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더넷 전원 장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더넷 전원 장치(PoE)는 이더넷 케이블을 통해 데이터 전송과 함께 전력을 공급하는 기술이다. IEEE 802.3 표준에 의해 표준화되었으며, 대체 A, 대체 B, 4PPoE 세 가지 기술 방식을 사용한다. IEEE 802.3af-2003 표준은 각 포트에서 최대 15.4W의 전력을 제공하며, IEEE 802.3at-2009(PoE+)는 최대 25.5W, IEEE 802.3bt-2018(PoE++)는 최대 71.3W의 전력을 지원한다. PoE는 VoIP 폰, IP 카메라, 무선 접속 장치 등 다양한 장치에 사용되며, 전원 공급 장치(PSE)와 전원 장치(PD) 간의 신호 처리를 통해 호환 장치를 감지하고 전력량을 협상한다. PoE는 에너지 효율적인 이더넷(EEE)과 통합되어 에너지 절약을 도울 수 있으며, IEEE 802.3af/at/bt 사양에 따라 구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력 - 직류
    직류(DC)는 전압이나 전류의 크기와 방향이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고 일정한 전력 시스템으로, 전지나 정전기에 의해 발생하며, 초기에는 발전 사업에 사용되었으나 교류에 밀려났다가 고압 직류 송전 기술 개발로 장거리 송전 분야에서 다시 활용된다.
  • 전력 - 애자
    애자는 전기 절연성, 내후성, 기계적 강도가 요구되는 장치로, 고압 전선을 지지하고 장력을 유지하며, 도자기, 유리, 폴리머 등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진다.
  • 네트워크 하드웨어 - 가정용 게이트웨이
    가정용 게이트웨이는 가정 내 네트워크와 인터넷을 연결하는 장치로, 라우팅, NAT, 방화벽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웹 인터페이스나 앱으로 구성 가능하지만 보안 취약점의 문제가 있다.
  • 네트워크 하드웨어 - 인터페이스 메시지 프로세서
    인터페이스 메시지 프로세서(IMP)는 1969년 ARPANET의 초기 노드로서 호스트 컴퓨터들을 연결하고 메시지를 패킷으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했으며, 패킷 통신 및 스토어 앤드 포워드 방식을 구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이더넷 - 기가비트 이더넷
    기가비트 이더넷은 1 Gbit/s의 전송 속도를 지원하는 이더넷 표준으로, 광섬유 및 UTP 케이블을 통해 다양한 기기에 적용되어 광대역 인터넷과 기업 네트워크의 주요 기술로 사용되었으나, 더 빠른 이더넷 기술의 발전으로 비중은 줄어들고 있지만 비용 효율성과 호환성으로 인해 중요한 역할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 이더넷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NIC)는 컴퓨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이며, 다양한 네트워크 표준을 지원하고, 최근에는 성능 향상 기술과 가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기도 한다.
이더넷 전원 장치
개요
다양한 PoE 장치
다양한 PoE 장치
종류데이터
전력
작동 방식이더넷 케이블을 통해 전력과 데이터를 동시에 공급
기술 상세
표준IEEE 802.3af
IEEE 802.3at
IEEE 802.3bt
전압44-57V (IEEE 802.3af)
50-57V (IEEE 802.3at)
50-57V (IEEE 802.3bt)
최대 전력 공급15.4W (IEEE 802.3af, 장치에 12.95W)
30W (IEEE 802.3at, 장치에 25.5W)
90W (IEEE 802.3bt, 장치에 71W)
케이블Cat5 이상
극성모드 A: 데이터 라인에 전력 공급
모드 B: 여분의 라인에 전력 공급
활용 분야
일반적인 사용VoIP 전화기
IP 카메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
산업 제어 시스템
POS 시스템
이점비용 절감
유연성
신뢰성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단점전력 손실
거리 제한 (100m)
관련 기술
관련 기술PoE+ (Power over Ethernet Plus)
UPoE (Universal Power over Ethernet)
HDBaseT (데이터 및 전력 전송 기술)
참고
추가 정보전력 공급 장치 (PSE) 및 전력 소비 장치 (PD) 필요

2. 기술 방식

이더넷을 통해 전력을 공급하는 몇 가지 일반적인 기술 방식이 있으며, 이 중 세 가지는 2003년부터 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IEEE)의 IEEE 802.3 표준으로 정의되었다.

세 가지 주요 기술 방식은 다음과 같다.


  • '''대체 A (Alternative A, 또는 모드 A)''': 10BASE-T 및 100BASE-TX 이더넷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하는 네 개의 신호 쌍 중 동일한 두 쌍을 사용하여 전력을 공급한다. 이는 데이터와 동일한 전선을 통해 전력을 보내는 방식으로, 마이크에 전원을 공급하는 팬텀 전원 기술과 유사하다. 각 쌍에 공통 전압을 적용하여 전력을 전송하며, 차동 신호를 사용하는 이더넷의 특성상 데이터 전송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공통 모드 전압은 표준 이더넷 펄스 변압기의 센터 탭을 통해 쉽게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기가비트 이더넷 이상의 속도에서는 데이터 전송에 모든 네 쌍이 사용되므로, 대체 A 방식도 데이터와 전력을 동일한 쌍으로 전송하게 된다.
  • '''대체 B (Alternative B, 또는 모드 B)''': 10BASE-T 및 100BASE-TX 환경에서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지 않는 예비 쌍(spare pairs)을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한다. 데이터선과 전력선을 분리하여 문제 해결을 더 쉽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기가비트 이더넷 이상에서는 모든 쌍이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므로, 대체 B 방식 역시 데이터와 전력을 동일한 쌍으로 전송하게 된다.
  • '''4PPoE (4-Pair Power over Ethernet)''':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의 네 쌍 모두를 사용하여 전력을 공급한다. 이를 통해 팬-틸트-줌 카메라(PTZ), 고성능 무선 접속 장치(WAP), 노트북 배터리 충전 등 더 높은 전력이 필요한 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IEEE PoE 표준은 이러한 기존의 전력 공급 방식(대체 A, 대체 B, 4PPoE)을 표준화하는 것 외에도, 전원 공급 장치(PSE, Power Sourcing Equipment)와 전원 수신 장치(PD, Powered Device) 간의 신호 처리 기능을 정의한다. 이 신호 처리를 통해 PSE는 PoE를 지원하는 PD가 연결되었는지 감지하고, 서로 필요한 전력량을 협상하여 호환되지 않는 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PSE와 PD 모두 PoE를 지원해야 하지만, PoE 인젝터와 같은 외부 장치를 사용하면 PoE를 지원하지 않는 장비에서도 전력을 주고받을 수 있다.

전원 공급에 사용되는 핀에 따라 다음과 같이 방식이 구분된다.

방식 명칭전원 공급 핀비고
얼터너티브 A (모드 A)1·2·3·6번 핀 사용10BASE-T/100BASE-TX에서는 데이터 핀과 동일
얼터너티브 B (모드 B)4·5·7·8번 핀 사용10BASE-T/100BASE-TX에서는 예비 핀 사용
4 페어 PoE (4PPoE)모든 핀(1~8번) 사용IEEE 802.3bt 타입 3·4 해당



어떤 방식을 사용하든 10BASE-T, 100BASE-TX, 1000BASE-T, 2.5GBASE-T, 5GBASE-T, 10GBASE-T 등 다양한 이더넷 속도에서 PoE를 이용할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PSE)는 위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지원하면 되지만, 전원 수신 장치(PD)는 최소한 대체 A와 대체 B 방식 모두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어야 한다.

3. 표준 개발

'''IEEE 802.3af-2003'''[1] PoE 표준은 각 포트에서 최대 15.4 W의 DC 전력(최소 44 V DC 및 350 mA)[2][3]을 제공한다.[4] 케이블에서 일부 전력이 손실되므로, 전원이 공급되는 장치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력은 12.95 W로 보장된다.[5]

'''IEEE 802.3at-2009'''[6] PoE 표준은 '''PoE+''' 또는 '''PoE 플러스'''라고도 불리며, Type 2 장치에 최대 25.5 W의 전력을 제공한다.[7] 이 2009년 표준은 전원이 공급되는 장치가 전원 공급을 위해 4쌍의 케이블 모두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한다.[8] IEEE 802.3af와 802.3at 표준은 이후 IEEE 802.3-2012 간행물에 통합되었다.[9]

'''IEEE 802.3bt-2018''' 표준은 802.3at의 전력 공급 능력을 더욱 확장시킨다. 이 표준은 '''PoE++''' 또는 '''4PPoE'''(4-pair Power over Ethernet)라고도 한다. 이 표준은 최대 51 W(Type 3) 및 최대 71.3 W(Type 4)의 두 가지 추가 전력 유형을 도입했으며, 선택적으로 4쌍 모두를 전력 공급에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10] 각 연선 쌍은 최대 600 mA(Type 3) 또는 960 mA(Type 4)의 전류를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11] 또한, 2.5GBASE-T, 5GBASE-T 및 10GBASE-T에 대한 지원이 포함되어 있다.[12] 이러한 기술 발전은 새로운 응용 분야를 열고, 고성능 무선 액세스 포인트나 감시 카메라와 같은 기존 응용 분야의 활용 범위를 넓히는 데 기여한다.

'''IEEE 802.3bu-2016'''[13] 개정안은 주로 자동차 및 산업 환경에서 사용되는 단일 쌍 이더넷 표준인 100BASE-T1 및 1000BASE-T1에 적용되는 ''단일 쌍'' '''전력 공급 이더넷(PoDL, Power over Data Lines)'''을 도입했다.[14] 2쌍 또는 4쌍을 사용하는 기존 PoE 표준에서는 동일한 전압이 각 쌍의 두 도체에 모두 적용되어 데이터 신호 외에는 차동 전압이 발생하지 않지만, 단일 쌍 이더넷에서는 데이터 신호와 전력이 동일한 선로를 통해 병렬로 전송된다. PoDL은 초기에 전원 공급 장치 기준으로 0.5 W에서 50 W 범위의 10가지 전력 클래스를 정의했다.

이후 PoDL 기술은 10BASE-T1[15], 2.5GBASE-T1, 5GBASE-T1, 그리고 10GBASE-T1[16]과 같은 다른 단일 쌍 이더넷 변형에도 확장 적용되었다. 2021년에는 PoDL이 추가적인 중간 전압 및 전력 레벨을 포함하여 총 15개의 전력 클래스를 지원하게 되었다.[15]

4. 용도

PoE는 웹 카메라, 스위칭 허브,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 IP 전화기 등 비교적 소비 전력이 적은 IP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 2003년 6월에 '''IEEE 802.3af'''로 처음 표준화되었으며, 이후 확장 규격으로 '''IEEE 802.3at'''-2009 (통칭 PoE+)와 '''IEEE 802.3bt'''-2018 (통칭 PoE++)가 표준화되었다. 이 표준들은 모두 하위 호환성을 갖는다.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를 '''PSE'''(Power sourcing equipment, 전원 공급 장치), 전원을 받는 장치를 '''PD'''(Powered device, 전원 수신 장치)라고 부른다. 기본적으로 PSE와 PD 모두 PoE를 지원해야 하지만, PoE 인젝터(전원 공급 장치)나 PoE 스플리터(전원 수신 장치)와 같은 외부 장치를 사용하면 PoE를 지원하지 않는 장치에서도 전력을 주고받을 수 있다. 최근 스마트 홈, 스마트 오피스 환경 구축이 확대되면서 PoE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IoT 기기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그 활용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PoE로 전원을 공급받는 장치의 예는 다음과 같다.[17]


  • VoIP 폰
  • 팬-틸트-줌(PTZ) 카메라를 포함한 IP 카메라
  • WAP(무선 액세스 포인트)
  • IPTV 셋톱박스
  • 네트워크 라우터
  • 원격지에 설치된 소형 네트워크 스위치 (하나의 업링크 케이블로 여러 이더넷 포트 지원, PoE 전원은 PD 포트로 공급받으며, PoE 패스 스루 기능으로 다른 PoE 장치에 전원 공급 가능)
  • 인터컴 및 방송 설비, 복도 스피커 앰프
  • NTP로 시간을 동기화하는 벽시계
  • 무선 ISP에서 사용하는 실외 지붕 장착형 라디오 (통합 안테나, 4G/LTE, 802.11 또는 802.16 기반 무선 CPE 포함)
  • 실외 지점 간 마이크로파 및 밀리미터파 라디오, 일부 자유 공간 광학(FSO) 장치 (독점적인 PoE 사용)
  • 산업 제어 시스템 구성 요소 (센서, 컨트롤러, 미터 등)
  • 출입 통제 구성 요소 (헬프 포인트, 인터컴, 출입 카드, 키리스 출입 등)
  • 지능형 조명 컨트롤러 및 LED 조명 기구[18]
  • 무대 및 극장 장치 (네트워크 오디오 브레이크아웃 및 라우팅 박스 등)
  • 원격 POS 키오스크
  • 인라인 이더넷 익스텐더[19]
  • PoE 스플리터 (출력 전원을 다른 전압(예: 5V)으로 변환하여 원격 장치에 공급하거나 휴대 전화 충전 등에 사용)


PoE를 지원하는 아바야 IP 폰 1140E
PoE를 지원하는 Avaya IP 폰 1140E


아랍에미리트에 설치된 CableFree FOR3 마이크로파 링크
아랍에미리트에 설치된 CableFree FOR3 마이크로파 링크: 독점적인 고전력 이더넷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 야외 라디오

5. 용어

전원 공급 장치(Power Sourcing Equipment, '''PSE''')는 이더넷 케이블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엔드스팬'''(IEEE 802.3af에서는 '엔드포인트'라고 함)이라고 불리는 네트워크 스위치이거나, PoE를 지원하지 않는 스위치와 PoE 장치 사이의 중간 장치인 외부 PoE '''인젝터'''(미드스팬 장치)일 수 있다.[20]
전원 수신 장치(Powered Device, '''PD''')는 PoE로 전원을 공급받아 에너지를 소비하는 모든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무선 접속 장치, VoIP 전화, IP 카메라 등이 있다. 많은 전원 수신 장치에는 선택적인 외부 전원 공급 장치를 위한 보조 전원 커넥터가 있다. 설계에 따라 장치 전력의 일부, 전부 또는 전혀 보조 포트에서 공급될 수 있으며,[21][22] 보조 포트는 PoE로 공급되는 전원이 고장날 경우 백업 전원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6. 전원 관리 기능 및 통합

Avaya ERS 5500 스위치, 48개의 전력 공급 이더넷 포트 포함


PoE 지지자들은 PoE가 여러 개의 개별 AC 어댑터를 대체하여 중앙에서 쉽게 관리할 수 있는 장기적인 DC 전원 케이블 표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23] 이러한 방식에 대해 일부 비판론자들은 PoE가 낮은 전압을 사용하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AC 전원보다 효율이 떨어지며, 이는 이더넷 케이블의 얇은 전선으로 인해 더욱 심화된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해 이더넷 얼라이언스와 같은 PoE 지지자들은 언급된 손실은 케이블 품질, 길이, 전력 공급 장치의 소비 전력 등 최악의 시나리오를 가정한 것이라고 반박한다.[24] 또한, 중앙 PoE 공급 장치가 여러 개의 전용 AC 회로, 변압기, 인버터를 대체하는 경우, 케이블 연결에서 발생하는 전력 손실은 충분히 정당화될 수 있다고 본다.

IEEE 802.3az 에너지 효율적인 이더넷 (EEE) 표준과 PoE의 통합은 추가적인 에너지 절약을 가져올 잠재력이 있다. EEE와 PoE의 표준 이전 통합 사례(예: 마벨(Marvell)이 2011년 5월 백서에서 설명한 '''EEPoE''')는 링크당 3W 이상의 절약을 달성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절약은 특히 더 높은 전력을 요구하는 장치가 늘어남에 따라 중요해지고 있다.[25]

7. 표준 구현

표준 기반 이더넷 전원 공급(PoE)은 IEEE의 IEEE 802.3 표준에 따라 구현된다. 주요 표준으로는 '''IEEE 802.3af-2003''' (이후 IEEE 802.3-2005의 33조로 통합), '''IEEE 802.3at-2009''' (PoE+ 또는 PoE 플러스), 그리고 '''IEEE 802.3bt-2018''' (PoE++ 또는 4PPoE)가 있다.[1][6][10] 이 표준들은 하위 호환성을 가진다.

PoE는 전원 공급 장치('''PSE''', Power Sourcing Equipment)와 전원 수신 장치('''PD''', Powered Device)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작동한다. PSE는 이더넷 스위치와 같은 네트워크 장비이거나, 기존 네트워크에 PoE 기능을 추가하는 ''미드스팬''(midspan) 장치일 수 있다. PD는 IP 전화기, 무선 AP, 네트워크 카메라 등 전력을 공급받는 장치이다.

=== 전력 공급 방식 ===

표준 PoE는 연선 케이블을 통해 전력을 전송하며, 주로 세 가지 방식을 사용한다.


  • '''대체 A (Alternative A, 모드 A)''': 10BASE-T 및 100BASE-TX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1, 2, 3, 6번 핀을 통해 전력을 함께 전송한다. 기가비트 이더넷 이상에서는 모든 핀이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므로, 데이터와 전력이 동일한 쌍으로 전송된다. 이는 팬텀 전원 기술을 사용하며, 각 쌍에 공통 모드 신호로 전압을 인가하고 펄스 변압기의 센터 탭을 통해 전력을 추출한다. 차동 신호 방식의 데이터 전송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A 모드는 MDI와 MDI-X 두 가지 구성이 있으며, 극성이 다르다.
  • '''대체 B (Alternative B, 모드 B)''':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지 않는 예비 쌍(4, 5, 7, 8번 핀)을 통해 전력을 전송한다. 10BASE-T와 100BASE-TX 환경에서 데이터와 전원 경로를 분리할 수 있어 문제 해결이 용이하지만, 4쌍(8핀) 케이블이 반드시 필요하다.
  • '''4PPoE (4-Pair Power over Ethernet)''': 케이블의 모든 4쌍(8핀)을 사용하여 전력을 전송한다. IEEE 802.3bt 표준에서 도입되었으며, 더 높은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해준다.


PSE는 모드 A 또는 모드 B, 혹은 둘 다를 구현할 수 있다. PD는 안전을 위해 모드 A와 모드 B 모두에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다이오드 브리지 등을 사용하여 극성 차이를 수용한다.[38]

=== 표준별 사양 ===

각 IEEE 표준은 제공 가능한 최대 전력, 전압 범위 등에서 차이가 있다.

PoE 표준별 주요 매개변수 비교
속성802.3af (Type 1, PoE)802.3at (Type 2, PoE+)802.3bt (Type 3, 4PPoE/PoE++)[27]802.3bt (Type 4, 4PPoE/PoE++)
PD에서 사용 가능한 최대 전력[28][67]12.95W51W71.3W
PSE에서 제공되는 최대 전력[4]60W90W[29] (99W[68])
전압 범위 (PSE에서)[30][66]44.0–57.0 V50.0–57.0 V52.0–57.0 V
전압 범위 (PD에서)[31][67]37.0–57.0 V42.5–57.0 V[32][68]41.1–57.0 V
최대 전류 Imax[33][69]350 mA600 mA (쌍당)[32]600 mA (쌍당)[32]960 mA (쌍당)[32][68]
쌍 세트당 최대 케이블 저항20 Ω[34] (Category 3)12.5 Ω[34][32] (Category 5)
전력 관리 (분류)3개 클래스 (1–3)4개 클래스 (1–4) 또는 LLDP6개 클래스 (1–6) 또는 LLDP[35]8개 클래스 (1–8) 또는 LLDP
지원 케이블[26][70]Category 3, Category 5Category 5[37]
지원 모드모드 A, 모드 B모드 A, 모드 B모드 A, 모드 B, 4쌍 모드4쌍 모드 필수



=== PSE와 PD 간 상호작용 ===

PSE는 PD가 연결되면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전원을 공급한다.

1. '''감지 (Detection)''': PSE는 포트에 2.7V ~ 10.1V 사이의 전압을 인가하여 연결된 장치가 PoE를 지원하는 PD인지 확인한다. 표준 PD는 19–26.5 kΩ (일반적으로 25 kΩ)의 시그니처 저항을 가진다. 이 저항값이 감지되지 않거나 너무 낮으면(단락), PSE는 전원을 공급하지 않아 비호환 장치를 보호한다.

2. '''분류 (Classification)''': PD가 감지되면, PSE는 14.5V ~ 20.5V 사이의 전압을 인가하여 PD의 전력 요구량을 파악한다. PD는 특정 범위의 전류를 소모하여 자신의 전력 클래스를 PSE에 알린다. 이를 통해 PSE는 PD가 필요로 하는 전력 수준을 확인한다. 802.3at 및 802.3bt 표준에서는 더 정교한 분류 과정(2-Event Classification)이나 LLDP를 통한 전력 협상을 지원한다.

3. '''전원 공급 시작 (Startup)''': 분류가 완료되면 PSE는 PD에 필요한 전압(최소 44V 또는 표준에 따라 더 높음)을 공급하기 시작한다.

4. '''정상 작동 및 모니터링''':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PD는 최소한의 전류(5–10 mA)를 지속적으로 소모해야 한다(MPS, Maintain Power Signature). 만약 PD가 400 ms 이상 동안 이 최소 전류를 소모하지 않으면, PSE는 장치가 분리된 것으로 간주하고 안전을 위해 전원 공급을 중단한다.[39]

PoE 링크 전원 켜기 단계 (802.3af/at 기준)
단계작업지정된 전압(V)
802.3af802.3at
감지PSE가 PD에 19–26.5 kΩ의 올바른 시그니처 저항이 있는지 감지2.7–10.1
분류PSE가 PD의 전력 요구 클래스를 나타내는 저항(전류) 감지14.5–20.5
마크 1(802.3at) PD가 0.25–4 mA 부하로 802.3at 호환성 신호7–10
클래스 2(802.3at) PSE가 분류 전압을 다시 출력하여 802.3at 호환성 확인14.5–20.5
마크 2(802.3at) PD가 다시 0.25–4 mA 부하로 802.3at 호환성 신호7–10
시작시작 전압[40][41]> 42> 42
정상 작동장치에 전원 공급[40][41]37–5742.5–57



=== 전력 클래스 ===

물리 계층 분류(시그니처 저항 감지 후)를 통해 PD는 필요한 전력 수준을 PSE에 알릴 수 있다. IEEE 표준은 여러 전력 클래스를 정의한다.[43][44][71]

PoE 전력 클래스
클래스사용법 / 해당 표준분류 전류 (mA)PD에서의 전원 범위 (W)PSE의 최대 전원 (W)비고
0af, at, bt (기본값)0–50.44W–15.4W분류 미구현 또는 실패 시
1af, at, bt (Type 1)8–130.44W–3.84W매우 낮은 전원
2af, at, bt (Type 1)16–213.84W–6.49W낮은 전원
3af, at, bt (Type 1)25–316.49W–12.95W15.4W중간 전원
4at, bt (Type 2)35–4512.95W–높은 전원 (802.3at 이상 필요)[45]
5bt (Type 3)36–44 & 1–4 (2-event)40W (4쌍)
6bt (Type 3)36–44 & 9–12 (2-event)51W (4쌍)
7bt (Type 4)36–44 & 17–20 (2-event)62W (4쌍)
8bt (Type 4)36–44 & 26–30 (2-event)71.3W (4쌍) (99W[68])



=== LLDP를 이용한 전력 협상 ===

IEEE 802.3at (PoE+) 및 IEEE 802.3bt (PoE++) 표준에서는 물리 계층 분류 외에도, 이더넷레이어 2 프로토콜인 LLDP(Link Layer Discovery Protocol)를 사용하여 더 세밀한 전력 협상을 할 수 있다. LLDP를 사용하면 PSE와 PD가 TLV(Type-Length-Value) 메시지를 교환하여 서로의 전력 기능, 요구 사항, 할당된 전력 등을 더 정확하게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0.1W 단위의 정밀한 전력 할당 및 동적 전력 조정이 가능하다.[42][46][48][50]

LLDP를 이용한 전력 협상 절차는 대략 다음과 같다.

1. PSE는 물리 계층 분류를 통해 초기 전원을 PD에 공급한다.

2. PD는 LLDP 메시지를 통해 PSE에게 자신의 최대 전력 요구량(X 와트)을 알린다.

3. PSE는 LLDP 메시지를 통해 PD에게 자신이 할당할 수 있는 최대 전력량(Y 와트)을 알린다.

4. PD는 PSE가 허용한 Y 와트 범위 내에서 전력을 사용한다.

LLDP 협상 규칙에 따라, PD는 물리 계층 분류에서 결정된 전력 등급보다 더 많은 전력을 요청할 수 없으며, PSE가 할당한 전력량을 초과하여 소비해서는 안 된다. PSE는 필요시 PD에게 전력 소비를 줄여달라고 요청할 수도 있다.[50]

8. 비표준 구현

IEEE 표준이 제정되기 전에도 10개 이상의 독자적인 PoE 구현 방식이 존재했다.[51] 주요 비표준 구현 방식은 다음과 같다.

시스코(Cisco)는 IEEE 802.3af 표준이 나오기 수년 전부터 일부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와 VoIP 전화에 독자적인 PoE 기술을 적용했다.[52] 이 초기 방식은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통해 IEEE 표준과 호환되지 않으며, 포트당 최대 10 W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었다. 전력 공급량은 시스코 고유의 Cisco Discovery Protocol(CDP)를 통해 단말 장치와 스위치 간에 협상되었다. CDP는 음성 VLAN 정보를 스위치에서 전화기로 전달하는 역할도 수행했다.

시스코의 비표준 방식에서 전원 공급 장치(PSE, 스위치)는 송신 쌍(pair)에 고속 링크 펄스(FLP)를 보낸다. 수전 장치(PD)는 저역 통과 필터를 통해 송신 라인을 수신 라인에 연결하고, PSE는 반환된 FLP를 감지한다. 이후 PSE는 1번과 2번 쌍 사이에 공통 모드 전류를 흘려 기본적으로 48 V DC[53] 전압으로 6.3 W[54]의 전력을 할당한다. PD는 5초 이내에 이더넷 링크를 활성화해야 하며, 이후 CDP 메시지를 통해 최종 전력 요구량을 PSE에 알린다. 링크 펄스가 중단되면 전원 공급도 차단된다.[55]

2011년에 시스코는 '''Universal Power over Ethernet''' ('''UPOE''')라는 또 다른 비표준 PoE 구현을 발표했고, 2014년부터 적용하기 시작했다. UPOE는 협상 과정을 거쳐 이더넷 케이블의 4개 페어(pair)를 모두 사용하여 최대 60 W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56]

아나로그 디바이스(Analog Devices)는 LTPoE++라는 독자적인 고전력 PoE 기술을 개발하여, 단일 Cat 5e 이더넷 케이블을 통해 38.7 W, 52.7 W, 70 W, 최대 90 W까지 다양한 수준의 전력을 공급한다.[57]

마이크로칩(Microchip)에 인수된 마이크로세미(Microsemi, 이전 파워다인(PowerDsine))는 1999년부터 미드스팬(midspan) 전원 인젝터를 판매해왔다. 이들 제품은 IEEE 표준뿐만 아니라 표준 이전의 PoE 구성도 지원한다. 폴리콤(Polycom), 3Com, 루슨트(Lucent), 노텔(Nortel) 등 여러 회사가 파워다인의 초기 ''Power over LAN'' 기술을 사용했다.[58]

수동 PoE(Passive PoE) 시스템은 전원 공급 장치(인젝터)가 수전 장치와 전압이나 전력 요구 사항을 협상하지 않고 항상 일정한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이다. 일반적인 100 Mbit/s 수동 PoE는 802.3af 모드 B의 핀 배열(4, 5번 핀에 DC 양극, 7, 8번 핀에 DC 음극, 1–2 및 3–6번 핀에 데이터)을 사용하지만 극성은 다를 수 있다. 기가비트 수동 인젝터는 데이터 핀에 변압기를 사용하여 전원과 데이터가 케이블을 공유하도록 하며 일반적으로 802.3af 모드 A와 호환된다. 최대 12개의 포트가 있는 수동 미드스팬 인젝터를 사용할 수 있다.

5 V가 필요한 장치는 케이블의 전압 강하가 너무 커지기 때문에 짧은 거리(약 약 4.57m) 이상에서는 일반적으로 이더넷 케이블에서 5 V의 PoE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원격 끝에 24 V 또는 48 V to 5 V DC-DC 컨버터가 필요하다.[59]

수동 PoE 전원은 다양한 실내 및 실외 무선 라디오 장비, 가장 일반적으로 모토롤라(현재 Cambium), 유비퀴티 네트웍스, 미크로틱 및 기타 장비와 함께 사용된다. 802.11a, 802.11g 및 802.11n 기반 라디오와 함께 제공되는 이전 버전의 수동 PoE 24 VDC 전원은 일반적으로 100 Mbit/s만 지원한다.

9 V ~ 36 V DC 또는 36 V ~ 72 V DC 전원을 핀 4 & 5에 '+' 및 핀 7 & 8에 '−'가 있는 안정화된 24 V 1 A, 48 V 0.5 A 또는 최대 48 V 2.0 A PoE 피드로 변환하는 수동 DC-DC 인젝터도 있으며, 이러한 DC-DC PoE 인젝터는 다양한 통신 응용 분야에 사용된다.[60]

8. 1. PoE 워치독

PoE 워치독은 "자체 감지 및 복구" 네트워크 기능의 한 종류이다. 이는 연결된 수전 장치(Powered Device, PD)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만약 장치가 응답하지 않거나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다고 판단될 경우 PoE 전원을 자동으로 리셋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PD가 정해진 시간 안에 응답하지 않으면, PoE 워치독은 해당 장치의 전원을 차단했다가 다시 켜서 자동으로 재시동시킨다. 이 과정을 통해 네트워크가 멈추는 시간(네트워크 다운타임)을 줄이고, 연결된 장치가 항상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기능은 특히 산업 현장이나 감시 시스템 분야의 네트워크 장치에서 자주 사용되며, 전체 네트워크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일반적으로 PoE 워치독 기능은 관리형 이더넷 스위치에서 주로 지원된다. 관리형 스위치에서는 소프트웨어 기반의 감지 프로토콜 설정과 조건을 통해 이 기능을 구현한다. 하지만 최근에는 비관리형 이더넷 스위치에도 PoE 워치독 기능이 내장된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를 통해 과거에는 관리형 스위치에서만 가능했던 장치 감시 기능을 비관리형 스위치에서도 이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장비 도입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9. 운용상의 주의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이므로, PoE(Power over Ethernet)를 사용할 때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점들에 주의해야 한다.

# LAN 케이블이 전류를 흘려보내는 데 문제가 없어야 한다. 최소한 JIS C 5150-1 또는 ISO/IEC TS 29125 규격을 만족하는 케이블을 사용해야 한다. 특히 2003년 이전에 생산된 케이블은 전류 공급을 고려하지 않고 만들어졌을 수 있으므로, 무리하게 사용하면 사고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 LAN 케이블은 ISO/IEC 14763-3(JIS X 5151) 규격에 따라 설치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전류가 흐를 때 케이블의 온도 상승이 최대 사용 온도 기준 10°C 이내로 유지되도록 통풍이 잘 되는 곳에 설치해야 하며, 차폐 기능이 있는 케이블(실드선) 사용이 권장된다.

# 핫 플러깅(장비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케이블을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것)을 시도하면, 연결 단자에서 방전으로 인한 불꽃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장비 오작동이나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전류 공급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 커넥터를 사용해야 한다. 이더넷 환경에서도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을 이용한 '''핫 플러깅'''은 기본적으로 권장되지 않는다.

# PoE 표준 규격 자체에 회로 보호 기능이 필수로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보호 기능이 구현되지 않은 제품은 비정상적인 전압이 발생했을 때 매우 취약하다. (보호 소자를 추가하면 반드시 저항과 정전 용량이 생기기 때문에, 소비 전력이 증가하고 통신 속도가 느려지는 단점이 있다.) LAN 포트 내부의 펄스 트랜스포머 중심점에서 PoE 전원 회로로 직접 연결되는 구조이므로, 전원을 공급하는 장비(PSE)나 전원을 받는 장비(PD) 어느 쪽이든 '''옥외'''에서 사용하거나 옥외에서 끌어온 케이블을 연결하면, 낙뢰 서지 등으로 인해 비정상적인 전압이 장비 전원부에 직접 영향을 주어 쉽게 손상될 수 있다.

특히 일본의 경우, 내선 규정에 따라 전력을 공급하는 선(강전류 회로)과 통신 신호를 전달하는 선(약전류 회로)이 구분되어 관리된다. 해외에서는 TN-C 방식이나 TN-S 방식의 접지가 널리 사용되지만, 일본에서는 통신 신호선에 대해 일반적으로 TT 방식의 접지를 표준으로 삼고 있다. 이 때문에 건물 내 여러 접지 지점의 전위를 동일하게 맞추는 등전위 본딩이 어려워, PoE 장비를 포함한 통신 장비가 상대적으로 고장 나기 쉬운 환경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62].

10. 발열 관리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은 본래 주파수 특성을 중시한 신호선으로 개발되었으며, 전선으로는 가느다란 연선이 사용된다. 따라서 PoE(Power over Ethernet)와 같이 큰 전력을 장거리로 전송할 경우에는 신호 특성의 변화 및 과열 사고 방지 관점에서 케이블의 품질 관리, 배선 관리, 그리고 전력 공급 계획에 대한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63][64]

케이블에 전류가 흐르면 발열이 발생하고, 이는 전기 저항을 증가시켜 이더넷 규격에서 정한 최대 케이블 길이까지 신호가 충분히 도달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다수의 케이블을 한데 묶어서 배선할 경우, 열이 효과적으로 방출되지 않아 이러한 발열 경향이 더욱 심해진다.[63][64] ISO/IEC TR 29125 및 Cenelec EN 50174-99-1 초안 표준에서는 4PPoE(4쌍 케이블 모두를 이용하는 PoE) 사용 시 예상되는 케이블 묶음의 온도 상승에 대해 다루고 있다. 이 표준들은 케이블 묶음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과 외부 환경 요인에 의한 열을 구분하여 분석한다. 특히 비차폐 케이블(UTP)의 경우, PoE로 인한 온도 상승폭이 5배까지 증가할 수 있으며, 차폐 케이블(STP)은 케이블 설계에 따라 2.5배에서 3배 사이로 온도 상승폭이 감소한다.

PoE 지원용으로 판매되는 케이블 중 일부는 표준 규격 준수를 강조하지만, 실제 전력선으로서의 사용 안전 기준에 대해 충분히 시험되었거나 그 기준이 명확하게 문서화되지 않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일반적인 전원 코드 역시 묶어서 사용하면 쉽게 과열되어 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PoE 케이블의 발열 관리는 안전상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65]

PoE 시스템 설계 및 설치 시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에 주의해야 한다.


  • 사용하는 LAN 케이블이 전류 인가에 적합한지 확인해야 한다(최소 JIS C 5150-1 또는 ISO/IEC TS 29125 만족). 특히 2003년 이전에 생산된 케이블은 전류 인가를 고려하지 않았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 LAN 케이블은 ISO/IEC 14763-3(JIS X 5151)에 따라 설치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전류 인가 시 온도 상승이 최대 사용 온도 기준 10도 이내로 유지되도록 통풍이 잘 되는 곳에 설치하고, 가능한 차폐 케이블(실드선) 사용을 권장한다.
  • 핫 플러깅 시 접점에서 발생하는 불꽃 방전은 장비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전류 인가가 가능한 커넥터를 사용해야 한다. 이더넷 표준 자체도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을 통한 핫 플러깅을 적극적으로 권장하지 않는다.
  • PoE 규격에는 회로 보호 기능이 필수로 포함되어 있지 않다. 보호 소자가 없는 장비는 낙뢰 서지 등 이상 전압 발생 시 전원부에 직접적인 손상을 입기 쉽다. 특히 옥외에 설치되거나 옥외에서 인입된 케이블을 연결하는 경우 더욱 취약하다.


일본의 경우, 내선 규정에 따라 전력선과 신호선이 구분되며, 신호선은 일반적으로 TT 접지 방식을 사용한다. 이는 해외에서 많이 사용하는 TN-C 접지나 TN-S 접지 방식과 달라 등전위 본딩 구현이 어려워 PoE 장비를 포함한 통신 장비가 상대적으로 고장에 취약한 환경일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62]

11. 핀 배열

예비 핀에 DC10/100 모드 A,
혼합 DC 및 데이터1000 (1 기가비트) 모드 B,
DC 및 양방향 데이터1000 (1 기가비트) 모드 A,
DC 및 양방향 데이터1000 (1 기가비트) 모드 A+B (4PPoE),
DC 및 양방향 데이터핀 1

흰색/녹색 줄무늬
흰색/주황색 줄무늬
Rx +Rx +DC +TxRx A +TxRx A +DC +TxRx A +DC +핀 2
녹색 단색
주황색 단색
Rx −Rx −DC +TxRx A −TxRx A −DC +TxRx A −DC +핀 3Tx +Tx +DC −TxRx B +TxRx B +DC −TxRx B +DC −핀 4
파란색 단색
DC +사용 안 함TxRx C +DC +TxRx C +TxRx C +DC +핀 5
흰색/파란색 줄무늬
DC +TxRx C −DC +TxRx C −TxRx C −DC +핀 6Tx −Tx −DC −TxRx B −TxRx B −DC −TxRx B −DC −핀 7
흰색/갈색 줄무늬
DC −사용 안 함TxRx D +DC −TxRx D +TxRx D +DC −핀 8
갈색 단색
DC −TxRx D −DC −TxRx D −TxRx D −DC −



참고: 4PPoE 모드는 802.3bt 표준에서 타입 3 또는 타입 4로 식별되는 장치에서만 지원된다.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의 8개 핀 중 전원 공급에 사용되는 핀에 따라 다음과 같이 방식이 나뉜다.

방식 명칭전원 공급 핀비고
얼터너티브 A (모드 A)1·2·3·6번 핀 사용10BASE-T/100BASE-TX에서는 데이터 핀과 동일
얼터너티브 B (모드 B)4·5·7·8번 핀 사용10BASE-T/100BASE-TX에서는 예비 핀 사용
4 페어 PoE (4PPoE)모든 핀(1~8번) 사용IEEE 802.3bt 타입 3·4만 해당



어떤 방식을 사용하든 10BASE-T, 100BASE-TX, 1000BASE-T, 2.5GBASE-T, 5GBASE-T, 10GBASE-T 이더넷 환경에서 사용 가능하다.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PSE)는 모드 A 또는 모드 B 중 하나 이상을 지원해야 하지만, 전원을 받는 장치(PD)는 모드 A와 모드 B 양쪽 모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38]

참조

[1] 간행물 802.3af-2003 2003-06
[2] 문서 IEEE 802.3-2005, section 2, table 33-5, item 1
[3] 문서 IEEE 802.3-2005, section 2, table 33-5, item 4
[4] 문서 IEEE 802.3-2005, section 2, table 33-5, item 14
[5] 문서 IEEE 802.3-2005, section 2, clause 33.3.5.2
[6] 간행물 802.3at Amendment 3: Data Terminal Equipment (DTE) Power via the Media Dependent Interface (MDI) Enhancements 2009-09-11
[7] 웹사이트 Amendment to IEEE 802.3 Standard Enhances Power Management and Increases Available Power http://standards.iee[...] IEEE 2010-06-24
[8] 문서 Clause 33.3.1 stating, "PDs that simultaneously require power from both Mode A and Mode B are specifically not allowed by this standard."
[9] 간행물 IEEE 802.3-2012 Standard for Ethernet IEEE Standards Association 2012-12-28
[10] 문서 Clause 33.3.1 stating, "A PD may indicate the ability to accept power on both pairsets from a Clause 145 PSE using TLV variable PD 4PID."
[11] 문서 IEEE 802.3bt ''145.1.3 System parameters''
[12] 웹사이트 IEEE P802.3bt/D1.5 Draft Standard for Ethernet – Amendment: Physical Layer and Management Parameters for DTE Power via MDI over 4-Pair http://www.ieee802.o[...] 2015-11-30
[13] 웹사이트 IEEE P802.3bu 1-Pair Power over Data Lines (PoDL) Task Force http://www.ieee802.o[...] 2017-03-17
[14] 웹사이트 Automotive power-over-Ethernet standard extends wattage range https://www.eenewsau[...] 2017-03-13
[15] 문서 IEEE 802.3cg-2019
[16] 문서 IEEE 802.3ch-2020
[17] 웹사이트 Power over Ethernet http://www.garrettco[...] GarrettCom 2011-08-06
[18] 웹사이트 The Bright New Outlook For LEDs: New Drivers, New Possibilities https://www.maximint[...] 2024-02-17
[19] 웹사이트 Ethernet Extender for POE and POE Plus equipment http://www.veracityg[...] 2015-10-26
[20] 웹사이트 Cisco Aironet technotes on 1000BASE-T mid-span devices http://www.cisco.com[...] 2011-07-18
[21] 문서 IEEE 802.3-2008, section 2, clause 33.3.5
[22] 문서 IEEE 802.3at-2009, clause 33.3.7
[23] 간행물 Banish Those "Wall Warts" With Power Over Ethernet http://www.electroni[...] 2003-10-26
[24] 간행물 Clarifying misperceptions about Power over Ethernet and cable losses https://www.cablingi[...] 2017-11-10
[25] 간행물 Power over Ethernet (PoE): An Energy-Efficient Alternative http://www.marvell.c[...] Marvell 2011-05
[26] 문서 IEEE 802.3at-2009, clause 33.1.1c
[27] 웹사이트 Base Line Text for IEEE 802.3 BT http://www.ieee802.o[...] 2014-05
[28] 문서 Most [[switched-mode power supplies]] within the powered device will lose another 10 to 25% of the available power to heat.
[29] 간행물 Overview of 802.3bt - Power over Ethernet standard https://ethernetalli[...] Ethernet Alliance 2024-08-19
[30] 문서 IEEE 802.3at-2009 Table 33-11
[31] 문서 IEEE 802.3at-2009 Table 33-18
[32] 문서 IEEE 802.3bt Table 145-1
[33] 문서 IEEE 802.3at-2009 Table 33-1
[34] 문서 IEEE 802.3at-2009 ''33.1.4 Type 1 and Type 2 system parameters''
[35] 문서 IEEE 802.3bt ''145.3.1 PD Type definitions''
[36] 문서 IEEE 802.3bt ''145.1.3.1 Cabling requirements''
[37] 문서 More stringent cable specification allows assumption of more current carrying capacity and lower resistance (20.0 Ω for Category 3 versus 12.5 Ω for Category 5).
[38] 문서 IEEE 802.3 ''33.3.1 PD PI''
[39] 간행물 Banish Those "Wall Warts" With Power Over Ethernet http://elecdesign.co[...] 2003-10-27
[40] 문서 IEEE 802.3-2008, section 2, table 33-12
[41] 문서 IEEE 802.3at-2009, table 33-18
[42] 웹사이트 LTC4278 IEEE 802.3at PD with Synchronous No-Opto Flyback Controller and 12V Aux Support http://cds.linear.co[...]
[43] 문서 IEEE 802.3-2018, section 2, table 33-9
[44] 문서 IEEE 802.3bt, table 145-26
[45] 문서 IEEE 802.3-2008, section 2, clause 33.3.4
[46] 문서 IEEE 802.3 Clause 79.3.2 ''Power Via MDI TLV''
[47] IETF RFC "3621"
[48] 문서 IEEE 802.1AB-2009 Annex F.3 ''Power Via MDI TLV''
[49] IETF RFC "3621"
[50] 웹사이트 LLDP / LLDP-MED Proposal for PoE Plus (2006-09-15) http://www.ieee802.o[...] 2010-01-10
[51] 웹사이트 Power over Ethernet (POE) proprietary pinouts https://pinoutguide.[...]
[52] 웹사이트 Power over Ethernet (POE) pinout http://pinoutsguide.[...]
[53] 웹사이트 Planning for Cisco IP Telephony > Network Infrastructure Analysis http://www.ciscopres[...] 2010-01-12
[54] 웹사이트 Power over Ethernet on the Cisco Catalyst 6500 Series Switch http://www.conticomp[...] 2010-01-12
[55] 웹사이트 Understanding the Cisco IP Phone 10/100 Ethernet In-Line Power Detection Algorithm - Cisco Systems http://www.cisco.com[...] 2010-01-12
[56] 웹사이트 Cisco Universal Power Over Ethernet - Unleash the Power of your Network White Paper http://www.cisco.com[...] Cisco Systems 2014-07-11
[57] 웹사이트 Power over Ethernet Interface Controllers http://www.linear.co[...] 2016-07-27
[58] 간행물 PowerDsine Limited http://www.powerover[...]
[59] 웹사이트 5 volt power over ethernet adapters http://wifiqos.com/f[...]
[60] 웹사이트 Passive Power over Ethernet equipment, AC-DC and DC-DC http://tyconpower.co[...]
[61] 문서 IEEE 802.3bt-2018, clause 145.2.9 stating "A PSE shall not apply 4-pair power unless the PSE [...] has identified the PD as Type 3 or Type 4."
[62] 문서 CIAJ「雷過電圧に対する通信機器の保護ガイドライン CES-0040-2」 https://www.ciaj.or.[...]
[63] 웹사이트 LANケーブルで給電するPoEを入れたら通信障害が、犯人は心線内の「あの金属」に https://xtech.nikkei[...] 2021-01-19
[64] 웹사이트 8103 - PoE に最適なケーブルを選択するには |Black Box https://www.blackbox[...] 2021-01-19
[65] 웹사이트 テーブルタップ・延長コード「2.束ねたコードの発火1」 https://www.nite.go.[...] NITE 2021-01-19
[66] 문서 IEEE 802.3at-2009 Table 33-11
[67] 문서 IEEE 802.3at-2009 Table 33-18
[68] 문서 IEEE 802.3bt Table 145-1
[69] 문서 IEEE 802.3at-2009 Table 33-1
[70] 문서 IEEE 802.3at-2009, clause 33.1.1c
[71] 간행물 IEEE 802.3at-2009, table 33-18
[72] 웹사이트 EtherWAN https://www.etherwan[...] EtherWAN Systems 2024-07-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