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베라반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베라반도는 아일랜드 케리주에 위치한 반도로, 킬로글린, 켄메어 등 여러 마을이 있다. 케리 링과 스켈리그 제도 등 관광 명소가 있으며, 케리 지질공원과 케리 국제 다크 스카이 보호구역이 위치해 있다. 또한, 이베라반도 게일타흐트가 있으며, 과거 아일랜드어 사용이 활발했으나 인구 감소와 함께 사용 인구가 줄어들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일랜드의 반도 - 쿨리반도
    쿨리반도는 아일랜드 북동부 라우스 카운티에 위치한 반도로, 쿨리 산맥, 해안선, 칼링포드 로, 던독 만 등의 지리적 특징과 관광, 농업, 제조업 기반 산업, 그리고 아일랜드 신화 및 여러 인물과의 관련성을 지닌다.
  • 케리주의 지리 - 맥길리커디스릭스
    맥길리커디스릭스는 아일랜드 케리주에 위치한 고생대 적색 사암으로 이루어진 산맥으로, 아일랜드에서 가장 높은 카란투어힐을 포함하여 1,000미터가 넘는 세 개의 봉우리를 가지고 있으며, 등산 코스로 유명하다.
  • 케리주의 지리 - 스켈리그 마이클
    스켈리그 마이클은 아일랜드 케리주 해안의 가파른 바위 섬으로, 6~8세기 게일 기독교 수도사들이 세운 수도원 유적이 있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며, 바닷새 서식지이자 영화 촬영지로 활용되지만 접근이 어렵다.
이베라반도
지도 정보
지리
위치아일랜드 케리주
면적1,922 제곱킬로미터
최고점카란투힐 산 (1,038m)
해안선 길이525km
지질
주요 암석사암
지형 특징빙하 작용으로 형성된 U자형 계곡, 해안선, 호수
인문
주요 도시킬로글린, 리카실, 발리나스켈리그스, 포트마기, 발리나
인구 밀도희박
언어아일랜드어, 영어
관광
주요 명소링 오브 케리
스켈리그 마이클
카란투힐 산
디어 아일랜드
발렌티아 섬
쿠마키스타
활동하이킹, 사이클링, 낚시, 해변 활동
기타
추가 정보골웨이 만과 딩글 반도 사이에 위치함
유럽에서 가장 서쪽에 위치한 지역 중 하나임
다크 스카이 리저브로 지정됨

2. 지리

이베라반도는 케리 지질공원[3], 클로건카한, 레카나부알레, 로헤르 캐셜, 케리 국제 다크 스카이 보호구역 등 다양한 지리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클로건카한은 오검석이 있는 환상 요새이며, 국립 기념물이다. 레카나부알레 또한 석조 환상 요새(캐셜)이다.

로헤르 캐셜은 석조 환상 요새(''caiseal'')로, 이베라반도의 서쪽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다.[5]

이베라반도는 2014년부터 케리 국제 다크 스카이 보호구역의 본거지이기도 하다.

딩글 만의 로스비 해변

2. 1. 주요 마을

킬로글린, 캐르시빈, 발린스켈리그스, 포트메이지, 나이트스타운, 워터빌, 캐더다니엘, 스니임, 켄메어 등의 마을이 이 반도에 있다.

인기 있는 관광 코스인 케리 링은 해안선을 따라가며 스켈리그 링을 거치고, 반도 동쪽에 있는 킬라니에서 시작하여 끝난다.

발렌티아 섬은 반도 북서쪽 끝에 있으며, 포트메이지 마을의 다리로 반도와 연결된다. 또한 본토 레나드 포인트와 섬의 나이트스타운 사이를 운행하는 페리로도 접근할 수 있다.[1]

2. 2. 케리 링 (Ring of Kerry)

케리 링은 인기 있는 관광 코스로, 해안선을 따라 스켈리그 링을 거치며 반도의 동쪽에 있는 킬라니에서 시작하여 끝난다.

2. 3. 발렌티아 섬 (Valentia Island)

발렌티아 섬은 이베라 반도의 북서쪽 끝에 위치해 있다. 이 섬은 포트메이지 마을의 다리를 통해 반도와 연결되지만, 본토의 레나드 포인트와 섬의 나이트스타운 사이의 페리 운송으로도 접근할 수 있다.[1]

2. 4. 스켈리그 제도 (Skellig Islands)

스켈리그 제도는 서쪽 해안에서 약 12k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수도원 건물과 조류 서식지로 유명하다. 2015년부터 스타워즈 촬영으로 인해 이 지역에 많은 관광객들이 방문하고 있다.[2]

2. 5. 케리 지질공원 (Kerry Geopark)

케리 지질공원[3]은 이베라반도 공동체 사업으로, 이 지역의 지질학적 중요성을 알리고 지질 관광을 촉진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주요 특징으로는 켄메어 만(익사한 강 계곡 또는 리아), 과거 빙하 작용과 화산 활동의 흔적, 그리고 4억 년 전의 화석화된 사지동물 발자국 등이 있다.[4]

3. 역사

이베리아반도에는 대서양 암각화가 가장 많이 밀집된 지역 중 하나가 있다. 암각화는 반도 전체에 흩어져 있지만,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곳은 두 개의 주요 군집으로 나뉜다. 가장 주목할 만하고 잘 기록된 곳은 스니임 근처의 데리나블라하와 데리니의 인접한 타운랜드이다. 이 타운랜드의 암각화는 1960년대에 에마누엘 아나티 교수가 E. 시, M.J. O'켈리와 함께 기록하면서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12][13] 두 번째 암각화 군집은 글렌베이 근처의 코마사하른, 키얼더프 어퍼, 레터 웨스트의 인접한 타운랜드에 있다.

3. 1. 선사 시대 암각화

이베리아반도에는 대서양 암각화가 가장 많이 밀집된 지역 중 하나가 있다. 암각화는 반도 전체에 흩어져 있지만,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곳은 두 개의 주요 군집으로 나뉜다. 가장 주목할 만하고 잘 기록된 곳은 스니임 근처의 데리나블라하와 데리니의 인접한 타운랜드이다. 이 타운랜드의 암각화는 1960년대에 에마누엘 아나티 교수가 E. 시, M.J. O'켈리와 함께 기록하면서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12][13] 두 번째 암각화 군집은 글렌베이 근처의 코마사하른, 키얼더프 어퍼, 레터 웨스트의 인접한 타운랜드에 있다. 이 타운랜드에는 수백 개의 개별적인 대서양 암각화가 있으며, 고고학자와 열성가들이 정기적으로 고고학 기록에 새로운 사례를 추가하고 있다.

4. 게일타흐트 (Gaeltacht)

'''이베라반도 게일타흐트'''(아일랜드어: ''Gaeltacht Uíbh Ráthaigh'')는 아일랜드의 게일타흐트 지역 중 하나이다.

1920년대에 처음 게일타흐트가 지정되었을 때 이베라반도 전체가 포함되었으나,[8] 현재는 게일타흐트 중 가장 작은 곳 중 하나이다. 1956년부터 2011년 사이에 인구는 41% 감소했지만, 같은 기간 아일랜드 전체 인구는 67% 증가했다. 반도 중심부의 많은 촌락은 무인화되었으며, 기본적인 서비스 부족과 게일스코일 부족이 인구 및 아일랜드어 사용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1998년, "콤코히스테 게일타흐트 이브 라하"( Comhchoiste Ghaeltacht Uíbh Ráthaigh|콤코히스테 게일타흐트 이브 라하ga)라는 지역 사회 단체가 설립되어 이베라반도의 게일타흐트 지역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7]

4. 1. 이베라반도 게일타흐트 (Gaeltacht Uíbh Ráthaigh)

'''이베라반도 게일타흐트''' 또는 '''게일타흐트 이브 라하'''는 게일타흐트 중 가장 작은 곳 중 하나이다. 주요 도시는 바일 언 스켈그이며, 작은 마을 및 촌락으로는 둔 게간, 킬린 리아, 로타르, 쿠안 언 카슬레인 등이 있다. 인구 밀도가 낮으며, 2016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이베라반도 게일타흐트에 거주하는 3세 이상 인구는 1,753명이었으며, 이 중 6.9%만이 교육 시스템 외부에서 매일 아일랜드어를 사용한다고 응답했다.[6] 이는 아일랜드의 26개 게일타흐트 중 일상 사용률 기준으로 5번째로 낮은 수준이다.

이베라반도 게일타흐트는 한때 아일랜드에서 가장 강력한 게일타흐트 중 하나였다. 모든 계층의 사람들이 아일랜드어를 사용했으며, 1850년대에는 인구의 93% 이상이 아일랜드어 단일 언어 사용자였다.[7] 1920년대에 처음 게일타흐트가 지정되었을 때 반도 전체가 게일타흐트로 지정되었다.[8]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1956년에 지정된 공식 게일타흐트 지역에서 아일랜드어를 구사할 수 있는 사람의 비율은 약 60%였으며, 그 이후로 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10]

2007년에 발표된 게일타흐트에 대한 포괄적인 언어 연구에서는 이베라반도 게일타흐트를 C등급 게일타흐트로 분류할 것을 권고했다.[11]

일상 사용 인구의 비율은 인구 감소와 함께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1956년에서 2011년 사이에 이베라반도 게일타흐트의 인구는 3,036명에서 1,795명으로 감소했다. 41% 감소한 것이다. 이는 같은 기간 동안 아일랜드 인구가 67%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나타난 현상이다. 게일타흐트가 위치한 반도 중심부의 많은 촌락은 무인화 상태이다. 기본적인 서비스 부족이 인구의 급격한 감소, 그리고 아일랜드어 사용 인구의 감소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다. 이 지역의 게일스코일 부족 또한 아일랜드어 쇠퇴의 또 다른 이유일 것이다.

"콤코히스테 게일타흐트 이브 라하"(Comhchoiste Ghaeltacht Uíbh Ráthaigh)는 이베라반도에 위치한 5개의 게일타흐트 지역의 개발 그룹을 총괄하기 위해 1998년에 설립된 지역 사회 단체이다. 이 단체는 아일랜드어 보급 및 지역 사회 프로젝트 개발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7]

4. 2. 아일랜드어 사용 현황

바일 언 스켈그가 주요 도시이며, 둔 게간, 킬린 리아, 로타르, 쿠안 언 카슬레인 등의 작은 마을 및 촌락이 있는 이베라반도 게일타흐트는 게일타흐트 중 가장 작은 곳 중 하나이다. 2016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이베라반도 게일타흐트에 거주하는 3세 이상 인구는 1,753명이었으며, 이 중 6.9%만이 교육 시스템 외부에서 매일 아일랜드어를 사용한다고 응답했다.[6] 이는 아일랜드의 26개 게일타흐트 중 일상 사용률 기준으로 5번째로 낮은 수준이다.

이베라반도 게일타흐트는 한때 아일랜드에서 가장 강력한 게일타흐트 중 하나였다. 모든 계층의 사람들이 아일랜드어를 사용했으며, 1850년대에는 인구의 93% 이상이 아일랜드어 단일 언어 사용자였다.[7] 1920년대에 처음 게일타흐트가 지정되었을 때 반도 전체가 게일타흐트로 지정되었다.[8]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1956년에 지정된 공식 게일타흐트 지역에서 아일랜드어를 구사할 수 있는 사람의 비율은 약 60%였으며, 그 이후로 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10]

2007년에 발표된 게일타흐트에 대한 포괄적인 언어 연구에서는 이베라반도 게일타흐트를 C등급 게일타흐트로 분류할 것을 권고했다.[11]

일상 사용 인구의 비율은 인구 감소와 함께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1956년에서 2011년 사이에 이베라반도 게일타흐트의 인구는 3,036명에서 1,795명으로 감소했다. 이는 41% 감소한 것이다. 같은 기간 동안 아일랜드 인구가 67%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나타난 현상이다. 게일타흐트가 위치한 반도 중심부의 많은 촌락은 무인화 상태이다. 기본적인 서비스 부족이 인구의 급격한 감소, 그리고 아일랜드어 사용 인구의 감소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다. 이 지역의 게일스코일 부족 또한 아일랜드어 쇠퇴의 또 다른 이유일 것이다.

1998년에 이베라반도에 위치한 5개의 게일타흐트 지역의 개발 그룹을 총괄하기 위해 지역 사회 단체인 "콤코히스테 게일타흐트 이브 라하"(Comhchoiste Ghaeltacht Uíbh Ráthaigh)가 설립되었다. 이 단체는 아일랜드어 보급 및 지역 사회 프로젝트 개발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7]

4. 3. 콤코히스테 게일타흐트 이브 라하 (Comhchoiste Ghaeltacht Uíbh Ráthaigh)

Comhchoiste Ghaeltacht Uíbh Ráthaigh|콤코히스테 게일타흐트 이브 라하ga는 1998년에 설립된 지역 사회 단체로, 이베라반도에 위치한 5개의 게일타흐트 지역 개발 그룹을 총괄한다.[7] 이 단체는 아일랜드어 보급 및 지역 사회 프로젝트 개발 등 다양한 활동을 한다.[7]

5. 지역 주민

패드레이그 오 헤이게르타이그는 아일랜드어 시인(1871–1936)이다.

참조

[1] 웹사이트 Valentia Island Car Ferry https://web.archive.[...] 2020-11-21
[2] 뉴스 Kerry tourism feels the force of the Star Wars effect https://www.irishtim[...] 2020-11-21
[3] 웹사이트 Kerry Geopark https://web.archive.[...] 2021-05-26
[4] 웹사이트 Tetrapod Trackway http://www.valentiai[...] 2020-11-21
[5] 웹사이트 Loher Stone Fort https://www.theringo[...] 2020-11-21
[6] 웹사이트 Irish Language and the Gaeltacht - CSO - Central Statistics Office https://www.cso.ie/e[...] 2020-11-21
[7] 웹사이트 Gaeltacht http://www.visitball[...] 2020-11-21
[8] 간행물 Using gis to map the evolution of the gaeltacht http://www.tandfonli[...] 2007-01
[9] 웹사이트 electronic Irish Statute Book (eISB) http://www.irishstat[...] 2020-11-21
[10] 간행물 Gaeltacht Uíbh Ráthaigh – Prófíl Dhéimeagrafach agus Socheacnamaíochta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Profile. Údarás na Gaeltachta https://dspace.mic.u[...] 2017
[11] 간행물 Comprehensive linguistic study of the use of Irish in the Gaeltacht: principal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https://www.cogg.ie/[...] 2007
[12] 문서 Anati, E. 1963
[13] 문서 Shee, E. and O’Kelly, M. 196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