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반세계화 운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세계화 운동은 세계은행, 국제통화기금(IMF), 세계무역기구(WTO) 등 국제기구와 다국적 기업이 주도하는 신자유주의적 세계화가 불평등과 불공정을 심화시킨다는 인식에서 출발한 운동이다. 이들은 개발도상국의 경제 주권 침해, 노동자 권익 억압, 환경 파괴 등을 비판하며, 세계 경제 기구와 다국적 기업의 특권에 반대한다. 1990년대부터 신자유주의에 반대하는 운동이 전개되었으며, 반전 운동과 연대하기도 했다. 반세계화 운동은 다양한 개인, 단체, 네트워크가 참여하는 분산적 형태로 진행되며, 시애틀, 워싱턴 D.C., 멕시코 칸쿤 등에서 대규모 시위가 벌어졌다. 세계사회포럼(WSF)은 반세계화 운동의 국제적인 연대 활동의 일환으로, 대안적인 세계화 모델을 모색한다. 반세계화 운동은 증거 부족, 조직 부재, 효율성 부족 등의 비판을 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반세계화 운동 - 생태사회주의
    생태사회주의는 자본주의 산업화의 환경 문제와 사회 불평등을 해결하고자 사회주의와 생태주의를 결합한 좌파 녹색 정치 이념으로, 반자본주의적 관점에서 생산 수단의 공동 소유와 자원 지역 통제를 주장하며 탈자본주의 및 탈국가주의 사회를 지향한다.
  • 반세계화 운동 - 반자본주의
    반자본주의는 자본주의 체제의 모순과 부정적 측면을 비판하며 대안을 모색하는 다양한 사상과 운동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불평등, 착취, 환경 파괴 등을 비판하며 계획경제, 노동자 자주관리 등의 대안을 제시하고 21세기 반세계화 운동으로 이어진다.
  • 반기업 활동주의 - 문화 방해
    문화 방해는 정보 기술과 매체를 활용하여 대량 소비 문화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담아 정보 불균형을 해소하고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려는 시도이며, 광고 패러디, 소비 절제 운동 등으로 나타나 사회 비판적 메시지 전달 및 공론의 장 형성에 기여한다.
  • 반기업 활동주의 - 내부고발
    내부고발은 조직의 불법, 비윤리적 행위를 조직 구성원 또는 전 구성원이 외부에 공개하는 행위이며, 공익적이고 윤리적인 성격을 지니지만, 고발자는 보복이나 불이익을 겪을 수 있다.
  • 경제 세계화 - 경제적 자유주의
    경제적 자유주의는 애덤 스미스에 의해 발전된 경제 이론으로, 정부의 경제 개입 최소화, 사유 재산, 개인 계약을 중시하며 봉건제와 중상주의에 반대한다.
  • 경제 세계화 - 개발도상국
    개발도상국은 선진국을 제외한 국가로 낮은 경제 발전 수준과 사회·경제적 어려움을 겪으며, 소득 수준, 산업화 정도 등에 따라 세분화되고 빈곤, 열악한 인적 자원, 환경 오염 등의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 사회의 협력과 노력이 요구된다.
반세계화 운동
지도
운동 명칭
한국어반세계화 운동
영어anti-globalization movement, counter-globalisation movement
일본어反グローバリゼーション
개요
설명다국적 기업에 반대하는 전 세계적인 정치 운동이다.
특징
주요 목표다국적 기업의 권력에 대한 비판, 자유 무역과 세계화에 대한 반대
참가자아나키스트
공산주의자
사회주의자
일부 자유주의자
관련 운동반소비주의 운동과 관련이 있다.
비판
우익 비판국가 권력의 약화를 초래한다고 비판받는다.
좌익 비판세계화 자체를 문제 삼는 것이 아니라 자본주의를 문제 삼아야 한다고 비판받는다.
기타 비판경제적 보호주의를 강화하여 세계 경제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고 비판받는다.

2. 관념과 원인

반세계화 운동은 세계은행, 국제통화기금(IMF), 세계무역기구(WTO)와 같은 국제기구 및 다국적 기업이 주도하는 신자유주의적 세계화가 전 세계적인 불평등과 불공정을 심화시킨다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특히, 이들 기구와 기업이 개발도상국의 경제 주권을 침해하고, 노동자들의 권익을 억압하며, 환경 파괴를 가속화한다는 비판이 제기된다.[114][115]

세계화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국제 협약과 IMF, 세계 무역 기구와 같은 세계 경제 기구들이 지역이나 국가의 자결권을 심각하게 침해한다고 본다.[114] 이들은 다국적 기업이 경제적 이득을 얻기 위해 이러한 기구들을 이용하며, 이들 기업은 국경을 자유롭게 넘나들고, 훌륭한 천연자원을 얻으며, 다양한 인적 자원을 이용할 수 있는 특권을 가진다고 주장한다.

반세계화 운동은 법인격의 법적 지위 종말, 자유 시장 근본주의 해소, 세계 은행, IMF, 세계무역기구의 급진적 경제 사유화 해소를 목표로 한다. 운동가들은 윤리적 기준을 고려하지 않는 신자유주의를 촉진하는 세계화와 국제 기구에 의해 악용 현상이 지속된다고 보고 적극적으로 반대한다.[12]

또한 반세계화 운동가들은 자유 무역이 노동 환경과 노동자의 건강 및 복지를 보호하지 않으면서 산업 국가(주로 개발도상국인 "남(South)"과 반대되는 "북(North)")의 힘을 증가시킨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신자유주의 경제가 부유한 국가에 유리하게 작용하여 개발도상국을 착취하고 세계 부의 격차를 확대한다고 본다.[115] 유엔 특별 보고관인 장 지글러개발도상국의 수백만 농부들이 생계를 잃고 있으며, 이는 WTO 가입국 간 권력 불균형으로 인해 세계 무역 체제의 불평등이 심화되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116]

1990년대 이후, 주로 좌파에 의해 신자유주의 비판과 억압받는 노동자로서의 이주노동자와의 연대를 내세우는 운동이 시작되었다. 반세계화의 시초가 된 사건은 1999년 11월 30일부터 12월 2일까지 시애틀에서 열린 세계무역기구(WTO) 각료회의 반대 시위이다.

2. 1. 세계 경제 기구와 다국적 기업에 대한 반대

반세계화 운동은 IMF, 세계 무역 기구와 같은 세계 경제 기구들이 지역이나 국가의 자결권을 침해한다고 비판한다.[114] 이들 기구는 다국적 기업이 경제적 이득을 얻기 위해 사용하며, 이들 기업은 다음과 같은 특권을 가진다.

  • 국경을 자유롭게 넘나든다.
  • 훌륭한 천연자원을 얻을 수 있다.
  • 다양한 인적 자원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운동은 법인격의 법적 지위 종말, 자유 시장 근본주의 해소, 세계 은행, IMF, 세계무역기구의 급진적 경제 사유화 해소를 목표로 한다. 운동가들은 윤리적 기준을 고려하지 않는 신자유주의를 촉진하는 세계화와 국제 기구에 의해 악용 현상이 지속된다고 보고 적극 반대한다.[12]

반세계화 운동가들은 자유 무역이 노동 환경과 노동자의 건강, 복지를 보호하지 않으면서 산업 국가(주로 "북(North)"으로 지칭)의 힘을 증가시킨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신자유주의 경제가 부유한 국가에 유리하게 작용하여 개발도상국을 착취하고 세계 부의 격차를 확대한다고 본다.[115] 장 지글러에 따르면, 개발도상국의 수백만 농부들이 생계를 잃고 있으며, 이는 WTO 가입국 간 권력 불균형으로 인해 세계 무역 체제의 불평등이 심화되기 때문이라고 한다.[116] 또한 선진국의 농업 보조금과 수출 보조금 사용이 개발도상국의 농업 활동 축소의 주요 요인이라고 지적한다.

2. 2. 신자유주의에 대한 반대

반세계화 운동은 1990년대 이후 전 세계적으로 확산된 신자유주의에 대한 반대 운동이다.[114] 신자유주의는 규제 완화, 민영화, 시장 개방을 통해 경제 성장을 추구하지만, 사회적 불평등 심화, 공공 서비스 약화, 환경 파괴 등의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115]

반세계화 운동가들은 세계 은행, IMF, 세계무역기구와 같은 국제기구가 신자유주의를 촉진하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여러 문제점을 지적한다.[114] 특히, 이들은 자유 무역이 노동 환경과 노동자의 복지를 고려하지 않아 선진국의 힘을 강화하고, 개발도상국을 착취하며 세계적인 부의 격차를 확대한다고 주장한다.[115] 장 지글러는 WTO 체제의 불평등이 개발도상국 농부들의 생계를 위협한다고 비판했다.[116]

OECD가 1990년대에 다국적투자협정(MAI)을 통해 국경을 넘는 투자와 무역 제한을 자유화하려 하자, 이에 대한 반발로 인터넷을 통해 반세계화 운동이 확산되기 시작했다. 이 협정은 시민 사회의 강력한 반대로 1998년에 폐기되었다.

신자유주의는 자유 무역과 규제 완화가 모두에게 이익을 가져다줄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반세계화 운동가들은 이러한 정책이 환경 보존, 인권, 민주주의를 위협한다고 주장한다.

노엄 촘스키는 2002년에 "세계화"라는 용어가 투자자의 권리만 중시하고 사람들의 이익은 부차적으로 여기는 특정 형태의 국제 경제 통합을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고 비판했다.[15] 그는 진정한 세계화는 사적 권력 시스템이 아닌 사람들의 권리에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5]

하일리겐담에서 2007년 G8 회의에 반대하는 시위.

2. 3. 반전 운동

2002년까지 많은 반세계화 운동은 곧 있을 이라크 침공에 반대하였다. 11만 명 혹은 그 이상의 운동가들이 2003년 4월 15일 주말, 곧 임박할 이라크 전쟁에 반대하기 위해 모였다. 뉴욕 타임지는 이를 “세계 두 번째 초강대국”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117] 다른 반전 시위도 반세계화 운동에 의해 조직되었는데, 예를 들면 대규모 시위였던 이라크 전쟁에 반대하는 시위는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2002년 11월에 열린 첫 번째 유럽 사회 포럼을 저지했다.[118]

반세계화 무력 투쟁가들은 스페인, 이탈리아, 폴란드, 영국 등 많은 민주주의 국가의 지도자들이 전쟁에 반대하는 그들 나라 대다수 국민들의 의견과 반대하는 방향으로 행동하기 때문에 민주적 기구의 올바른 기능을 의심한다. 노암 촘스키는 이들 지도자들이 “민주주의를 향한 그들의 경멸을 보여준다”고 주장했다.[17][18] 각자 운동의 논리와 조직을 가지고 전개되어온 반전 평화 운동과 반세계화 운동은 9.11 테러를 계기로 급속히 결합하게 되었다. 9.11 이후의 사태 전개로 인해 반전 평화와 반세계화 운동 모두 심각한 위기 의식을 갖게 되었고 두 운동이 공동의 적을 대면하고 있다는 인식이 공유되기 시작하였다.

3. 주요 활동 및 조직

반세계화 운동은 특정한 지도부나 단일 조직 없이 다양한 개인, 단체, 네트워크가 참여하는 분산적이고 수평적인 형태로 전개된다. 1990년대 OECD가 투자 자유화 협정을 통해 국경을 넘는 투자와 무역 제한을 자유화시키는 것을 제안하면서, 이에 대한 반발로 인터넷을 통해 이 운동이 발전하기 시작했다.[10] 투자 자유화 협정은 1998년 11월 국내외 시민 사회의 반대로 폐지되었다.

반세계화 운동은 세계사회포럼(WSF)과 같은 국제적인 연대 활동을 통해 대안적인 세계화 모델을 모색하고, 각국의 상황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저항 운동을 전개한다. 세계사회포럼은 세계경제포럼(WEF)의 신자유주의와 세계화 경향에 맞서기 위해 만들어진 국제적인 사회 포럼이다.[121] 2001년 브라질 포르투알레그리에서 처음 개최되었으며, "다른 세계는 가능하다(Another world is possible)"라는 슬로건 아래, 전 세계의 진보적인 시민단체와 활동가들이 모여 세계화의 문제점에 대해 논의하고 대안을 모색한다.

반세계화 운동 진영에서는 세계사회포럼을 "반세계화 운동이 만나 교류하며 스스로를 확인하는 물리적 시간적 공간"이자 "대안적 세계질서의 비전과 가치, 제도를 논의하고 가다듬는 장소"라고 평가한다.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는 반세계화 운동의 중요한 조직 및 소통 수단으로 활용된다. 정보 기술을 이용하여 시위자들은 무계급으로 거주지가 가깝거나 공통된 정치적 목표를 공유하는 사람들로 모인 유사집단을 조직화한다.

반세계화 운동과 관련된 단체는 다음과 같다.


  • 아탁(Attac)
  • ¡데모크라시아 레알 야!(¡Democracia Real YA!)
  • 푸드 낫 밤즈(Food Not Bombs)
  • 그린 마운틴 아나키스트 컬렉티브(Green Mountain Anarchist Collective)
  • 월가 점거 시위(Occupy Wall Street)


특히 1990년대 이후, 주로 좌파에 의해 신자유주의 비판과 억압받는 노동자로서의 이주노동자와의 연대를 내세우는 운동이 시작되었다.

3. 1. 시위 및 약속

1990년대 이후 국제회의 개최지에 모여 집회나 시위 등을 벌이며 세계화(globalization)에 반대했다.[102] 반세계화 운동은 분산적인 캠페인, 직접적인 시위 행동과 시민의 불복종으로 유지되었으며, 때로는 People's Global Action 네트워크의 배너 아래 진행되기도 했다.

대부분의 시위는 세계화를 촉진시키는 회담 등의 절차를 멈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실제로 정상회담을 연기시키거나 취소시키는 것에 성공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는 사람들을 동원시키고 가시적이고 단기적인 목표를 제시해준다.

제노아, 시애틀런던에서 열린 반 세계화 시위는 폭동으로 인해 그 지역에 막대한 손실을 가져왔으며, 특히 스타벅스맥도날드와 같은 다국적 기업에 영향을 주었다.[119]

반세계화 운동은 정보 기술을 이용하여 시위자들을 조직화한다. 이들은 무계급으로 거주지가 가깝거나 공통된 정치적 목표를 공유하는 사람들로 모인 유사집단이다. 법 집행 요원들에 의해 잠입당할 수도 있어 시위자들의 계획이 무산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2000년 파라과이에서 반 세계화 운동 폭력시위가 있었을 때, 시위대는 3개의 그룹으로 나뉘어 시위를 진행했다.[119] 한 그룹은 컨퍼런스 센터로, 다른 그룹은 시민불복종 운동에 참여했으며, 의상, 춤, 음악, 미술작품 등을 활용한 전술적 발칙함을, 나머지 그룹은 폭력적 충돌에 참여했다.

반세계화 무력 투쟁가들은 많은 민주주의 국가의 지도자들이 전쟁에 반대하는 대다수 국민들의 의견과 반대로 행동하기 때문에 민주적 기구의 올바른 기능을 의심한다. 노암 촘스키는 이들 지도자들이 “민주주의를 향한 그들의 경멸을 보여준다”고 주장했다.[117]

9.11 테러를 계기로 반전평화운동과 반세계화운동은 급속히 결합하게 되었다. 9.11 테러 이후의 사태 전개로 인해 반전평화와 반세계화운동 모두 심각한 위기 의식을 갖게 되었고 두 운동이 공동의 적을 대면하고 있다는 인식이 공유되기 시작하였다.

3. 1. 1. 베를린88

1988년 서베를린에서 열린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 연차총회는 반세계화 운동의 전조로 볼 수 있는 강력한 시위를 목격했다.[28] 시위대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총회를 방해하는 것이었지만, 이는 실패했다.[29]

3. 1. 2. 시애틀

1999년 시애틀에서 열린 세계무역기구(WTO) 각료 회의는 반세계화 운동이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게 된 계기가 되었다. N30으로도 알려진 이 시위에는, 워싱턴주 시애틀에서 WTO 회의 대표들의 입장을 막으면서 개막식이 취소되었고, 12월 3일까지 회의는 지속되었다. 이 시위에는 환경 단체, 노동 조합, 시민 단체 등 다양한 조직들이 참여하여 WTO 협상 중단에 큰 영향을 미쳤다.[103]

미국노총 회원들이 참여한 대규모 허가 시위와 컨벤션 센터 주변에 모인 다양한 연대 그룹의 무허가 시위가 있었다.[33][34] 시위대와 시애틀 경찰은 거리에서 충돌하였고, 경찰은 시위대에게 최루탄을 발사하였다. 600명이 넘는 시위대가 체포되었고 수천 명이 부상당했다.[35] 세 명의 경찰관은 아군의 총격으로, 한 명은 돌에 맞아 부상을 입었다. 일부 시위대는 나이키 매장과 스타벅스 매장 등 표적이 된 기업이 소유하거나 프랜차이즈한 상점의 창문을 파손했다. 시장은 도시에 계엄령과 같은 시 행정명령을 내리고 통행금지를 선포했다. 2002년 기준으로 시애틀시는 폭행 및 불법 체포에 대한 소송과 관련하여 시애틀 경찰서에 20만달러가 넘는 합의금을 지불했으며, 집단 소송이 아직 진행 중이다.

3. 1. 3. 워싱턴

2000년 4월, 워싱턴 D.C.에서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 회의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가 벌어졌다. 약 1만 명에서 1만 5천 명의 시위대가 참여했으며, 이들은 회의 진행을 중단시키고자 했다.[36] [37] [38] [39]

시위에 앞서 경찰은 시위대의 집결 장소를 급습했고, 교도소 산업 복합체에 반대하는 시위에서 다수의 참가자를 체포했다.[41] [42] [43] 4월 15일에만 678명이 체포되었으며,[44] 이 과정에서 퓰리처상을 세 번 수상한 워싱턴 포스트의 사진 기자 캐롤 구지가 체포되고 AP 통신 기자들이 경찰 폭력을 당하는 사건도 발생했다.[45] 4월 16일과 17일, IMF 주변 시위와 거리 행동으로 체포된 사람은 1,300명으로 늘었다.[46]

이후 시위대는 부당 체포에 대한 집단 소송을 제기했고, 2010년 6월에는 1,370만 달러의 배상금 지급으로 합의가 이루어졌다.[48] [49] [50]

2002년 9월에도 IMF와 세계은행 연차총회에 반대하는 시위가 워싱턴 D.C.에서 열렸다. 반자본주의 집결, 세계 정의를 위한 동원 등 여러 단체가 참여했으며, 649명이 체포되었다.[54] 체포된 사람 중에는 언론인도 포함되어 있었다.[57][58] 시위대는 체포에 대해 연방 법원에 소송을 제기했고,[59] 워싱턴 D.C. 검찰총장은 증거 인멸 의혹에 대한 조사를 의뢰하기도 했다.[60][61] 2009년, 워싱턴 D.C. 시 당국은 2002년 시위 당시 퍼싱 공원에서 발생한 대규모 체포와 관련하여 약 400명의 시위대와 구경꾼들에게 825만 달러를 지급하기로 합의했다.[66][67]

3. 1. 4. 세계사회포럼

세계사회포럼(WSF)은 세계경제포럼(WEF)의 신자유주의와 세계화 경향에 맞서기 위해 만들어진 국제적인 사회 포럼이다.[121] 2001년 브라질 포르투알레그리에서 처음 개최되었으며, "다른 세계는 가능하다(Another world is possible)"라는 슬로건 아래, 전 세계의 진보적인 시민단체와 활동가들이 모여 세계화의 문제점에 대해 논의하고 대안을 모색한다.[121]

WSF는 브라질 노동자당의 지원을 받아 시작되었으며, 다보스에서 열리는 세계경제포럼에 대한 대항 행사로 기획되었다.[69][70] WSF는 정기적인 회의로 자리 잡았으며, 2002년과 2003년에는 다시 포르투알레그리에서 개최되어 이라크 침공에 대한 전 세계적인 항의의 중심지가 되었다.

2004년에는 아시아와 아프리카 사람들의 참여를 쉽게 하기 위해 인도 뭄바이에서 개최되었으며, 7만 5천 명의 대표가 참석했다. 이후 베네수엘라 카라카스, 말리 바마코, 파키스탄 카라치(2006년), 케냐 나이로비(2007년), 브라질 벨렘(2009년), 세네갈 다카르(2011년) 등 여러 도시에서 개최되었다. 2012년에는 다시 포르투알레그리로 돌아와 개최되었다.

2004년에는 서울에서 세계경제포럼 아시아 지역회의에 맞서 세계사회포럼이 열려 국내외 시민단체 활동가 등 1만여 명이 반세계화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유럽사회포럼(ESF)은 WSF의 영향을 받아 유럽에서 시작된 사회 포럼이다. 2002년 11월 피렌체에서 처음 개최되었으며, "전쟁, 인종차별, 신자유주의에 반대한다"는 슬로건을 내걸었다. 이후 파리(2003), 런던(2004), 아테네(2006), 말뫼(2008), 이스탄불(2010) 등에서 개최되었다.

WSF는 반세계화 운동 진영에서 "반세계화 운동이 만나 교류하며 스스로를 확인하는 물리적 시간적 공간"이자 "대안적 세계질서의 비전과 가치, 제도를 논의하고 가다듬는 장소"라고 평가받고 있다.

3. 1. 5. 멕시코 칸쿤

2003년 멕시코 칸쿤에서 세계무역기구(WTO) 제5차 각료회의가 열렸다. 이때,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 회장을 지낸 한국의 농민운동가 이경해가 농업 개방 확대에 항의하며 자결하였다.[122] 이 사건은 국내외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4. 용어의 적절성

노암 촘스키는 '반세계화'라는 용어가 이 운동의 다양한 측면을 포괄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15] 그는 경제적 세계화의 특정 측면에 반대할 뿐, 모든 형태의 세계화에 반대하는 것은 아니라고 설명한다. 예를 들어, 정치적 세계화에는 반대하지만 자유 무역에는 찬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반세계화'라는 용어 대신 '대안 세계화', '정의로운 세계화' 등 다른 용어가 제안되기도 한다. 이 운동은 신자유주의 또는 "기업 주도의 세계화"에 반대하는 것으로, 데이비드 그레이버와 같은 일부 활동가들은 급진적 활동가들이 실제로 IMF이나 WTO보다 "국경의 소멸과 사람, 재산, 사상의 자유로운 이동"이라는 의미에서 세계화를 더 지지한다고 주장한다.[19]

하지만, 경제학자 노구치 아키라는 반세계화 세력의 세계화 비판은 국내 경제·지역 경제의 자율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107] 전 세계의 뿌리 깊은 ‘반세계화’의 근저에는 자국의 경제가 무형의 무역에 의해 바뀌어가는 것에 대한 혐오감이 깔려 있을지도 모르고,[108] 세계화 그 자체에 대한 감정적인 반발은 어떤 종류의 배타주의라고 부를 수밖에 없다고[109] 지적하고 있다.

5. 영향력

세계 경제 포럼에 반대하는 로잔의 그래피티. ''La croissance est une folie'' ("경제성장은 광기다")라고 써있다.


반세계화 운동은 여러 지식인과 작가들의 저술에서 이론적, 실천적 영감을 얻었다. 나오미 클라인의 ''No Logo''는 다국적 기업의 생산 관행과 브랜드 중심 마케팅을 비판하며 반세계화 운동의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되었다.[25] 반다나 시바의 ''생물 해적''은 토착 지식과 생물 다양성이 상업적 이익을 위해 어떻게 전환되는지를 보여주며 인도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아룬다티 로이는 반핵 운동과 세계은행 지원 대규모 댐 건설 반대 활동으로 주목받았다.

르 몽드 디플로마티크는 반세계화 운동을 지지했으며, 편집장 이냐시오 라모네트의 사설은 ATTAC 설립에 영향을 주었다.[21] 수전 조지는 기아, 부채, 국제 금융 기관에 대한 비판적 저술로 오랫동안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장 지글러, 크리스토퍼 체이스-던, 이마누엘 월러스틴은 자본주의 체제하의 불평등한 종속 관계를 분석했다.

노암 촘스키, 수전 손택 등은 반제국주의적 관점에서 운동에 영향을 주었다. 아마르티아 센은 제3세계 개발을 경제 성장이 아닌 인간 능력 확장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제임스 토빈이 제안한 토빈세는 반세계화 운동의 주요 의제가 되었다. 조지 소로스, 조지프 스티글리츠, 데이비드 코르텐은 투명성 개선, 부채 탕감, 토지 개혁, 기업 책임 시스템 재구조화를 주장했다.[106]

이탈리아 등 일부 가톨릭 국가에서는 제3세계 선교사들의 영향으로 종교적 영감을 받기도 했다. 인디미디어와 같은 인터넷 정보 사이트는 운동 확산에 기여했다.

6. 한국 사회와 반세계화 운동

1997년 외환 위기 이후 국제통화기금(IMF)의 구제 금융을 받으면서 한국 사회에는 신자유주의 경제 정책이 급격히 도입되었다. 이는 구조 조정, 노동 시장 유연화, 규제 완화 등으로 이어져 사회 양극화 심화, 비정규직 증가, 고용 불안정 심화 등의 문제를 야기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한국의 반세계화 운동은 신자유주의 정책에 대한 비판과 대안 모색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반세계화 운동은 국제통화기금(IMF), 세계무역기구(WTO)와 같은 국제기구와 세계 금융기관이 각 지역의 의사 결정을 약화시킨다고 비판한다. 특히, 세계은행(WB),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세계무역기구(WTO)와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 미주자유무역협정(FTAA),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A), 다자간투자협정(MAI), 서비스무역에 관한 일반협정(GATS), 세계경제포럼(WEF)과 같은 자유무역협정에 대한 반대 입장을 표명한다.

장 지글러 유엔 특별보고관은 식량권에 관한 보고서에서 선진국의 농업 보호주의 정책과 과도한 보조금 지급, 수출 보조금 사용이 개발도상국 농업 부문의 쇠퇴를 야기하는 주요 원인이라고 지적했다.[14] 1990년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다자간투자협정(MAI) 추진은 인터넷을 통한 반대 운동으로 1998년 11월 폐기되었다.

2002년 이후, 반세계화 운동은 이라크 침공에 대한 반대 운동으로 이어졌다. 2003년 2월 15일 반전 시위에는 전 세계적으로 1100만 명 이상이 참여했다.[16]

한국의 주요 반세계화 운동 단체 및 인물로는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전국농민회총연맹(전농), 참여연대 등이 있다. 이경해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 회장은 2003년 9월 멕시코 칸쿤에서 열린 세계무역기구 제5차 각료회의에서 농업 개방 확대에 항의하며 자결했다.[122]

6. 1. 한국의 특수성

한국은 1997년 외환 위기 이후 국제통화기금(IMF)의 구제 금융을 받으면서 신자유주의적 경제 정책이 급격히 도입되었다. 이는 구조 조정, 노동 시장 유연화, 규제 완화 등으로 이어져 사회 양극화 심화, 비정규직 증가, 고용 불안정 심화 등의 문제를 야기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한국의 반세계화 운동은 신자유주의 정책에 대한 비판과 대안 모색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6. 2. 주요 쟁점

반세계화 운동은 국제통화기금(IMF), 세계무역기구(WTO)와 같은 국제기구와 세계 금융기관이 각 지역의 의사 결정을 약화시킨다고 비판한다. 이들 기관을 통해 이익을 얻는 기업들은 개인이나 소규모 기업이 누릴 수 없는 특권을 가지게 된다.[11] 이러한 특권에는 국경을 자유롭게 넘나드는 것, 천연자원 채취, 다양한 인적 자원 활용 등이 포함된다.

반세계화 운동은 '기업의 인격성'이라는 법적 지위 종식, 자유 시장 근본주의 및 세계은행, IMF, WTO의 급진적인 경제 민영화 조치 해소를 목표로 한다.

활동가들은 특히 세계화와 신자유주의를 조장하는 국제기구에 의해 지속되는 여러 문제에 반대한다.[12] 주요 반대 대상에는 세계은행(WB), 국제통화기금(IMF),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세계무역기구(WTO)와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 미주자유무역협정(FTAA),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A), 다자간투자협정(MAI), 서비스무역에 관한 일반협정(GATS), 세계경제포럼(WEF)과 같은 자유무역협정이 포함된다.

부유한 국가와 빈곤한 국가 간의 경제적 격차를 고려할 때, 반세계화 운동 지지자들은 자유 무역이 환경과 노동자의 건강 및 복지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 없이 이루어질 경우, 선진국의 힘을 더욱 강화시킬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들은 이러한 과정을 양극화라고 부르며, 현재의 신자유주의 경제 정책이 부유한 국가에 유리하여 개발도상국을 착취하고 세계 부의 불균형을 심화시킨다고 주장한다.[13]

장 지글러 유엔 특별보고관은 식량권에 관한 보고서에서 "개발도상국의 수백만 명의 농민들이 생계를 잃고 있지만, 북반구의 소규모 농민들도 고통받고 있다"고 지적하며, "WTO 하에서 회원국 간의 불균형적인 권력 균형을 고려할 때, 현재의 세계 무역 체제의 불평등은 해결되기보다는 오히려 지속되고 있다"고 결론지었다.[14] 특히 선진국의 농업 보호주의 정책과 과도한 보조금 지급, 수출 보조금 사용은 개발도상국 농업 부문의 쇠퇴를 야기하는 주요 원인으로 지적된다.

1990년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다자간투자협정(MAI)을 통해 국경을 넘는 투자와 무역 제한을 완화하려 하자, 이에 반대하는 운동이 인터넷을 통해 확산되었다. 이 조약은 시민사회의 강력한 항의와 비판으로 1998년 11월에 폐기되었다.

신자유주의는 자유 무역과 공공 부문 규제 완화가 빈곤 국가와 부유 국가 모두에 이익을 가져다줄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반세계화 옹호자들은 자유화에 적절한 기준이 없다면 자연 환경, 인권(특히 직장 권리와 조건), 민주적 제도가 위험에 처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노엄 촘스키는 2002년에 "세계화"라는 용어가 투자자 권리를 중심으로 하는 특정 형태의 국제 경제 통합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며, 사람들의 이익은 부수적인 것으로 여겨진다고 말했다.[15] 그는 "자유 무역 협정"이 실제로는 "자유 투자 협정"에 가깝다고 비판하며, 다른 형태의 세계화를 옹호하는 사람들이 "반세계화"로 묘사되는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했다.

2002년 이후, 반세계화 운동의 많은 부분은 이라크 침공에 대한 반대 운동으로 이어졌다. 2003년 2월 15일에는 전 세계적으로 1100만 명 이상이 참여하는 반전 시위가 벌어졌다.[16] 반세계화 운동은 유럽 사회 포럼과 같은 형태로 조직되어 반전 시위를 이어갔다.

반세계화 활동가들은 많은 민주주의 국가의 지도자들이 전쟁을 지지하며 국민 다수의 의사에 반하는 행동을 하고 있다고 비판하며, 이는 민주적 제도의 기능에 대한 우려를 낳았다.[17][18] 촘스키는 이러한 지도자들이 "민주주의에 대한 경멸을 보였다"고 주장했다. 반세계화 운동 내에서는 경제전쟁 문제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보는 시각이 많다.

6. 3. 주요 단체 및 인물


  •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 전국농민회총연맹(전농)
  • 이경해: 전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 회장이었으며 2003년 9월 멕시코 칸쿤에서 열린 세계무역기구 제5차 각료회의에서 농업 개방 확대에 항의하며 자결했다.[122] 그의 죽음은 국내외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 참여연대
  • 아탁(Attac)
  • ¡데모크라시아 레알 야!(¡Democracia Real YA!)
  • 푸드 낫 밤즈(Food Not Bombs)
  • 그린 마운틴 아나키스트 컬렉티브(Green Mountain Anarchist Collective)
  • 월가 점거 시위(Occupy Wall Street)

7. 일본의 반세계화 운동

일본에서는 좌파와 우파 양 진영에서 반세계화 운동이 전개되었다. 1990년대 이후, 주로 좌파 진영에서는 일본공산당 등이 신자유주의 비판과 이주노동자와의 연대를 주장하며 활동하고 있다.[99] 2010년대 후반부터는 레이와 신선조, 참정당 등이 자국 중심주의적 관점에서 세계화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며 의석을 늘렸다.[98][100]

자유민주당도 세계화에 비판적인 미하시 타카아키를 2010년 참의원 선거에 출마시킨 적이 있다.[101]

8. 비판

반세계화 운동은 일관된 목표와 통일된 전략이 부족하고, 참여자들 간의 이견이 존재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경제학자 자그디시 바그와티는 반세계화 운동 참가자들이 선진국 노동 조합 관계자, 환경 운동가, 공산주의자 등 다양한 배경을 가지고 있어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105]

또한, 개발도상국의 빈곤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오히려 자유 무역을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11] 세계무역기구(WTO)는 무역 장벽 철폐를 목표로 하므로, 제3세계 빈곤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자유 무역을 지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선진국의 농업 보조금 정책은 개발도상국의 농업 발전을 저해한다는 비판도 있다.[14]

세계화가 국가 간 격차를 확대하고 지구 환경 악화의 원인이 된다는 비판도 제기된다.[104]

8. 1. 증거 부족

반세계화 운동에 대한 비판 중 하나는 이를 뒷받침할 만한 증거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비판은 주로 세계화와 자본주의가 경제 성장을 촉진하고 빈곤을 감소시킨다는 통계적 증거를 제시한다.[123]

예를 들어, 동아시아 개발도상국에서는 하루 1달러 미만으로 생활하는 사람들의 비율이 절대적으로 감소했다. 반면, 세계화에 덜 적극적이었던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는 빈곤이 증가했다.[76] 또한, 2002년부터 2007년 사이에는 세계 1인당 소득이 기록적으로 증가했다.[77]

하지만 반세계화 운동 진영에서는 이러한 통계가 신자유주의 정책의 문제점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특히, 중국과 같이 신자유주의 정책을 따르지 않은 국가들의 경제 성장이 세계화의 긍정적 효과로 포장된다고 비판한다. 개발 경제학자 하준 창은 신자유주의 정책을 따랐던 국가들의 1인당 소득 성장률이 이전보다 낮았다고 지적한다.[82]

경제학자 자그디시 바그와티는 중국과 인도의 경제 개방이 1980년대와 1990년대의 높은 성장에 기여했으며, 이는 빈곤 감소로 이어졌다고 주장한다.[85] 반면, 경제학자 조지프 스티글리츠는 세계화를 스스로 관리해 온 동아시아 국가들이 큰 이익을 얻었으며, 그 이익이 공평하게 분배되었다고 평가한다.[86]

8. 2. 조직 부재

반세계화 운동에 대한 가장 흔한 비판 중 하나는, 운동이 일관된 목표를 결여하고 있으며, 서로 다른 시위대의 견해가 종종 상반된다는 것이다.[91] 운동의 많은 구성원들 또한 이를 인지하고 있으며, 공통의 적이 있는 한, 비록 정치적 비전이 완전히 같지 않더라도 함께 행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마이클 하트안토니오 네그리는 그들의 저서에서 통일되지 않은 다중(Multitude): 공통의 목적을 위해 함께하는 인간들이지만, "대중"이라는 개념의 완전한 동질성은 결여되어 있다는 이 개념을 확장했다.[128]

8. 3. 효율성 부족

세계무역기구(WTO)는 무역 장벽 철폐를 목표로 하는 기구이므로, 제3세계 빈곤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오히려 자유 무역을 지지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11] 특히 설탕과 같은 상품은 미국, 유럽, 일본 등 강대국의 보조금으로 인해 가격이 심각하게 왜곡되어 있으며, 이들 국가는 WTO에 불균형적인 영향력을 행사한다. 그 결과, 이들 국가의 생산자들은 세계 시장 가격의 2~3배에 달하는 가격을 받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왜곡이 제거된다면 세계 시장 가격은 크게 하락할 수 있다.[92]

선진국의 농업 보조금 정책은 개발도상국의 농업 발전을 저해한다는 비판도 있다. 장 지글러 유엔 특별보고관은 보고서에서 "개발도상국의 수백만 명의 농민들이 생계를 잃고 있지만, 북반구의 소규모 농민들도 고통받고 있다"고 지적하며, WTO 회원국 간 불균형적인 권력 관계로 인해 세계 무역 체제의 불평등이 심화되고 있다고 결론지었다.[14]

8. 4. 제3세계 지지 부족

비판가들은 가난한 개발도상국 사람들이 세계화를 상대적으로 수용하고 지지하는 반면, 세계화에 대한 가장 강력한 반대는 더 부유한 선진국의 활동가, 노동 조합 및 NGO에서 나왔다고 주장한다. "세계화 신화(The Globalization Myth)"의 저자인 앨런 쉽먼(Alan Shipman)은 반세계화 운동이 개발도상국의 빈곤층과 노동자들의 광범위한 지지를 얻지 못했으며, "그들의 고용으로부터 해방을 얻으려고 노력했던 노동자들이 가장 강력하고 이해하지 못하는 비판자였다"고 주장한다.[94]

이러한 비판론자들은 제3세계 사람들이 반세계화 운동을 자신의 일자리, 임금, 소비 옵션 및 생계에 대한 위협으로 보고 있으며, 세계화의 중단 또는 역전은 빈곤한 국가의 많은 사람들을 더 큰 빈곤에 빠뜨릴 것이라고 주장한다. 전 미국 주재 멕시코 대사인 헤수스 F. 레이예스 에롤레스(Jesús F. Reyes Heroles)는 "우리와 같은 빈곤한 나라에서는 저임금 일자리의 대안이 고임금 일자리가 아니라 아예 일자리가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95]

이집트의 UN 대사 또한 "갑자기 제3세계 노동력이 경쟁력이 있음이 입증되었을 때, 산업 국가들이 왜 우리 노동자들에 대해 걱정하기 시작하는가? 갑자기 우리 노동자들의 복지에 대한 우려가 생긴다는 것은 의심스럽다."라고 말했다.[96]

반면, 인도 농민들의 종자 특허 반대 시위에서 볼 수 있듯이, 개발도상국의 노동자들이 특정 세계화 정책에 대해 상당한 항의를 해왔다.[97]

참조

[1] 간행물 Enlightenment past and to come http://mondediplo.co[...] 2004-05
[2] 서적 The Global Justice Movement: Cross-national And Transnational Perspectives Paradigm
[3] 서적 Networking Futures: The Movements against Corporate Globalization Duke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Globalization and Media Democracy: The Case of Indymedia http://www3.fis.utor[...] 2009-03-04
[5] 웹사이트 Resistance to Globalization: Cycles and Evolutions in the Globalization Protest Movement http://convention.al[...] 2008-02-28
[6] 서적 Fair Trade for All: How Trade Can Promote Development
[7] 논문 The Backlash Against Globalization
[8] 서적 No Logo: No Space, No Choice, No Jobs
[9] 서적 Casino Capitalism Blackwell
[10] 서적 Protest and Collaboration: Transnational Civil Society Networks and the Politics of Summitry and Free Trade in the Americas
[11] 간행물 Globalism's Discontents
[12] 논문 Globaliz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False Twins?
[13] 서적 Theorizing Global Studies Palgrave Macmillan
[14] 간행물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 The right to food http://www.unhchr.ch[...]
[15] 웹사이트 ZNet | Terror War | Noam Chomsky Interviewed http://www.zmag.org/[...] 2009-03-23
[16] 웹사이트 Half-A-Million March in Anti-War Rally in Italy http://www.commondre[...] Commondreams.org 2010-09-20
[17] 웹사이트 Aznar faces 91% opposition to war http://www.theguardi[...] 2003-03-29
[18] 웹사이트 Blair's popularity plummets http://www.theguardi[...] 2003-02-18
[19] 서적 Alternative globalizations: an integrative approach to studying dissident knowledge in the global justice movement http://www.routledge[...] Routledge
[20] 논문 Global Complexities and the Rise of Global Justice Movement: A New Notion of Justice http://gsj.cgpublish[...] 2011-07-11
[21] 웹사이트 La pensée unique http://www.monde-dip[...] Le Monde Diplomatique 1995-01
[22] 논문 Exclusion, community, and a populist political economy: the radical right as an anti-globalization movement 2008-07
[23] 뉴스 The Golden Dawn: A love of power and a hatred of difference on the https://www.independ[...] 2012-10-14
[24] 뉴스 German police capsize protesters' boats at G8 https://www.reuters.[...] 2007-06-07
[25] 웹사이트 Look, no brands... https://www.theguard[...] 2000-11-12
[26] 뉴스 Barricades burn in battle of Prague https://www.theguard[...] Guardian 2000-09-27
[27] 백과사전 Prefigurative politics https://www.anthroen[...] 2022-03-18
[28] 뉴스 LEFTIST RAMPAGE IN BERLIN HAS 53 HURT, 134 ARRESTED http://www.encyclope[...] 1988-05-03
[29] 웹사이트 "We Will Disrupt This Conference", Days Of Dissent http://www.daysofdis[...] Daysofdissent.org.uk. 2010-09-20
[30] 서적 Japan and the G7/8: 1975-2002 Routledge 2013-10-23
[31] 웹사이트 IMF and World Bank 50th Birthday Bash: Critics Crash Party http://www.csmonitor[...] 1994-10-03
[32] 웹사이트 J18 1999 Our resistance is as transnational as capital http://www.daysofdis[...] Days of Dissent 2007-03-01
[33] 서적 Storming Seattle & Netwar in the Emerald City: WTO Protest Strategy and Tactics
[34] 서적 Complexity and Irony in Policing and Protest: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in Seattle
[35] 간행물 Battle of Seattle
[36] 뉴스 A16, Washington DC http://www.socialism[...] 2000-05-01
[37] 뉴스 In the streets around the IMF http://www.workers.o[...] 2009-12-29
[38] 웹사이트 IMF & World Bank Protests, Washington D.C. — Global Issues http://www.globaliss[...] Globalissues.org 2001-07-13
[39] 웹사이트 Online NewsHour: Protesting Globalism - April 14, 2000 https://www.pbs.org/[...] Pbs.org
[40] 웹사이트 "A Movement Begins: The Washington Protests Against IMF/World Bank", ''New Politics'', Jesse Lemisch, vol. 8, no. 1, Summer 2000 http://ww3.wpunj.edu[...] Ww3.wpunj.edu
[41] 웹사이트 Crack heads and crack troops on the streets of DC http://www.urban75.c[...] Urban75.com 2000-04-15
[42] 웹사이트 April 16th 2000 Anti World Bank/IMF protest, Washington DC http://www.urban75.c[...] Urban75.com 2000-04-16
[43] 웹사이트 NewsHour Extra: World Bank Protests - April 19, 2000 https://www.pbs.org/[...] Pbs.org 2000-04-19
[44] 뉴스 Broad condemnation of police repression http://www.workers.o[...] 2000-05-04
[45] 웹사이트 NM&L (Spring 2000): Reporters arrested covering violence in D.C., Miami, war in Chechnya http://www.rcfp.org/[...] Rcfp.org 1985-03-16
[46] 웹사이트 After mass arrests in D.C. Broad condemnation of police repression http://www.workers.o[...] workers.org
[47] 웹사이트 "The Empire Strikes Back"-Washington DC, April 2000 http://openleft.com/[...] Open Left
[48] 웹사이트 "$13 million settlement for 680 IMF and World Bank protesters arrested in 2000", ''National Police Accountability Project'', National Lawyers Guild http://www.nlg-npap.[...] Nlg-npap.org
[49] 웹사이트 DC Agrees to $13M Settlement Over IMF/WB Protest Arrests in 2000 https://www.reddit.c[...] reddit.com 2009-11-23
[50] 뉴스 D.C. mass arrest settlement offers needed reminder of rights https://www.washingt[...] 2010-01-07
[51] 웹사이트 Global revolt on the Yarra: S11 twenty years on https://overland.org[...] 2020-09-10
[52] 웹사이트 S11: Australians Blockade World Economic Forum https://commonslibra[...] 2021-08-13
[53] 웹사이트 Carnival at Crown Casino S11 as Party and Protest https://commonslibra[...] 2019-09-08
[54] 웹사이트 "Protesters Planning Big Demonstrations", ''Associated Press'', David Ho, September 4, 2002 http://www.globalpol[...] Globalpolicy.org 2002-09-04
[55] 웹사이트 "Mass arrests at anti-IMF protest in Washington", ''World Socialist Web Site'', Kate Randall, 28 September 2002 http://www.wsws.org/[...] Wsws.org 2002-09-28
[56] 웹사이트 Background: Policy & Protest https://www.pbs.org/[...] Pbs.org 2002-09-27
[57] 뉴스 Students cry unfair police treatment during IMF protest http://badgerherald.[...] 2002-10-09
[58] 웹사이트 Seven reporters detained during IMF protests; suit filed for "trap and arrest" https://splc.org/200[...] 2002-12-01
[59] 웹사이트 GWU Students Sue Police Over Mass Arrests http://www.globalpol[...] Globalpolicy.org 2002-10-16
[60] 뉴스 "Report of Stanley Sporkin" December 4, 2009 https://www.washingt[...] 2009-12-04
[61] 웹사이트 "Judge Orders D.C. to Release Report on IMF Arrests", ''The Washington Post'', Carol D. Leonnig, September 12, 2003; Page B01 http://newsmine.org/[...] Newsmine.org
[62] 뉴스 Judge to order probe into missing protest records https://www.google.c[...] 2009-12-17
[63] 뉴스 Pershing Park: Another Piece Of Evidence Goes Missing; One Cop Speaks Out http://www.washingto[...] 2009-08-05
[64] 웹사이트 "Federal judge in lawsuits over DC protest arrests to order probe into missing evidence", Associated Press, Sarah Karush http://business.gaea[...] Blog.taragana.com 2009-12-17
[65] 뉴스 Affidavit: Ramsey Ordered Pershing Park Arrests http://www.washingto[...] 2009-11-18
[66] 뉴스 DC agrees to $8.25M settlement for protest arrests http://seattletimes.[...] 2009-12-15
[67] 뉴스 D.C. agrees to $13.7 million settlement in 2000 mass arrest https://www.washingt[...] 2010-07-01
[68] 웹사이트 Schweden - Amnesty International Deutschland http://www.amnesty.d[...]
[69] 웹사이트 International Council https://web.archive.[...]
[70] 웹사이트 Fórum Social Mundial http://www.forumsoci[...] Forumsocialmundial.org.br 2005-10-26
[71] 웹사이트 World Social Forum Charter of Principles http://www.forumsoci[...] Forumsocialmundial.org.br 2010-09-20
[72] 웹사이트 Pambazuka News http://www.pambazuka[...] Pambazuka.org 2007-01-26
[73] 서적 Direct Action: An Ethnography AK Press
[74] 간행물 The movement as an End-in-Itself? An Interview with David Graeber https://platypus1917[...] Platypus Review 2012-02
[75] 학술지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70 Years of Reinvention https://research.hks[...] 2016
[76] 웹사이트 Welcome to PovcalNet http://iresearch.wor[...] Iresearch.worldbank.org 2010-09-20
[77] 뉴스 Economics focus: Grossly distorted picture The Economist 2008-03-15
[78] 웹사이트 End of Century Survey Finds Dramatic Gains for Democracy http://www.freedomho[...] Freedomhouse.org 1999-12-07
[79] 학술지 Why Are We Worried About Income? Nearly Everything that Matters is Converging
[80] 웹사이트 40 percent of world population do not use improved sanitation facilities https://blogs.worldb[...] World Bank 2010-07-19
[81] 웹사이트 Billions of people will lack access to safe water, sanitation and hygiene in 2030 unless progress quadruples – warn WHO, UNICEF https://www.unicef.o[...] UNICEF 2021-07-01
[82] 웹아카이브 https://web.archive.[...]
[83] 웹사이트 Ha Joon Chang: Wrong on Free Trade, Markets and Development https://pileusblog.w[...] 2011-08
[84] 잡지 The Anarchy of Success https://www.nybooks.[...]
[85] 서적 In Defense of Globaliz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86] 간행물 Globalism's Discontents The American Prospect 2002-01
[87] 웹사이트 wm_1375.fm http://www.heritage.[...]
[88] 웹사이트 Counting the Poor: The Truth About World Poverty Statistics http://www.columbia.[...] Socialist Register 2006
[89] 웹사이트 Poor Numbers: The Impact of Trade Liberalization on World Poverty http://www.cepr.net/[...] 2004-11
[90] 웹사이트 trade_2004_01_08-1 http://www.cepr.net/[...]
[91] 웹사이트 Globalisation and the Left http://www.inclusive[...]
[92] 학술지 Multilateral Trade and Agricultural Policy Reforms in Sugar Markets
[93] 서적 The Mystery of Capital Basic Books
[94] 서적 The Globalization Myth Icon Books
[95] 서적 In Defense of Global Capitalism
[96] 서적 The Rise of the Global Economy
[97] 웹사이트 Indian farmers protest against pro-liberalization agricultural policy http://www.twnside.o[...] Twnside.org.sg
[98] 웹사이트 第1章 反グローバリズムについて ―世界経済からの視点― http://www2.jiia.or.[...]
[99] 웹사이트 反グローバリズム、反統合、高失業、難民・不法移民 EU 政治潮流の右傾化の要因を読み解く http://www.iti.or.jp[...]
[100] 웹사이트 EUの格差:リーマン危機後のトレンド転換とBrexit https://www2.jiia.or[...]
[101] 웹사이트 自由貿易と経済成長(3/3) http://www.gci-klug.[...] Klugクルーク 2011-05-26
[102] 웹사이트 反グローバリズムを掲げる過激な勢力の脅威 http://www.npa.go.jp[...] 警察庁
[103] 웹사이트 反グローバリズムを掲げる団体による過激な行動 https://www.npa.go.j[...] 警察庁 2007-12
[104] 서적 はじめての経済学〈上〉 日本経済新聞出版社
[105] 웹사이트 伊藤元重の新・日本経済「創造的破壊」論 TPP反対論に決定的に欠けている「マクロ」の視点 https://diamond.jp/a[...] ダイヤモンド・オンライン 2013-09-09
[106] 서적 世界を不幸にしたグローバリズムの正体
[107] 서적 グローバル経済を学ぶ 筑摩書房
[108] 서적 ゼロからわかる経済の基礎 講談社
[109] 서적 経済論戦―いまここにある危機の虚像と実像 日本評論社
[110] 서적 グローバル経済を学ぶ 筑摩書房
[111] 서적 グローバル恐慌の真相
[112] 서적 グローバル恐慌の真相
[113] 서적 経済学の巨人 危機と闘う-達人が読み解く先人の知恵 日本経済新聞社
[114] 논문 Globalism's Discontents 2002-01
[115] 서적 Theorizing Global Studies Palgrave Macmillan
[116] 간행물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 The right to food http://www.unhchr.ch[...]
[117] 뉴스 Threats and Responses: News Analysis; A New Power In the Streets http://select.nytime[...] The New York Times 2003-02-17
[118] 웹인용 Half-A-Million March in Anti-War Rally in Italy https://www.webcitat[...] Commondreams.org 2002-11-09
[119] 뉴스 Barricades burn in battle of Prague https://web.archive.[...] Guardian 2000-09-27
[120] 웹인용 시애틀전투 반세계화를 세계화하다’ https://news.naver.c[...] 이제훈
[121] 웹인용 세계사회포럼 https://terms.naver.[...]
[122] 웹인용 칸쿤회의 이경해씨 자살과 시위로 얼룩 https://news.naver.c[...]
[123] 웹인용 Welcome to PovcalNet https://web.archive.[...] Iresearch.worldbank.org
[124] 잡지 Economics focus: Grossly distorted picture The Economist 2008-03-15
[125] 웹인용 Water Facts — Food & Water Watch https://www.webcitat[...]
[126] 웹인용 www.unicef.org http://www.unicef.or[...]
[127] 웹사이트 The Multidimensional Crisis and Inclusive Democracy, ch. 4 ‘Globalisation’ and the Left http://www.inclusive[...]
[128] 서적 Empire & Multitude
[129] 웹인용 프리거니즘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