 1890년 저서 《심리학 원리》에서 의식을 "흐름"으로 비유하며 널리 알려졌다. 문학에서는 메이 싱클레어가 처음 사용했으며, 제임스 조이스, 버지니아 울프, 윌리엄 포크너 등의 작가들이 이 기법을 활용했다. 내적 독백, 무의식적 기억과 유사하게 사용되기도 하며, 소설뿐 아니라 영화, 대중음악 가사에도 적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50년대 신조어 - 경찰국가
경찰국가는 경찰이 강력한 권한으로 국민을 감시하고 통제하는 국가를 의미하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시대와 국가에서 나타났고, 현대에는 전자 기술을 활용한 형태로도 존재하며, 개인의 자유와 국가 안보 사이의 균형에 대한 정치적 관점에 따라 정의가 달라진다. - 1850년대 신조어 - 국가주의
국가주의는 개인의 자유보다 국가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이념으로, 야경국가부터 전체주의까지 다양한 형태를 띠며, 사회 질서 유지, 도덕·문화 강제, 민족주의, 국수주의와 관련되어 경제 및 사회 정책에 영향을 미친다. - 서사 기법 - 삼각관계
삼각관계는 관련된 사람들 중 한 명 이상에게 부적절한 관계로 여겨지며, 불안정성과 질투, 배신감을 동반하고 대중문화에서 갈등 유발 소재로 활용되며, 정신분석학적으로는 어린 시절 부모와의 관계에서 비롯된 반복적 패턴으로 설명되기도 한다. - 서사 기법 - 복선 (문학)
이야기 속에서 앞으로 일어날 사건에 대한 암시를 미리 제시하여 독자의 기대감과 몰입을 유도하는 문학적 장치인 복선은 이야기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만들고 필연성을 부여하며, 플래시백, 플래시포워드, 체호프의 총 등의 기법을 통해 구현된다.
의식의 흐름 | |
---|---|
개요 | |
종류 | 문학 기법, 서술 기법 |
정의 | 등장인물의 의식의 흐름을 언어적으로 표현하는 기법 |
특징 | 비논리적인 연결 자유 연상 갑작스러운 주제 변경 |
역사 | |
기원 | 심리학 용어 (1890년, 윌리엄 제임스) |
문학적 적용 | 20세기 초 |
주요 작가 | 도로시 리처드슨 제임스 조이스 버지니아 울프 마르셀 프루스트 윌리엄 포크너 |
특징 | |
서술 방식 | 내적 독백 의식의 흐름 기법 |
문장 구조 | 비문법적인 표현 불완전한 문장 생략 자유로운 문장 연결 |
내용 | 감각적 인상 생각의 파편 연상 작용 기억 |
예시 | |
작품 | 율리시스 (제임스 조이스) 댈러웨이 부인 (버지니아 울프)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마르셀 프루스트) 음향과 분노 (윌리엄 포크너) |
효과 | 등장인물의 내면 심리 묘사 강화 독자에게 등장인물의 주관적인 경험 전달 |
참고 | |
관련 개념 | 내적 독백 자유 연상 심리주의 소설 |
2. 용어의 기원
알렉산더 베인은 1855년 《감각과 지성》(The Senses and the Intellect) 초판에서 "하나의 공통된 의식의 흐름, 즉 동일한 뇌의 고속도로에서 감각이 일치함으로써 서로 다른 감각들이 동일한 감각들처럼 쉽게 연상될 수 있다."라고 쓰면서 이 용어를 사용했다.[2] 하지만 이 용어는 1890년 윌리엄 제임스가 그의 저서 《심리학 원리》에서 사용하면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제임스는 "의식은 조각조각 나 있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그것은 끊어진 것이 아니라, 흐른다. '강'이나 '흐름'이 그것을 가장 자연스럽게 묘사하는 비유이다. 앞으로 그것에 대해 말할 때, 그것을 생각의 흐름, 의식, 또는 주관적인 삶이라고 부르자"라고 썼다.[3]
이 용어는 1918년 4월, 메이 싱클레어가 도러시 리처드슨의 소설 연작 《순례》(Pilgrimage) 초판과 관련하여 문학적 맥락에서 처음 사용되었다.[4][5] 그러나 리처드슨은 이 용어를 "심히 잘못 선택된 은유"라고 묘사했다.[4][5]
3. 문학에서의 의식의 흐름
원래 심리학 용어였던 '의식의 흐름'은 이후 문학 분야에서 "인간의 정신 속에서 끊임없이 변하고 이어지는 주관적인 사고나 감각을, 특히 별다른 설명 없이 기술해 나가는 문학 기법"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기 시작했다.[56] 이는 등장인물의 생각과 감각적 인상을 "일반적으로 문장 부호가 없거나 단절된 형태의 내적 독백으로" 표현하는 문학적 기법이다.
많은 자료에서 의식의 흐름과 내적 독백을 동의어로 사용하기도 하지만, 두 용어는 구분될 수 있다. 『옥스퍼드 문학 용어 사전』에 따르면, 심리학적 의미에서 의식의 흐름은 주제이고, 내적 독백은 그것을 제시하는 기법이다. 문학에서 "내적 독백은 요약하고 선택하는 서술자의 개입 없이 등장인물의 생각을 '직접' 제시하지만, 반드시 인상과 지각을 섞거나 문법 또는 논리의 규칙을 위반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의식의 흐름 기법은 이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수행한다."[6]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온라인』 역시 "내적 독백은 등장인물의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반쪽짜리 생각, 인상, 연상을 반영할 수 있지만, 등장인물의 합리적인 생각들을 조직적으로 제시하는 데 국한될 수도 있다"고 설명하며 의식의 흐름 기법과의 차이를 제시한다.[7] 즉, 의식의 흐름은 내적 독백을 포함하면서도, 보다 비논리적이고 연상적인 사고의 흐름까지 포착하려는 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의식의 흐름 기법을 사용한 대표적인 작가로는 제임스 조이스, 버지니아 울프, 캐서린 맨스필드, 도로시 리처드슨, 윌리엄 포크너 등이 있으며, 주요 작품으로는 제임스 조이스의 《율리시스》, 《피네간의 경야》, 버지니아 울프의 《등대로》, 윌리엄 포크너의 《소리와 분노》 등이 꼽힌다.[56]
다음은 제임스 조이스의 소설 《율리시스》에 나타난 의식의 흐름의 예시로, 몰리 블룸이 잠들기 전 떠올리는 생각들을 보여준다.
> 지금이 몇 시더라. 세상에. 지금쯤 중국에서는 일어나서 머리를 빗고 있겠지. 곧 수녀들이 아침 기도를 드릴 텐데. 그들의 잠을 방해할 사람은 기껏해야 몇몇 사제들뿐이겠지. 옆집의 자명종 시계가 울려서 머리가 다 아프겠네. 자, 잠이 오는지 볼까. 하나, 둘, 셋, 넷, 다섯. 저건 무슨 꽃이지? 별처럼 만든 꽃인가? 롬바드 거리에 있는 벽지가 훨씬 예뻤는데. 그가 나에게 준 앞치마도 저런 거였는데, 딱 두 번밖에 안 입었지. 램프 불빛을 좀 낮추고 다시 해보자. 그래야 일찍 일어날 수 있을 텐데.[8]
3. 1. 의식의 흐름 기법의 발전
심리학 용어였던 "의식의 흐름"(stream of consciousness|eng)은 이후 문학 분야에서 "인간의 정신 속에서 끊임없이 변하고 이어지는 주관적인 생각과 감각을, 특히 별다른 설명 없이 기술해 나가는 문학 기법"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기 시작했다.[56] 이 용어를 문학적 의미로 처음 사용한 사람은 영국의 소설가 메이 싱클레어이다. 그는 1918년 도러시 리처드슨의 소설 연작 《순례》(Pilgrimage|eng) 초판 서평에서 이 용어를 사용했지만, 정작 리처드슨 본인은 이 용어를 "심히 잘못 선택된 은유"라고 평가했다.[4][5]
인간의 사고를 정돈된 형태가 아닌 끊임없는 흐름으로 묘사하려는 시도는 "의식의 흐름"이라는 용어가 생기기 이전부터 존재했다. 가장 오래된 예로는 18세기 로렌스 스턴의 《신사 트리스트람 섄디의 생애와 의견》(The Life and Opinions of Tristram Shandy, Gentleman|eng, 1757)을 들 수 있다.[9] 19세기에는 존 닐의 소설 《세븐티-식스》(Seventy-Six|eng, 1823)에서 여러 수식어와 화자의 불안감을 드러내는 긴 문장을 통해 초기 형태를 엿볼 수 있다.[10] 또한 에드거 앨런 포의 단편 소설 "고해"(The Tell-Tale Heart|eng, 1843) 역시 1인칭 서술과 극적 독백 형식을 통해 이 기법을 예고했다는 평가를 받는다.[11][12] 레프 톨스토이는 그의 소설 《전쟁과 평화》(1869)와 《안나 카레니나》(1878)에서 필요에 따라 모더니즘적인 의식의 흐름 기법을 사용했다는 분석도 있다.[13] 미국의 작가 앰브로스 비어스의 단편 소설 "올빼미 강가에서 생긴 일"(An Occurrence at Owl Creek Bridge|eng, 1890)은 엄격한 시간 순서를 벗어나 주인공의 내면 의식을 따라간다.[14] 에두아르 뒤자르댕의 《월계수는 잘렸다》(Les lauriers sont coupés|fra, 1887)는 시간 순서 대신 자유 연상 기법을 사용하여 중요한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제임스 조이스는 뒤자르댕의 소설에서 영향을 받았음을 인정했다.[15] 일부 비평가들은 안톤 체호프의 단편 소설과 희곡(1881–1904)[16], 크누트 함순의 소설 《굶주림》(Sult|nor, 1890)과 《미스터리》(Mysterier|nor, 1892)[17], 헨리 제임스의 초기 작품 《어느 여인의 초상》(The Portrait of a Lady|eng, 1881)[20] 등에서도 의식의 흐름 기법의 초기 형태를 발견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특히 함순의 《미스터리》는 특정 챕터에서 시대를 앞서 의식의 흐름 기법을 사용했다는 평가를 받는다.[18][19]
아르투어 슈니츨러의 단편 소설 〈구스틀 소위〉(Leutnant Gustl|deu, 1900)는 의식의 흐름 기법을 완전히 구현한 최초의 작품으로 여겨지기도 한다.[22]
본격적으로 의식의 흐름 기법이 발전한 것은 20세기 초 모더니즘 작가들에 의해서였다. 마르셀 프루스트의 대하소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1913-1927)가 초기 사례로 자주 언급되지만, 일부 비평가들은 프루스트가 의식의 회상적 측면에만 집중했을 뿐 의식의 흐름 자체를 그린 것은 아니라고 평가한다.[23][24] 도로시 리처드슨의 13권짜리 반자전적 소설 연작 《순례》의 첫 권인 《뾰족 지붕》(Pointed Roofs|eng, 1915)은 영어로 쓰인 최초의 완전한 의식의 흐름 소설로 평가받는다.[25] 리처드슨 자신은 1934년에 "프루스트, 제임스 조이스, 버지니아 울프, 그리고 자신(D.R.)은 모두 '새로운 방법'을 사용했지만, 매우 다른 방식으로 동시에 사용했다"고 언급했다.[26]
제임스 조이스는 의식의 흐름 기법을 활용한 대표적인 작가이다. 그의 초기작 《젊은 예술가의 초상》(1916)에서 이미 내적 독백과 함께 기법의 징후를 보였으며[27], 대표작 《율리시스》(1922)에서는 이 기법을 본격적으로 사용하여 문학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율리시스》는 주인공 레오폴드 블룸의 내면 의식을 따라가지만, 작가의 묘사나 자유 간접 화법 등 다양한 서술 방식을 혼합하여 객관적 현실과 주관적 경험을 넘나든다.[28] 그의 마지막 작품 《피네간의 경야》(1939)에서는 의식의 흐름, 문학적 암시, 자유로운 꿈 연상 기법 등을 극한까지 밀어붙여 실험적인 글쓰기를 선보였다.
T. S. 엘리엇 역시 그의 시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사랑 노래"(1915)에서 내적 독백을 사용하여 도시인의 고립감과 불안을 효과적으로 표현했다.[29] 버지니아 울프는 《댈러웨이 부인》(1925)과 《등대로》(1927) 등에서 전지적 작가 시점, 자유 간접 화법, 내적 독백 등을 자유롭게 넘나들며 인물의 내면세계를 섬세하게 묘사했다.[34] 윌리엄 포크너의 《소리와 분노》(1929) 역시 의식의 흐름 기법을 활용한 대표적인 작품으로 꼽힌다.[32] 캐서린 맨스필드 역시 이 기법을 사용한 주요 작가 중 한 명이다.
제임스 조이스의 《율리시스》 출판 이후, 의식의 흐름 기법은 더욱 확산되었다. 이탈로 스베보의 《제노의 의식》(1923)[31], 말콤 로리의 《화산 아래서》(1947)[35] 등이 대표적이다. 조이스의 친구였던 사무엘 베케트는 그의 소설 3부작 《몰로이》(1951), 《말론은 죽는다》(1951), 《이름 없는 자》(1953) 등에서 내적 독백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36] 프랑스 작가 장 폴 사르트르는 그의 소설 3부작 《자유의 길》, 특히 두 번째 책인 《유예》(1945)에서 이 기법을 두드러지게 사용했다.[37]
1970년대에는 로버트 안톤 윌슨과 로버트 셰이가 공동 집필한 《일루미나투스!》(1975)와 같이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넘어선 의식의 흐름 서술을 보여주는 작품도 등장했다.[38] 영국의 코미디 그룹 몬티 파이튼은 TV 쇼 《몬티 파이튼의 날아다니는 서커스》에서 스케치 코미디 형식에 의식의 흐름 기법을 도입하여 혁신적인 시도를 보여주기도 했다.[39]
스코틀랜드 작가 제임스 켈먼은 《버스 운전사 하인스》(1984), 《얼마나 늦었는지, 얼마나 늦었는지》(1994) 등에서 의식의 흐름 서술과 글래스고 지역 방언을 결합하여 독특한 문체를 선보였다.[40] 살만 루슈디의 소설 역시 특유의 수다스러운 의식의 흐름 서술 스타일을 특징으로 한다는 평가를 받는다.[41] 이 외에도 실비아 플라스의 《벨 자》(1963)[42], 소련의 언더그라운드 작가 파벨 울리틴의 작품, 어빈 웰시의 《트레인스포팅》(1993)[43] 등이 의식의 흐름 기법을 활용한 작품으로 언급된다.
21세기에도 의식의 흐름 기법은 현대 작가들에 의해 계속 사용되고 있다. 데이브 에거스의 《숨 막히는 천재의 가슴 아픈 작품》(2000)[44], 조나단 사프란 포어의 《모두 다 괜찮아》(2002)[46], 로베르토 볼라뇨의 《부적》(1999)[45], 미국 작가 브렌던 코넬의 단편 소설[47] 등이 그 예이다.
일본에서는 이토 세이가 1930년 "신심리주의 문학"을 제창하며 의식의 흐름 기법을 소개하고 직접 작품을 쓰기도 했다.[59] 가와바타 야스나리는 《바늘과 유리와 안개》(1930), 《수정 환상》(1931) 등에서 실험적으로 이 기법을 사용했으며, 요코미쓰 리이치의 《기계》(1931)에서도 그 영향을 찾아볼 수 있다.[56][57][60] 이토 세이는 만년의 작품 《변용》(1968)에 이르기까지 내적 독백을 통한 기법적 실험을 이어갔다.[61]
3. 2. 한국 문학에서의 수용
일본 문학에서는 이토 세이가 "신심리주의 문학"이라는 이름으로 '의식의 흐름' 기법을 소개하였으며, 가와바타 야스나리나 요코미쓰 리이치와 같은 작가들도 이러한 기법을 실험적으로 작품에 적용하였다.[59][56][57][60]
이러한 일본 문단의 경향은 일제강점기 한국 문학에도 영향을 주어, '의식의 흐름' 기법이 간접적으로 소개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광복 이후에는 서구 문학과의 직접적인 교류가 늘어나면서 제임스 조이스, 버지니아 울프, 윌리엄 포크너 등 서구 작가들의 작품과 문학 이론이 본격적으로 유입되었고, 이를 통해 '의식의 흐름' 기법이 한국 문학계에 보다 직접적으로 알려지고 작가들에 의해 수용되기 시작했다.
다만, 한국 문학사에서 '의식의 흐름' 기법을 본격적으로 사용하여 문학적 성취를 이룬 구체적인 작가나 작품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와 논의가 필요하다. 특히 일제강점기라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 해당 기법이 어떻게 수용되었는지, 그리고 광복 이후 한국적 상황과 정서를 담아내며 어떻게 독창적으로 변용되었는지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이 요구된다.
4. 영화에서의 의식의 흐름
일부 영화 제작자들은 등장인물의 내면세계를 표현하기 위해 의식의 흐름 기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싱어송라이터 코트니 바넷에 관한 다큐멘터리 영화 ''애너니머스 클럽''은 의식의 흐름 기법을 사용하여 서술된다.[53] 테렌스 맬릭 감독의 영화 역시 이 기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4] 2022년에 개봉한 영화 ''유 원트 비 얼론'' 또한 의식의 흐름 기법을 사용한 예시다.[55]
5. 대중음악에서의 의식의 흐름
의식의 흐름 기법은 노랫말에도 사용된다.[48] 선 킬 문[49][50]과 코트니 바넷[51]과 같은 작곡가들이 그들의 노래에서 이 기법을 사용한다. 초기 사례로는 아웃캐스트가 2003년 앨범 Speakerboxxx/The Love Below에 수록한 곡 "A Life in the Day of Benjamin André (Incomplete)"가 있다.[52]
참조
[1]
서적
A Dictionary of Literary Terms
Penguin Books
[2]
서적
https://books.google[...]
J. W. Parker
[3]
서적
Modernist Fiction: An Introduction
University of Kentucky
[4]
간행물
Novels
1948-03-01
[5]
간행물
The Novels of Dorothy Richardson
1908-04-01
[6]
서적
Oxford U.P.
[7]
웹사이트
interior monologue
http://www.britannic[...]
2012-09-24
[8]
서적
Bodley Head
[9]
서적
A Dictionary of Literary Terms
Penguin
[10]
서적
Seventy-Six
York Mail—Print, Inc
[11]
웹사이트
The Tell-Tale Heart – story by Poe
http://www.britannic[...]
[12]
웹사이트
Edgar Allan Poe Society of Baltimore – The Life and Writings of Edgar Allan Poe
https://www.eapoe.or[...]
[13]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Tolsto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논문
Silence as Literary Device in Ambrose Bierce's 'The Occurrence at Owl Creek Bridge.'
2013-03-01
[15]
서적
Modernist Fiction
University of Kentucky
[16]
간행물
Ramblings
2000-06-01
[17]
웹사이트
Addicted to Unpredictability
http://www.lrb.co.uk[...]
1998-11-26
[18]
웹사이트
Hamsun's modernism – Hamsunsenteret – Hamsunsenteret
http://hamsunsentere[...]
2017-10-09
[19]
비디오
Interview with Robert Ferguson in the second episode of the documentary television series Guddommelig galskap – Knut Hamsun
https://tv.nrk.no/se[...]
[20]
서적
A Glossary of Literary Terms
Harcourt Brace
1999
[21]
서적
A Writer's Diary: Being Extracts from the Diary of Virginia Woolf
https://books.google[...]
Harcourt
2003-03-01
[22]
웹사이트
stream of consciousness – literature
http://www.britannic[...]
[23]
서적
Stream of Consciousness in the Modern Novel
University of California
[24]
서적
Enjoyment of Literature
Simon and Schuster
[25]
서적
The Pilgrimage of Dorothy Richardson
https://books.google[...]
Univ of Wisconsin Press
[26]
서적
Windows of Modernism: Selected Letters of Dorothy Richardson
University of Georgia Press
[27]
서적
[28]
서적
A Reader's Guide to the Twentieth-Century Novel in Britain
University of Kentucky Press
[29]
서적
English Literature From 1785
HarperCollins
[30]
서적
A Handbook to Literature
Prentice-Hall
[31]
리뷰
https://www.jstor.or[...]
1990-09-01
[32]
서적
Oxford Dictionary of Literary Terms
[33]
서적
Modernist Fiction
University of Kentucky
[34]
서적
Mrs Dalloway: Mapping Streams of Consciousness
Twayne Publishers
[35]
서적
[36]
간행물
From Joyce to Beckett: The Beckettian Dramatic Interior Monologue
2004-03-01 # Spring issue assumed to be March
[37]
논문
Freedom and Commitment in Jean-Paul Sartre's "Les Chemins de la Liberté"
http://ir.canterbury[...]
University of Canterbury
1975
[38]
간행물
The Fortean Times
1976-08-01 # August issue assumed to be August 1
[39]
뉴스
Monty Python's Flying Circus
https://www.bbc.co.u[...]
BBC
2019-08-24
[40]
웹사이트
Minds Are The Strangest Thing
http://www.newyorker[...]
The New Yorker
2013-05-20
[41]
서적
Encyclopedia of Postcolonial Studies
Greenwood
2001
[42]
간행물
American Literature
1993-06-01 # June issue assumed to be June 1
[43]
뉴스
Tales from the Other Side of the Track
Irish Times
2012-05-03
[44]
뉴스
The agony and the irony
The Observer
2000-05-14
[45]
뉴스
Amulet by Roberto Bolaño
The Guardian
2009-09-12
[46]
뉴스
A nine-year-old and 9/11
The Observer
2005-05-29
[47]
서적
The Life of Polycrates and Other Stories for Antiquated Children
Chomu Press
2010
[48]
학술지
Participating in a musician's stream of consciousness
https://www.cambridg[...]
2020
[49]
잡지
Review: Sun Kil Moon's 'Common' is a Stream-of-Consciousness Epic
https://www.rollings[...]
Rolling Stone
2017-03-03
[50]
웹사이트
Sun Kil Moon's new album shows us the limit of stream-of-consciousness
https://www.voxmagaz[...]
[51]
웹사이트
City Lights: Down Under Indie Darling Courtney Barnett is Looking up
https://washingtonci[...]
2022-01-31
[52]
웹사이트
[Adam Bradley] Book of Rhymes the Poetics of Hip Hop Kindle Edition
https://www.academia[...]
[53]
웹사이트
'Anonymous Club' Review: Courtney Barnett Doc Sensitively Captures the Loneliness of the Solo Singer
https://www.indiewir[...]
2022-07-14
[54]
웹사이트
Ultimate Guide to Terrence Malick and His Directing Techniques
https://indiefilmhus[...]
2022-09-02
[55]
웹사이트
'You Won't be Alone' review: Waking the Witch
https://www.fox5ny.c[...]
2022-04-02
[56]
서적
第三章 恋の墓標と〈美神〉の蘇生――自己確立へ 第一節 奇術師の嘆き『水晶幻想』
[57]
서적
[58]
문서
もう森へなんか行かない
[59]
서적
昭和文学史
筑摩書房
1963
[60]
간행물
伊藤整
新潮
1970-01-01 # January issue assumed to be January 1
[61]
서적
『変容』解説
岩波文庫
198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