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마타 히로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노마타 히로시는 일본의 외교관이다. 1978년 와세다 대학을 졸업하고 외무성에 들어가 아시아국, 경제협력국, 북미국 등에서 근무했다. 주 태국, 주 미국, 주 영국 일본대사관에서 근무했으며, 주 대한민국 일본대사관 공사, 내각관방 참사관, 외무성 심의관 등을 역임했다. 2010년 샌프란시스코 총영사, 2013년 파키스탄 특명전권대사, 2016년 네덜란드 특명전권대사를 지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키스탄 주재 일본 대사 - 와다 미쓰히로
와다 미쓰히로는 1975년 외무성에 입성한 일본 외교관으로 주영국, 주미국 일본 대사관, 주디트로이트 일본 총영사, 홍콩 총영사 및 대사를 역임하고 현재 파키스탄 특명전권대사로 활동하며 양국 관계 증진에 기여하고 있다. - 네덜란드 주재 일본 대사 - 시데하라 기주로
시데하라 기주로는 국제 협조 외교를 펼친 외무대신이자 일본국 헌법 제정에 관여하고 총리를 역임한 정치인으로, 헌법 9조 제안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 네덜란드 주재 일본 대사 - 스노베 료조
스노베 료조는 도쿄 출신의 일본 외교관으로, 외무성 아시아 국장, 주 대한민국 대사 등을 역임하고 외무사무차관을 지냈으며, 교린 대학 교수로 활동하면서 독도 문제에 대한 견해를 밝히기도 했다. - 일본의 외교관 - 도고 시게노리
도고 시게노리는 조선인 도공 후손으로 도쿄 제국대학 졸업 후 외무성에 들어가 만주, 스위스, 독일, 소련 등지에서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소일 중립 조약 체결에 기여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외무대신으로서 미일 관계 개선을 노력했음에도 불구하고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여 전범으로 징역 20년을 선고받았으며, 종전 과정에서 포츠담 선언 수용을 주장하여 일본 항복에 기여한 외교관이자 정치인이다. - 일본의 외교관 - 배정자
배정자는 일제강점기에 첩보원, 관료로 활동하며 고종에게 접근하여 정보를 빼내고, 러일전쟁 직전 친러파의 평양 천도 계획을 좌절시키는 등 밀정으로 활동하다가 광복 후 반민족행위 혐의로 체포되었다.
이노마타 히로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씨명 | 이노마타 히로시 |
한자 표기 | 猪俣 弘司 |
로마자 표기 | Inomata Hiroshi |
![]() | |
개인 정보 | |
출생일 | 1954년 3월 9일 |
출생지 | 일본 도쿄도 |
학력 | |
출신 학교 | 와세다대학교 법학부 졸업 |
가족 정보 | |
직업 정보 | |
직업 | 오란다 주차 특명전권대사 |
2. 경력
이노마타 히로시는 도쿄도 출신으로 1977년 와세다 대학 법학부 재학 중 외무공무원 채용 시험에 합격했고, 1978년 졸업 후 외무성에 입성했다. 외무성 대신관방 심의관, 외무성 아시아 대양주국 남부아시아부장, 주샌프란시스코 총영사, 주파키스탄 특명전권대사(2013년 ~ 2016년) 등을 역임했으며, 2016년부터 주네덜란드 특명전권대사를 맡고 있다.
2. 1. 주요 보직
연도 | 주요 보직 |
---|---|
1981년 7월 | 외무성 아시아국 근무 |
1983년 9월 | 외무성 경제협력국 근무 |
1986년 1월 | 외무성 북미국 안전보장과 근무 |
1988년 9월 | 주태국 일본대사관 1등 서기관 |
1991년 5월 | 주미국 일본대사관 1등 서기관 |
1994년 1월 | 외무성 대신관방 총무과 수석사무관 |
1995년 7월 | 외무성 조약국 국제협정과장 |
1997년 7월 | 외무성 북미국 일미안전보장조약과장 |
1998년 5월 | 주영국 일본대사관 참사관 |
2001년 3월 | 주대한민국 일본대사관 공사 |
2004년 2월 | 내각관방 부장관보실 내각참사관 |
2006년 8월 | 외무성 대신관방 심의관 (국제법국 담당) |
2008년 7월 | 외무성 아시아 대양주국 남부 아시아부장 |
2010년 8월 | 주샌프란시스코 총영사[3] |
2013년 7월 30일 | 주파키스탄 특명전권대사[8] |
2016년 1월 26일 | 주네덜란드 특명전권대사[9] |
2. 2. 외교 활동
이노마타 히로시는 도쿄도 출신으로, 1977년 와세다 대학 법학부 재학 중 외무공무원 채용 시험에 합격했다. 1978년 대학 졸업 후 외무성에 들어가면서 외교관 경력을 시작했다.[3]이후 외무성 아시아국(1981년), 경제협력국(1983년), 북미국 안전보장과(1986년) 등에서 근무했다. 1988년에는 주태국 일본대사관 1등 서기관, 1991년에는 주미국 일본대사관 1등 서기관으로 발령받았다. 1994년에는 외무성 대신관방 총무과 수석사무관, 1995년에는 외무성 조약국 국제협정과장, 1997년에는 외무성 북미국 일미안전보장조약과장을 역임했다.
1998년 주영국 일본대사관 참사관, 2001년 주대한민국 일본대사관 공사를 거쳐, 2004년에는 내각관방 부장관보실 내각참사관으로 근무했다. 2006년에는 외무성 대신관방 심의관(국제법국 담당), 2008년에는 외무성 아시아 대양주국 남부아시아부장을 역임했다.
2010년 주샌프란시스코 총영사[3]를 거쳐, 2013년에는 주파키스탄 특명전권대사[8], 2016년에는 주네덜란드 특명전권대사[9]로 임명되었다.
참조
[1]
뉴스
UNESCO assisting Pakistan to develop flood warning system
http://www.dailytime[...]
DailyTimes
2015-12-22
[2]
뉴스
Japan grants $175,143 to two Pakistani NGOs
http://www.dailytime[...]
Daily Times
2015-12-09
[3]
웹사이트
CV
http://www.pk.emb-ja[...]
Embassy of Japan in Pakistan
2015-12-23
[4]
웹사이트
略歴
http://www.sf.us.emb[...]
在サンフランシスコ日本国総領事館
2014-04-13
[5]
웹사이트
オーストリア大使に竹歳氏 猪俣 弘司氏(いのまた・ひろし=パキスタン大使)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NIKKEI.NET
2013-07-30
[6]
웹사이트
略歴
https://www.pk.emb-j[...]
在パキスタン日本国大使館
2014-04-13
[7]
뉴스
「外務省人事(26日付)」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16-01-27
[8]
웹인용
オーストリア大使に竹歳氏 猪俣 弘司氏(いのまた・ひろし=パキスタン大使)
http://www.nikkei.co[...]
니혼케이자이 신문(NIKKEI.NET)
2013-07-30
[9]
뉴스
「外務省人事(26日付)
http://www.asahi.com[...]
2016-01-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