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맹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맹전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1427년에 태어나 15세기 후반에 활동했다. 1453년 계유정난 이후 벼슬에서 물러나 학문에 전념하며 절의를 지켰다. 정조 때 이조판서와 양관 대제학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정간이다. 그의 생애는 《인재집·습유》, 《대산집》 등에 기록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맹전 - 영천 용계서원
    영천 용계서원은 이맹전의 학덕과 충절을 기리기 위해 건립되었으며,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이전되었다가 영천댐 건설로 현재의 위치로 옮겨진 서원이다.
  • 생육신 - 조려
    조려는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세조의 왕위 찬탈에 반대하여 벼슬을 버리고 단종에 대한 절개를 지켜 이조참판에 추증되고 서산서원에 배향되었으며, 정절이라는 시호를 받은 인물이다.
  • 생육신 - 남효온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학자인 남효온은 세조 찬탈에 비판적인 시각을 갖고 현덕왕후 소릉 복위를 상소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유랑했으며, 사후 부관참시되었으나 중종 때 신원, 이조판서에 추증되었고 김종직의 문인이자 김시습의 제자로서 《육신전》, 《추강집》 등의 저서를 남겼다.
  • 1392년 출생 - 울루그 베그
    울루그 베그는 티무르 제국의 통치자이자 천문학, 수학 분야에서 뛰어난 학자로서, 사마르칸트를 중심으로 통치하며 학문 장려 정책을 펼쳐 문화적 융성에 기여했고, 특히 천문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말년에는 아들에게 피살당하며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 1392년 출생 - 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
    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는 1412년부터 1447년까지 밀라노 공작으로 재임하며 권력 강화를 위해 정략 결혼과 용병을 활용하여 영토를 확장하려 했으나, 후계자 없이 사망하여 비스콘티 가문의 남성 직계가 단절되었고, 그의 사생녀 비안카 마리아 비스콘티와 결혼한 프란체스코 스포르차가 밀라노 공작위를 계승했다.
이맹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이맹전
한자 이름李孟專
그의 학덕과 충절을 추모하기 위하여 지은 [[영천 용계서원]]
그의 학덕과 충절을 추모하기 위하여 지은 영천 용계서원
백순(伯純)
경은(耕隱)
시호정간(靖簡)
국적조선
성별남성
출생일1392년
사망일1480년
본관벽진(碧珍)
직위
학문
군사

2. 생애

1427년(세종 9년) 친시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 정자, 사간원 좌정언, 소격서령, 지제교를 역임했고, 거창 현감을 지냈다. 1453년 계유정난 이후 벼슬에서 물러나 김숙자, 김종직 부자와 함께 학문에 힘썼다. 사후 이조판서와 양관(홍문관, 예문관) 대제학에 추증되었으며, 사육신 하위지와 함께 절의파의 표본으로 추앙받고 있다.[3]

2. 1. 관직 생활

1427년(세종 9년) 친시문과에 급제해 승문원 정자(正字), 사간원 좌정언(正言), 소격서령, 지제교를 역임했으며, 시세가 어려워질 것을 예상해 외직을 자처하여 거창 현감을 지냈다. 거창 현감 재직 시 선정으로 백성을 다스려 청백리로 불리었다.[3]

2. 2. 계유정난 이후

1453년(단종 원년) 수양대군이 계유정난을 일으켜 권력을 장악하자, 1454년(단종 2년) 이맹전은 눈이 잘 보이지 않고 귀도 잘 들리지 않는다는 핑계로 벼슬에서 물러났다.[3] 이후 선산의 망장촌(網障村)(현 경상북도 구미시 고아읍 오로리)으로 내려가 김숙자, 김종직 부자와 함께 학문에만 전념하였으며, 조정의 끈질긴 출사(관직을 임명하여 근무하게 함) 요구에도 끝내 벼슬에 나아가지 않았다.[3]

2. 3. 사후

1453년(단종 원년) 수양대군이 계유정난을 일으켜 권력을 장악하자 1454년(단종 2년) 눈이 잘 보이지 않고, 귀도 잘 들리지 않는다는 핑계로 벼슬에서 물러났다.[3] 이후 선산 망장촌(현 경상북도 구미시 고아읍 오로리)으로 내려가 김숙자, 김종직 부자와 함께 학문에만 전념하였으며, 조정의 끈질긴 출사(관직을 임명하여 근무하게 함) 요구에도 끝내 벼슬에 나아가지 않았다.[3] 정조 때 이조판서와 양관(홍문관/예문관) 대제학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정간(靖簡)이다.[3] 또한 같은 선산 출신의 사육신 하위지와 함께 절의파(節義派)의 표본으로 추앙받고 있다.[3]

3. 가족 관계

관계이름
할아버지이희경
아버지이심지
어머니여극승의 딸
동생이중전
동생이숙전
동생이계전
동생이말전
부인김성미의 딸
장남이순
손자이보원
차남이췌
삼남이돈
사남이이
장녀박사제의 아내


4. 전기 자료


  • 최현의 《인재집·습유》 삼인사적, 경은선생[1]
  • 이상정의 《대산집》 권48, 경은 이 선생 묘갈명[2]
  • 이복원의 《쌍계유고》 권8, 경은 이 공 시장[3]
  • 권렴의 《후암집》 권7, 경은 이 선생 행략

참조

[1] 서적 여헌집 권12, 처사 최 공의 묘갈명
[2] 서적 인재집 권11, 경은선생사적발
[3] 간행물 정조실록 권12, 정조 5년(1781년) 9월 21일(경신) 2번째 기사; 승정원일기 1494책, 정조 5년(1781년) 9월 21일(경신) 24번째 기사 1781-09-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