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반 바조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반 바조프는 불가리아의 시인, 소설가, 극작가로, 불가리아 문학의 중요한 인물이다. 그는 소포트에서 태어나 초등학교를 졸업한 후 플로브디프에서 시인으로서의 첫 발을 내디뎠다. 루마니아에서 혁명가들과 교류하며 불가리아 해방을 위한 투쟁에 참여했고, 여러 시와 소설을 발표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소설 《압제 아래》, 시 《잊혀진 서사시》 등이 있으며, 불가리아 사회 및 문화 생활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이름을 딴 국립 극장, 도서관 등이 있으며, 노벨 문학상 후보로도 지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가리아의 소설가 - 쥘리아 크리스테바
쥘리아 크리스테바는 불가리아 출신의 프랑스 철학자, 기호학자, 정신분석학자, 소설가로, 기호계, 상징계, 혐오 등의 개념을 제시하고 포스트구조주의 비평에 정신분석적 접근 방식을 적용했으며, 프랑스 페미니즘의 주요 이론가로 평가받는다.
이반 바조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이름 | Иван Минчов Вазов |
출생 이름 | 해당 정보 없음 |
출생일 | 1850년 7월 9일 |
출생지 | 소포트, 장미 계곡, 오스만 제국 |
사망일 | 1921년 9월 22일 |
사망지 | 해당 정보 없음 |
국적 | 불가리아 |
다른 이름 | 해당 정보 없음 |
배우자 | 예브게니야 마르스 |
직업 | 시인, 소설가, 극작가 |
활동 기간 | 해당 정보 없음 |
대표작 | 해당 정보 없음 |
알려진 이유 | 불가리아 문학의 총대주교 |
부모 | 사바 바조프와 민초 바조프 |
참고 사항 | |
언어 | 불가리아어 |
출생일 (구식) | 1850년 7월 9일 (27 June) |
2. 생애
이반 바조프의 정확한 생년월일은 논쟁의 여지가 있다. 그의 부모인 사바 바조프와 민초 바조프는 어린 시인에게 많은 영향을 미쳤다.
이반은 소포트에서 초등학교를 졸업한 후, 아버지 민초는 그를 칼로페르로 보내 조교로 임명했다. 칼로페르에서 최종 시험을 치른 후, 젊은 교사는 아버지의 식료품 가게를 돕기 위해 소포트로 돌아왔다. 다음 해에 그의 아버지는 그를 나이덴 게로프의 학교가 있는 플로브디프로 보냈다. 그곳에서 바조프는 시인으로서 첫 발을 내딛었다.
그는 아버지의 뜻에 따라 삼촌 밑에서 견습생이 되어 상업을 공부하기 위해 루마니아의 올테니차로 떠났지만, 상업에는 전혀 관심이 없었다. 대신 그는 문학에 몰두했으며, 곧 삼촌의 집에서 도망쳐 브러일라로 가서 불가리아 망명 혁명가들과 함께 살았고, 불가리아의 혁명가이자 시인인 흐리스토 보테프를 만났다.
1874년, 그는 오스만 제국으로부터의 불가리아 해방을 위한 투쟁에 참여했다. 1875년 그는 소포트로 돌아와 지역 혁명 위원회의 회원이 되었다. 1876년 4월 봉기 실패 후, 그는 갈라치로 다시 도망쳐야 했는데, 그곳에는 살아남은 대부분의 혁명가들이 망명해 있었다. 그곳에서 그는 위원회의 비서로 임명되었다.
바조프는 불가리아 혁명 운동의 이념적 지도자였던 흐리스토 보테프의 영향을 많이 받았을 것이다. 그는 보테프와 몇몇 다른 불가리아 이민자들과 함께 루마니아에서 그의 유명한 시를 쓰기 시작했다. 1876년에 그는 첫 작품인 ''프리아포레츠와 구슬라''를 출판했고, 1877년에는 "불가리아의 슬픔"을 출판했다.
러시아-튀르크 전쟁의 결과로 1878년에 불가리아가 독립을 되찾은 후, 바조프는 유명한 ''잊혀진 서사시''를 썼다. 그는 정치 평론지 ''사이언스''와 ''돈''의 편집자가 되었지만, 친러시아 정치 세력의 박해로 인해 다시 한번 망명해야 했는데, 이번에는 오데사로 갔다. 어머니 사바 바조바의 도움으로 불가리아로 돌아와 그는 가르치기 시작했다. 바조프의 다음 체류지는 스비슈토프였는데, 그곳에서 그는 공무원이 되었다.
그는 1889년 소피아로 이사하여 평론지 ''데니차''를 출판하기 시작했다.
바조프의 1888년 소설 ''압제 아래''는 불가리아에 대한 오스만 제국의 억압을 묘사하며, 불가리아 고전 문학의 가장 유명한 작품으로 3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었다.[4]
말년에 바조프는 새롭게 독립한 불가리아의 사회 및 문화 생활에서 저명하고 널리 존경받는 인물이었다. 그는 1921년 9월 22일에 사망했다.
2. 1. 유년 시절 및 교육
이반 바조프의 정확한 생년월일은 논쟁의 여지가 있다. 그의 부모인 사바 바조프와 민초 바조프는 어린 시인에게 많은 영향을 미쳤다. 민초 호 바조프와 사바 바조프 사이에서 소포트에서 태어났으며[9], 상인의 가정에서 자랐다. 전통적인 자의식이 강한 집안이었으며, 형제로는 불가리아의 혁명가이자 후에 국군 장군이 된 게오르기 바조프, 블라디미르 바조프, 그리고 정치가가 된 보리스 바조프가 있다. 보리스에 따르면, 바조프 가문은 테페데렌리 알리 파샤의 통치 하에 현재 그리스 지역 카스토리아 지역에 해당하는 마을 야노베니에서 도망쳐 왔다고 한다[10]。
이반은 소포트에서 초등학교를 졸업한 후, 민초는 그를 칼로페르로 보내 조교로 임명했다. 칼로페르에서 최종 시험을 치른 후, 젊은 교사는 아버지의 식료품 가게를 돕기 위해 소포트로 돌아왔다. 다음 해에 그의 아버지는 그를 나이덴 게로프의 학교가 있는 플로브디프로 보냈다. 그곳에서 바조프는 시인으로서 첫 발을 내딛었다.
그는 소포트에서 불가리아 수도원 부속 학교와 중등학교를 졸업했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불가리아와 외국 문학을 접하게 되었다. 바조프는 러시아 관계를 전문으로 하는 파르테니 벨추헤프 선생님으로부터 처음으로 러시아 시와 불가리아 혁명 작품을 접했다. 1865년, 바조프는 칼로페르에 있는 학교에서 교사 보토요 페트코프(불가리아 시인이자 독립 혁명가인 흐리스토 보테프의 아버지)로부터 그리스어를 배웠다. 바조프는 프랑스 문학과 러시아 문학 작품이 풍부한 장서를 발견하고 탐독하여 이후 그의 문어적인 발달에 기여했다. 1866년, 젊은 바조프는 아버지에 의해 플로브디프로 보내져 고등학교 4학년에 재학했다. 아버지는 바조프가 그리스어를 향상시키고 터키어를 배우기를 원했지만, 바조프는 프랑스어를 배우고 피에르장 드 베랑제, 빅토르 위고, 알퐁스 드 라마르틴과 같은 프랑스 시인들의 시를 읽었다. 2년 후, 그는 아버지의 사업을 잇기 위해 소포트로 귀향했다. 그러나 젊은 이반은 사업에 거의 관심을 보이지 않고, 일찍이 사업서 대신 운문의 서적에 열중했다. 이반은 어머니 사바의 지원을 받았다. 이때 쓰인 시의 대부분은 후에 『마이스카 키트카』(''Майска китка'')라는 제목으로 1880년에 출판되었다.
2. 2. 루마니아 망명과 혁명 활동
1870년 이반은 루마니아 남부 올테니차에 있는 상인의 견습생으로 상업을 배우기 위해 삼촌에게 보내졌지만, 상업에는 관심이 없었다. 그는 루마니아어와 루마니아 문학을 배우고, 미하일 코갈니세아누, 바실레 알렉산드리, 니콜라에 발레스쿠 등 여러 인물의 혁명 사상을 공부했다. 그는 책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루마니아 동부 브러일라로 향했고, 같은 해 중심적인 불가리아인 망명 커뮤니티에 참여했다. 그는 스트란자에 있는 불가리아 독립 운동가들의 집회소 중 하나였던 니콜라의 여관에서 잠시 살았으며, 그곳에서 혁명과 자주 독립 사상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 흐리스토 보테프를 만났다. 바조프는 루마니아 동부 브러일라와 갈라치에서 내부 혁명 조직과 불가리아 혁명 중앙 위원회(BRZK)의 회의에 참석했다.[11] 어려운 생활 속에서 애국 조직의 회의는 젊은 시인 이반 바조프에게 영향을 미쳐 그의 문학 작품에 깊은 영향을 남겼다. 이후 『해방 전사』(Хъшовеbg, Haschowe), 『네밀리-네드라기』(Немили-недрагиbg)와 같은 소설 등 여러 작품을 발표한다. 처음에 출판된 시집 『투쟁』(Борбаbg, ‚Kampf’)은 망명 잡지 『불가리아 문학 사회지』(Периодическо списание на Браилското книжовно дружествоbg)에서 1870년에 발표했다. 그는 애국 시를 신문 『조국』(Отечествоbg), 신문 『독립』(Свободаbg), 잡지 『모임』(Читалищеbg)에 각각 게재했다.1874년, 그는 오스만 제국으로부터의 불가리아 해방을 위한 투쟁에 참여했다. 1875년 그는 소포트로 돌아와 지역 혁명 위원회의 회원이 되었다.
바조프는 1875년에 발발한 스타라 자고라 봉기가 무력 진압되어 실패한 것으로부터 궁지에 몰렸다. 그는 루마니아로 불법 이주하여 부쿠레슈티에 정착했다. 그곳에서 그는 중앙 불가리아 자선회(Българско централно благотворително обществоbg)에 입회하여 비서로 일했다. 그는 부쿠레슈티에서, 루마니아 당국에 의해 체포되어 터키로 인도될지도 모르는 어려운 상황 속에서, 가명 Pejtschin을 사용하여 『프랴포레츠 이 구슬라』(Пряпорец и гуслаbg)와 『불가리아의 비탄』(Тъгите на Българияbg, Tagite na Balgarija)과 같은 시집을 써서 간행했다.
1876년의 4월 봉기 실패 후, 그는 갈라치로 다시 도망쳐야 했는데, 그곳에는 살아남은 대부분의 혁명가들이 망명해 있었다. 그곳에서 그는 위원회의 비서로 임명되었다.
바조프는 불가리아 혁명 운동의 이념적 지도자였던 보테프의 영향을 많이 받았을 것이다. 그는 보테프와 몇몇 다른 불가리아 이민자들과 함께 루마니아에서 그의 유명한 시를 쓰기 시작했다.
2. 3. 불가리아 해방 이후의 활동
1880년 10월 5일, 바조프는 동루멜리아 자치주의 주도 플로브디프에 거주했다. 바조프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던 동루멜리아 자치주에서 적극적으로 정치 활동을 시작하여 친러시아파 동루멜리아 인민당(1894년에 결성된 인민당과는 별개)의 당원이 되었다. 그는 지방 의회(불가리아어: Областнотосъбрание)에서 부의장으로 선출되었고, 『마리차』(불가리아어: „Марица“), 『민중의 소리』(불가리아어: „Народний глас“), 『연대』(불가리아어: „Съединение“)와 같은 신문의 편집자가 되었다. 불가리아 공국의 알렉산더 1세가 1881년에 터르노보 헌법의 폐지와 임시 정부 수립을 선언했기 때문에, 바조프는 이에 대해 엄격하게 비판했다.[12]1881년 초, 바조프는 플로브디프 과학·문학회(불가리아어: Пловдивското научно книжовно дружество)의 대표로 선출되었다. 불가리아 독립 후, 최초의 불가리아 과학 잡지인 『과학 저널』(불가리아어: „Наука“)의 편집자가 되었다. 같은 해, 불가리아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1885년, 작가 콘스탄틴 벨리치코프와 함께 불가리아 문예지 『조라』(불가리아어: „Зора“; 'Morgenröte')를 창간한다. 이 두 사람은 불가리아인과 외국인 작가의 작품을 많이 게재한 문예지 『불가리아의 독자』(불가리아어: „Българска христоматия“)의 편집자이기도 하다.
플로브디프에서 바조프는 불가리아 공국과 동루멜리아 자치주의 합병에 대해 동루멜리아 인민당으로부터 거부당했지만, 이후 불가리아가 세르비아-불가리아 전쟁에서 승리하면서 국제 사회는 사실상 불가리아의 동루멜리아 자치주 병합을 용인했기 때문에 동루멜리아 인민당은 정치적 지위를 잃었다.
바조프는 플로브디프에 머무는 동안 서정시 『잊혀진 서사시』(불가리아어: ''Епопея на забравените''), 시 『불가리아어』(불가리아어: „Българският език“), 『해방으로』(불가리아어: „Към свободата“), 시집 『슬리브니차』(불가리아어: „Сливница“), 중편 소설 『네밀리-네드라기』(불가리아어: Немили-недраги; Nemili-Nedragi), 『아저씨』(불가리아어: „Чичовци“), 산문 『이데 리?』(불가리아어: „Иде ли?“) 등 수많은 작품을 저술했다. 이러한 작품들은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해방된 후의 불가리아 문학에서 많은 문학 장르의 기초가 되었다.
2. 4. 소피아 정착과 말년
1889년 소피아에 정착한 바조프는 1890년에 잡지 『데니차』(불가리아어: „Денница“)를 창간했다.[4] 그는 비판적이고 현실주의적인 장편 서사시를 『드라스키 이 샤르키』(불가리아어: „Драски и шарки“)라는 제목으로 2권으로 묶어 출판했고, 1895년에는 문학 활동 25주년을 기념하여 소설 『신생 국가』(불가리아어: Нова земя)를 발표했다.[4]말년에 바조프는 새롭게 독립한 불가리아의 사회 및 문화 생활에서 저명하고 널리 존경받는 인물이었다.[4] 발칸 전쟁 동안에는 가장 유명한 시 구절인 『나는 불가리아인』(불가리아어: „Аз съм българче“)을 썼다. 그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 편에 서서 불가리아가 참전하는 것에 반대하는 단체의 리더였으나, 전쟁 중에 『마케도니아의 노래』(불가리아어: Песни за Македония), 『그는 죽지 않을 것이다』(불가리아어: Не ще загине), 『산맥의 노랫소리』(불가리아어: Какво пее планината)와 같이 불가리아 병사를 찬양하는 시를 썼다. 1921년 9월 22일, 바조프는 사망했다.[4]
3. 주요 작품
바조프의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장편 소설'''
- Pod Igoto|멍에 아래bg
- Nowa Zemja|새로운 땅bg
- Светослав Тертер|스베토슬라프 테르테르bg
'''중편 소설'''
- Митрофан и Дормидолски|미트로판과 도르미돌스키bg
- Nemili-Nedragi|불우한 자와 고향 없는 자bg
- Tschitschowzi|삼촌들bg
- Нора|노라bg
'''희곡'''
- Haschowe|자유 투사bg
- Към пропаст|나락으로bg
'''희극'''
- Службогонци|슬루즈보고니bg
- Вестникар ли?|신문 판매인?bg
- Господин Мортагон|모르타곤 씨bg
- Двубой|결투bg
'''여행기'''
- В недрата на Родопите|로도피의 품 안에서. 불가리아 기행bg
- Висините|하늘의 고지bg
- Витоша|비토샤bg
- Рила|릴라bg
- Пирин|피린bg
- Един кът от Стара планина|발칸 산맥의 한 구석bg
- Волът|황소bg
- Юмрукчал|유룩찰bg
- Велико Търново|벨리코 터르노보bg
- Царевец|차레베츠bg
- На върха Свети Никола|성 니콜라스 산 정상에서bg
- Розовата долина и Тунджа|장미 계곡과 툰자bg
- Един наш черноморски бисер|우리 흑해의 진주 중 하나bg
'''시'''
- Борбаbg ('투쟁', 1870년)
- Майска киткаbg (시집, 1880년)
- Грамадаbg (그라마타. 쇼펜의 삶에서)
- Загоркаbg (자고르카)
- Моята съседка Гмитраbg (나의 이웃 그미트라)
- Зихраbg (지흐라)
- В царството на самодивитеbg (숲 요정의 왕국에서)
- Кихавицата на салюстаbg (경례의 재채기)
- Синайска розаbg (시나이의 장미)
- Epopeja na zabrawenitebg (잊혀진 자들의 서사시)
'''작품집'''
- 단편 소설(불가리아어: Разкази) 1881–1901
- 획과 색상(불가리아어: Драски и шарки)
- 보고 들은 것(불가리아어: Видено и чуто)
- 다채로운 세상(불가리아어: Пъстър свят)
- 뱅키에서 아침(불가리아어: Утро в Банки)
- 단편 소설(불가리아어: Разкази) 1901–1921
'''단편 소설'''
- 요초 할아버지가 쳐다본다(불가리아어: Дядо Йоцо гледа)
- 불가리아 여성(불가리아어: Една българка)
- 사도의 위험한 모험(불가리아어: Апостолът в премеждие)
- 그가 오나요?(불가리아어: Иде ли?)
- 풍경(불가리아어: Пейзаж)
- 어두운 영웅(불가리아어: Тъмен герой)
- 신문 판매인?(불가리아어: Вестникар ли?)
- 하지 아힐(불가리아어: Хаджи Ахил)
- 가르침(불가리아어: Урок)
- 새로운 이주(불가리아어: Ново преселение)
- 라 트라비아타(불가리아어: Травиата)
- 하맘 후보자(불가리아어: Кандидат за „хамама“)
- 국왕 연회에서 말 잘하는 손님(불가리아어: Сладкодумен гост на държавната трапеза)
- 슈미 마리차(불가리아어: Шуми Марица, "마리차가 흐른다")
- 깨끗한 길(불가리아어: Чистият път)
- "불우한 자와 고향 없는 자"의 레프스키(불가리아어: Левски из „Немили-недраги“)
- 냉대받는 마을(불가리아어: Негостолюбиво село)
- 파블레 페르티갓(불가리아어: Павле Фертигът)
- 20세기 마지막 날(불가리아어: Последният ден на XX век)
이 외에도 소설 『새로운 나라』(1894), 『우리 하늘 아래』(1900), 『카잘라르의 여제』(1902), 『마케도니아의 노래』(1914), 『멸망하지 않으리라』(1920)와 희곡 『방랑자』(1894), 『신문 기자?』(1900), 『보리슬라프』(1909), 『이바일로』(1911) 등이 있다. 바조프는 또한 최초의 불가리아 SF 소설 『20세기의 마지막 날』(1899), 최초의 불가리아 판타지 시 『요정 왕국에서』(1884)와 몇몇 다른 판타지 시를 썼다.
3. 1. 소설
- Pod Igoto|멍에 아래bg
- Nowa Zemja|새로운 땅bg
- Светослав Тертер|스베토슬라프 테르테르bg
- 『새로운 나라』 (1894)
- 『우리 하늘 아래』 (1900)
- 『카잘라르의 여제』 (1902)
- 『마케도니아의 노래』 (1914)
- 『멸망하지 않으리라』 (1920)
- 최초의 불가리아 SF 소설 『20세기의 마지막 날』 (1899)
3. 2. 중·단편 소설
- Митрофан и Дормидолски|미트로판과 도르미돌스키bg
- Nemili-Nedragi|불우한 자와 고향 없는 자bg
- Tschitschowzi|삼촌들bg
- Нора|노라bg
3. 3. 시
- Борбаbg ('투쟁', 1870년)
- Майска киткаbg (시집, 1880년)
- Грамадаbg (그라마타. 쇼펜의 삶에서)
- Загоркаbg (자고르카)
- Моята съседка Гмитраbg (나의 이웃 그미트라)
- Зихраbg (지흐라)
- В царството на самодивитеbg (숲 요정의 왕국에서)
- Кихавицата на салюстаbg (경례의 재채기)
- Синайска розаbg (시나이의 장미)
- Epopeja na zabrawenitebg (잊혀진 자들의 서사시), 다음 12개의 시를 포함:
제목 | 불가리아어 제목 |
---|---|
레프스키 | Левскиbg |
벤코프스키 | Бенковскиbg |
코초 | Кочоbg |
제코비 형제 | Братя Жековиbg |
카블레시코프 | Каблешковbg |
파이시 | Паисийbg |
밀라디노비 형제 | Братя Миладиновиbg |
라코프스키 | Раковскиbg |
카라드자 | Кададжатаbg |
1876년 | 1876년bg |
볼로프 | Воловbg |
쉬프카의 의용군 | Опълченците на Шипкаbg |
3. 4. 희곡
- Haschowe|자유 투사bg
- Към пропаст|나락으로bg
- Службогонци|슬루즈보고니bg
- Вестникар ли?|신문 판매인?bg
- Господин Мортагон|모르타곤 씨bg
- Двубой|결투bg
4. 기념
소피아에 있는 바조프의 집은 박물관으로 바뀌어 있으며, 시대 가구와 바조프의 박제된 개가 전시되어 있다. 박물관은 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열려 있지만, 실제로는 직원이 항상 상주하지 않으므로 방문 전에 미리 전화하는 것이 좋다. 박물관은 소피아의 이반 바조프 거리와 게오르기 S. 라코프스키 거리 모퉁이에 있다.
베르코비차에는 그의 대저택을 박물관으로 꾸며 놓았다. 이곳에는 시와 이 지역 및 혁명 관련 오래된 사진들이 포스터 크기로 확대되어 전시되어 있다. 2층에는 대형 회의실이 두 개 있는데, 하나는 남성을 위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여성을 위한 것이다. 플랫폼 소파는 침대로도 사용되었다.
소피아에 있는 불가리아 이반 바조프 국립 극장, 플로브디프의 이반 바조프 국립 도서관(Народна библиотека "Иван Вазов"|나로드나 비블리오테카 "이반 바조프"bg)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소피아의 성 소피아 교회 근처 공원에는 바조프를 기리는 가장 유명한 기념비가 있다.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의 바조보바 거리와 남 셰틀랜드 제도 리빙스턴 섬의 바조프 곶과 바조프 바위 역시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6]
1917년, 그는 노벨 문학상 후보로 지명되었다.[7]
수성에는 2020년 6월, 그를 기려 크레이터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8]
참조
[1]
서적
[2]
논문
Ivan Vazov
1922-06
[3]
서적
The Library of the World's Best Literature. An Anthology in Thirty Volumes
http://www.bartleby.[...]
2018-06-18
[4]
서적
Under the Yoke: A Romance of Bulgarian Liberty with An Introduction by Edmund Gosse
https://archive.org/[...]
William Heinemann
2018-06-17
[5]
웹사이트
Форум Иван Ефремов • Виж темата - Фантастична поезия (2)
http://sf-sofia.com/[...]
2024-01-09
[6]
문서
Vazov Point
https://data.aad.gov[...]
SCAR Composite Gazetteer of Antarctica
[7]
웹사이트
Nomination Database
https://www.nobelpri[...]
2016-05-27
[8]
웹사이트
Vazov
https://planetarynam[...]
IAU/USGS/NASA
2022-05-15
[9]
웹사이트
Iwan Wasow in seiner Autobiographie
http://www.slovo.bg/[...]
[10]
문서
Prez prozoreca na edno polustoletie (1900–1950)
Petar Kartschew
[11]
문서
Innere Revolutionäre Organisation in der englischen Wikipedia
[12]
문서
Die erste bulgarische Verfassung wurde von der Nationalversammlung am 16. April 1879 in Weliko Tarnowo ausgearbeitet, woher auch ihr Titel Verfassung von Tarnowo stammt. Als Vorbild galt die zu diesem Zeitpunkt recht neue und moderne Verfassung Belgiens
[13]
웹사이트
Nomination Database
http://www.nobelpriz[...]
2016-05-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