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탁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탁번은 1943년 충청북도 제천에서 태어나 고려대학교 영문과 및 동 대학원 국문과를 졸업한 시인이자 소설가, 문학 평론가이다. 1967년 중앙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했으며, 고려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를 역임하고 한국시인협회 회장을 지냈다. 그는 아동문학, 소설, 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여러 문학상을 수상했으며, 2023년 79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그의 작품은 아이의 순수함을 중요하게 다루며, 어른의 상실감을 대비하여 표현하는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산문학대상 수상자 - 김종길
김종길은 유한한 존재의 아름다움, 자아와 세계의 긴장, 절제의 미학을 다룬 명료한 이미지의 시를 통해 삶에 대한 태도를 드러내는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영문학자이다. - 고산문학대상 수상자 - 이근배
1940년 충청남도 당진에서 태어난 이근배는 신춘문예 4관왕을 기록하고 한국시인협회 회장과 대한민국예술원 회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시조 시인, 문학평론가이다. - 원주고등학교 동문 - 도종환
도종환은 충청북도 청주시 출신의 시인이자 정치인으로, 시집 《접시꽃 당신》을 발표하고 국회의원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2024년 총선에서 공천을 받지 못했다. - 원주고등학교 동문 - 이광재 (정치인)
이광재는 강원도 평창 출신의 대한민국 정치인으로, 노무현 전 대통령의 측근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국회의원과 강원도지사를 지냈으나 박연차 게이트에 연루되었고, 특별사면 후 국회의원과 국회사무총장을 역임했으며,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기여와 논란으로 알려져 있다. - 정지용 문학상 수상자 - 도종환
도종환은 충청북도 청주시 출신의 시인이자 정치인으로, 시집 《접시꽃 당신》을 발표하고 국회의원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2024년 총선에서 공천을 받지 못했다. - 정지용 문학상 수상자 - 김지하
김지하는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사회운동가로, 1970년 부패 권력 비판으로 필화 사건을 겪고, 1974년 민청학련 사건에 연루되어 사형을 선고받았다가 석방 후 생명 운동을 전개했으며, 1991년에는 분신 정국을 비판하여 변절 논란에 휩싸였다.
오탁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로마자 표기 | O Takbeon |
한자 표기 | 吳鐸蕃 |
출생일 | 1943년 7월 3일 |
출생지 | 제천, 충청남도, 일본 제국 |
사망일 | 2023년 2월 15일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시인 |
학력 |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 박사 |
활동 | |
데뷔 | 1966년 (철이와 아버지) |
작품 | |
주요 작품 | (순은이 빛나는 이 아침에) (처형의 땅) |
기타 | |
웹사이트 | 한국문학번역원 작가 데이터베이스 |
2. 생애
오탁번은 고려대학교 영문과 및 동 대학원 국문과를 졸업하였다. 1967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시가 당선되어 등단하였다. 1978년부터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직하였고, 고려대학교 명예교수이며, 한국시인협회장을 역임하였다.[2] 수상 경력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수상 내역 |
---|---|
1987년 | 제12회 한국문학작가상 |
1994년 | 동서문학상 |
1997년 | 제9회 정지용문학상 |
2003년 | 제35회 한국시인협회상 |
2010년 | 제6회 김수영문학상, 은관문화훈장 |
2011년 | 고산문학상 시 부문 대상 |
2. 1. 유년 시절 및 학창 시절
오탁번은 1943년 7월 3일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제천시에서 태어났다.[2] 고려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과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2. 2. 문단 등단 및 교육 활동
1966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소설 〈철이와 아버지〉가 당선되었고, 1967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시 〈순은이 빛나는 이 아침에〉가 당선되어 등단하였다.[8] 1969년에는 대한일보 신춘문예에 소설 〈처형의 땅〉이 당선되었다.[8]1978년부터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직하였고, 고려대학교 명예교수이다.[2] 2008년 제36대 한국시인협회장을 역임했다.[8]
2. 3. 별세
오탁번은 2023년 2월 15일 새벽에 별세하였다. 향년 79세였다.[8]3. 작품 세계
오탁번은 소설과 시 양쪽에서 모두 활동하며 한국 문학에 기여했다. 특히, 그의 작품에서는 아동 문학에서 나타나는 순수함이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진다. 간결하고 재치 있는 문장, 구체적인 이미지, 활기찬 어조를 사용하여 작품 세계를 구축했다.[5] 그는 소설과 시 উভয় 분야에서 한국의 상을 수상했으며, 현대 한국 시와 문학사에 관한 여러 비평 작품을 저술했다.[6]
'''작품 목록'''
연도 | 작품명 |
---|---|
1966년 | 철이와 아버지 |
1967년 | 순은이 빛나는 이 아침에 |
1969년 | 처형의 땅 |
1970년 | 가등사 |
1971년 | 혼례 |
1972년 | 귀로 |
1973년 | 아침의 예언 |
1978년 | 새와 십자가 |
1981년 | 열쇠를 돌리는 법 |
1983년 | 언어의 묘지 |
1984년 | 달맞이꽃 |
1985년 | 너무 많은 가운데 하나 |
1985년 | 저녁 연기 |
1988년 | 겨울의 꿈은 날 줄 모른다 |
1991년 | 생각나지 않는 꿈 |
1992년 | 순은의 아침 |
1994년 | 겨울 강 |
1999년 | 1미터의 사랑 |
2002년 | 벙어리장갑 |
2006년 | 손님 |
3. 1. 초기 작품 경향
오탁번은 1966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동화 〈철이와 아버지〉가 당선되어 등단했다.[5] 그의 작품에서는 아동의 순수함이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지며, 이는 성인이 되면서 겪는 상실감과 대비된다. 오탁번의 성인 등장인물들은 관습을 벗어난 행동이나 어머니의 상상력을 통해 현실에 맞선다. 간결하고 재치 있는 문장, 구체적인 이미지, 활기찬 어조 등 동화적 특징은 그의 글쓰기 스타일에 반영되어 있다.[5]오탁번은 소설과 시 উভয় 분야에서 활동하며 여러 상을 받았고, 현대 한국 시와 문학사에 대한 비평 작품도 저술했다.[6]
3. 2. 후기 작품 경향
오탁번은 소설과 시 양쪽 모두에서 활발하게 활동했으며, 두 분야 모두에서 한국의 주요 문학상을 받았다. 또한, 현대 한국 시와 문학사에 대한 여러 비평 작품을 저술하기도 했다.[6] 그의 초기 작품은 아동 문학이었으며, 1966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철이와 아버지〉가 당선되었다. 오탁번은 작품에서 아이들의 순수함을 중요한 가치로 다루었으며, 이러한 순수함은 어른이 되면서 잃어버리는 자연스러운 은총의 상태를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 오탁번의 성인 등장인물들은 관습적인 규범을 무시하는 충동적인 행동을 하거나, 어머니의 상상력에 기대어 현실의 어려움에 맞서 싸운다. 간결하고 재치 있는 문장, 구체적인 이미지, 활기찬 어조는 아동 문학의 특징인데, 오탁번은 이러한 특징을 자신의 글쓰기 스타일에도 반영하여 아이의 순진함을 드러낸다.[5]3. 3. 작품의 특징
오탁번은 소설과 시 উভয় ক্ষেত্রেই উল্লেখযোগ্য অবদান রেখেছেন এবং উভয় শাখাতেই কোরিয়ার গুরুত্বপূর্ণ সাহিত্য পুরস্কার পেয়েছেন।[6] তিনি আধুনিক কোরীয় কবিতা ও সাহিত্যের উপর বেশ কিছু সমালোচনামূলক প্রবন্ধ রচনা করেছেন।[6]오탁번ের প্রথম প্রকাশিত రచన ছিল শিশু সাহিত্য। 1966 সালে দংআ ইলবো 신춘문예에 당선된 "철이와 아버지" তার প্রথম কাজ।[5] 오탁번 তার রচনায় শিশুদের সাথে সম্পর্কিত নির্দোষ মূল্যবোধ নিয়ে ক্রমাগত অনুসন্ধান চালিয়েছেন।[5] শিশুরা স্বাভাবিকভাবে যে অনুগ্রহের অবস্থায় থাকে, তাকে আদর্শ হিসেবে উপস্থাপন করে তিনি প্রাপ্তবয়স্ক হওয়ার সাথে সাথে যে ক্ষতির সম্মুখীন হতে হয়, তার উপর জোর দেন।[5] 오탁번ের প্রাপ্তবয়স্ক চরিত্রগুলি প্রচলিত নিয়মগুলিকে উপেক্ষা করে আবেগপ্রবণ আচরণ করে অথবা মায়ের কল্পনাশক্তির নিরাময় ক্ষমতা গ্রহণ করে কলুষিত বাস্তবতার বিরুদ্ধে লড়াই করে।[5] সংক্ষিপ্ত এবং মজাদার বাক্য, মূর্ত চিত্র, প্রাণবন্ত স্বরভঙ্গি ইত্যাদি শিশু সাহিত্যের বৈশিষ্ট্যগুলি ব্যবহার করে, 오탁번 তার লেখার শৈলীতেও শিশুদের নির্দোষতা প্রতিফলিত করেন।[5]
4. 수상 경력
연도 | 상 이름 |
---|---|
1967년 | 중앙문학상[2] |
1987년 | 제12회 한국문학작가상[2] |
1994년 | 동서문학상[2] |
1997년 | 정지용 문학상[2] |
2003년 | 제35회 한국시인협회상 |
2010년 | 제6회 김수영문학상 |
2010년 | 은관문화훈장 |
2011년 | 고산문학상 시 부문 대상 |
5. 주요 저서
오탁번은 시집, 소설, 평론집, 산문집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저서를 남겼다. 대표적인 시집으로는 너무 많은 가운데 하나한국어, 생각나지 않는 꿈한국어, 겨울강한국어, 1미터의 사랑한국어이 있다. 소설로는 가등사한국어, 혼례한국어, 귀로한국어, 처형의 땅한국어[1], 열쇠를 돌리는 법한국어, 언어의 무덤한국어, 달맞이꽃한국어 등이 있다. 평론집으로는 현대시의 이해, 산문집으로는 오탁번 시화가 있다.
5. 1. 시집
발간 연도 | 제목 |
---|---|
1985 | 너무 많은 가운데 하나 |
1991 | 생각나지 않는 꿈 |
1994 | 겨울강 |
1999 | 1미터의 사랑 |
5. 2. 소설
- 가등사한국어 (1970)
- 홀례한국어 (1971)
- 귀로한국어 (1972)
- 처형의 땅한국어 (1974)[1]
- 열쇠를 돌리는 법한국어 (1981)
- 언어의 무덤한국어 (1983)
- 달맞이꽃한국어 (1984)
5. 3. 평론집
- 현대시의 이해 (1998년)
5. 4. 산문집
- 오탁번 시화 (1998)
참조
[1]
웹사이트
Author Database - Korea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http://klti.or.kr/ke[...]
2013-09-03
[2]
웹사이트
Naver Search
http://people.search[...]
Naver
2013-12-06
[3]
서적
Who's Who in Korean Literature
Hollym
[4]
뉴스
'신춘문예 3관왕' 오탁번 시인 별세…향년 79세
https://news.kbs.co.[...]
KBS News
2023-02-15
[5]
웹사이트
Author Database - Korea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http://klti.or.kr/ke[...]
2013-09-03
[6]
웹사이트
Author Database - Korea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http://klti.or.kr/ke[...]
2013-09-03
[7]
웹사이트
(130)동복 오씨(同福吳氏)-55,517명
http://www.seoulecon[...]
2015-02-19
[8]
웹사이트
‘신춘문예 3관왕’ 오탁번 시인 별세…향년 79세
https://news.kbs.co.[...]
2023-02-15
[9]
웹사이트
인물정보(人物情報)
http://people.search[...]
2014-00-00 #날짜 정보가 불완전하여 임의로 표기
[10]
웹사이트
한국문학번역원 문인DB 오탁번
http://www.klti.or.k[...]
2014-00-00 #날짜 정보가 불완전하여 임의로 표기
[11]
웹사이트
(한국현대문학대사전)
http://terms.naver.c[...]
2014-00-00 #날짜 정보가 불완전하여 임의로 표기
[12]
웹사이트
(국어국문학자료사전)
http://terms.naver.c[...]
2014-00-00 #날짜 정보가 불완전하여 임의로 표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