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노정은 조선 성종 때 김굉필과 정여창이 무오사화로 인해 시골에서 학문을 연구하며 풍류를 즐기던 곳이다. '제일강정'이라고도 불리며, 두 유학자를 기려 '이노정'으로 명명되었다. 1885년과 1904년에 영남 유림에 의해 고쳐 지어졌으며, 앞면 4칸, 옆면 2칸 규모의 팔작지붕 건물이다. 건물에는 '이노정'과 '제일강정' 현판, 그리고 김굉필과 정여창의 시가 걸려 있다. 우물마루와 우물 정자 모양의 통풍구를 갖춘 독특한 평면 형식으로 건축적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제된 경상북도의 문화재자료 - 경산향교
경산향교는 고려시대에 건립되어 임진왜란 때 소실 후 현재 위치로 이건되었으며, 조선시대 교육기관이자 현재는 유학 선현에게 제향을 올리는 곳으로, 위패 보존 공로자의 기념과 전묘후학의 건축 형태를 특징으로 한다. - 해제된 경상북도의 문화재자료 - 영천 귀애정
영천 귀애정은 조선 후기 문신 조극승을 기리기 위해 동생 조규승이 지은 정자이며, 연못과 육각정이 있고, 조극승 형제의 학덕과 사상을 기리고 있다. - 대구광역시의 누정 - 달성 하목정
달성 하목정은 조선 중기 이종문이 건립한 정자형 별당으로, '丁'자형 평면과 주인과 하인이 함께 거주하는 독특한 구조를 가지며, 인조가 하사한 이름과 창건 당시 건축적 특징을 잘 보존하고 있다. - 대구광역시의 누정 - 대구 봉무정
대구 봉무정은 조선 후기에 건립되어 지역 주민들의 참여로 지어진 정자 건축물로, 행정 사무소와 교육 장소로 사용되었으며, 역사적, 문화재적 가치를 지닌다. - 대구광역시의 문화유산자료 - 구암서원 (대구)
구암서원은 1665년 서침을 기리기 위해 대구에 건립되었으며, 서거정, 서성, 서해, 서사원을 추가로 배향한 대구 시내 서원 중 가장 큰 규모의 서원이다. - 대구광역시의 문화유산자료 - 대구 법장사 삼층석탑
대구 법장사 삼층석탑은 신라 말 창건된 석탑으로, 임진왜란 이후 폐사 및 재건, 도로 확장 공사로 인한 철거와 이전 및 복원을 거쳐 현재 법장사 경내에 있으며, 대한민국 문화재로 지정되었으나 지정 정보가 불확실하고 통일신라 석탑 양식을 따르면서도 독특한 특징을 보인다.
이노정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노정 (二老亭) |
국가 | 대한민국 |
위치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내리길 19-17 (내리) |
시대 | 조선시대 |
면적 | 952m² |
수량 | 1동 |
문화재 정보 | |
유형 | 문화재자료 |
지정 번호 | 30 |
지정일 | 1995년 5월 12일 |
문화재청 번호 | 31,00300000,22 |
추가 문화재 정보 | |
유형 (과거) | 문화재자료 |
지정 번호 (과거) | 246 |
지정일 (과거) | 1991년 5월 14일 |
해지일 (과거) | 1995년 5월 12일 |
문화재청 번호 (과거) | 31,02460000,37 |
2. 역사
이노정은 앞면 4칸, 옆면 2칸 규모의 건물이며, 지붕은 옆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 형태이다. 처마 아래 가운데에는 ‘이노정’과 ‘제일강정’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앞면의 둥근 기둥에는 김굉필과 정여창이 지은 ‘유악양’(遊岳陽)이라는 시가 새겨진 현판이 있어 운치를 더한다.
정자 내부는 우물마루를 두었는데, 이는 정자 건축에서 흔히 보기 어려운 독특한 평면 구조이다. 또한 마루 천장에는 우물 정(井)자 모양의 통풍구를 만들어 산바람과 강바람이 자연스럽게 통하도록 설계하여, 건축에 담긴 선조들의 지혜를 엿볼 수 있다.
2. 1. 건립 배경
조선 성종 때의 대표적인 유학자였던 김굉필과 정여창은 무오사화로 인해 화를 입고 시골로 내려와 이곳에서 지내게 되었다. 그들은 이곳에서 시를 읊고 풍류를 즐기며 학문을 연구하였다. '이노정'(二老亭)이라는 이름은 바로 김굉필과 정여창, 이 두 학자를 '두 늙은이'라고 칭하며 붙여진 이름이다. 이 정자는 '제일강정'(第一江亭)이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2. 2. 연혁
이노정은 1885년(조선 고종 22년)에 영남 유림에서 김굉필과 정여창을 추모하기 위해 고쳐 지었고, 1904년(고종 41년)에도 다시 고쳐 지었다.3. 건축
이노정은 조선 성종 때의 대유학자인 김굉필과 정여창이 무오사화로 화를 입은 후, 시골로 내려와 시를 읊고 학문을 연구하던 곳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정자이다. '이노정'(二老亭)이라는 이름은 김굉필과 정여창, 두 노인(二老)을 칭하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제일강정'(第一江亭)이라고도 불린다.
현재의 건물은 1885년(조선 고종 22년)에 영남 지역의 유림들이 두 인물을 추모하며 고쳐 지은 것이다. 이후 1904년(고종 41년)에도 다시 한번 고쳐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3. 1. 구조
건물 규모는 앞면 4칸·옆면 2칸이며, 지붕은 옆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처마 아래에는 가운데에 ‘이노정’과 ‘제일강정’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고, 앞면 둥근 기둥에는 김굉필과 정여창 두 사람이 지은 ‘유악양’(遊岳陽)이라는 시가 새겨진 현판이 있어 운치를 더하고 있다.이노정은 우물마루를 둔 정자 건축에서는 흔히 볼 수 없는 특이한 평면 형식을 갖추고 있다. 또한 마루 천장에는 우물 정(井)자 모양의 통풍구를 두어 산바람과 강바람이 자연스럽게 통하도록 하여 선조들의 지혜를 엿볼 수 있다.
3. 2. 특징
이노정은 우물마루를 둔 정자 건축에서는 보기 드문 독특한 평면 구조를 가지고 있다. 마루 천장에는 우물 정(井)자 모양의 통풍구를 만들어 두어, 이를 통해 산바람과 강바람이 자연스럽게 통하도록 하여 선조들의 지혜를 엿볼 수 있다.3. 3. 현판
이노정의 처마 아래 가운데에는 '이노정'(二老亭)과 '제일강정'(第一江亭)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이노정'이라는 이름은 무오사화 이후 이곳에서 함께 지낸 김굉필과 정여창 두 노인(二老)을 기리기 위해 붙여진 이름이며, '제일강정'은 이노정의 또 다른 이름이다. 또한, 앞면의 둥근 기둥에는 김굉필과 정여창이 지은 '유악양'(遊岳陽)이라는 시가 현판으로 걸려 있어 정자의 운치를 더하고 있다.4. 문화적 가치
조선 성종 시대의 대표적인 유학자인 김굉필과 정여창은 무오사화로 인해 관직에서 물러나 시골에 머물게 되었다. 이노정은 바로 이 두 학자가 시를 짓고 풍류를 즐기며 학문을 탐구하던 유서 깊은 장소다. ‘제일강정’(第一江亭)이라는 별칭으로도 불리며, ‘이노정’(二老亭)이라는 이름은 김굉필과 정여창, 두 노학자를 기리기 위해 붙여졌다.
이 정자는 1885년(조선 고종 22년)에 영남 지역의 유학자들이 두 선현을 추모하며 고쳐 지었고, 1904년(고종 41년)에도 다시 보수되었다. 건물은 앞면 4칸, 옆면 2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에서 보았을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 형태다. 처마 아래 중앙에는 ‘이노정’과 ‘제일강정’이라는 현판이 나란히 걸려 있고, 앞면의 둥근 기둥에는 김굉필과 정여창이 지은 ‘유악양’(遊岳陽) 시가 새겨진 현판이 있어 정취를 더한다.
건축학적으로 이노정은 우물마루를 둔 정자이면서도 흔히 보기 어려운 독특한 평면 구조를 가지고 있다. 특히 마루 천장에는 우물 정(井)자 모양의 통풍구를 만들어, 산바람과 강바람이 자연스럽게 통하도록 설계했는데, 이는 자연 환경을 슬기롭게 이용한 선조들의 지혜를 보여주는 부분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