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세 철도 이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세 철도 이세선은 1973년 일본국철 이세 선으로 개통하여, 1987년 이세 철도로 이관된 철도 노선이다. 미나미요카이치역과 쓰역을 잇는 노선으로 시작하여, 현재는 가와라다역과 쓰역 사이를 운행한다. 개통 초기에는 이용객 감소로 적자를 기록했으나, 복선화 및 역 신설 등을 통해 수송 능력을 향상시켰다. JR 도카이의 특급 '난키'와 쾌속 '미에'가 이 노선을 경유하며, 이세 철도 이세 III형 열차도 운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3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무사시노선
무사시노선은 JR동일본과 JR화물이 운영하는 총 100.6km의 철도 노선으로, 도쿄 외곽 순환선을 목표로 건설되어 1973년 일부 개통 후 1978년 니시후나바시까지 연장되었으며, 현재는 게이요선과의 직결 운행을 통해 도쿄 도심 및 주변 지역을 연결하는 중요한 교통축 역할을 한다. - 1973년 개통한 철도 노선 - 평양 지하철도
평양 지하철도는 1965년에 건설되어 1969년부터 1972년 사이에 개통되었으며, 방공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깊게 건설되었고, 천리마선과 혁신선 두 개의 노선으로 운영된다. - 미에현의 철도 - 기세이 본선
기세이 본선은 미에현 가메야마역과 와카야마현 와카야마시역을 연결하는 384.2km의 철도 노선으로, JR 도카이와 JR 서일본이 공동 운영하며 일부 구간은 JR 화물도 운영하고, 96개의 역과 1,067mm 협궤를 사용하며, 일부 구간은 복선 및 전철화되어 있고, ICOCA 사용이 가능하다. - 미에현의 철도 - 산구선
산구선은 도카이 여객철도가 운영하며 다키역과 도바역을 잇는 노선으로, 이세 신궁 참배 노선으로서의 역사적 중요성을 지니고 쾌속 '미에'를 통해 나고야역과 이세시마 지역을 연결하며 JR 도카이의 기동차가 주로 운행된다.
이세 철도 이세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노선 이름 | 이세 선 |
원래 이름 | 伊勢線 (이세 센) |
별칭 | 伊勢鉄 (이세테쓰) |
![]() | |
노선 종류 | 일반 철도 |
노선 상태 | 운행 중 |
소재지 | 미에 현 |
기점 | 가와라다 역 |
종점 | 쓰 역 |
역 수 | 10개 역 |
개통일 | 1973년 9월 1일 |
제3섹터 전환일 | 1987년 3월 27일 |
소유주 | 일본국유철도 → 이세 철도 |
운영 주체 | 이세 철도 (제1종 철도 사업자), 동해 여객철도 |
노선 특성 | 주로 도시 지역과 일부 농촌 지역을 통과 |
차량기지 | 다마가키 역 |
사용 차량 | 이세 철도 III형 디젤 동차, 기하 75형 디젤 동차, HC85계 디젤 동차 |
노선 길이 | 22.3 km |
복선 구간 | 가와라다 - 나카세코 |
단선 구간 | 쓰 역 - 나카세코 |
전철화 여부 | 전 구간 비전철화 |
보안 장치 | ATS-ST |
최고 속도 | 110 km/h |
노선도 | |
범례 | |
정차장 및 시설, 연결 노선 | |
가와라다 역 | JR 도카이: 간사이 본선 |
다마가키 역 | 다마가키 차량기지 |
쓰 역 | JR 도카이: 기세이 본선 긴테쓰: 나고야 선 |
2. 역사
1973년 9월 1일 일본국유철도(일본국철) '''이세 선'''으로 개통되었다.[17] 개통 당시에는 특급 '쿠로시오' 1왕복, 급행 '기슈'(특급 '난키'의 전신) 3왕복, 보통 7왕복이 운행되었다.
1987년 3월 27일 일본국철 이세 선이 폐지되고 이세 철도로 이관되면서 이세우에노 역이 영업을 시작했다.[3] 이관 당시 전 구간이 단선이었고, 열차 교환 설비는 다마가키역뿐이었다.
1991년 3월 16일 도쿠다 역이 영업을 시작했다.
1993년 수송력 증강을 위해 가와라다 ~ 나카세코 구간이 복선화되었다.
2008년
2013년 3월 16일: 정기 화물 열차 폐지.
2016년 4월 1일: 화물 영업 (일본 화물 철도의 제2종 철도 사업) 폐지.[23]
이 노선은 간사이 본선 나고야 방면과 기세이 본선 쓰 이남을 잇는 단축 노선으로 건설되었다. 1965년 11월부터 건설을 시작하여, 1973년 9월 1일 일본국유철도 이세선으로 개업했다. 개업으로 요카이치-쓰 사이 거리가 29.2km가 되어 이전보다 약 9km 단축되었고, 가메야마역에서의 스위치백도 불필요하게 되어 소요 시간도 단축되었다.[17]
개통 초기에는 이용객 수가 적어 일본국유철도 경영 재건 촉진 특별 조치법에 따른 폐지 기준을 밑돌아 제2차 특정지방교통선으로 선정되었고, 1987년 3월 27일 제3섹터 "이세 철도"로 경영이 이관되었다.[3]
건설 당시부터 복선 부지가 확보되었고,[4] 장래 전철화에 대비해 가선주 용지 또는 가선주 기초가 설치되어 있었다.[4] 대부분이 고가로 건설되는 등 간선급 설비를 갖추고 있었다.[4]
제3섹터 전환 후, 가와게역에 교환 설비를 신설하고, 가와라다- 나카세코 구간을 복선화하여 수송 능력을 증강시켰다. 1993년 가와라다-나카세코 간 복선화(12.8km) 공사 비용은 20.5억엔이었으며, 이 중 이세 철도가 4.3억엔을 지불하고 나머지는 국가 정부, 미에현, 노선 주변 지방 정부가 지불했다.
현재도 특급 "난키"와 쾌속 "미에"가 이 노선을 경유하여 나고야와 도바, 신구 방면을 잇고 있다. 스즈카 대학 개교로 통근 승객도 증가하여, 1996년 이후 흑자 경영으로 전환되었다.
2. 1. 일본국유철도 이세선
- 1961년 6월 16일: 철도부설법 개정에 의해 요카이치 - 쓰 간이 예정선에 추가되었다.
- 1964년 4월 22일: 철도 건설 심의회에 의해 일본 철도 건설 공단의 공사선이 되었다. 분류는 주요 간선 (C선).
- 1965년 11월 4일: 착공. 공사비는 109억 엔.[17]
- 1973년 9월 1일: 국철 이세선으로 미나미요카이치 - 쓰 간(26.0km)이 개업했다.[17][18] 스즈카역, 다마가키역, 이노우역, 나카세고역, 카와게역, 히가시잇신다역이 개업했다.[17][18] 가와라다역 - 쓰 간이 경로 특정 구간이 되었다.[19] 미나미요카이치 - 가와라다 간은 간사이 본선과의 중복 구간이었다.
- 1978년 10월 2일: 나고야 발착의 특급 "구로시오"가 폐지, 특급 "난키" 운행 개시.
- 1982년 5월 17일: 일부 열차가 당선을 경유·정차 (스즈카역)하던 급행 "기슈"가 모두 가메야마역 경유로 변경. (급행 "기슈"는 1985년 3월 13일 폐지).
- 1984년 6월 22일: 제2차 특정 지방 교통선으로 폐지 승인.
- 1986년
- * 9월 22일: 이세선 특정 지방 교통 대책 협의회에서 국철 이세선의 대체 수송 계획 결정.
- * 9월 29일: 제3섹터 철도로의 전환을 결정.
- 1987년 3월 27일: 국철 이세선 폐지.[20]
2. 2. 이세 철도 이세선
1973년 9월 1일 일본국유철도(일본국철) '''이세 선'''으로 개통되었다.[17] 개통 당시에는 하루에 특급 '쿠로시오' 1왕복, 급행 '기슈'(모두 특급 '난키'의 전신) 3왕복, 보통 7왕복밖에 운행되지 않았다.1987년 3월 27일 일본국철 이세 선이 폐지되고 이세 철도로 이관되면서 이세우에노 역이 영업을 개시했다.[3] 이관 당시 전 구간이 단선이었고, 열차 교환 설비는 다마가키역뿐이었다.
1991년 3월 16일 도쿠다 역이 영업을 개시했다.
1993년에는 수송력 증강을 위해 가와라다 ~ 나카세코 구간이 복선화되었다.
2008년 8월 1일 역번호가 도입되었다.
이 노선은 간사이 본선 나고야 방면과 기세이 본선 쓰 이남을 잇는 단축 노선으로 건설되었다. 1965년 11월부터 건설을 시작하여, 1973년 9월 1일 일본국유철도 이세선으로 개업했다. 개업으로 요카이치-쓰 사이 거리가 29.2km가 되어 이전보다 약 9km 단축되었고, 가메야마역에서의 스위치백도 불필요하게 되어 소요 시간도 단축되었다.[17]
개통 초기에는 이용객 수가 적어 일본국유철도 경영 재건 촉진 특별 조치법에 따른 폐지 기준을 밑돌아 제2차 특정지방교통선으로 선정되었고, 1987년 3월 27일 제3섹터 "이세 철도"로 경영이 이관되었다.[3]
건설 당시부터 복선 부지가 확보되었고,[4] 장래 전철화에 대비해 가선주 용지 또는 가선주 기초가 설치되어 있었다.[4] 대부분이 고가로 건설되는 등 간선급 설비를 갖추고 있었다.[4]
제3섹터 전환 후, 가와게역에 교환 설비를 신설하고, 가와라다- 나카세코 구간을 복선화하여 수송 능력을 증강시켰다. 1993년 가와라다-나카세코 간 복선화(12.8km) 공사 비용은 20.5억엔이었으며, 이 중 이세 철도가 4.3억엔을 지불하고 나머지는 국가 정부, 미에현, 노선 주변 지방 정부가 지불했다.
현재도 특급 "난키"와 쾌속 "미에"가 이 노선을 경유하여 나고야와 도바, 신구 방면을 잇고 있다. 스즈카 대학 개교로 통근 승객도 증가하여, 1996년 이후 흑자 경영으로 전환되었다.
2017년 기준 수송 밀도는 약 3,639명/일이다.
JR 도카이의 차량으로 이세선을 경유하는 특급 '난키'와 쾌속 '미에'는 이세 철도가 JR 도카이에 차량 사용료를 지불한다. 이세선은 이세 철도가 제1종 철도 사업자이므로 선로 사용료는 발생하지 않는다.
이세 철도 차량을 사용하는 보통 열차는 간사이 본선 가와라다역 - 욧카이치역 구간에 진입하므로 JR 도카이에서 이세 철도에 차량 사용료를 지불한다.
3. 노선 정보
간사이 본선의 나고야 방면과 기세이 본선의 쓰 이남을 단축할 목적으로 일본철도건설공단이 건설을 시작하여, 1973년 9월 1일에 일본국유철도의 이세선으로 개업했다.
- 노선 거리(영업 킬로미터): 22.3 km
- 관할: 이세 철도(제1종 철도 사업자)
- 건설 주체: 일본 철도 건설 공단(현 독립 행정 법인 철도 건설·운수 시설 정비 지원 기구)
- 궤간: 1,067 mm
- 역 수: 10역(기점 및 종점역 포함)
- 선로 등급: 갑선
- 복선 구간: 가와라다 - 나카세코 간
- 전철화 구간: 없음(전 노선 비전철화)
- 폐색 방식: 자동 폐색식
- 보안 장치: ATS-ST(쓰역 구내, 가와라다역 이북은 ATS-PT 사용)
- 최고 속도: 110 km/h(특급 난키 · 쾌속 미에 등 JR 도카이 소속 차량으로 운행하는 열차), 100 km/h(이세 철도 이세 III형 보통 열차)
- IC승차 카드 대응 구간: 없음
4. 운행 형태
도카이 여객철도(JR 도카이) 나고야역 - 신구역・기이카쓰우라역 간 특급 "난키"와 나고야역 - 이세시역・도바역 간 쾌속 "미에"가 직통 운전되며, 그 사이에 자사 차량(이세 III형)에 의한 요카이치역・가와라다역 - 쓰역 간 보통 열차가 1시간에 1편 정도 운행되고 있다. 다만 가와라다역을 시발·종착으로 하는 열차는 평일 아침 1왕복뿐이다.[8] 야간 체박을 위한 다마가키역 발착 열차도 아침저녁으로 운행되고 있다. 또한, 연선에 있는 스즈카 서킷에서의 레이스 개최 시에는 나고야 방면에서 임시 열차가 운행된다(후술). 나카세고역에는 쾌속 "미에"가 수 편 정차했지만, 2015년 (헤이세이 27년) 6월 20일 현재 상행 3편만 정차한다.
이세선 내에서 특급 "난키"와 쾌속 "미에"의 승무원 교대는 이루어지지 않으며, JR 도카이의 운전사·차장이 그대로 이세선 내를 운행한다. 반대로, 자사 차량이 JR선인 요카이치역 - 가와라다역 간을 운행하는 경우도 승무원 교대가 이루어지지 않고, 이세 철도의 운전사에 의해 JR선을 운행한다. 보통 열차는 모두 1량 편성으로 원맨 운전을 실시하고 있다. 자사 차량의 보유 대수가 4량으로 적은 점도 있어, 2량 편성 이상이 되는 것은 후술하는 F1 그랑프리 개최일을 제외하고 기본적으로 없다. 보통 열차는 유인역인 스즈카역을 포함한 도중 역에서는 차내 정산이 된다(요카이치역에서는 하차 시에 요청하면 JR선 나고야 방면의 연락 승차권을 발매한다. 쓰역에서는 운임 지불과 교환으로 정산권을 건네받아 JR선의 운임은 환승지에서 별도로 지불한다. 스즈카역 또는 나카세고역(상행만 일부 쾌속 "미에"가 정차)에서 후속 쾌속 "미에" 또는 특급 "난키"로 환승하는 경우, 하차 시에 운전사에게 요청하게 된다. 가와라다역에서 JR선 가메야마 방면으로 환승하는 경우도 쓰역에서와 마찬가지로, 차내에서 이세 철도선의 운임을 지불한 후 환승하게 되며, JR선의 운임은 환승지에서 별도로 지불한다. 유인역에서 보통 열차 승차 전에 역에서 승차권을 사지 않은 경우에는 승차 정리권을 받게 된다).
스즈카 서킷 이노우에역을 최단 거리로 하는 스즈카 서킷에서는 1987년 (쇼와 62년)부터, FIA(국제 자동차 연맹) 주최 F1 세계 선수권일본 그랑프리가 거의 매년[10] 개최된다. 개최 당일에는 많은 관람객이 이세 철도를 이용하기 때문에 특별 열차 운행 계획이 편성된다.
개최일에는 이세 철도의 정기 보통 열차는 이세 III형 2량 편성으로 운행되며 차장이 승무하는 투맨 운전이 된다 (원맨용 홈 확인 미러가 2량 정차 위치에 없기 때문). 특급 "난키"와 쾌속 "미에"의 대부분이 스즈카 서킷 이노우에역에 임시 정차하는 외, 이 날에 한해서는 자사 차량의 예비차를 모두 사용하고 차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JR 도카이로부터 차량 (나고야 차량구의 HC85계 (2022년까지는 키하 85계)나 키하 75형·키하 25형 외, HC85계 이외에는 미노오타 차량구의 차량도 지원에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을 차용하는 등 수송력 확보에 힘쓰고 있지만, 통상시에 비해 수송량이 많다는 점과 스즈카 서킷 이노우에역에는 건넘선 등의 회차 설비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가장 혼잡할 때에는 스즈카 서킷 이노우에역에 긴 행렬이 생긴다. 이로 인해 승하차에도 시간이 걸려, 개최일 등에는 아침부터 10분 정도의 지연이 매년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또한, 쾌속 "미에"는 전 차량 자유석으로 운행된다.
키하 75형의 차내 표시는 쾌속 "미에"의 임시 정차에 대응하여 주행 중에는 "다음은 스즈카 서킷 이노우에"·정차 시에는 "스즈카 서킷 이노우에"로, 모두 스크롤로 표시된다.
임시 열차가 운행되는 것은 F1 일본 그랑프리 개최 시에 한정되며, 슈퍼 포뮬러나 스즈카 10시간 내구, 스즈카 8시간 내구 등 다른 카테고리의 레이스에 관해서는, 특급 "난키"·쾌속 "미에"의 임시 정차 (혹은 증결)가 있을 뿐이며, 그 외에는 통상 운행된다.
임시 열차에 대응하기 위해, 스즈카역과 스즈카 서킷 이노우에역의 승강장은 6량 이상의 열차에 대응하고 있다.
5. 차량
JR 도카이 키하 85계 (JR 도카이 특급 열차 전용)와 이세III형이 사용되고 있다.[17][3]
도카이 여객철도(JR 도카이)의 특급 "난키"와 쾌속 "미에"는 JR 도카이의 차량으로 운행되며, 이세선 내에서는 승무원 교대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자사 차량(이세 III형)은 요카이치역・가와라다역 - 쓰역 간의 보통 열차로 운행되며, 1량 편성으로 원맨 운전을 실시한다. 자사 차량이 JR선인 요카이치역 - 가와라다역 구간을 운행하는 경우에도 승무원 교대는 이루어지지 않는다.[4]
2016년부터는 나고야 차량구로 전속된 키하 11형・키하 25형의 검사・수리를 위한 회송 열차도 이세선을 경유하여 운행된다.[5][6][7]
6. 역 목록
미에
난키
(스즈카 국제 대학 앞)
긴키 닛폰 철도: 나고야선