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근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근배는 1940년 일제강점기 충청남도 당진에서 출생한 시조 시인이다. 1960년 첫 시집 『사랑을 연주하는 꽃나무』를 출간하고, 1961년 경향신문 신춘문예, 서울신문 신춘문예,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어 문단에 데뷔했다. 1964년까지 동아일보 신춘문예에서 시조와 동시가 당선되어 신춘문예 4관왕을 기록했다. 한국문학 발행인 및 편집장, 한국시조시인협회 회장, 한국시인협회 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JEI대학교 문예창작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의 작품은 전통적 서정성을 바탕으로 역사적 인물을 소재로 한 '역사적 상상력'을 보여주며, 2011년 만해대상, 2014년 정지용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2020년 대한민국예술원 회장을 맡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산문학대상 수상자 - 김종길
김종길은 유한한 존재의 아름다움, 자아와 세계의 긴장, 절제의 미학을 다룬 명료한 이미지의 시를 통해 삶에 대한 태도를 드러내는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영문학자이다. - 고산문학대상 수상자 - 오탁번
오탁번은 1960년대 후반 등단하여 독특한 시 세계로 주목받고 한국 현대시에 큰 영향을 미친 시인이자 소설가, 평론가, 대학교수로, '철이와 아버지' 등의 대표작을 남기고 다수의 문학상을 수상했다. - 정지용 문학상 수상자 - 도종환
도종환은 충청북도 청주시 출신의 시인이자 정치인으로, 시집 《접시꽃 당신》을 발표하고 국회의원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2024년 총선에서 공천을 받지 못했다. - 정지용 문학상 수상자 - 김지하
김지하는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사회운동가로, 1970년 부패 권력 비판으로 필화 사건을 겪고, 1974년 민청학련 사건에 연루되어 사형을 선고받았다가 석방 후 생명 운동을 전개했으며, 1991년에는 분신 정국을 비판하여 변절 논란에 휩싸였다. - 당진시 출신 - 인명진
인명진은 대한민국의 목사, 시민운동가, 정치인으로, 노동운동과 민주화운동에 참여하고 한나라당 윤리위원장, 새누리당 및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 당진시 출신 - 김원기 (1924년)
김원기는 1924년 충남 당진 출생으로 고려대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재무부 장관과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 등을 역임한 인물이다.
이근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근배 |
로마자 표기 | I Geunbae |
한자 표기 | 李根培 |
출생일 | 1940년 3월 1일 |
출생지 | 충청남도 당진시 |
직업 | 시인 |
국적 | 대한민국 |
2. 생애
이근배는 1940년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당진에서 중인 집안 출신의 후손으로 태어났으며, 필명은 사천(四川)이다. 신인예술상, 가람시조문학상, 대한민국문학상, 중앙시조대상, 현대불교문학상, 청치영문학상, 만해문학상을 수상했다.[3]
2. 1. 초기 생애 및 등단
中人중국어 집안 출신의 후손으로 1940년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당진에서 태어났다. 1958년 서라벌예술대학에서 문예창작을 전공하며 시를 공부했다. 1960년, 첫 시집 『사랑을 연주하는 꽃나무』를 출간했다. 1961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벽〉, 경향신문 신춘문예에 〈묘비명〉이 각각 당선되어 문단에 데뷔했으며,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압록강〉이 입선했다.[9] 1964년까지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신춘문예에서 시조와 동시가 잇따라 당선되면서, 한국 문학계에서 신춘문예를 4번이나 수상한 유일한 작가가 되었다.[1]2. 2. 문단 활동 및 경력
이근배는 1961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벽〉, 경향신문 신춘문예에 〈묘비명〉으로 각각 당선되었고,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압록강〉이 입선하며 문단에 나왔다.[9] 1964년까지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시조와 동시가 잇따라 당선되어, 한국 문학계에서 신춘문예를 4번 수상한 유일한 작가가 되었다.[1]한국문학 발행인 및 편집장, 민족과 문학 편집장을 역임했다. 한국시조시인협회 회장, 한국시인협회 회장, 한국문인협회 부이사장, 국제PEN 한국본부 이사를 지냈다. 서울예술대학, 추계예술대학교, 중앙대학교에서 시 창작 및 이론을 강의했다.[2]
만해 시인학교 교장으로 재직하면서 간행물윤리위원회 위원장도 맡고 있다.[9] 지용회(지용회) 회장과 공초 기념사업회 회장을 맡고 있으며, JEI대학교 문예창작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2] 2008년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이 되었고, 2018년 문학분과 회장을 거쳐 2020년 대한민국예술원 회장을 맡고 있다.[10]
3. 작품 세계
이근배는 초기에는 조국에 대한 애정을 노래했으며, 후기에는 역사적 인물을 소재로 한 시를 썼다. 그는 부패한 세상 속에서도 선비 정신을 잃지 않으려 노력했으며, 궁극적으로는 신선과 같은 시적 정신을 추구했다. 그의 작품은 전통적인 시조 형식을 통해 현대 사회와 인간의 본성을 탐구한 문학적 사례로 평가받는다.[7]
3. 1. 초기 시 세계
이근배의 초기 시조는 정신적 고향인 조국에 대한 애정을 표현했다. 그는 인본주의에 기반한 자유 정신을 드러내면서, 시조가 감정과 규칙으로 삶의 내면을 파고드는 일종의 자유 형식임을 보여주었다. 그가 등단한 1960년대는 사회 비평을 지나치게 강조하거나 이해하기 어려운 시들이 한국에 넘쳐났다. 이 시기에 이근배의 작품은 전통적 서정성의 부흥에 기여했다.[4]3. 2. 후기 시 세계: 역사적 상상력과 전통의 재발견
이근배의 초기 시조는 정신적 고향인 조국에 대한 애정을 표현했다. 그는 인본주의에 기반한 자유 정신을 드러내면서, 시조가 감정과 규칙으로 삶의 내면을 파고드는 일종의 자유 형식임을 보여주었다. 그가 등단한 1960년대는 사회 비평을 지나치게 강조하거나 이해하기 어려운 시들이 한국에 넘쳐났다. 이 시기에 이근배의 작품은 전통적 서정성의 부흥에 기여했다.[4]그의 후기 작품은 종종 역사적 인물을 소재로 삼아 서정적인 멜로디로 '역사적 상상력'을 펼쳐냈다.[5] 예를 들어, 시집 《추사를 훔치다》에서 조선 시대의 두 위대한 인물인 김정희와 김병연을 시화하여 오래전에 사라진 과거의 전통과 아름다움을 소환했다.[6]
그는 부패한 세상 속에서 도덕성과 너그러움을 갖춘 선비의 정신을 가지려 노력한다. 그러나 그의 궁극적인 목표는 "눈으로 듣고, 코로 보고, 귀로 말하는" 신선(신비로운 능력을 가진 도교 은둔자)과 같은 시적 정신을 갖는 것이다. 이처럼, 그의 고요한 시조를 통해 그는 세상의 허무함과 인간의 본성을 시각화했다. 그의 작품은 전통적인 시조 형식을 통해 현대 사회와 내면의 인간성을 탐구한 문학적 사례로 여겨진다.[7]
3. 3. 시 정신과 문학적 평가
이근배의 초기 시조는 정신적 고향인 조국에 대한 애정을 표현했다. 그는 인본주의에 기반한 자유 정신을 드러내면서, 시조가 감정과 규칙으로 삶의 내면을 파고드는 일종의 자유 형식임을 보여주었다. 그가 등단한 1960년대는 사회 비평을 지나치게 강조하거나 이해하기 어려운 시들이 한국에 넘쳐났는데, 이 시기에 이근배의 작품은 전통적 서정성의 부흥에 기여했다.[4]그의 후기 작품은 종종 역사적 인물을 소재로 삼아 서정적인 멜로디로 '역사적 상상력'을 펼쳐냈다.[5] 예를 들어, 시집 《추사를 훔치다》에서 조선 시대의 두 위대한 인물인 김정희와 김병연을 시화하여 오래전에 사라진 과거의 전통과 아름다움을 소환했다.[6]
그는 부패한 세상 속에서 도덕성과 너그러움을 갖춘 선비 정신을 가지려 노력한다. 그러나 그의 궁극적인 목표는 "눈으로 듣고, 코로 보고, 귀로 말하는" 신선(신비로운 능력을 가진 도교 은둔자)과 같은 시적 정신을 갖는 것이다. 이처럼, 그의 고요한 시조를 통해 그는 세상의 허무함과 인간의 본성을 시각화했다. 그의 작품은 전통적인 시조 형식을 통해 현대 사회와 내면의 인간성을 탐구한 문학적 사례로 여겨진다.[7]
4. 수상 경력
연도 | 상 이름 | 비고 |
---|---|---|
1983년 | 가람시조문학상 | |
1987년 | 작가상 | |
1987년 | 중앙시조대상 | |
1997년 | 육당문학상 | |
1999년 | 월하문학상 | |
2000년 | 편운문학상 | |
2009년 | 제9회 고산문학대상 | |
2010년 | 고산문학대상 | |
2011년 | 만해대상 | |
2014년 | 제27회 정지용문학상[9] | 수상작 〈사랑 세 쪽〉 |
2015년 | 정지용문학상 |
5. 저서
이근배 시인은 여러 시집을 통해 한국 문학에 큰 영향을 주었다. 대표적인 시집으로는 《사랑을 연주하는 꽃나무》, 《노래여 노래여》, 《한강》, 《사람들이 새가 되고 싶은 까닭을 안다》, 《종소리는 끝없이 새벽을 깨운다》, 《추사를 훔치다》 등이 있다.
5. 1. 시집
제목 | 발행년도 | 출판사 | 비고 |
---|---|---|---|
《사랑을 연주하는 꽃나무》 | 1960 | The Flower Tree That Sings Love영어 | |
《노래여 노래여》 | 1981 | 문학세계사 | A Song, a Song영어 |
《한강》 | 1985 | 고려원 | Han River영어 |
《사람들이 새가 되고 싶은 까닭을 안다》 | 2004 | 문학세계사 | I Know Why People Want to be Birds영어 |
《종소리는 끝없이 새벽을 깨운다》 | 2006 | 동학사 | The Bells Endlessly Awaken the Dawn영어 |
《추사를 훔치다》 | 2013 | 문학수첩 | Stealing Chusa영어 |
참조
[1]
웹사이트
The Encyclopedia of Korean Contemporary Literature
http://terms.naver.c[...]
[2]
웹사이트
Munhaksegyesa
http://www.msp21.co.[...]
[3]
웹사이트
The Dictionary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http://terms.naver.c[...]
[4]
서적
The Landscape of 1960s Poetry
HUFS University Press Center
[5]
논문
Historical Imagination Unraveled by Melody and Emotion
http://www.dbpia.co.[...]
2009
[6]
웹사이트
Naver Books
http://book.naver.co[...]
[7]
웹사이트
Naver Books
http://book.naver.co[...]
[8]
웹인용
이근배
http://100.daum.net/[...]
다음
2018-11-23
[9]
뉴스
이근배 시인 '제27회 정지용문학상' 수상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15-04-22
[10]
웹사이트
대한민국예술원 이근배 소개 페이지
http://www.naa.go.kr[...]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이근배 전남대 총장 120억…고위공직자 66명 재산공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