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경해는 대한민국의 농민운동가이자 전라북도의회 의원이다. 그는 서울농업대학을 졸업하고 농업에 종사하며 낙농장, 채소 농장을 운영했고, 농민 단체 활동을 통해 농민들의 권익 보호에 힘썼다. 전라북도의회 의원 3선을 역임했으며, 세계 무역 기구(WTO)의 농업 개방 정책에 반대하며 여러 차례 단식 투쟁을 벌였다. 2003년 멕시코 칸쿤에서 열린 WTO 회의에서 농업 개방에 항의하며 할복 자살했다. 그의 죽음은 반세계화 운동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한국에서는 열사로 추모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3년 자살 - 후루오야 마사토
후루오야 마사토는 불우한 어린 시절을 극복하고 극단에서 연극 배우로 데뷔하여 영화와 드라마에서 활약하며 연기력을 인정받았으나, 경제적 어려움과 가정 불화로 자살한 일본의 배우이다. - 2003년 자살 - 육우당 (활동가)
육우당(윤현석)은 동성애자 인권 운동과 사회 운동에 헌신한 대한민국의 활동가이자 시인으로, 성소수자 차별 문제 공론화와 청소년보호법 개정 등 사회적 변화에 기여했다. - 반세계화 활동가 - 카를 마르크스
카를 마르크스는 독일의 철학자, 경제학자, 사회학자, 역사가, 언론인, 혁명가이자 공산주의 사상 창시자 중 한 명으로, 『공산당 선언』과 『자본론』 등을 통해 역사적 유물론, 계급 투쟁, 자본주의 비판 이론을 체계화하여 사회주의 운동과 현대 사회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반세계화 활동가 - 노엄 촘스키
노엄 촘스키는 변형생성문법 이론으로 언어학에 혁명을 일으키고 인지 과학 등 여러 학문에 영향을 미쳤으며, 미국 외교 정책과 자본주의를 비판하는 저명한 지식인이자 사회운동가이다. - 전북특별자치도의원 - 김세웅
김세웅은 전라북도의회 의원, 무주군수를 거쳐 제18대 국회의원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무주군수 선거 낙선 및 선거비용 미반납 논란 등의 이력이 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원 - 강임준
강임준은 전라북도 군산시장을 두 차례 역임한 대한민국 정치인으로, 과거 전라북도의회 의원을 지냈고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재판을 받았으며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전력도 있다.
이경해 | |
---|---|
기본 정보 | |
![]() | |
한글 이름 | 이경해 |
한자 이름 | 李京海 |
로마자 표기 | I Gyeong-hae |
출생 | 1947년 |
사망 | 2003년 9월 10일 |
정치 경력 | |
직업 | 농민, 활동가 |
소속 정당 | 무소속 |
전라북도 의회 의원 | 임기: 1991년 ~ 1995년 선거구: 전라북도 |
2. 생애
이경해는 전라북도 장수군 출신의 농민 운동가이자 정치인이다. 서울시립대학교의 전신인 서울농업대학을 졸업한 후 농업에 종사하며 농민 운동에 투신했다. 1979년 장수군 축산협회 회장을 시작으로, 1980년대에는 전국 농민들의 처우 개선을 위해 노력하며 다양한 농업 관련 단체에서 활동했다. 1989년에는 국제 연합 식량 농업 기구(FAO)로부터 '올해의 농민' 상을 받았다.
1990년대부터는 세계 무역 기구(WTO)의 농업 정책에 반대하는 투쟁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전라북도의회 의원으로 활동하면서도, WTO에 맞서 여러 차례 단식 투쟁을 벌였다. 1993년에는 스위스 제네바의 WTO 사무실 앞에서 자살을 시도하기도 했으며, 1994년에는 WTO의 시장 개방 압력에 반대하며 국회 앞에서 17일간 단식 투쟁을 진행했다. 2000년 12월과 2001년 8월에는 각각 대한민국 국회와 일본 도쿄에서 단식 투쟁을 벌였다.[8][9]
2003년 2월에는 스위스 제네바의 세계 무역 기구 본부 앞에서 도하 개발 어젠다(DDA) 농업 협상에 반대하는 단식 투쟁을 벌였고, 같은 해 9월 멕시코 칸쿤에서 열린 WTO 각료회의 반대 시위 도중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및 농업 활동 (1947년 ~ 1979년)
이경해는 전라북도 장수군에서 태어났다. 1974년 서울농업대학(현 서울시립대학교)을 졸업하고 농업을 직업으로 삼았는데, 당시에는 대학 졸업생에게 농업이 합리적인 직업으로 여겨지지 않았다. 그는 버려진 황무지에 낙농장을 세우고 70마리의 젖소를 수용할 수 있도록 발전시켰다. 또한 채소 농장을 개발했으며, 실제 경험을 원하는 농업 관련 학생들에게 모든 농장을 개방했다. 이 시기에 이경해는 지역 잡지인 ''산''의 기자 김백이와 결혼했다.[5]전주농고를 졸업하고, 서울농업대학교(현 서울시립대학교) 농과대학, 동국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을 졸업하였다. 고향에서 농장을 운영하면서 장수군 낙우회 부회장 및 농민후계자, 전북농어민후계자협의회 회장, 전국농어민후계자협의회(현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 회장을 역임하였다.[5][6][7]
2. 2. 농민 운동 투신 (1979년 ~ 1990년대 초)
1979년, 이경해는 장수군 축산협회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1980년대 내내 그는 전국 농민들의 처우 개선을 위해 노력했고, 그 결과 여러 주요 농업 관련 직책을 맡게 되었다. 1983년 장수군 젊은 농업인 연합회 회장, 1987년에는 더 큰 규모의 전북 젊은 농업인 연합회 회장이 되었다. 작물 가격 하락에 대응하여 그는 한국 젊은 농업인 연합회 설립에 참여했다. 그의 활동은 국제 연합 식량 농업 기구(FAO)의 주목을 받았고, 1989년 이경해는 '올해의 농민' 상을 받았다.[5] 같은 해, 그는 한국 선진 농업인 연합회 회장으로 선출되어 1991년까지 이 직책을 역임했다. 1990년, 그는 사회 운동 잡지인 '한국 젊은 농업인 주간 뉴스'를 창간했다.1990년대에 이경해는 한국 농민을 위한 투쟁에서 더 적극적인 방법을 사용했다. 그는 전북도의회 의원에 세 번 당선되었다.[5][6][7] 대한민국 정부가 한국 젊은 농업인 연합회의 두 번째 전국 회의를 막으려 하자, 이경해는 이에 항의하여 단식 투쟁을 이끌었다.
단식 투쟁은 이경해가 세계 무역 기구(WTO)에 맞서 싸우는 데 자주 사용하던 방법이었다. 그에 따르면, WTO의 무역 정책은 한국 농민을 파멸시켜 빈곤으로 몰아넣거나 더 나쁜 상황으로 만들었다. 1993년, 그는 WTO의 스위스 제네바 사무실에서 자살을 시도했지만, 입원하여 회복했다.[5][9] 1994년, WTO가 한국에 외국 농산물 시장을 개방하라고 압력을 가하자 이경해는 단식 투쟁을 이끌었다. 그는 국회 건물 밖에서 17일 동안 머물면서 국회가 WTO에 반대하는 법안을 통과시키도록 설득하려 했다.
2. 3. 전라북도의회 의정 활동 및 WTO 반대 투쟁 (1990년대 초 ~ 2003년)
1990년대에 이경해는 한국 농민을 위한 투쟁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전라북도의회 의원에 세 번 당선되었으며,[5][6][7] 대한민국 정부가 한국 젊은 농업인 연합회의 전국 회의를 막으려 하자 단식 투쟁으로 항의했다.이경해는 세계 무역 기구(WTO)의 무역 정책이 한국 농민을 빈곤으로 몰아넣는다고 비판하며, 단식 투쟁을 주요 전술로 활용했다. 1993년 스위스 제네바의 WTO 사무실에서 자살을 시도했으나 회복했고, 1994년에는 WTO의 시장 개방 압력에 맞서 국회 앞에서 17일간 단식 투쟁을 벌였다. 2000년 12월에도 26일간 단식 투쟁을 진행했다.
2003년 2월, 이경해는 스위스 제네바의 WTO 본부 앞에서 도하 개발 어젠다(DDA) 농업 협상에 반대하며 단식 투쟁을 벌였다. 과거 우루과이 라운드 협상에 반대하며 같은 장소에서 할복 자살을 시도한 적도 있었다.[5][9]
2001년 8월에는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에 항의하며 도쿄 국회의사당 부근에서 단식 투쟁을 벌이기도 했다.[9][8]
2003년 9월 10일, 멕시코 칸쿤에서 열린 제5차 WTO 각료회의에서 이경해는 농업 시장 개방에 반대하는 시위에 참여했다. "WTO가 농민을 죽인다"고 외치며 할복한 그는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사망했다.[6][10][11]
이경해의 죽음은 각료 회의 협상 결렬과 한국 정부의 농민 지원 대책 마련에 영향을 주었으며, 그는 한국에서 "열사"로 평가받는다.[7][10]
2. 4. 칸쿤에서의 죽음과 그 이후 (2003년 9월 ~ 현재)
2003년 9월 10일, 이경해는 멕시코 칸쿤에서 열린 세계무역기구(WTO) 각료 회의 반대 시위 도중 경찰 바리케이드 위에서 텔레비전 카메라 앞에서 자신의 몸을 찔렀다.[1] 그는 인근 병원으로 급히 이송되었으나, 수술 중 사망했다.[2] 사인은 공식적으로 자살로 밝혀졌다.이경해는 반세계화 운동의 순교자로 여겨지기도 한다.[3] 그의 죽음은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에 반대하는 이들에게 자유 무역이 노동자들의 삶에 미치는 파괴적인 영향의 한 사례로 언급된다.[4]
2005년 홍콩에서 열린 제6차 세계무역기구 각료회의 반대 시위에도 많은 한국 농민들이 참여했다.[12][13]
2. 4. 1. 사회적 영향
2003년 9월 10일, 멕시코 칸쿤에서 열린 WTO 각료 회의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 도중, 이경해는 경찰 바리케이드 위에 올라가 텔레비전 카메라 앞에서 자신의 몸을 찔렀다.[1] 그는 즉시 인근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수술 중 사망했다.[2]이경해는 반세계화 운동의 순교자로 여겨지기도 한다.[3] 그의 죽음은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에 반대하는 이들에게 자유 무역이 노동자들의 삶에 미치는 파괴적인 영향의 한 사례로 언급된다.[4]
당시 관세 인하와 개발도상국 지위 유지를 요구하던 여러 나라의 농민들은 멕시코 칸쿤의 회의장 근처에서 경찰과 격렬하게 대치했다. 농업 시장 개방과 농산물 무역 자유화에 반대하며 "한국 칸쿤 투쟁단"의 일원으로 참여한 한국 전위농민회의 대표 이경해는 "세계무역기구가 농민을 죽인다"고 외치며 할복했다. 그는 곧바로 병원으로 이송되었지만, 심한 심장 출혈로 인해 같은 날 사망했다.[6][10][11]
이경해의 죽음은 각료 회의 협상 결렬과 한국 정부의 농민 지원 대책 마련을 이끌어낸 것으로 평가받으며, 그는 한국에서 "열사"로 불린다.[7][10] 2005년 홍콩에서 열린 제6차 세계무역기구 각료회의 반대 시위에도 많은 한국 농민들이 참여했다.[12][13]
2. 4. 2. 문화적 영향
2005년 9월 10일, 홍콩에서는 다양한 추모 행사 외에도 WTO 희생자, 특히 이경해를 기리기 위한 촛불 시위가 열렸다.안티-플래그는 WTO 정책으로 피해를 입은 이경해, 퍼시 슈마이저와 다른 농민들에게 헌정하는 곡 "The WTO Kills Farmers"를 만들었다.
알루카티스타스는 그의 활동에 헌정하는 "이경해"라는 곡을 가지고 있다.
이경해의 죽음은 각료 회의의 협상 결렬과 한국 정부의 농민 지원 대책을 이끌어낸 것으로 평가받아, 그는 한국에서 "열사"로 불린다.[6][7][10][11]
참조
[1]
웹사이트
WTO Kills Farmers: Remembering Lee Kyung HAe
https://countercurre[...]
2003-09-16
[2]
웹사이트
WTO Kills Farmers: Remembering Lee Kyung HAe
https://countercurre[...]
2003-09-16
[3]
웹사이트
Lee Kyung Hae’s dramatic suicide still an inspiration for global action
https://www.nfu.ca/k[...]
www.nfu.ca
2024-03-19
[4]
웹사이트
Field of tears
https://www.theguard[...]
guardian.co.uk
2008-09-10
[5]
웹사이트
역대의원 - 이경해
https://www.assem.je[...]
全羅北道議会
2023-07-13
[6]
웹사이트
한국농민 이경해씨, 칸쿤에서 할복자살
https://news.sbs.co.[...]
2023-07-13
[7]
웹사이트
"이경해 열사 죽음 헛되이 할 수 없어"
http://www.hsnews.co[...]
2023-07-13
[8]
웹사이트
「根っこ」突けぬ戦争責任論 首相の寒々しいアジア観
https://korea-np.co.[...]
朝鮮新報
2023-07-13
[9]
웹사이트
이경해 전도의원, 스위스서 단식농성 {{!}}
http://www.domin.co.[...]
2023-07-13
[10]
웹사이트
“이경해 열사의 숭고한 정신, 우리들 가슴속에 영원히 남을 것”
http://www.agrinet.c[...]
2023-07-13
[11]
간행물
6. 中韓の貿易・FTA政策と農林水産業
https://www.maff.go.[...]
[12]
웹사이트
韩国的经济爱国主义-搜狐新闻
https://news.sohu.co[...]
2023-07-13
[13]
웹사이트
韓国農民、海に飛び込んでWTO反対デモ
https://japanese.joi[...]
2023-07-13
[14]
뉴스
고 이경해씨 장례, 세계농민장으로 결정
http://news.naver.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